KR20130008158A - 가열식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가열식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158A
KR20130008158A KR1020110068710A KR20110068710A KR20130008158A KR 20130008158 A KR20130008158 A KR 20130008158A KR 1020110068710 A KR1020110068710 A KR 1020110068710A KR 20110068710 A KR20110068710 A KR 20110068710A KR 20130008158 A KR20130008158 A KR 2013000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rod
container
detection
heat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194B1 (ko
Inventor
지덕선
지승일
Original Assignee
지덕선
지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덕선, 지승일 filed Critical 지덕선
Priority to KR102011006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76Package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ircuit, e.g. resistances, for heat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47J36/2433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2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식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에 형성된 용기바닥면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히터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온도센서를 갖는 가열식 음료용기에 있어서, 외표면에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제1검출봉과; 외표면에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제2검출봉과; 상기 히터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와 상기 히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에 수용된 음료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제1검출봉과 상기 제2검출봉 사이의 저항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저항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바디부에 음료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 히터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식 음료용기{Heating Type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가열식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바디부와 용기바디부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하는 수단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젖병, 커피포트 등과 같이 음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가열식 음료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가열식 음료용기는 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고 검출온도가 설정값을 넘어가면 가열동작이 중지되도록 작동한다.
이하 가열식 음료용기 중 젖병을 예로 들어 가열식 음료용기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9는 종래의 가열식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히터봉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 가열식 음료용기의 제어블럭도이다.
종래의 가열식 음료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110)와, 용기바디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용기캡(121)과, 용기바디부(110)에 설치된 히터봉(130)과, 히터봉(13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122)와, 히터봉(130)의 상단에 설치된 온도센서(129)와, 용기바디부(110)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124)과, 용기바디부(110)의 바닥면에 설치된 피시비(125)와, 엔드캡(124) 외표면에 부착된 스위치(126)와, 히터(122)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28)와, 피시비(125) 상에 구현된 스위칭부(144) 및 제어부(127)를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10)는 관형태의 용기측면부(111)와, 용기측면부(111)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용기측면부(111)에 형성된 용기바닥면부(112)와, 용기측면부(11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어깨부(113)를 갖고 있다.
용기바닥면부(112)는 상하층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측에 배치된 용기바닥면부(112)를 상부용기바닥면부(112a)라고 하고, 하측에 배치된 용기바닥면부(112)를 하부용기바닥면부(112b)라고 한다.
어깨부(113)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 결합방식으로 용기측면부(111)에 결합된다.
용기캡(121)은 상단에 배출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121)은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등과 같은 유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어깨부(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히터봉(130)은 하단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리브(131)를 갖고 있다.
히터봉(130)은 테프론, 아세탈, 폴리에틸렌(PET), 폴리카보네이트(PC)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히터봉(130)은 걸림리브(131)가 하부용기바닥면부(112b)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히터봉(130)을 설치할 때 상부용기바닥면부(112a)와의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Packing, 133)이 설치된다.
히터(122)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세라믹소성체(122a)의 내부에 발열코일(122b)을 내장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히터(122)는 히터봉(130)의 내부에 설치되고 히터봉(130)의 하측개구는 실리콘재질의 방수캡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온도센서(129)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센서하우징과, 센서하우징에 내장된 센싱소자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온도센서(129)는 센싱소자가 센서노출공(130a)을 통해 용기바디부(11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히터봉(130)에 설치된다.
그리고 온도센서(129)는 피시비(125)를 통해 제어부(1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엔드캡(124)은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캡단자(124a)가 형성되어 있다.
캡단자(124a)는 엔드캡(124)을 용기바디부(110)에 결합할 때 피시비(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엔드캡(124)은 내표면에 형성된 결합리브(124b)와 용기측면부(111)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11a)사이의 요철 결합을 통해 용기바디부(110)에 결합된다.
피시비(125)는 용기바닥면부(1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피시비(125)에는 전원부(128), 제어부(127) 및 스위칭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126)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온오프스위치(126a), 온도조절스위치(126b) 등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원부(128)는 히터(122) 및 제어부(127)에 필요한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전원부(128)는 상용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의 출력전압을 다른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스위칭부(144)는 전원부(128)와 히터(1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127)로부터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온상태로 도통하는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스위칭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144)는 제어부(12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128)와 히터(12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27)는 입력단에 온도센서(129)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스위칭부(144)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가열식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126a)가 온 상태로 조작되고 온도조절스위치(126b)에 의해 용기바디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가열온도가 선택된다.
다음에 제어부(127)는 히터(122)가 전원부(1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부(144)를 제어한다.
히터(122)가 전원부(1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히터(122)는 가열되고 용기바디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는 히터(122)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다음에 제어부(127)는 온도센서(129)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용기바디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선택온도에 도달하면 히터(122)와 전원부(12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부(144)를 제어한다.
히터(122)와 전원부(12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히터(122)의 가열동작은 중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열식 음료용기에 따르면, 온도센서(129)가 히터봉(130)에 설치되어 있고 용기바디부(110)에 음료가 있는 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용기바디부(110)에 음료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 히터(122)가 가열될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바디부에 음료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 히터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열식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에 형성된 용기바닥면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히터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온도센서를 갖는 가열식 음료용기에 있어서, 외표면에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제1검출봉과; 외표면에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제2검출봉과; 상기 히터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와 상기 히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에 수용된 음료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제1검출봉과 상기 제2검출봉 사이의 저항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저항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음료용기에 의해 달선된다.
여기서 온도센서 검출온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검출봉에는 상기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2검출봉에는 센서노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센서노출공을 통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검출봉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검출봉의 가공이 용이해 지고 제1검출봉과 검출부 사이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검출봉과 검출부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전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검출봉을 고정하기 위한 제1검출봉지지공이 상기 제1검출봉의 외형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검출봉이 상기 제1검출봉지지공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제1검출봉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검출봉의 가공이 용이해 지고 제2검출봉과 검출부 사이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2검출봉과 검출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전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2검출봉을 고정하기 위한 제2검출봉지지공이 상기 제2검출봉의 외형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검출봉이 상기 제2검출봉지지공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제2검출봉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검출봉과 제2검출봉을 용기바디부에 설치하고 제1검출봉과 제2검출봉 사이의 저항을 검출하여 용기바디부에 수용된 음료량이 가열이 허용된 량 이상인 경우에만 히터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바디부에 음료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 히터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제1검출봉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검출봉지지구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검출봉의 설치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검출봉지지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검출봉의 설치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음료용기의 제어블럭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의 구성도,
도9는 종래의 가열식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제1검출봉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 가열식 음료용기의 제어블럭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제1검출봉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검출봉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검출봉의 설치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검출봉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검출봉의 설치상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음료용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음료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10)와, 용기바디부(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용기캡(21)과, 용기바디부(10)에 설치된 제1검출봉지지구(41), 제2검출봉지지구(42), 제1검출봉(30) 및 제2검출봉(50)과, 제1검출봉(3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22)와, 제2검출봉(50)의 상단에 설치된 온도센서(29)와, 용기바디부(10)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24)과, 용기바디부(10)의 바닥면에 설치된 피시비(25)와, 엔드캡(24) 외표면에 부착된 스위치(26)와, 히터(22)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28)와, 피시비(25) 상에 구현된 스위칭부(44), 검출부(60) 및 제어부(27)를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0)는 관형태의 용기측면부(11)와, 용기측면부(11)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용기측면부(11)에 형성된 용기바닥면부(12)와, 용기측면부(1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어깨부(13)를 갖고 있다.
용기바닥면부(12)는 상하층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측에 배치된 용기바닥면부(12)를 상부용기바닥면부(12a)라고 하고, 하측에 배치된 용기바닥면부(12)를 하부용기바닥면부(12b)라고 한다.
어깨부(13)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 결합방식으로 용기측면부(11)에 결합된다.
용기캡(21)은 상단에 배출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21)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등과 같은 유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어깨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검출봉지지구(41)는 제1검출봉(30)을 고정하기 위한 제1검출봉지지공(41a)과 체결나사(43)가 통과하는 제1검출봉나사통과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검출봉지지공(41a)은 제1검출봉(30)의 외형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검출봉지지구(41)는 동과 같은 도전재질로 제작되고, 제1검출봉나사통과공(41b)을 통과하는 체결나사(43)를 통해 하부용기바닥면부(12b)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검출봉지지구(41)의 고정은 제1검출봉연결도선(32)이 체결나사(43)를 통해 제1검출봉지지구(41)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검출봉지지구(42)는 제2검출봉(50)을 고정하기 위한 제2검출봉지지공(42a)과 체결나사(43)가 통과하는 제2검출봉나사통과공(42b)이 형성되어 있다.
제2검출봉지지공(42a)은 제2검출봉(50)의 외형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검출봉지지구(42)는 동과 같은 도전재질로 제작되고, 제2검출봉나사통과공(42b)을 통과하는 체결나사(43)를 통해 하부용기바닥면부(12b)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검출봉지지구(42)의 고정은 제2검출봉연결도선(52)이 체결나사(43)를 통해 제2검출봉지지구(42)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검출봉(30)은 테프론, 아세탈, 폴리에틸렌(PET), 폴리카보네이트(PC)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외표면에는 SUS304, SUS316, 금, 은 등의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검출봉(30)은 하단이 제1검출봉지지공(41a)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제1검출봉(30)을 설치할 때 상부용기바닥면부(12a)와의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Packing, 33)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검출봉(30)은 제1검출봉연결도선(32)을 통해 커넥터(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62)에서 후술하는 검출저항(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검출봉(50)은 상단에 센서노출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검출봉(50)은 테프론, 아세탈, 폴리에틸렌(PET), 폴리카보네이트(PC)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외표면에는 SUS304, SUS316, 금, 은 등의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검출봉(50)은 하단이 제2검출봉지지공(42a)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제2검출봉(50)을 설치할 때 상부용기바닥면부(12a)와의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Packing, 33)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검출봉(50)은 제2검출봉연결도선(52)을 통해 커넥터(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62)에서 후술하는 검출저항(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22)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세라믹소성체(22a)의 내부에 발열코일(22b)을 내장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히터(22)는 제1검출봉(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검출봉(30)의 하측개구는 실리콘재질의 방수캡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온도센서(29)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센서하우징과, 센서하우징에 내장된 센싱소자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온도센서(29)는 센싱소자가 센서노출공(50a)을 통해 용기바디부(1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제2검출봉(50)에 설치된다.
그리고 온도센서(29)는 피시비(25)를 통해 제어부(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엔드캡(24)은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캡단자(24a)가 형성되어 있다.
캡단자(24a)는 엔드캡(24)을 용기바디부(10)에 결합할 때 피시비(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엔드캡(24)은 내표면에 형성된 결합리브(24b)와 용기측면부(11)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1a)사이의 요철 결합을 통해 용기바디부(10)에 결합된다.
피시비(25)는 용기바닥면부(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피시비(25)에는 전원부(28), 제어부(27) 및 스위칭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26)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온오프스위치(26a), 온도조절스위치(26b) 등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원부(28)는 히터(22), 제어부(27) 및 검출부(60)에 필요한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전원부(28)는 상용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의 출력전압을 다른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스위칭부(44)는 전원부(28)와 히터(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27)로부터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온상태로 도통하는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스위칭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44)는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28)와 히터(2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검출부(60)는 전원부(28)의 출력단에 연결된 검출저항(61)과, 검출저항(61), 제1검출봉(30) 및 제2검출봉(50)이 각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62)를 갖고 있다.
검출저항(61)의 저항값은 용기바디부(10)에 음료량(분유 등)이 최대로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분유 등)에 흐르는 전류가 안전전류(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전류)보다 크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안전전류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검출저항(61)이 연결되는 전원부(28)의 출력단은 3.3 볼트 정도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검출봉(30)은 제1검출봉연결도선(32)을 통해 커넥터(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62)를 통해 검출저항(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검출봉(50)은 제2검출봉연결도선(52)을 통해 커넥터(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62)에서 접지된다.
그리고 검출저항(61)과 제1검출봉(30)의 연결구간이 제어부(27)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검출부(60)에 따르면 전원부(28)의 출력전압은 검출저항(61)과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 사이의 저항에 나누어 걸리게 된다.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 사이의 저항은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분유 등)이 많으면 작아지고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분유 등)이 적으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분유 등) 즉,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 사이의 저항에 따라 각각 다른 전압이 검출부(60)로부터 제어부(27)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검출부(60)는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에 따라 달라지는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 사이의 저항 즉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27)는 입력단에 온도센서(29)와 검출부(60)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스위칭부(44)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26a)가 온 상태로 조작되고 온도조절스위치(26b)에 의해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가열온도가 선택된다.
다음에 제어부(27)는 검출부(6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이 가열이 허용된 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이 가열이 허용된 량 이상인 경우 히터(22)가 전원부(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부(44)를 제어한다.
히터(22)가 전원부(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히터(22)는 가열되고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는 히터(22)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다음에 제어부(27)는 온도센서(29)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선택온도에 도달하면 히터(22)와 전원부(2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부(44)를 제어한다.
히터(22)와 전원부(28)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히터(22)의 가열동작은 중지된다.
한편 제어부(27)는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이 가열이 허용된 량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히터(22)가 전원부(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즉, 스위칭부(44)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7)는 소정의 경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이 가열이 허용된 량 이하라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검출봉(30)에 히터(22)를 설치하고 제2검출봉(50)에 온도센서(29)를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히터(22)와 온도센서(29)를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이외의 장소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을 용기바디부(10)에 설치하고 제1검출봉(30)과 제2검출봉(50) 사이의 저항을 검출하여 용기바디부(10)에 수용된 음료량이 가열이 허용된 량 이상인 경우에만 히터(22)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바디부(10)에 음료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 히터(22)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검출봉(30)에 히터(22)를 설치하고 제2검출봉(50)에 온도센서(29)를 설치함으로써, 온도센서(29) 검출온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검출봉지지구(41)를 통해 제1검출봉(30)을 용기바닥면부(12)에 고정하고 제1검출봉지지구(41)를 통해 제1검출봉(30)을 검출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검출봉(30)의 가공이 용이해 지고(종래의 걸림리브를 형성할 필요가 없음) 제1검출봉(30)과 검출부(60) 사이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검출봉(30)과 검출부(6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검출봉지지구(42)를 통해 제2검출봉(50)을 용기바닥면부(12)에 고정하고 제2검출봉지지구(42)를 통해 제2검출봉(50)을 검출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2검출봉(50)의 가공이 용이해지고(종래 제1검출봉의 걸림리브와 같은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음) 제2검출봉(50)과 검출부(60) 사이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2검출봉(50)과 검출부(60)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용기바디부 11, 111 : 용기측면부
12, 112 : 용기바닥면부 13, 113 : 어깨부
22, 122 : 히터 24, 124 : 엔드캡
29, 129 : 온도센서 30 : 제1검출봉
41 : 제1검출봉지지구 42 : 제2검출봉지지구
50 : 제2검출봉 60 : 검출부
130 : 히터봉

Claims (4)

  1.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에 형성된 용기바닥면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히터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온도센서를 갖는 가열식 음료용기에 있어서,
    외표면에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제1검출봉과;
    외표면에 도전재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제2검출봉과;
    상기 히터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와 상기 히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에 수용된 음료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제1검출봉과 상기 제2검출봉 사이의 저항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저항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봉에는 상기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2검출봉에는 센서노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센서노출공을 통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검출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음료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도전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검출봉을 고정하기 위한 제1검출봉지지공이 상기 제1검출봉의 외형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검출봉이 상기 제1검출봉지지공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제1검출봉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음료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전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2검출봉을 고정하기 위한 제2검출봉지지공이 상기 제2검출봉의 외형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검출봉이 상기 제2검출봉지지공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제2검출봉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음료용기.
KR1020110068710A 2011-07-12 2011-07-12 가열식 음료용기 KR10124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10A KR101245194B1 (ko) 2011-07-12 2011-07-12 가열식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10A KR101245194B1 (ko) 2011-07-12 2011-07-12 가열식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158A true KR20130008158A (ko) 2013-01-22
KR101245194B1 KR101245194B1 (ko) 2013-03-19

Family

ID=4783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710A KR101245194B1 (ko) 2011-07-12 2011-07-12 가열식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401A1 (ko) * 2018-11-01 2020-05-07 임찬연 가열포트 겸용 휴대용 텀블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3036U (ko) * 1987-12-10 1989-06-19
KR100504417B1 (ko) 1996-06-11 2005-11-22 카스파르 테글브예르크 공급병
SE0401476L (sv) 2004-06-08 2005-12-09 Caspar Teglbjaerg Uppvärmningsanordning
KR200444528Y1 (ko) * 2007-11-06 2009-05-18 김인석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401A1 (ko) * 2018-11-01 2020-05-07 임찬연 가열포트 겸용 휴대용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194B1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5692B2 (en) Electrical water heater
US6499961B1 (en) Solid state liquid level sensor and pump controller
US6135427A (en) Humidifier
CN106470881B (zh) 清洗液的加热装置
EP1475107A1 (en) Babycare Heating Apparatus
KR101245194B1 (ko) 가열식 음료용기
EP3659474B1 (en) Electric pot having improved relay installation position
US10578338B2 (en) Cordless liquid heating device
KR100788121B1 (ko) 휴대용 젖병 보온기
US20210007188A1 (en) Portable induction heater
US11527906B2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150130194A (ko) 무선충전을 이용한 이동식 살충 가스 발생기 및 그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580055B1 (ko) 온수 히터
KR20120123234A (ko) 젖병
KR101255604B1 (ko) 젖병
KR20120022159A (ko) 젖병
CN107319918B (zh) 具有安全功能的压力式烹饪装置
US11213145B2 (en) Carafe for dispensing hot and cold liquid
GB2422770A (en) Electric boiler
KR20200066014A (ko) 릴레이 설치 위치가 개선된 전기 포트
KR200380832Y1 (ko) 휴대용 젖병 보온기
KR20200073848A (ko) 전력 공급 구조가 개선된 전기 포트
KR200389836Y1 (ko) 전기 온수기
JPH039408B2 (ko)
JP2020120932A (ja) 魔法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