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159A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159A
KR20120022159A KR1020100085383A KR20100085383A KR20120022159A KR 20120022159 A KR20120022159 A KR 20120022159A KR 1020100085383 A KR1020100085383 A KR 1020100085383A KR 20100085383 A KR20100085383 A KR 20100085383A KR 20120022159 A KR20120022159 A KR 2012002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surface portion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덕선
배혜숙
Original Assignee
지덕선
배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덕선, 배혜숙 filed Critical 지덕선
Priority to KR102010008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2159A/ko
Publication of KR2012002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47J36/2433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76Package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ircuit, e.g. resistances, for heat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2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된 꼭지부와,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과,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히터 및 온도센서를 갖는 젖병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면부는 상기 용기측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부를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할 수 있고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용기바닥면부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병{Baby Milk Bottle}
본 발명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생아 또는 유아에게 분유, 물 등의 액상내용물을 먹일 때 사용되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또는 유아에게 분유, 우유, 물 등을 먹이기 위해 분유 등을 저장하는 젖병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젖병은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약한 상태인 신생아나 유아들의 건강을 위하여 위생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그리고 최근 분유 등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분유 등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 등과 같이 전기부품이 설치된 젖병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부품이란 히터 등과 같이 전기를 사용하는 부품이나 온도센서 등과 같이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부품 등 전기를 이용하는 부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5는 종래의 젖병의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종래의 젖병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용기부(110)와, 용기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꼭지부(121)와, 용기부(110)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130)과, 용기부(110)에 설치된 히터(172) 및 온도센서(171)와, 엔드캡(130)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도시되지 않음) 및 배터리(182)와, 엔드캡(130)의 외표면에 부착된 스위치(129)와,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상에 구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용기부(110)는 관형태의 용기측면부(111)와, 용기측면부(111)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용기측면부(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닥면부(112)와, 용기측면부(11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어깨부(114)를 갖고 있다.
용기측면부(111)는 상측 영역에 협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 하측영역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114)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 결합방식으로 용기측면부(111)에 결합된다.
꼭지부(121)는 상단에 배출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꼭지부(121)는 어깨부(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엔드캡(130)은 관형태의 캡측면부(131)와, 캡측면부(131)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캡측면부(131)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132)를 갖고 있다.
캡측면부(131)는 내표면 상측 영역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엔드캡(130)은 캡측면부(131)에 형성된 나사부와 용기측면부(111)에 형성된 나사부를 통해 용기부(110)에 결합된다. 엔드캡(130)이 용기부(110)에 결합될 때 오링(151)이 용기측면부(111)의 하단에 삽입된다.
온도센서(171)는 용기측면부(111)에 설치되어 있고, 온도센서단자(153)를 통해 후술하는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히터(172)는 용기바닥면부(112)에 설치되어 있고, 히터단자(152)를 통해 후술하는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182)는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상에 형성된 스위칭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182) 대신 직류교류변환회로를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에 형성하고 엔드캡(130)에 외부교류전압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를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스위치(129)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온오프스위치(129a), 온도조절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입력단에 스위치(129)와 온도센서(171)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스위칭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젖병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부(110)에는 분유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온오프스위치(129a)가 온 상태로 조작되고 온도조절스위치(129b)에 의해 용기부(1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온도가 선택된다.
다음에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히터(172)가 각각 배터리(1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한다.
히터(172)가 배터리(1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히터(172)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용기부(1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는 가열된다.
다음에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온도센서(171)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용기부(1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선택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히터(172)와 배터리(18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한다.
히터(172)와 배터리(18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히터(172)의 가열동작은 중지된다.
한편 용기부(1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할 수 있다.
먼저 용기부(110)로부터 어깨부(114)와 꼭지부(121)를 분리시킨다.
다음에 엔드캡(130)을 회전조작하여 용기부(110)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된 용기부(110)를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한다.
그런데 종래의 젖병에 따르면, 용기측면부(111)와 용기바닥면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부(110)의 세척이나 살균소독작업이 어렵고 전기부품을 용기바닥면부(112)에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부를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할 수 있고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용기바닥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된 꼭지부와,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과,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히터 및 온도센서를 갖는 젖병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면부는 상기 용기측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전기부품에 용이하게 동작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자신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용기결합수직구간과 상기 용기결합수직구간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결합수직구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용기결합수평구간을 구비한 기역자 형태의 용기결합홈과 자신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캡결합수직구간과 상기 캡결합수직구간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캡결합수직구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캡결합수평구간을 구비한 기역자 형태의 캡결합홈이 각각 한 쌍씩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과, 상기 캡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저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상부단자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저면을 각각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엔드캡이 상기 용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하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측면부의 외표면 하측영역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용기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은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외표면 상측영역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캡고정돌기를 가지고 상기 캡바닥면부가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용기결합돌기를 상기 용기결합수평구간에 진입시키고 상기 캡결합돌기를 상기 캡결합수평구간에 진입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와 상기 온도센서는 각각 상기 상부단자와 상기 하부단자를 통해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기부품을 더욱더 용이하게 용기바닥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는 상면에 요형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안착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의 외표면이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를 통해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표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유의 위치별 온도편차가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엔드캡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원동전동부재와,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의 상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임펠러축과, 상기 임펠러축의 상단에 결합된 교반날개와, 상기 원동전동부재와 협조하여 상기 모터축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축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축의 하단에 결합된 종동전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바닥면부를 용기측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용기부를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할 수 있고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용기바닥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부분절단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에 있어서 엔드캡을 용기부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하부단자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원동전동부재와 종동전동부재의 상세도,
도5는 종래의 젖병의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부분절단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에 있어서 엔드캡을 용기부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하부단자 상세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의 원동전동부재와 종동전동부재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용기측면부(11)와 용기측면부(11)의 하단에 결합된 용기바닥면부(12)를 구비한 용기부(10)와, 용기부(10)의 상단에 결합된 꼭지부(21)와, 용기부(10)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30)과, 엔드캡(30)과 용기부(10)에 결합된 고정링(40)과, 엔드캡(30)과 용기바닥면부(12)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지지판(51)과, 엔드캡(30)과 지지판(51)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모터(25)와, 모터(25)의 모터축(25a)의 상단에 결합된 원동전동부재(26)와, 용기바닥면부(12)에 설치된 임펠러축(73)과, 임펠러축(73)의 상단에 결합된 교반날개(24)와, 임펠러축(73)의 하단에 결합된 종동전동부재(27)와, 용기부(10)에 설치된 상부단자(52), 히터(72) 및 온도센서(71)와, 지지판(51)에 설치된 하부단자(53)와, 지지판(51)과 하부단자(53)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54)과, 엔드캡(30)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28) 및 배터리(82)와, 엔드캡(30)의 외표면에 부착된 스위치(29)와, 피시비(28)상에 구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용기부(10)는 용기측면부(11)와 용기바닥면부(12)에 더하여 용기측면부(11)의 외표면 하측영역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용기고정돌기(13)와, 용기측면부(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어깨부(14)를 갖고 있다.
용기바닥면부(12)는 상면에 요형(凹形)의 안착홈(12b)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용기바닥면부(12a)와, 안착홈(12b)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용기바닥면부(12c)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바닥면부(12a)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상부용기바닥면부(12c)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바닥면부(12)는 하부용기바닥면부(12a)의 외표면이 용기측면부(11)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부용기바닥면부(12a)를 통해 용기측면부(11)의 내표면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용기바닥면부(12)는 용기측면부(11)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게 된다.
한 쌍의 용기고정돌기(13)는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14)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꼭지결합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꼭지부(21)는 상단에 배출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꼭지부(21)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등과 같은 유연성 및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꼭지결합공(14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엔드캡(30)은 관형태의 캡측면부(31)와, 캡측면부(31)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캡측면부(31)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32)와, 캡측면부(31)의 외표면 상측영역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캡고정돌기(33)를 갖고 있다.
캡바닥면부(32)에는 중앙에 지지둘레벽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둘레벽부(32a)의 외측에는 4개의 지지기둥(31a)이 분산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기둥(31a)에는 피시비지지턱(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엔드캡(30)은 캡측면부(31)의 상단이 용기측면부(11)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고정링(40)을 통해 용기부(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캡바닥면부(32)는 용기바닥면부(12)에 대향하게 된다.
고정링(40)은 기역자 형태의 용기결합홈(41)과 기역자 형태의 캡결합홈(42)이 각각 한 쌍씩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용기결합홈(41)은 자신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용기결합수직구간(41a)과 용기결합수직구간(41a)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용기결합수직구간(41a)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용기결합수평구간(41b)을 갖고 있다.
캡결합홈(42)은 자신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캡결합수직구간(42a)과 캡결합수직구간(42a)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캡결합수직구간(42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캡결합수평구간(42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링(40)을 사용하여 엔드캡(30)을 용기부(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고정돌기(13)가 용기결합수직구간(41a)에 진입하도록 용기부(10)를 고정링(40)에 결합한다.
다음에 캡고정돌기(33)가 캡결합수직구간(42a)에 진입하도록 엔드캡(30)을 고정링(40)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용기고정돌기(13)가 용기결합수평구간(41b)에 진입하고 캡고정돌기(33)가 캡결합수평구간(42b)에 진입하도록 고정링(40)을 회전시킨다.
지지판(51)에는 지지공(51a)이 하부단자(53)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판(51)은 나사를 사용하여 지지기둥(31a)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51)은 캡바닥면부(32)와 상기 용기바닥면부(12)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25)는 지지둘레벽부(32a)의 내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스위칭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원동전동부재(26)는 기둥형태의 원동축결합부(26a)와, 원동축결합부(26a)와 협조하여 티(T)자 단면을 이루도록 원동축결합부(26a)의 상단에 형성된 원동전판(26b)과, 원동전동판(26b)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전동돌기(26c)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전동부재(26)는 원동축결합부(26a)를 통해 모터축(25a)에 결합되고 원동축결합부(26a)가 지지판(5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원동전동부재(26)는 모터축(25a)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임펠러축(73)은 상호 나란하게 용기바닥면부(12)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74)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임펠러축(73)의 설치는 상단이 상부용기바닥면부(12c)의 상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측 베어링 설치영역은 방수씰링처리된다.
교반날개(24)는 임펠러축(73)의 상단에 결합된다.
종동전동부재(27)는 기둥형태의 종동축결합부(27a)와, 종동축결합부(27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종동둘레벽부(27b)와, 종동둘레벽부(27b)와 종동축결합부(27a)사이에 전동홈(27d)이 형성되도록 종동둘레벽부(27b)의 내표면과 종동축결합부(27a)의 외표면사이를 연결하는 홈형성리브(27c)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전동부재(27)는 종동축결합부(27a)를 통해 임펠러축(73)에 결합되고 지지판(51)이 설치될 때 전동홈(27d)에 전동돌기(26c)가 진입할 수 있도록 용기바닥면부(12)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모터축(25a)이 회전할 때 전동홈(27d)과 전동돌기(26c)는 걸림작용을 하게 되고 종동전동부재(27)는 원동전동부재(26)와 협조하여 모터축(25a)의 회전력을 임펠러축(73)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부단자(52)는 한 쌍의 히터상부단자(52a)와, 한 쌍의 온도센서상부단자(52b)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상부단자(52a)와 온도센서상부단자(52b)는 각각 대략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영역에 지지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단자(52)는 하단이 용기바닥면부(12)의 저면을 넘어 돌출되고 상단이 안착홈(12b)의 바닥면에 노출되도록 하부용기바닥면부(12a)에 설치된다(인서트 사출방식 등으로).
히터(72)는 상부용기바닥면부(12c)에 설치되어 있고, 히터상부단자(5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72)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세라믹소성체(72a)의 내부에 발열코일(72b)을 내장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온도센서(71)는 온도센서상부단자(5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단자(53)는 한 쌍의 히터상부단자(52a)와 한 쌍의 온도센서상부단자(52b)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히터하부단자(53b) 및 한 쌍의 온도센서하부단자(53b)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하부단자(53b)와 온도센서하부단자(53b)는 각각 요형(凹形)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단자고정돌기(53c)가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히터하부단자(53b)와 온도센서하부단자(53b)는 각각 단자고정돌기(53c)가 지지공(51a)을 통과하여 지지판(51)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지지판(51)에 설치된다.
그리고 히터하부단자(53b)는 도선을 통해 후술하는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온도센서하부단자(53b)는 도선을 통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54)은 지지판(51)의 상면과 히터하부단자(53b)와 온도센서하부단자(53b)의 내표면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시비(28)는 중앙영역에 모터축통과공(28a)이 형성되어 있고, 피시비지지턱(31b)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배터리(82)는 피시비(28)상에 형성된 스위칭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82) 대신 직류교류변환회로를 피시비(28)에 형성하고 엔드캡(30)에 외부교류전압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를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스위치(29)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온오프스위치(29a), 온도조절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입력단에 스위치(29)와 온도센서(71)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스위칭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부(10)에는 분유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온오프스위치(29a)가 온 상태로 조작되고 온도조절스위치(29b)에 의해 용기부(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온도가 선택된다.
다음에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히터(72)와 모터(25)가 각각 배터리(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한다.
히터(72)가 배터리(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히터(72)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용기부(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는 가열된다.
그리고 모터(25)가 배터리(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교반날개(24)는 회전하고 용기부(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는 교반되고 이에 따라 분유의 위치별 온도편차가 감소된다.
다음에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온도센서(71)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용기부(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유가 선택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히터(72)와 배터리(82)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모터(25)와 배터리(8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한다.
히터(72)와 배터리(8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히터(72)의 가열동작은 중지된다.
그리고 모터(25)와 배터리(8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교반날개(24)의 교반동작은 중지된다.
한편 용기부(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할 수 있다.
먼저 용기측면부(11)로부터 어깨부(14)와 꼭지부(21)를 분리시킨다.
다음에 고정링(40)을 조작하여 엔드캡(30)을 용기부(10)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에 용기바닥면부(12)를 용기측면부(11)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된 용기측면부(11)와 용기바닥면부(12)를 각각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캡결합홈(42)을 용기결합홈(41)에 정렬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나 캡결합홈(42)을 용기결합홈(4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원동전동부재(26)에 전동돌기(26c)를 형성하고 종동전동부재(27)에 전동홈(27d)을 형성하고 있으나, 원동전동부재에 전동홈을 형성하고 종동전동부재에 전동돌기(26c)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바닥면부(12)를 용기측면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용기부(10)를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살균소독할 수 있고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용기바닥면부(12)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링(40)을 사용하여 엔드캡(30)을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용기부(10)에 결합하고 엔드캡(30)을 용기부(10)에 결합시킬 때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부단자(52)와 하부단자(53)를 추가함으로써, 용기바닥면부(12)에 설치된 전기부품에 용이하게 동작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바닥면부(12)를 하부용기바닥면부(12a)와 상부용기바닥면부(12c)로 분할함으로써, 전기부품을 더욱더 용이하게 용기바닥면부(12)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부(10)의 내부에 교반날개(24)를 설치함으로써, 분유의 위치별 온도편차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 용기부 11, 111 : 용기측면부
12, 112 : 용기바닥면부 13 : 용기고정돌기
14, 114 : 어깨부 21, 121 : 꼭지부
24 : 교반날개 25 : 모터
26 : 원동전동부재 27 : 종동전동부재
30, 130 : 엔드캡 31, 131 : 캡측면부
32, 132 : 캡바닥면부 33 : 캡고정돌기
40 : 고정링 51 : 지지판
52 : 상부단자 53 : 하부단자
71, 171 : 온도센서 72, 172 : 히터
81, 181 : 제어부

Claims (4)

  1. 관형태의 용기측면부와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된 꼭지부와,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결합된 엔드캡과,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히터 및 온도센서를 갖는 젖병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면부는 상기 용기측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2. 제1항에 있어서,
    자신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용기결합수직구간과 상기 용기결합수직구간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결합수직구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용기결합수평구간을 구비한 기역자 형태의 용기결합홈과 자신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캡결합수직구간과 상기 캡결합수직구간에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캡결합수직구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캡결합수평구간을 구비한 기역자 형태의 캡결합홈이 각각 한 쌍씩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과, 상기 캡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저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상부단자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저면을 각각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엔드캡이 상기 용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하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측면부의 외표면 하측영역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용기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은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외표면 상측영역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캡고정돌기를 가지고 상기 캡바닥면부가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용기결합돌기를 상기 용기결합수평구간에 진입시키고 상기 캡결합돌기를 상기 캡결합수평구간에 진입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와 상기 온도센서는 각각 상기 상부단자와 상기 하부단자를 통해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면부는 상면에 요형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안착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의 외표면이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를 통해 상기 용기측면부의 내표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원동전동부재와,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의 상면을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설치된 임펠러축과, 상기 임펠러축의 상단에 결합된 교반날개와, 상기 원동전동부재와 협조하여 상기 모터축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축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축의 하단에 결합된 종동전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1020100085383A 2010-09-01 2010-09-01 젖병 KR20120022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83A KR20120022159A (ko) 2010-09-01 2010-09-01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83A KR20120022159A (ko) 2010-09-01 2010-09-01 젖병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21A Division KR20120123234A (ko) 2012-09-27 2012-09-27 젖병
KR1020120132078A Division KR101255604B1 (ko) 2012-11-21 2012-11-21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159A true KR20120022159A (ko) 2012-03-12

Family

ID=4613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83A KR20120022159A (ko) 2010-09-01 2010-09-01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2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36B1 (ko) * 2013-09-04 2014-12-05 김왕현 휴대용 발열용기
US20190380526A1 (en) * 2017-02-23 2019-12-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ntainer for mixing and drinking a bever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36B1 (ko) * 2013-09-04 2014-12-05 김왕현 휴대용 발열용기
US20190380526A1 (en) * 2017-02-23 2019-12-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ntainer for mixing and drinking a beve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877B2 (ja) 容器内の液体を加熱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111801039B (zh) 食物加工器的抓握
CN201977586U (zh) 一种容器可分离的红外加热奶泡机
CN104545540B (zh) 电动厨房设备
KR101183239B1 (ko)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WO2013033996A1 (zh) 液体食品搅拌发泡机
JP7369704B2 (ja) 食品プロセッサ内での制御された位置決め
AU2010342955A1 (en) Milk foaming kettle
WO2011151258A1 (en)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a liquid food
KR20120022159A (ko) 젖병
KR20120123234A (ko) 젖병
KR101255604B1 (ko) 젖병
CN102755111A (zh) 电磁线圈通电驱动搅拌器的奶泡机
ES2403581A2 (es) Aparato de tratamiento alimentario
GB2364881A (en)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of liquid foods
KR101971570B1 (ko) 무선 액체 가열 장치
CN103191666A (zh) 一种液体搅拌装置
CN103099542A (zh) 奶泡壶
ES2919249T3 (es) Recipiente con sujeción de asa invisible que puede utilizarse de manera universal para su uso con aparatos domésticos
CN204218714U (zh) 手持一体式温奶器
US20230137076A1 (en) Blender
KR101092844B1 (ko) 젖병
US20150320262A1 (en) Frother, mixer
KR20100007290U (ko) 오뚜기우유병살균보온장치
CN202723654U (zh) 具有新型搅拌装置的液体食品发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