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28Y1 -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 Google Patents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528Y1
KR200444528Y1 KR2020080003269U KR20080003269U KR200444528Y1 KR 200444528 Y1 KR200444528 Y1 KR 200444528Y1 KR 2020080003269 U KR2020080003269 U KR 2020080003269U KR 20080003269 U KR20080003269 U KR 20080003269U KR 200444528 Y1 KR200444528 Y1 KR 200444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bottle
temperature
power
spray
water co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23U (ko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김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2020080003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2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2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는 분무통, 분무헤드 그리고 전원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분무통은 내측에 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부의 상측에는 전원입력부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전원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열선과, 내부에 열선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실리콘과, 실리콘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부에 전체적으로 구비되어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실리콘 히터가 구비되며, 실리콘 히터의 하측에는 실리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열부가 구비되고, 실리콘 히터의 상측에는 실리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열전달부가 구비된다. 분무헤드는 분무통에 결합되어 분무통에 수용된 물을 분무하되,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도록 분무통의 내측에 위치되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높이가 전원입력부보다 낮아지더라도 유입부로 물이 흡입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밴딩 형성되는 분무관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원받침대는 분무통이 탈착되도록 형성되되, 분무통이 결합시에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분무기, 히터, 온도조절, 수온표시

Description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spray adjusting water temperature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기는 분무통에 물을 담아두고, 분무건을 이용하여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과 같은 액체가 미세입자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발소나 미용실과 같은 사업장이나 화초 등의 재배시 등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무기는 분무헤드(210)와 분무통(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무통(220)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분무통(220)의 상측에는 뚜껑(218)에 의해 상기 분무헤드(210)가 결합된다.
그리고, 방아쇠(212)가 당겨지면 상기 분무통(220)에 수용된 액체는 유입부(216)를 통해 분무관(215)을 따라 이송되어 배출통로부(213)를 거쳐 노즐(211)을 통해 미세입자의 형태로 분무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분무기는 분무통에 수용된 액체가 소정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이발소나 미용실과 같은 사업장에서, 특히 동절기에, 인체에 사용할 경우 분무되는 액체의 온도와 인체의 온도차가 커서 불편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액체를 분무통에 수용시킨 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가열된 액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부의 상측에는 전원입력부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열선과, 내부에 상기 열선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실리콘과, 상기 실리콘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에 전체적으로 구비되어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실리콘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실리콘 히터의 하측에는 상기 실리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리콘 히터의 상측에는 상기 실리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열전달부가 구비되는 분무통; 상기 분무통에 결합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을 분무하되,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분무통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높이가 상기 전원입력부보다 낮아지더라도 유입부로 물이 흡입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밴딩 형성되는 분무관이 구비되는 분무헤드; 그리고 상기 분무통이 탈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무통이 결합시에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받침대는 상기 분무통이 선택적으로 안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코드;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되, 일측은 상기 전원코드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입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무통에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엘이디(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엘이디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응하여 붉은색으로 표시됨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무통에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무통에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실리콘 히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분무통; 상기 분무통에 결합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을 분무하는 분무헤드; 상기 분무통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되, 상기 분무통이 안착시에 상기 분무통에 열을 전달하는 전원받침대; 상기 전원받침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열선과, 내부에 상기 열선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실리콘과, 상기 실리콘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받침대의 상부 바로 하측에 전체적으로 구비되는 실리콘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컨트롤 장치; 그리고 상기 컨트롤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응하여 점점 붉은색으로 표시되는 엘이디(LED)가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와,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온도설정부에서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실리콘 히터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분무통의 적어도 일부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무통의 내측에 히터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가열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분무통에 온도설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되는 물의 온도를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환경에 적합한 온도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셋째,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에 따라 대응하여 색이 변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육안으로도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짐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정 분무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는 분무통(20), 분무헤드(10) 그리고 전원받침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상기 분무통(20)에는 상기 분무헤드(10)가 결합되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을 분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무통(20)의 일측에는 전원입력부(30)와 히터부(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무통(20)은 상기 전원받침대(80)에 탈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무통(20)이 상기 전원받침대(80)에 결합되면 상기 전원입력부(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히터부(40)에 의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무통(20)에는 온도설정부(50)와 온도조절부(60)가 구비되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설정되고 유지되도록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무통(20)에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표시부(7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육안으로도 짐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히,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되는 분무통(20)의 상측에는 분무헤드(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분무헤드(10)는 상기 분무헤드(10)에 구비되는 뚜껑(18)이 상기 분무통(20)의 상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분무통(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분무헤드(10)에 구비되는 분무관(15)은 상기 분무통(20)의 내측에 위치되게 되며, 상기 분무관(15)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6)는 상 기 분무통(20)에 수용되는 액체에 잠기게 된다.
또한, 상기 분무관(15)의 상단부는 배출통로부(13)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통로부(13)의 단부에는 노즐(11)이 구비된다.
그리고, 방아쇠(12)가 당겨지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은 상기 유입부(16)로 유입되어 상기 분무관(15)을 따라 상향이동하여 상기 배출통로부(13)를 통해 이동된 후, 상기 노즐(11)을 통해 분무 된다.
한편, 상기 분무통(20)은 전원받침대(80)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전원받침대(80)는 받침대(81), 전원코드(83) 그리고 전원공급부(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받침대(81)는 몸체를 이루되, 상기 받침대(81)의 상부는 상기 분무통(20)이 선택적으로 안치되도록 상기 분무통(20)의 바닥부(25)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81)에는 전원코드(83)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원코드(83)의 일단부에는 가정용 플러그(89)가 구비되어 가정용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코드(83)의 타단부는 상기 받침대(81)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85)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85)는 상기 받침대(8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정용 플러그(89)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상기 전원코 드(83)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85)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무통(2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8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입력되도록 전원입력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입력부(30)는 상기 분무통(20)이 상기 받침대(81)에 안치시에 상기 전원공급부(8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85)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입력부(30)와 상기 전원공급부(85)는 상기 분무통(20)이 상기 받침대(81)에 밀착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 어떠한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원입력부(30)는 상기 바닥부(25)의 상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바닥부(25)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분무통(20)은 상기 받침대(81)에 탈착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분무통(20)의 내측에는 상기 전원입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히터부(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40)는 상기 전원입력부(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여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히터부(40)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발열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히터부(40)는 상기 분무통(20)의 바닥부(25)에 전체적으로 광범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부(40)는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는 통상의 전기히터 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열선과, 내부에 상기 열선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실리콘과, 상기 실리콘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히터부(40)의 상측에는 상기 히터부(40)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열전달부(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히터부(40)가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부(27)는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재질 등과 같이 어느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가열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히터부(40)는 수용된 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히터부(40)는 수용된 물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 어떠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 처리 등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5)는 상기 히터부(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바닥부(25)를 통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분무통(20)의 내측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단열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는 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면 만족하며, 어느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바닥부(25)는 상기 분무통(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별도로 제작된 단열부가 상기 바닥부(25)에 더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분무통(20)에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이 소정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부(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도설정부(50)는 상기 전원입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작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온도설정부(50)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이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 중 어느 하나의 범위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온은 20~35℃의 온도범위이고, 상기 중온은 36~55℃의 온도범위이고, 상기 고온은 56~70℃의 온도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이 분사될 대상 또는 장소의 온도 등에 따라 적절한 수온이 조절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설정부(50)가 고온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전원은 상기 히터부(40)로 직접 전달됨이 바람직하나, 중온 및 저온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온 및 저온의 설정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되는 저항부를 통과하여 상기 히터부(40)에 전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저항부는 상기 중온 시에는 2~4W, 400~600Ω, 상기 저온 시에는 2~4W, 900~1100Ω의 성능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통(20)에는 상기 전원입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이 표시되는 표시부(70)가 더 구 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시부(70)에서 표시되는 색이 어느 한 계통의 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사용자가 수온의 높고 낮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붉은 색 계통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점점 붉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70)는 색을 표시하기 위한 통상의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LED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온도설정부(50)에서 설정된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의 각각의 온도범위에 따라 그에 대응되도록 3가지의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가지의 색은 저온에서 고온으로 갈수록 더욱 붉은 색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온도설정부(50)에 의해 설정되는 온도범위보다 더욱 작은 온도범위(예컨데, 5℃) 단위로 변화할 때마다 그에 대응하여 점점 붉은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어느 특정한 온도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의 색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붉은 지를 통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얼마나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육안으 로도 짐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무통(20)에는 상기 전원입력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50)에 의해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온도조절부(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온도조절부(60)는 제어부(62)와 온도센서(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부(60)는 상기 온도설정부(50), 상기 표시부(70) 그리고 상기 히터부(40)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62)는 상기 온도설정부(5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해 전달받은 설정온도와, 상기 온도센서(65)를 통해 측정된 물의 온도를 비교하여 수용된 물이 설정된 온도범위로 수온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부(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부(40)의 작동 제어는 상기 히터부(40)에 구비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ON/OFF하여 상기 전원입력부(30)로부터 상기 히터부(40)로의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온도조절부(60)는 상기 전원입력부(30)와도 신호전달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62)는 상기 전원입력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입력부(30)로부터 상기 히터부(40)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60)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7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조절부(60)는 상기 전원입력부(30)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65)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덜 구애받으면서 온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온도센서(65)는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통(20)에는 상기 히터부(40)로 유입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전원차단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히터부(40)로 전원이 오랜 시간 동안 인가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높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히터부(40)의 파손이나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는 바이메탈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한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분무통(20)은 하부통(21)과 상부통(23)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부통(21)의 내측에 상기 히터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설정부(50), 온도조절부(60) 그리고 표시부(70)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40), 온도설정부(50), 온도조절부(60) 그리고 표시부(70)의 설치가 이루어진 후, 상기 하부통(21)은 상부통(23)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통(21)과 상부통(23)의 결합은 나사결합이나 접착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분무통(20)은 상기 히터부(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열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열성의 재질은 어느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합성수지 재질 및 금속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재질은 상기 분무통(120)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히터부(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온도 조절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분무통(20)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분무통(20)의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가 상기 분무통(20)을 잡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상기 분무통(20)을 감싸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입부(16)가 상기 전원입력부(30)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분무통(2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흡입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분무관(15a)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전원받침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는 분무통(120), 분무헤드(10), 전원받침대(180) 그리고 컨트롤 장치(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받침대(180)는 받침대(181), 전원코드(183) 그리고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 장치(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받침대(181)는 몸체를 이루며, 상기 받침대(181)의 상부(187)는 상기 분무통(120)이 선택적으로 안치되도록 상기 분무통(120)의 바닥부(125)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81)에는 전원코드(183)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원코드(183)의 일단부에는 가정용 플러그(89)가 구비되어 가정용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코드(183)의 타단부는 상기 받침대(181)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정용 플러그(89)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상기 전원코드(183)를 동해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받침대(180)의 내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히터부(1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히터부(140)는 상기 전원받침대(180)의 상부(187) 바로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140)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여 상기 전원받침대(180)의 상부(187)를 가열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187)에 접하는 상기 분무통(120)에 수용된 물은 가열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히터부(140)는 상기 분무통(120)에 수용된 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발열되는 부분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히터부(140)는 상기 받침대(181) 상부(187)에 전체적으로 광범위하고 균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81)의 상부(187)는 상기 히터부(140)에서 발생시키는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부는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 등과 같이 어느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187)가 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히터부(14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상기 상부(187)에 접하게 되는 상기 분무통(120)이 고온의 열에 의해 녹는 등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히터부(140)의 하측에는 상기 히터부(1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상부(187)로 보다 집중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히터부(140)의 하측으로 손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단열부(18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186)는 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면 만족하며, 어느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분무통(120)은 상기 히터부(14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분무통(12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무통(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대(181)의 상부(187)와 접하여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분무통(120)의 바닥부(125)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히터부(1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분무통(120)으로 보다 잘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분무통(120)에 수용된 물의 온도 조절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분무통(120)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분무통(20)의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가 상기 분무통(20)을 잡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상기 분무통(20)을 감싸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 장치(190)는 상기 받침대(18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트롤 장치(190)는 온도설정부(150)와 온도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분무통(120)에 수용되는 물의 온도를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환경에 적합한 온도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장치(190)에는 상기 분무통(120)에 수용된 물의 온도에 따라 대응하여 색인 변하는 표시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70)를 통해 상기 분무통(12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짐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정 분무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의 전원받침대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0: 분무헤드 15,215: 분무관
20,120,220: 분무통 25: 바닥부
27,187: 열전달부 30: 전원입력부
40,140: 히터부 50,150: 온도설정부
60: 온도조절부 70,170: 표시부
80,180: 전원받침대 81,181: 받침대
85: 전원공급부 186: 단열부
190: 컨트롤 장치

Claims (11)

  1. 내측에 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부의 상측에는 전원입력부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열선과, 내부에 상기 열선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실리콘과, 상기 실리콘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에 전체적으로 구비되어 수용된 물을 가열시키는 실리콘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실리콘 히터의 하측에는 상기 실리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리콘 히터의 상측에는 상기 실리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도록 열전달부가 구비되는 분무통;
    상기 분무통에 결합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을 분무하되,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분무통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높이가 상기 전원입력부보다 낮아지더라도 유입부로 물이 흡입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밴딩 형성되는 분무관이 구비되는 분무헤드; 그리고
    상기 분무통이 탈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무통이 결합시에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받침대는
    상기 분무통이 선택적으로 안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코드;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되, 일측은 상기 전원코드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입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통에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엘이디(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엘이디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응하여 붉은색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통에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통에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실리콘 히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7.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분무통;
    상기 분무통에 결합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을 분무하는 분무헤드;
    상기 분무통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되, 상기 분무통이 안착시에 상기 분무통에 열을 전달하는 전원받침대;
    상기 전원받침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열선과, 내부에 상기 열선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실리콘과, 상기 실리콘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받침대의 상부 바로 하측에 전체적으로 구비되는 실리콘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컨트롤 장치; 그리고
    상기 컨트롤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응하여 점점 붉은색으로 표시되는 엘이디(LED)가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분무통에 수용된 물이 저온, 중온 그리고 고온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도록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와,
    수용된 상기 물이 상기 온도설정부에서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실리콘 히터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통의 적어도 일부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KR2020080003269U 2007-11-06 2008-03-12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KR200444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69U KR200444528Y1 (ko) 2007-11-06 2008-03-12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898 2007-11-06
KR2020080003269U KR200444528Y1 (ko) 2007-11-06 2008-03-12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23U KR20090004423U (ko) 2009-05-11
KR200444528Y1 true KR200444528Y1 (ko) 2009-05-18

Family

ID=4129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269U KR200444528Y1 (ko) 2007-11-06 2008-03-12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246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이서 미세 입자 농도를 저감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94B1 (ko) * 2011-07-12 2013-03-19 지승일 가열식 음료용기
KR101289054B1 (ko) * 2012-02-07 2013-07-22 김명선 가열기를 구비한 항온 분무기
KR102161360B1 (ko) * 2018-12-11 2020-09-29 이복희 온도조절이 가능한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246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이서 미세 입자 농도를 저감하기 위한 장치
KR102300116B1 (ko) * 2019-10-16 2021-09-08 주식회사 이서 미세 입자 농도를 저감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23U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1969A (en) Omnidirectional portable appliance for steam cleaning hard or flexible surfaces
KR200444528Y1 (ko) 자동 온도조절 분무기
CN209187158U (zh) 热皮肤处理设备
US20090038685A1 (en) Fluid delivery device
US9986867B2 (en) Nasal rinse system
KR101171689B1 (ko) 전자동 스팀기
US2588314A (en) Electric heater
CN104887059A (zh) 微型电饭煲的感温元件安装结构
CN205903169U (zh) 一种具有蒸汽通道的水壶
US5367799A (en) Iron with fluid distributing fins and thermostat arrangement
KR200468694Y1 (ko) 변기시트
US20060147875A1 (en) Electric wax chisel
CN208124604U (zh) 一种多功能恒温电热水器
US20170055798A1 (en) Wood floor mop assembly
US20210156076A1 (en) Fabric steamer
KR200322769Y1 (ko)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CN210960810U (zh) 一种冷热喷雾补水仪
CN209884949U (zh) 一种中草药冷热喷雾仪
US20050155497A1 (en) Forced hot air ice cream scoop
CN100348163C (zh) 足浴器
CN103829800B (zh) 智能咖啡壶
KR101477975B1 (ko) 향기 손난로
KR200280718Y1 (ko) 머그컵
CN215383286U (zh) 一种车载家用多功能发热盘
CN210975291U (zh) 一种新型熨烫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