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959A -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959A
KR20130007959A KR1020120022063A KR20120022063A KR20130007959A KR 20130007959 A KR20130007959 A KR 20130007959A KR 1020120022063 A KR1020120022063 A KR 1020120022063A KR 20120022063 A KR20120022063 A KR 20120022063A KR 20130007959 A KR20130007959 A KR 20130007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change
transmitting
contro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김성경
장성철
김원익
윤미영
이현
윤철식
임광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412,59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224472A1/en
Publication of KR2013000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방법은 단말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본 발명은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난이나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중요한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사회 기반 시설에는 무선 전화, 유선 전화 및 인터넷 네트워크 등 다양한 통신 시설이 중요한 기반 시설로 꼽히는 바, 이러한 통신 시설이 파괴되거나 손상되면 재난이나 재해 발생 상황에 사회 혼잡도가 높아지고 사회 복구력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통신 시설을 빨리 복구하거나 대체할 수단 등의 고신뢰성(high reliability) 지원이 중요하다. 고신뢰성 지원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HR-Network)은 다음의 요구 사항을 만족해야 한다.
먼저 기존 시스템, 즉, WirelessMAN-OFDMA 또는 WirelessMAN-Advanced Interface 등의 시스템과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이 만족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기지국(HR-base station, HR-BS), 단말(HR-mobile station, HR-MS) 및 중계국(HR-relay station, HR-RS) 등이 각각 자신의 역할 이외 다른 주체(station)의 역할을 담당하는 다중 모드 운용(multimode operation)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기지국, 중계국 또는 무선 링크가 불능인 경우, 즉 단일 고장점(single point of failure, SPOF)이 발생한 경우에도 통신이 지속되어야 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망 내에서 멀티캐스트 전송, 즉 향상된 멀티캐스트 통신(enhanced multicast communication)이 가능해야 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로 설정 및 포워딩을 관리하는 경로 관리(path management)가 가능해야 한다.
특히 다중 모드 운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이 백홀링크의 상황에 따라서 중계국 역할을 하거나, 기지국이나 중계국 부재 시 단말이 기지국이나 중계국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다중 모드 운용에 대한 요구사항만 존재하고, 다중 모드 운용 중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없어 이에 대한 마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 또는 중계국의 역할을 할 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마련하고 전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방법은 단말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손상 또는 복구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불가능하여 상기 단말이 중계 링크를 유지하는 중, 물리 계층(PHY) 및 맥(MAC)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다운(power do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감소(power redu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모드의 설정, 해지 또는 변경을 상기 하부 장치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해당 상황, 상기 해당 상황의 시작 시점 및 상기 해당 상황의 종료 시점 및 상기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장치가 다른 장치로 핸드오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장치가 서비스 재개 시기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하부 장치에게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상기 다중 모드 운영이 종료되면, 다른 단말이 접속하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손상 또는 복구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불가능하여 상기 단말이 중계 링크를 유지하는 중, 물리 계층(PHY) 및 맥(MAC)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다운(power down), 파워 감소(power reduction) 및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모드의 설정, 해지 또는 변경을 상기 하부 장치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중계국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국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손상 또는 복구되는 경우, 백홀 링크가 불가능하여 상기 단말이 중계 링크를 유지하는 중, 물리 계층(PHY)및 맥(MA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 및 상기 다중 모드의 설정, 해지 또는 변경을 상기 하부 장치에게 알려주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다운(power down), 파워 감소(power reduction) 및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 또는 중계국의 역할을 할 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으며, 전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통신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SS, PSS, AT, UE, AMS, HR-M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나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ABS, HR-BS, RS, A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10, 120)을 관리하는 서버(400), 기지국(110)과 송수신하는 단말(210), 중계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중계국(310)을 통하여 기지국(110)과 통신하는 단말(220)을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110, 120) 사이는 백홀 링크(backhaul link)로 연결되어 있다.
만일 기지국(110)의 백홀 링크가 와해되어 임시로 기지국(120)과 중계 링크를 설정하고 중계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110)과 중계 링크가 설정된 하부 중계국(310), 기지국(110)과 송수신하는 하부 단말(210) 및 중계국(310)에 연결된 하부 단말(220)에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때 백홀 링크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 단말은 기지국 또는 중계국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을 다중 모드 단말이라고 한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단말의 송신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말(100)에게 변경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510). 여기서 변경 이벤트는, 백홀 링크의 불능(두절, 와해) 또는 백홀 링크가 복구된 경우, 다중 모드 운용 상에서 물리 계층(PHY) 또는 맥(MAC) 계층의 설정 정보의 주기적인 전송이나 변경 등으로 재설정 시, 다중 모드로의 전환이나 다중 모드에서 원래의 모드로의 전환 시 및 파워 다운 또는 감소(power down 또는 reduction) 등이나 파워 온 또는 증가(power on 또는 increasing)를 알려줄 필요가 있을 경우,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등의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100)은 하부 장치, 예를 들어 다른 단말, 기지국 및 중계국 등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520). 이때 제어 메시지는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또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등 기 정의된 다른 방법으로 전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단말 이외의 다른 장치(infrastructure station)도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메시지(MM-ADV)는 표 1 또는 표 2에 나타난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전송이 가능하다. 표 1의 경우에는 IEEE 802.16.1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표 2의 경우에는 IEEE 802.16Rev3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Field Size ( bits ) Value / Description Condition
Action Type 3 Used to indicate the purpose of this message
0b000: Reconfiguration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001: Restart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010: Power down (including FA down)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011: Power reduction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100: Backhaul link down of HR-BS
0b101: Backhaul link up of HR-BS
0b110: FA change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111: Multimode service end of HR-MS
Mandatory
If (Action Type == 0b000) { // reconfiguration
New IDcell 10 New IDcell that the ABS will use after the reconfiguration process. Optional
Frame configuration index 6 New mapping between value of this index and frame configuration is listed in Table 806, Table 807, and Table 808. Optional
Unavailable Start Time (UST) 8 Start of unavailable time in unit of frame Mandatory
Unavailable Time Interval (UTI) 8 Interval of unavailable time in unit of superframe Mandatory
} else if (Action Type == 0b001) { // restart
Unavailable Start Time (UST) 8 Start of unavailable time in unit of frame Mandatory
Unavailable Time Interval (UTI) 8 Interval of unavailable time in unit of superframe Mandatory
} else if (Action Type == 0b010) { // power down
Time of Power Down 8 Expected time when the HR-BS will be powered down in units of frame Mandatory
Expected uptime of BS 8 Expected uptime of BS in units of superframe Optional
} else if (Action Type == 0b011) { // power reduction
Tx Power Reduction 10 dB value of Tx power reduction Mandatory
Expected time of power reduction 8 Expected resource adjustment time in units of frame
} else if (Action Type == 0b100) { // backhaul link down
Time of backhaul link down 8 Expected time when the backhaul link will be down in units of superframe Optional
Expected time of backhaul link available 8 Expected time in unit of LSB of superframe when backhaul link will be available of HR-BS either itself or via neighbor HR-BS Optional
} else if (Action Type == 0b101) { // backhaul link up
Expected time of backhaul link up 8 Expected time in unit of LSB of superframe when the HR-BS restarts service without any help of neighbor BS using relay link but the HR-BS' backhaul link Optional
}else if (Action Type == 0b110){
// FA change
FA index 8 FA index Mandatory
Expected downtime of current FA 8 Expected current FA downtime in units of frame
Expected uptime of new FA 8 Expected uptime of new FA in units of superframe Optional
} else if (Action Type == 0b111) { // multimode service end
Expected time of backhaul link up 8 Expected time in unit of LSB of superframe when the HR-MS release the multimode service and to allow subordinate MS to perform handover to other infrastructure Optional
}
Syntax Size (bit) Notes
MM-ADV message format () { - -
Management Message Type = xx 8 -
Action Type 3 Used to indicate the purpose of this message
0b000: Reconfiguration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001: Restart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010: Power down (including FA down)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011: Power reduction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100: Backhaul link down of HR-BS
0b101: Backhaul link up of HR-BS
0b110: FA change of HR-BS/RS including multimode BS/RS
0b111: Multimode service end of HR-MS
reserved 5
TLV encodings for MM-ADV variable TLV-specific
}
제어 메시지(MM-ADV)는 특히, 해당 상황과 해당 상황이 시작되는 시점, 종료 시점 및 상황 지속 기간 등을 포함하여 하부 장치에 전송한다.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는 PHY/MAC설정 정보 변경 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메시지는 송신 전력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변경된 송신 전력을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복수의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가 불능 시 해당 주파수 정보 및 불능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정보 전송의 이유, 즉 동작 형태(action type)를 하나의 전송 이유만 나타내고 있지만 해당 동작 형태를 비트맵(bitmap)의 형태로 표현하는 등의 방법으로 복수의 전송 이유를 복합적으로 표현하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메시지(MM-ADV)를 수신한 하부 장치(500)는 서비스의 불능 및 변경 기간 등을 참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중계국 또는 다중 모드 단말 등을 포함하는 장치를 다른 장치로 핸드오버하여 지속적인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해당 장치가 서비스를 재개하는 시기까지 대기하고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다(S530).
특히, 단말이 기지국이나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하부 장치를 다른 기지국이나 중계국으로 핸드오버를 하도록 요청한다. 단말의 기능을 기지국 및 중계국 역할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지국 및 중계국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에게 하부 장치의 정보를 전송하여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기지국이나 중계국 역할 종료 시 원래의 단말의 기능만 수행하므로 다른 셀이나 초기 접속을 하고자 하는 단말이 접속을 하지 못하도록 설정, 예를 들어 IEEE 802.16m의 SFH 내의 셀 바 비트(Cell Bar bit) 설정 등을 하고 제어 메시지(MM-ADV)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국이나 중계국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이나 백홀 두절로 중계 링크를 설정한 기지국 등의 경우에는 상부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시스템 설정 정보를 중계 링크를 통해 전송 받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 메시지(MM-ADV)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 설정 정보는 중계 링크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 중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중계 링크가 설정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기지국, 중계국 또는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다중 모드 단말의 경우에는 현재 자신이 다중 모드로 동작 중이라는 상태를 하부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메시지(MM-ADV)에 포함이 될 수도 있으나, 외부로부터 진입을 시도하는 단말의 접속을 못하거나 제한을 둘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IEEE 802.16m의 SFH 내의 셀 바 비트(Cell Bar bit) 설정하거나 다른 필드를 새롭게 정의, 예를 들어 SFH나 SCD 등에 새롭게 포함하여 넣을 수도 있으며, IEEE 802.16-2009의 DCD내에 포함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프리앰블 인덱스(preamble index)을 네트워크의 백홀 링크가 없거나 중계국이나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단말에게 할당하여 해당 사실을 하부단말이나 진입예정인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미리부터 진입을 제한하기 위해서 이웃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여 알려주는 방법(NBR-ADV)도 가능하다. 또한, 진입제한을 위해서 이웃 기지국을 스캔닝할 때 일반적인 기지국 및 중계국과 다른 조건을 하부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표 2에 나타나는 TLV는 표 3과 같은 형태로 존재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ame Type Length Value
Time to start the action 1 1 Start time of the action in unit of 8-bit LSBs of frame number.
It indicates the unavailable time due to reconfiguration (0b000), restart (0b001), power down (0b010), backhaul link down (0b100), or FA change (0b110)
It also indicates the time for power reduction(0b011) or expected backhaul link up (0b111).
Time during action 2 1 Time for the action in unit of 8-bit LSBs of frame number.
If acting type is set to 0b000, 0b001, or 0b100, it is the unavailable time interval.
After this time during action, BS will reconfigure (0b000), restart service (0b001), or backhaul link available either by itself or via neighbor HR - BS (0 b100 ).
DCD setting 3 variable The DCD_settings is a compound TLV value that encapsulates TLVs from the BS' DCD message that may be transmitted in the advertised BS downlink channel after reconfiguration
UCD setting 4 variable The UCD_settings is a compound TLV value that encapsulates TLVs from the BS' UCD message that may be transmitted in the advertised BS downlink channel after reconfiguration
동작 형태가 0b000, 0b001, 0b010, 0b011인 경우에는 "동작을 시작할 시간(time to start the action)"이 포함되고, 추가로 0b101, 0b110, 0b110인 경우에도 "동작을 시작할 시간(time to start the action)"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time to start the action은 해당 상황이 발생되는 시점으로 프레임 숫자(frame number)를 지칭하거나 프레임 숫자의 LSB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action type이 0b000, 0b001, 0b011인 경우에는 동작 중인 시간(time during action)이 포함되며, 추가로 0b010, 0b100, 0b110인 경우에도 동작 중인 시간(time during action)이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time during action은 해당 상황이 발생이 일어나는 시간을 가리킨다.
새로운 PHY/MAC 파라미터 변경값은 동작 형태가 0b000인 경우에 포함되며, 이전 값이 새로운 값으로 갱신된다.
동작 형태가 0b011인 경우에는 감소되는 전송 전력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형태가 0b110인 경우에는 변경되는 주파수 할당 인덱스(FA index)가 포함되어 주파수 할당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손상 또는 복구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송신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불가능하여 상기 단말이 중계 링크를 유지하는 중, 물리 계층(PHY) 및 맥(MA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송신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다운(power down)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감소(power reduction)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6. 제3항에서,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모드의 설정, 해지 또는 변경을 상기 하부 장치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수행되는 송신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해당 상황, 상기 해당 상황의 시작 시점 및 상기 해당 상황의 종료 시점 및 상기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하부 장치가 다른 장치로 핸드오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하부 장치가 서비스 재개 시기까지 대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1. 제1항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하부 장치에게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2. 제1항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다중 모드 운영이 종료되면, 다른 단말이 접속하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3. 제1항에서,
    백홀 링크가 두절된 상태이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송신 방법.
  14. 기지국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손상 또는 복구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송신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불가능하여 상기 단말이 중계 링크를 유지하는 중, 물리 계층(PHY) 및 맥(MA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송신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다운(power down), 파워 감소(power reduction) 및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8. 제14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모드의 설정, 해지 또는 변경을 상기 하부 장치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수행되는 송신 방법.
  19. 중계국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국이 다중 모드로 운영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중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하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백홀 링크가 손상 또는 복구되는 경우, 백홀 링크가 불가능하여 상기 단말이 중계 링크를 유지하는 중, 물리 계층(PHY) 및 맥(MA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 및 상기 다중 모드의 설정, 해지 또는 변경을 상기 하부 장치에게 알려주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파워 다운(power down), 파워 감소(power reduction) 및 주파수 할당 변화(FA chan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KR1020120022063A 2011-03-04 2012-03-02 송신 방법 KR20130007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12,596 US20120224472A1 (en) 2011-03-04 2012-03-05 Method for relaying of base station,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8537 2011-07-11
KR1020110068537 2011-07-11
KR1020110068711 2011-07-12
KR20110068711 2011-07-12
KR20110112477 2011-10-31
KR1020110112477 2011-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59A true KR20130007959A (ko) 2013-01-21

Family

ID=478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063A KR20130007959A (ko) 2011-03-04 2012-03-02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9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6B1 (ko) * 2014-04-15 2014-09-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GB2549988A (en) * 2016-05-06 2017-11-08 Deltenna Ltd Re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6B1 (ko) * 2014-04-15 2014-09-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US10701617B2 (en) 2014-04-15 2020-06-3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Mobile relay,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same, and terminal operated by mobile relay
GB2549988A (en) * 2016-05-06 2017-11-08 Deltenna Ltd Re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9131B2 (en) Configuration of a ran based notification area for a user equipment in RRC inactive state
JP5296216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20224472A1 (en) Method for relaying of base station,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JP5628933B2 (ja) 自己構成無線通信、または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再構成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165644B1 (ko)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EP26831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handover and transferring mobility management entity poo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P2506633A1 (en) Switching method and system in relay network
GB24886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Neighbor Cell Information
US20120264430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of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terminal
US2013007066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AU2010291777A1 (en) Processing method after configuration update failure and network element device thereof
US10021637B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2059954A1 (ja) セル特定方法、基地局、移動局
US20170223751A1 (en) Interface establishing method and apparatus
EP2789207B1 (en) Communication system
EP25107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control information of a target base station during handover oper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5936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20113673A (ko) 기지국의 통신 방법 및 단말의 통신 방법
KR20130007959A (ko) 송신 방법
CN111869270B (zh) 管理非协调无线电接入网络
CN105722127A (zh) 一种中继节点管理方法及操作维护中心
EP2747490A1 (en) Session termination in an energy-efficient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11012471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1719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072431B1 (ko) 이동 중계기 및 그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