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386B1 -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386B1
KR101437386B1 KR1020140044709A KR20140044709A KR101437386B1 KR 101437386 B1 KR101437386 B1 KR 101437386B1 KR 1020140044709 A KR1020140044709 A KR 1020140044709A KR 20140044709 A KR20140044709 A KR 20140044709A KR 101437386 B1 KR101437386 B1 KR 101437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ckhaul link
state
transmission mod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386B1/ko
Priority to PCT/KR2015/003784 priority patent/WO2015160186A2/ko
Priority to US15/304,378 priority patent/US107016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는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MOBILE RELAY,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THEREOF AND TERMINAL OPERATIING TO THE MOBILE RELAY}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릴레이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Relay)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도입되었다. 중계기 기술은 단순히 증폭 후 전달(amplify-and-forward)방식에서 디코딩 후 전달(decode-and-forward), 재구성/재조합 후 전달(reconfiguration/reallocation -and forward) 등 지능화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능화된 다수의 릴레이 도입은 기지국 증설 비용과 백홀(backhaul) 통신망의 유지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커버리지 확대와 데이터 처리율 향상을 위해 불가피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 릴레이(Flxed Relay)뿐만 아니라, 위치가 유동적인 모바일 릴레이(Mobile Relay)도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릴레이는 모바일 릴레이에게 백홀링크를 제공하는 도너기지국과 모바일 릴레이간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을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에 문제가 없으나,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은 경우 데이터 통신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릴레이의 좀 더 효율적인 전송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36589호(발명의 명칭: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중계국을 위한 프리앰블 할당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는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단말기와의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전송 모드, 상기 단말기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채널정보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 단말기의 서비스 종류 또는 요구되는 QoS(Quality of Service)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또는 동시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를 전송을 허용하는 단말기에 비트맵(bitmap)으로 미리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입된 모든 단말기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가 부착된 이동 수단의 상기 모바일 릴레이는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단말기와의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전송 모드, 상기 단말기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채널정보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또는 동시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평균 전송 속도가 낮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평균 전송 속도가 높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의 전송을 허용하는 단말기에게 비트맵(bitmap)으로 미리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입된 모든 단말기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릴레이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며, 상기 모바일 릴레이는 다이버시티 기법, 빔포밍(beamforming)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는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 또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전송 모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 또는 동시 접속을 허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접속을 요청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필요로 하는 평균 전송 속도가 낮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평균 전송 속도가 높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를 전송을 허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비트맵(bitmap)으로 미리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입된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별도로 구비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기지국과 가까운 곳에 릴레이가 위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셀의 엣지에 릴레이가 위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 또는 단말기가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일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사용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사용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릴레이(100), 릴레이(100)에 가입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200) 및 기지국(30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Relay, 100)각각의 각각의 역할
즉, 모바일 릴레이(100)는 기지국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는 이동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 경우 모바일 릴레이(100)의 백홀링크(backhaul link)는 도너기지국(300)의 무선자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이동 수단, 예를 들면 자동차 또는 기차에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매크로 기지국과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각각의 각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200)와 모바일 릴레이(100)간의 링크를 액세스 링크(Access Link)라고 한다. 또한 모바일 릴레이(100)와 기지국(300)간의 링크를 백홀링크(Backhaul Link)라고 한다. 각각의 단말기(200)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모바일 릴레이(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백홀링크를 통해 기지국(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너 기지국(Donor eNodeB)일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모바일 릴레이의 위치에 따른 백홀링크의 상태를 설명하다.
도 2는 기지국과 가까운 곳에 모바일 릴레이가 위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기지국(300)과 가까운 곳에 모바일 릴레이(100)가 위치한 경우,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다는 것은 백홀링크의 채널 상태가 좋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릴레이(100)와 기지국(300)에 다중 안테나가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300)으로부터 모바일 릴레이(100)가 가까이 위치한다고 항상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장 좋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백홀링크의 채널 상태가 좋다는 것은 결론적으로 백홀링크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은 셀의 엣지(edge)에 모바일 릴레이가 위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300)과 먼 곳에 모바일 릴레이(100)가 위치한 경우,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가 있다.
모바일 릴레이(100)가 셀(Cell)이 엣지(Edge)에 위치한 경우, 모바일 릴레이(100)와 기지국(300)간의 거리가 멀어서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다는 것은 백홀링크의 채널 상태 및 데이터 전송 상태가 안 좋거나 전송 속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모바일 릴레이(100)의 위치는 변하기 때문에, 모바일 릴레이(100)의 백홀링크의 상태 또한 모바일 릴레이(100)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릴레이(100)는 단말기(200)와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한다. 즉, 일반적으로 모바일 릴레이(100)와 기지국(300)간의 거리가 모바일 릴레이(100)와 단말기(200)간의 거리보다 길다.
비교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모바일 릴레이(100)간의 액세스링크에 기초하여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의 채널정보를 모바일 릴레이(100)로 송신한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수신된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링크 채널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르면, 단말기(200)와 모바일 릴레이(100)간의 거리가 가까워 단말기(200)가 높은 CQI를 송신하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은 경우는 단말기(200)가 기지국(300)과 통신함에 있어서 크게 문제가 없다.
그러나 단말기(200)와 모바일 릴레이(100)간의 거리가 가까워 단말기(200)가 높은 CQI를 송신하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는 모바일 릴레이(100)가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이 결정하기 때문에 백홀링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전송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기지국 통신부(130), 단말 통신부(140), 센싱부(150) 및 제어부(16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모바일 릴레이(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통신부(130)는 백홀링크를 통해 기지국(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30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140)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모바일 릴레이(100)에 가입된 각각의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140)는 모바일 릴레이(100)에 속한 단말기들에게 백홀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링크 정보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140)는 각각의 단말기(200)로부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통신부(140)는 각각의 단말기(200)로부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단말 통신부(140)는 단말기(200)로부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하여 송신된 CQI 등을 포함하는 채널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50)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모바일 릴레이(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모바일 릴레이(100)에 대한 단말기(100)의 가입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모바일 릴레이(100)에 대한 단말기(200)의 가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동시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200)의 개수 또는 단말기 리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가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함으로써, 백홀링크의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액세스링크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한 대응으로 수신된 CQI 등의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은 수신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제어부(160)는 수신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 및 단말기(200)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백홀링크의 전송 모드, 단말기(200)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1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백홀링크의 상태가 변하면, 제어부(160)가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200)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모바일 릴레이(100)에 가입된 모든 단말기(200)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200)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미리 지정된 설정치에 기초하여, 백홀링크의 상태에 따라 모바일 릴레이에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및 단말기 리스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 또는 단말기가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릴레이(10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300)과 통신한다. 제어부(160)가 단말기(200)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300)과 통신할 것을 지시하면, 단말기(200)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3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네트워크는 기지국(300)과의 네트워크 이외에 WiFi 등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가 LTE라면, 제2 네트워크는 기지국(300)의 LTE 또는 WiFi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은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사용 예를 설명하겠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일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동 수단을 버스(110)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모바일 릴레이(100)가 다른 이동 수단에 부착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버스(110)의 각각의 탑승객의 각각의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기지국(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모바일 릴레이(100)가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이동 수단에는 다수의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안테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릴레이(100)가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 다중안테나 기술인 다이버시티 기법, 빔포밍(beamforming),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릴레이(100)가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모바일 릴레이(100)는 이동 수단에 별도로 부착된 통신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사용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동 수단을 기차(120)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모바일 릴레이(100)가 다른 이동 수단에 부착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기차(120)의 각각의 탑승객의 각각의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100)는 기지국(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100)는 하나의 이동 수단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100)가 변하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따라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때문에, 빠르게 위치가 변하는 이동 수단 예를 들어 기차등에 모바일 릴레이(100)가 부착된 경우 효율적으로 데이터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사용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a)가 위에서 설명한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스마트 기기(200a, 200b)등이 위에서 설명한 모바일 릴레이에 가입된 단말기 대신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때 단말기(100a)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100a)에는 이전 또는 이후의 모바일 릴레이(100)에 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200a) 또는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200b)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글래스가 모바일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10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마트 워치(200a) 또는 스마트 글래스(200b) 대신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의 경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스마트 워치(200a) 또는 스마트 글래스(200b)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100a)는 자신에게 가입된 스마트 워치(200a) 또는 스마트 글래스(200b)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100a)는 기지국(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100a)는 기지국(300)간의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크기가 작아서, 통신함에 있어서, 큰 출력을 발생시킬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지국(300)과 통신함에 있어서, 단말기(100a)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 스스로 통신하는 경우보다 큰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 유리하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센싱부(150)는 모바일 릴레이(100) 및 기지국(300)간에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한다(S101).
제어부(160)는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판단한다(S103). 제어부(160)는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백홀링크의 좋고 나쁨을 판단한다.
단말 통신부(140)는 단말기(200)에게 백홀링크 정보를 송신한다(S105). 이때 백홀링크 정보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통신부(140)는 단말기(200)로부터 백홀링크 정보에 대응하여 송신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액세스 링크의 전송 방식 또는 CQI, 전송 포맷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 통신부(140)는 단말기(200)로부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 CQI 및 액세스 링크의 전송 방식과 전송 포맷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은 수신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 제어부(160)는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백홀링크의 전송 모드, 단말기(200)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채널 상태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한다.
단말 통신부(140)는 결정된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11).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부(150)는 모바일 릴레이(100) 및 기지국(300)간에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한다(S201).
제어부(160)는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판단한다(S203). 제어부(160)는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백홀링크의 좋고 나쁨과, 백홀링크의 가능한 전송 모드 및 전송 속도를 판단한다.
단말 통신부(140)는 단말기에게 백홀링크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지 하지 않고, 단말기(200)로부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한다(S20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지 않고 액세스 링크의 상태만을 고려하여 액세스 링크의 전송 방식 또는 전송 포맷,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은 센싱된 백홀링크 상태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S207). 제어부(160)는 액세스 링크의 채널정보, 전송 방식 또는 전송 포맷에 기초하여도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40)는 결정된 단말기(200)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209).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부(150)는 모바일 릴레이(100) 및 기지국(300)간에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한다(S301).
제어부(160)는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판단한다(S303). 제어부(160)는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백홀링크의 좋고 나쁨 및 가능한 전송속도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판단된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또는 단말기 리스트를 결정한다(S305).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좋으면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미리 지정된 설정치 또는 각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백홀링크의 상태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및 단말기 리스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100)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160)는 판단된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리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결정된 수만큼의 단말기(200) 또는 단말기 리스트에 속한 단말기만 동시 접속을 허용한다(S307).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릴레이(100)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160)는 결정된 수만큼의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리스트에 속한 스마트 디바이스만 동시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 통신부(140)는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에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의 전송 가능 여부를 모바일 릴레이(100)에 속한 단말기(200)들에게 비트맵(bitmap) 등의 형태로 미리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 전송을 허용하는 단말기(200)는 제어부(160)가 결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접속이 허용되는 단말기의 수 및 단말기 리스트가 백홀링크의 상태 및 단말의 서비스 및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모바일 릴레이
100a: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110: 버스 120: 기차
130: 기지국 통신부 140: 단말 통신부(140)
150: 센싱부 160: 제어부
200: 단말기 300: 기지국

Claims (25)

  1.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모바일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단말기와의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전송 모드, 상기 단말기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채널정보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하는 모바일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 단말기의 서비스 종류 또는 요구되는 QoS(Quality of Service)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또는 동시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를 결정하는 모바일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모바일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를 전송을 허용하는 단말기에 비트맵(bitmap)으로 미리 알리는 모바일 릴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입된 모든 단말기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하는 모바일 릴레이.
  8. 모바일 릴레이가 부착된 이동 수단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릴레이는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이동 수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단말기와의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전송 모드, 상기 단말기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채널정보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하는 이동 수단.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 또는 동시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를 결정하는 이동 수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이동 수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평균 전송 속도가 낮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평균 전송 속도가 높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이동 수단.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의 전송을 허용하는 단말기에게 비트맵(bitmap)으로 미리 알리는 이동 수단.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입된 모든 단말기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수단.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릴레이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며,
    상기 모바일 릴레이는 다이버시티 기법, 빔포밍(beamforming)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수단.
  17.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과 백홀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통신부;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백홀링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대응한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 또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링크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백홀링크의 상태, 전송 모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전송한 액세스 링크의 전송 모드 및 전송 포맷에 대한 관계식 또는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하는 단말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홀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 또는 동시 접속을 허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에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백홀링크의 상태가 안 좋을 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을 요청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필요로 하는 평균 전송 속도가 낮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평균 전송 속도가 높을수록 동시 접속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단말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신호를 전송을 허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비트맵(bitmap)으로 미리 알리는 단말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홀링크의 상태가 가입된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의 접속 시도를 처리하기 불가능한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일부의 단말기에게 현재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것을 지시하는 단말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단말기.
KR1020140044709A 2014-04-15 2014-04-15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KR10143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09A KR101437386B1 (ko) 2014-04-15 2014-04-15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PCT/KR2015/003784 WO2015160186A2 (ko) 2014-04-15 2015-04-15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US15/304,378 US10701617B2 (en) 2014-04-15 2015-04-15 Mobile relay,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same, and terminal operated by mobile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09A KR101437386B1 (ko) 2014-04-15 2014-04-15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386B1 true KR101437386B1 (ko) 2014-09-05

Family

ID=5175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709A KR101437386B1 (ko) 2014-04-15 2014-04-15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01617B2 (ko)
KR (1) KR101437386B1 (ko)
WO (1) WO20151601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73A1 (ko) * 2022-08-29 2024-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5254B (zh) * 2015-09-0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多点传输资源的方法及装置
WO2018026318A1 (en) * 2016-08-03 2018-02-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node, wireless device, access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JP6563969B2 (ja) * 2017-03-01 2019-08-21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11449293B1 (en) 2019-01-31 2022-09-20 Splunk Inc. Interface for data visualizations on a wearable device
US10963347B1 (en) * 2019-01-31 2021-03-30 Splunk Inc. Data snapshots for configurable screen on a wearable device
US11893296B1 (en) 2019-01-31 2024-02-06 Splunk Inc. Notification interface on a wearable device for data alerts
US11653400B2 (en) * 2020-06-16 2023-05-16 Blu Wireless Technology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for vehicle based no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691A (ko) * 2009-10-02 2011-04-0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이동도 프로시저에 대한 릴레이 백홀 링크 품질 고려
KR20110089442A (ko) * 2008-11-26 2011-08-08 쿄세라 코포레이션 기지국, 기지국에서의 서브 버스트 영역의 배치 방법, 통신 대상 단말 결정 방법 및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의 할당 방법
KR20130007959A (ko) * 2011-07-11 2013-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 방법
KR20130042655A (ko) * 2009-01-23 2013-04-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커버리지 리던던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776B2 (en) * 2000-09-28 2004-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dimensio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36688B2 (ja) * 2005-07-19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中継装置、通信端末装置、信号復号化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4860381B2 (ja) * 2006-07-10 2012-01-25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装置、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457674B2 (en) * 2006-09-29 2013-06-04 Intel Corporation Architecture, protocols and frame formats for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s
KR20120034084A (ko) * 2007-01-10 2012-04-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전화 통신을 위한 컨텐트- 및 링크-의존 코딩 적응 구조
TWI385976B (zh) * 2009-01-19 2013-02-1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允入控制器及其方法與其多躍式無線骨幹網路系統
EP2282575A1 (en) * 2009-08-04 2011-02-09 Panasonic Corporation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11028078A2 (ko) * 2009-09-07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EP2508026B1 (en) * 2009-12-02 2015-10-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anding over relayed connections in mobile environment
US8559957B2 (en) * 2010-01-28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asing a handoff decision based on a blackhaul link
IL206455A (en) * 2010-01-28 2016-11-30 Elta Systems Lt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moving base stations and methods and useful devices in collaboration with the above
KR20120130162A (ko) * 2010-02-25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158297A1 (en) * 2010-06-17 2011-12-22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US20120224472A1 (en) 2011-03-04 2012-09-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laying of base station,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JP2015506652A (ja) * 2012-02-06 2015-03-02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モバイル中継局トランシーバと、システムと、大量輸送のための手段と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016537A1 (en) * 2012-05-04 2014-01-16 Qualcomm Incorporated Associating terminal user equipment with user equipment relays
US9001767B1 (en) * 2013-03-06 2015-04-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election of wireless backhaul links based on uptime factors
US20140376517A1 (en) * 2013-06-25 2014-12-25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activation of relays in cloud radio acc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442A (ko) * 2008-11-26 2011-08-08 쿄세라 코포레이션 기지국, 기지국에서의 서브 버스트 영역의 배치 방법, 통신 대상 단말 결정 방법 및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의 할당 방법
KR20130042655A (ko) * 2009-01-23 2013-04-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커버리지 리던던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36691A (ko) * 2009-10-02 2011-04-0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이동도 프로시저에 대한 릴레이 백홀 링크 품질 고려
KR20130007959A (ko) * 2011-07-11 2013-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73A1 (ko) * 2022-08-29 2024-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186A3 (ko) 2016-12-01
US10701617B2 (en) 2020-06-30
WO2015160186A2 (ko) 2015-10-22
US20170048782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386B1 (ko) 모바일 릴레이,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및 모바일 릴레이로 동작하는 단말기
EP35920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multi-point transceivers
KR102160144B1 (ko) SUDA(Shared User Equipment-side Distributed Antenna, 사용자 단말기 측 공유 분산 안테나) 시스템 제어장치
CN107113044B (zh) 异构毫米波与lte小小区系统中的业务量工程
KR10107596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20003665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다중 연결 사용자 장치
US11115869B2 (en) SDN-controlled bandwidth sharing method for use with terminal small cell, and bandwidth sharing device
CN104185230A (zh) 用于执行无线电通信的通信设备和方法
CN104662817A (zh) 无线网络中基于终端的分组虚拟发送和接收
EP290317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WO2011050840A1 (en) Relayed communications in mobile environment
KR20120139835A (ko) 펨토셀의 액세스 디바이스에서 펨토셀들 중에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4601208A (zh) 自适应双频带mimo wi-fi设备及其操作方法
JP6634982B2 (ja)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10313944B2 (en) Relay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92620A1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RU2564635C2 (ru)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EP4211810A1 (en) Providing a first radio beam and a second radio beam
US10938452B2 (en) Base st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data stream towards a user entity
CN103379518A (zh) 发送被传输预编码指示小区的配置优化方法和处理方法
CN103378937A (zh) 上行闭环发送分集配置信息处理方法及装置、网元及网络控制网元
US20230054804A1 (en) Massive mimo communication technique
US99608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 for a client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3287947A1 (en) Path switch to indirect communication through relay ue device in rrc connection state other than rrc connected
KR20220168375A (ko) 다중 드론 통신간 연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