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881A -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 Google Patents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881A
KR20130007881A KR1020110068502A KR20110068502A KR20130007881A KR 20130007881 A KR20130007881 A KR 20130007881A KR 1020110068502 A KR1020110068502 A KR 1020110068502A KR 20110068502 A KR20110068502 A KR 20110068502A KR 20130007881 A KR20130007881 A KR 20130007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ail
touch screen
artificial
artificial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023B1 (ko
Inventor
오형종
조재승
정남인
Original Assignee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들이 미용을 위해 손톱 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은 손톱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본체와, 본체를 상기 손톱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artificial nail with the touch pen function}
본 발명은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들이 미용을 위해 손톱 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터치스크린 TV 또는 모니터, ATM 기기 등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기기를 동작시킨다.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주로 압력식(Resistvie Overlay)과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에 의해 터치를 감지한다.
이중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통상적으로 투명필름의 아랫면에 ITO로 이루어지는 정전용량 감지패턴이 형성되고, 정전용량 감지패턴은 터치점의 위치 인식을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삼각형이 손가락이 엇물린 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상하 좌우 대칭 형태가 된다. 각각의 삼각형 모양의 패턴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며 정전용량 전극선을 매개로 하여 정전용량센서에 연결된다. 정전용량 전극선은 보호막에 의해 덮여져 보호된다.
투명필름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전용량센서는 정전용량 감지패턴을 통해 입력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XY 터치좌표를 연산한다. 이러한 정전용량방식은 정전용량의 변화가 생겨야만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비 도전성 소재의 물체로는 투명필름을 터치하는 경우 기기를 작동시킬 수 없다.
한편, 대부분의 여성들은 손톱을 길고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한 손톱미용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자연손톱을 길게 기르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길러진 손톱을 관리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이에 최근 들어 길이가 긴 자연손톱과 유사한 형태의 인조손톱을 만들어 이를 자연손톱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인조손톱은 표면이 수지 색상 그대로이므로, 인조손톱의 표면에 미리 원하는 색의 매니큐어를 칠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인조손톱은 여러 종류의 무늬와 색상을 가지는 것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조손톱을 손톱에 부착한 경우 휴대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손가락의 피부로 직접 접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조손톱은 비 도전성 물질로 만들어져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이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손톱에 부착하여 손톱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음과 동시에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이 감지할 수 있어 터치 펜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는 인조손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은 손톱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기 손톱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단부에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며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손톱 주변의 피부와 연결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본체의 중앙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톱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가 상기 손톱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톱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통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손톱에 결합시 상기 손톱 주변의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피부를 통전시키는 도전성 소재의 전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손톱을 부착한 상태에서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기기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인조손톱이 손톱에 부착된 상태는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조 손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조손톱(10)은 크게 본체(11)와, 본체(11)를 손톱(1)에 부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본체(11)는 손톱(1)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의 양가자장자리보다 중앙이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된다. 본체(11)의 전후 길이는 손톱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후방측 가장자리에는 손톱 주변의 피부와 접촉되는 테두리(15)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15)는 플렉시블한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피부와 접촉시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테두리는 도전성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본체와 손톱 주변의 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면에는 본체(11)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특정한 패턴(20)이 형성된다. 패턴(20)은 다양한 형상과 색상으로 만들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패턴(20)은 일부 영역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본체(11)의 상면 전체에 패턴(2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1)는 통상적으로 손톱 모양의 입체형의 금형을 제작한 후, 원료가 되는 수지를 주입하여 하여 곡면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의 사출성형 후 인쇄, 전사, 스탬핑 등의 후가공 처리를 통해 본체(11)의 표면에 패턴(20)을 형성한다. 본체(11)의 성형 및 패턴(20)의 형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1)는 결합수단에 의해 손톱(1)에 결합된다. 결합수단으로 본체(11)의 저면 또는 손톱의 상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일 수 있다. 본체(11)의 저면에 접착층(50)이 형성된 모습은 도 2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결합수단은 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된 양면 테이프(미도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11)의 특징은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11)는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구성의 일 예로 본체(11)가 도전성 소재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가령, 폴리아세탈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비닐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압출 또는 사출 성형가능한 수지와 은, 구리, 금, 니켈, 알루미늄 등과 같은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파우더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 도전성 소재를 이용하여 본체를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의 수지는 언급된 종류의 것으로만 제한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1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의 종류에 산화인듐주석(ITO),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등이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체(11)를 손톱(1)에 부착하게 되면 본체(11)는 손톱(1) 주변의 피부와 접촉된다. 본체(11)의 일측을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휴대폰 등의 기기가 조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는 비 도전성 물질로 성형되고, 본체(11)의 표면에는 도전성 박막(2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체(11)의 저면에 형성된 층은 접착층(50)이다.
비 도전성 수지에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파우더가 혼합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박막 형태의 필름을 본체(11)의 표면에 부착하여 도전성 박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전성 고분자가 함유된 코팅액을 본체(11)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전성 박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공지된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이다. 특히 변성 전도성 고분자인 술폰기로 치환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탄소수가 5~15인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가 치환된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또는 에틸렌디옥시기가 치환된 폴리티오펜 등이 이에 속한다. 에틸렌디옥시기가 치환된 폴리티오펜을 PEDOT라고 부르며, 이를 제조하는 독일 Bayer사의 Baytron 또는 AGFA사의 Orgacon을 사용하면 무색 투명한 도전성 코팅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표면에 도전성 패턴(23)이 형성된다. 통상적인 패턴은 본체(11)를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장식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패턴(23)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본체(11)의 장식과 더불어 본체(11)의 표면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전성 패턴(23)은 본체(1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의 전단부를 터치스크린에 터치시 도전성 패턴은 터치스크린과 손톱 주변의 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1)의 단부에는 터치 인식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접촉부(30)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부(30)는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된다. 가령, 접촉부는 도전성 실리콘, 도전성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결합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결합수단은 본체(11)의 가장자리에서 본체(11)의 중앙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고정부(6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60)는 본체(11)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60)에 손톱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면 본체(11)는 손톱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9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1)에는 통기수단이 더 구비된다.
통기수단은 본체(11)가 손톱(1)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톱(1)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통기수단의 일 예로 본체에는 다수의 기공(70)이 형성된다. 기공(70)은 본체(11)의 상하를 관통한다. 이러한 기공(70)은 본체(11)의 성형 후 별도의 가공공정을 통해 본체(11)에 형성될 수 있다. 기공(70)은 본체(11)의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기 않은 범위 내에서 적당한 크기와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를 통기성 수지로 제작함으로써 본체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통기수단에 의해 인조손톱을 손톱 위에 부착하더라도 기공(70)을 통해 손톱(1)으로 공기가 드나드므로 인조손톱의 장시간 부착에 의한 답답한 느낌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기공(70)을 통해 손톱(1)으로 수분이 공급될 수 있어 손톱(1)이 거칠어지거나 메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인조손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손톱(1) 위에 결합되는 본체(11)는 손톱(1)의 일부만을 덮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본체(11)와 피부(3)를 통전시키는 전도부재(80)가 구비된다. 전도부재(80)는 도전성 소재, 특히 피부(3)와 접촉감 향상을 위해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부재(80)는 본체(11)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전도부재(80)는 본체(11)를 손톱에 결합시 손가락 끝의 피부(3)에 접촉된다. 전도부재(80)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본체(11)와 피부(3)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전도부재(80)는 손톱(1)의 전단부 하부를 지지하므로 손톱(1)에 대한 본체(11)의 결합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 12에서 전도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도부재(95)는 본체(11)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9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돌기부(90)는 하부에 반구형의 삽입구가 형성된다. 돌기부(90) 역시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다. 전도부재(95)는 상부에 삽입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삽입구를 삽입홈에 삽입시 삽입홈의 직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전도부재(95)는 도전성 실리콘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도부재(95)는 돌기부(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가락 끝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L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손톱 11: 본체
15: 테두리 20: 패턴
30: 접촉부 60: 고정부
70: 기공 80:전도부재

Claims (8)

  1. 손톱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기 손톱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단부에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며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손톱 주변의 피부와 연결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본체의 중앙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톱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손톱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톱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통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손톱에 결합시 상기 손톱 주변의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피부를 통전시키는 도전성 소재의 전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KR1020110068502A 2011-07-11 2011-07-11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KR101359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02A KR101359023B1 (ko) 2011-07-11 2011-07-11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02A KR101359023B1 (ko) 2011-07-11 2011-07-11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81A true KR20130007881A (ko) 2013-01-21
KR101359023B1 KR101359023B1 (ko) 2014-02-06

Family

ID=4783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502A KR101359023B1 (ko) 2011-07-11 2011-07-11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0375A (zh) * 2013-01-29 2014-08-06 华为终端有限公司 指甲油、指甲装饰物及触控屏幕的操作方法
WO2014144538A1 (en) * 2013-03-15 2014-09-18 Gottlieb Stacey Fingernail system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9049B2 (en) 2015-02-18 2017-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e-handed operation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733452B1 (ko) 2015-08-21 2017-05-11 허창용 3d스캐너 및 3d프린터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및 그 제조방법
US10433629B2 (en) 2018-01-03 2019-10-08 Texting Tip LLC Fingernail tip styl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266A (ja) 2000-08-30 2002-03-12 Satoshi Yamashita 付け爪型スタイラス
US20050093835A1 (en) 2003-11-03 2005-05-05 Mortarelli John R. Finger Tip Stylus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s
US20100039392A1 (en) 2008-08-15 201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ductive fingernail
KR20110023212A (ko) * 2009-08-31 2011-03-08 (주)하우켐 정전압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 및 드래그가 가능한 내습성의 전도성 스타일러스펜용 고형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0375A (zh) * 2013-01-29 2014-08-06 华为终端有限公司 指甲油、指甲装饰物及触控屏幕的操作方法
WO2014144538A1 (en) * 2013-03-15 2014-09-18 Gottlieb Stacey Fingernail system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US9753551B2 (en) 2013-03-15 2017-09-05 Stacey Gottlieb Fingernail system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US10025394B2 (en) 2013-03-15 2018-07-17 Stacey Gottlieb Fingernail system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US10303267B2 (en) 2013-03-15 2019-05-28 Stacey Gottlieb Fingernail system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023B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gel et al. Skinmarks: Enabling interactions on body landmarks using conformal skin electronics
CN104769528B (zh) 具有连杆机构的触摸表面组件
KR101359023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JP3170811U (ja) タッチペン
ES2922412T3 (es) Película capacitiva sensible al tacto
US11099692B2 (en) Sensor device and method
US11379037B2 (en) Sensor device and method
JP5225178B2 (ja) 静電容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67040A1 (en) Input device with a customizable contour
EP2972700B1 (en) Fingernail system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screens
CN204483154U (zh) 一种手套
CN206421361U (zh) 触摸屏及电子装置
JP6392504B2 (ja) コントロールパネル
CN202486717U (zh) 触控笔结构
KR20120138983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JP2013248174A (ja) 付け爪
CN110658931A (zh) 一种被动式触控标识器
CN202603695U (zh) 触摸导电手套
CN205999647U (zh) 用于洗衣机的触控面板及具有其的洗衣机
CN210428377U (zh) 一种被动式触控标识器
KR101056862B1 (ko) 비접촉식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
JP2014150860A (ja) 付け爪
CN202548799U (zh) 一种触摸装置
CN201681371U (zh) 一种电阻式触摸屏
JP2013250789A (ja) 操作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