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983A -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 Google Patents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983A
KR20120138983A KR1020110058467A KR20110058467A KR20120138983A KR 20120138983 A KR20120138983 A KR 20120138983A KR 1020110058467 A KR1020110058467 A KR 1020110058467A KR 20110058467 A KR20110058467 A KR 20110058467A KR 20120138983 A KR20120138983 A KR 2012013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nail
artificial nail
capacitiv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봉
Original Assignee
고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봉 filed Critical 고영봉
Priority to KR102011005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983A/ko
Publication of KR2012013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정전용량 방식의 전자 기기들을 작동시키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관한 것으로, 자연 손톱의 전체에 부착되는 풀커버 인조 네일로서, 자연 손톱 주위의 살 부분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서로 연결된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톱에 부착되어 착용자 손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하면서 네일베드(nail bed)를 보호하고, 아름다운 프렌치네일 디자인과 매력적인 색상으로 손톱을 장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Artificial nail for capacitance type touch}
본 발명은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nai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인조 네일에 흐르게 하여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의 정전용량 방식의 전자 기기들을 작동시키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여성들이 일상 생활과 일을 하는데 있어서, 긴 손톱은 부러지기 쉬우며 관리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손톱을 길게 기르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긴 손톱을 대체시킬 수 있는 해결책으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며, 자연 손톱 위에 글루(Glue) 또는 젤(Gell)이나 양면 접착제로 부착해서 손톱을 길게 연장하여 보다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용도로 인조손톱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인조손톱은 여성들 중심으로 소위 "네일 아트"라고 불리우는 손톱 미용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네일 아트는 자연 손톱에 문양이나 색채를 그려넣거나 도포하는 방식과 자연 손톱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서 좀 더 길고 화려하게 채색된 인조손톱을 부착하여 자연 손톱을 보다 미려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인조손톱의 착용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인기가 있는 네일 아트 도구이다.
이러한 인조손톱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소정형상을 제작하여 제품화된 것을 사용자가 사용시, 인조손톱의 하부면을 자신의 자연 손톱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손톱모양으로 다듬어 사용되어왔다.
상기 인조손톱은 크게 누구나 손쉽게 부착이 가능한 자연 손톱의 전체를 덮는 풀커버(Full cover) 형태와 전문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자연 손톱의 일부분이 표출되도록 하는 팁(Tip) 형태로 구분되며, 전자의 풀커버 형태로 된 인조손톱은 전체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여 자연 손톱 위에 전체적으로 부착하므로 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후자의 팁 형태로 된 인조손톱에는 그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러한 팁 형태로 된 인조손톱은 자연 손톱과 접착되는 부위의 면적이 풀커버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인조손톱 자체의 견고성을 위해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인조 손톱(인조 네일)에 대해서는 하기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
즉, 손가락의 지문 면 부분이나 손톱 끝부분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네일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등이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는 저항막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자연 손톱이나 자연 손톱 위에 부착되는 인조 네일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 표면에 전달하지 못하므로, 인조 네일을 접착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를 작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가 인조 네일을 부착한 경우, 소위 '지문 터치' 방식이라는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조 네일의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 지문 터치가 이중으로 작동되거나, 자연 손톱에 부착된 인조 네일이 분리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0864호(2010.12.1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8045호(2010.06.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4274호(2009.10.0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에게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사용자 손가락의 손톱에 부착된 인조 네일로 흐르게 하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손가락의 손톱에 부착된 인조 네일의 길이 또는 형상과 관계없이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은 자연 손톱의 전체에 부착되는 풀커버 인조 네일로서, 자연 손톱 주위의 살 부분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자연 손톱 주위의 살 부분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정전기를 전도하는 물질로서, 실리콘, 전도성 소재, 그라핀 또는 전류가 흐르는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틸렌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각각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인조 네일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1.5~5㎟의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톱에 부착되어 착용자 손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하면서 네일베드(nail bed)를 보호하고, 아름다운 프렌치네일 디자인과 매력적인 색상으로 손톱을 장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의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의 제2 접촉부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100)은 풀커버 인조손톱으로서 나일론 또는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조 네일(100)의 형상 등에 관해서는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100)은 사용자의 손가락(1)의 지문 부분과 접촉하는 정전용량 센서 필름을 구비한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10)에 적용되며, 터치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입력시 정전용량의 차이나 터치 시그널 패턴(touch signal pattern)의 차이 등이 발생하여 휴대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도 1에서 부호 (20)은 LCD 모듈이고, (30)은 휴대 기기의 기구물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100)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의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의 제2 접촉부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네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손톱(2)의 전체에 부착되는 풀커버 인조손톱으로서, 나일론 또는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자연 손톱(2) 주위의 살 부분(21)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 (110) 및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110)와 상기 제2 접촉부(120)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10)와 제2 접촉부(120)는 서로 연결되어, 자연 손톱(2) 주위의 살 부분(21)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제2 접촉부(120) 까지 전달되게 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자연 손톱(2) 주위의 살 부분(21)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정전기를 전도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전도성 소재, 그라핀 또는 전류가 흐르는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틸렌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시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도성 물질은 인조 네일(100)의 형성 후, 상기 제1 접촉부(110)와 상기 제2 접촉부(120)에 각각 도포되는 구성으로 하던가 또는 상기 인조 네일(100) 자체의 형성시 구성 재료인 합성 수지재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포 또는 수지재에 포함되는 크기 또는 양은 인조 네일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변형 가능하므로, 특정 수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자연 손톱(2) 주위의 살 부분(21)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정전기를 전도할 정도의 능력만 구비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은 일정면적이상 감지되어야 터치를 인식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120)의 단면적(S)은 1.5~5㎟ 정도면 충분하고, 바람직하기는 3㎟로 한다. 도 4의 구조에서는 제2 접촉부(120)를 직선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은 단면적(S)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은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적용된다.
10 : 터치스크린
20 : LCD 모듈
30 : 기구물
100 : 인조 네일
110 : 제1 접촉부
120 : 제2 접촉부

Claims (5)

  1. 자연 손톱의 전체에 부착되는 풀커버 인조 네일로서,
    자연 손톱 주위의 살 부분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정전용량방식 휴대기기의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자연 손톱 주위의 살 부분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정전기를 전도하는 물질로서, 실리콘, 전도성 소재, 그라핀 또는 전류가 흐르는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틸렌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에 각각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인조 네일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1.5~5㎟의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KR1020110058467A 2011-06-16 2011-06-16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KR20120138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67A KR20120138983A (ko) 2011-06-16 2011-06-16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67A KR20120138983A (ko) 2011-06-16 2011-06-16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83A true KR20120138983A (ko) 2012-12-27

Family

ID=4790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467A KR20120138983A (ko) 2011-06-16 2011-06-16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9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3583B2 (en) 2013-02-08 2015-06-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578155B2 (en) 2012-07-02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70022560A (ko) 2015-08-21 2017-03-02 허창용 3d스캐너 및 3d프린터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8155B2 (en) 2012-07-02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854073B2 (en) 2012-07-02 2017-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021225B2 (en) 2012-07-02 2018-07-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097675B2 (en) 2012-07-02 2018-10-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523797B2 (en) 2012-07-02 2019-12-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063583B2 (en) 2013-02-08 2015-06-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916078B2 (en) 2013-02-08 2018-03-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70022560A (ko) 2015-08-21 2017-03-02 허창용 3d스캐너 및 3d프린터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gel et al. Skinmarks: Enabling interactions on body landmarks using conformal skin electronics
Perrault et al. Watchit: simple gestures and eyes-free interaction for wristwatches and bracelets
Weigel et al. Iskin: flexible, stretchable and visually customizable on-body touch sensors for mobile computing
US9003567B2 (en) Hand covering with tactility features
JP3170811U (ja) タッチペン
US20230409124A1 (en)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US9282801B2 (en) Artificial nail
US20160320870A1 (en) Digital stylus
CN104679468B (zh) 可穿戴式信息处理设备用户界面的扩展
US20120242618A1 (en) Finger device for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EP2948828B1 (en) Contact interface input device
KR20120138983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용 인조 네일
KR101359023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CN204808242U (zh) 手写笔及电子设备
JP3191813U (ja) タッチペン
KR20110000060U (ko)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 터치용 스티커
KR101314916B1 (ko) 터치스크린의 신호입력 기능을 갖는 손톱 장신구
KR101270256B1 (ko) 인조손톱
KR101160758B1 (ko) 터치 포인트
CN205193673U (zh) 新型的平板电脑
Perrault et al. Using low-power sensors to enhance interaction on wristwatches and bracelets
JP2013239140A (ja) 画面操作用治具および画面の操作方法
CN106033187B (zh) 具有触控表带的智能手表
KR20130092205A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조작용 인조손톱
CN201673635U (zh) 一种便携式播放器、电子阅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