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438U - 캔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캔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438U
KR20130007438U KR2020120005228U KR20120005228U KR20130007438U KR 20130007438 U KR20130007438 U KR 20130007438U KR 2020120005228 U KR2020120005228 U KR 2020120005228U KR 20120005228 U KR20120005228 U KR 20120005228U KR 20130007438 U KR20130007438 U KR 20130007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housing
bar
seating portion
lin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식 filed Critical 김용식
Priority to KR2020120005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438U/ko
Publication of KR20130007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4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30B9/32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jaws pivot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30B9/323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jaws pivot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operated by hand or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캔(C)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안착부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캔(C)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압축어셈블리(400)와,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압축어셈블리(400)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를 직선이동시키는 회전바(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는 상기 하우징(100)을 따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축몸체(410)와, 상기 압축몸체(41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바(5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500)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몸체(410)에 전달하는 링크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바(30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압축몸체(410)와 상기 회전바(5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에서는 캔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바(500)의 회전력이 압축어셈블리(400)에 전달되어 빈 캔(C)을 용이하게 압축시키게 되고, 압축된 캔(C)은 배출구(207)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므로 조작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캔 압축장치{Can compression device}
본 고안은 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빈 캔을 용이하게 압축하여 수거하기 위한 캔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배출할 때에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은 분리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환경오염방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러한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의무화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와 같은 금속 캔은 그동안 회수, 처리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다른 재활용가능품에 비하여 재활률이 낮았으나, 최근에는 폐금속캔을 공동으로 회수하여 처리하는 사업자단체의 활동으로 인하여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 중에서, 음료수 캔과 같은 금속류는 압축하여 분리수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캔을 압착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80259호에 관련된 캔 압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는 캔을 압착하기 위한 매커니즘이 다수개의 기어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어 비교적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0322276호에도 캔 압축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에는 압축된 캔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어 압축된 캔을 일일이 외부로 반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캔 압착장치가 비교적 작은 부품수의 단순한 매커니즘으로 빈 캔을 용이하게 압착하고, 압착된 캔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캔 압착장치를 드럼통 등과 같이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저장공간 상에 쉽게 부착하여 자연스럽게 압축된 캔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캔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캔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압축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압축어셈블리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압축어셈블리를 직선이동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축몸체와, 상기 압축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몸체에 전달하는 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바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압축몸체와 상기 회전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를 향해 가이드펜스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압축어셈블리의 압축몸체는 상기 가이드펜스에 대응되는 가이드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펜스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자립시키는 연장레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장레그에 경사진 각도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은 배출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드럼에는 압축된 캔이 삽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빈 캔의 측면이 지지되는 배면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빈 캔의 바닥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펜스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는 경사진 각도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에 인접한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하단에는 배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빈 캔의 높이 보다 작고 압축된 후의 캔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캔이 압축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면플레이트 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안착부를 향한 상기 압축몸체의 압축면에는 압축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압축리브는 상기 압축몸체의 압축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링크바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압축몸체와 상기 회전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와 상기 압축몸체 및 상기 링크바와 상기 회전바 사이의 연결은 상기 링크바 및 상기 압축몸체를 관통하는 제1연결구, 그리고 상기 링크바 및 회전바 사이를 관통하는 제2연결구에 의해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바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일측 또는 상기 연장레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에서는 캔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바의 회전력이 압축어셈블리에 전달되어 빈 캔을 용이하게 압축시키게 되고, 압축된 캔은 배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므로 조작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압축몸체가 가이드펜스에 안내되어 일정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이동되고,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바와 연결되는 링크바가 압축몸체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연동되므로 캔 압축장치가 오작동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에는 연장레그가 구비되어, 별도의 특정한 캔 수납공간 없이 사용자가 드럼통이나 쓰레기통과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장공간 상부에 캔 압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압축된 캔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캔 압축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실시예를 이용하여 캔을 압축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게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철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연장레그(110,120)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레그(110,120)는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레그(110,120)는 하우징(100)의 전방 및 후방에 전방레그(120)와 후방레그(110)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압축된 캔(C)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안착부(도면부호 미부여)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는 압축될 빈 캔(C)이 위치되어 실제로 압축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배면플레이트(200), 가이드펜스(220), 그리고 안착플레이트(21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안착부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캔(C)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 빈 캔(C)은 도 1에서 보듯이 세워진 상태로 안착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에는 배면플레이트(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면플레이트(200)는 캔(C)의 옆면, 즉 곡면으로 구성되는 측면이 지지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레그(110,120)에 의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의 하방에는 안착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10)는 상기 안착부의 하방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캔(C)의 하단이 지지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10)의 양단에는 캔(C)이 안착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215)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는 가이드펜스(2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펜스(220)는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안착된 상태의 캔(C)이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어셈블리(400)의 가이드슬릿(418)이 끼워져 압축어셈블리(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부의 배면플레이트(200)에는 배출구(207)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207)는 압축된 후의 빈 캔(C)이 배출되는 빈 공간으로,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배면플레이트(200)의 하단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07)의 높이는 압축되기 전의 빈 캔(C)의 높이 보다 작고 압축된 후의 캔(C)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캔(C)이 압축된 후 상기 배출구(207)를 통해 배면플레이트(200)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압축어셈블리(4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는 상기 안착부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캔(C)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는 상기 하우징(100)을 따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축몸체(410)와, 상기 압축몸체(41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바(500)에 연결되어 후술할 회전바(500)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몸체(410)에 전달하는 링크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바(300)는 대략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는데, 압축몸체(41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바(500)에 연결되어 회전바(500)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몸체(4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바(300)는 압축몸체(4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압축몸체(410)는 도 2에서 보듯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체로서, 캔(C)을 실질적으로 눌러 압축시키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압축몸체(410)가 캔(C)을 보다 용이하게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를 향한 상기 압축몸체(410)의 압축면에는 압축리브(415)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압축리브(415)는 도 2에서 보듯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몸체(410)의 압축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리브(415)는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캔(C)의 상면에 닿아 눌러줌으로써, 상기 압축리브(415)에 응력이 집중되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캔(C)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압축몸체(410)에는 가이드슬릿(41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418)은 상기 가이드펜스(220)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몸체(41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압축몸체(410)의 양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축몸체(410)에는 측면부(420) 및 배면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420)를 관통하여 제1연결구(3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구(325)은 상기 압축몸체(410)와 상기 링크바(300) 사이를 관통하여 이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구(325)는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측면부(42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긴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바(300)와 압축몸체(410)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300)의 일단은 제2연결구(310)에 의해 회전바(500)에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구(310)는 상기 제1연결구(325)와 마찬가지로, 상기 링크바(300) 및 회전바(500)를 각각 관통하여 이들 사이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상기 제2연결구(310)를 구성하는 너트가 회전바(500)에 용접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2연결구(310)는 너트가 회전바(50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지 않고 제2연결구(310)를 구성하는 볼트가 회전바(5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G는 용접부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바(300)는 그 양단이 각각 압축몸체(410)와 회전바(500)에 연결되므로, 회전바(500)가 회전되는 힘을 압축몸체(410)에 전달하여 압축몸체(410)가 직선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바(500)는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압축어셈블리(400)에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그 일단이 상기 연장레그(110,120)에, 보다 정확하게는 전방레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부호 515는 상기 회전바(500)가 전방레그(120)에 회전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너트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바(500)는 그 일단이 상기 링크바(3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바(500)에는 상기 링크바(30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5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그 회전력이 상기 링크바(300)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바(300)는 상기 회전바(50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를 당겨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500)는 도 1에서 보듯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부(510), 제2회전부(520) 및 제3회전부(530)가 서로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 일측 또는 상기 연장레그(110,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3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부(510)와, 상기 제1회전부(510)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부(520), 그리고 상기 제2회전부(520)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회전부(5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바(500)가 연속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3회전부(530)는 결과적으로 사용자를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회전시키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바(500)가 충분히 긴 길이를 갖게 되므로, 사용자는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회전바(5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535는 보강부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배출드럼(B)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배출드럼(B)은 캔 압축장치의 하방에 위치하여 압축된 캔(C)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일종의 수납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배출드럼(B)에는 상기 연장레그(110,12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단순히 배출드럼(B) 상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드럼(B) 상부에는 압축된 캔(C)이 삽입되는 투입구(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캔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빈 캔을 압축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이용하여 캔을 압축하는 모습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는 빈 캔(C)을 압축하기 위해, 빈 캔(C)을 캔 압축장치의 압착부에 안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빈 캔(C)의 바닥부가 상기 안착플레이트(210)에 안착되도록 놓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상기 캔(C)의 측면은 배면플레이트(200)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배면플레이트(200)는 경사진 상태로 구성되므로, 상기 빈 캔(C) 역시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눕혀져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바(500)를 파지하고 회전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바(500) 중에서 사용자 측으로 절곡된 가장 외측의 제3회전부(530)를 파지하고 이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바(500) 전체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바(50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링크바(300) 역시 함께 회전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바(300)는 그 일단이 상기 회전바(5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잇는 상태이므로, 상기 회전바(500)가 원을 그리며 회전되는 과정에서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링크바(300)는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를 끌어 내려 상기 빈 캔(C)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어셈블리(400)의 압축몸체(410)에는 가이드슬릿(418)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슬릿(418)은 가이드펜스(220)에 안내되므로 안정적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기 압축어셈블리(400)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빈 캔(C)에 접하고, 더 하강하면서 결과적으로 빈 캔(C)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몸체(410)의 압축면에는 압축리브(415)가 구비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빈 캔(C)을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바(50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회전바(500)는 제1회전부(510), 제2회전부(520) 및 제3회전부(530)로 구성되고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므로,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보다 적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캔(C)이 압축되면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상기 캔(C)은 배출구(207)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바(500)를 다시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압축된 캔(C)은 더 이상 배면플레이트(200)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고 상기 배출구(207)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캔(C)은 투입구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상기 배출드럼(B)에 투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빈 캔(C)은 압축 및 배출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하우징 200: 배면플레이트
220: 가이드펜스 300: 링크바
400: 압축어셈블리 500: 회전바
C: 캔

Claims (10)

  1. 빈 캔을 압축하여 배출하기 위한 캔 압축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캔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캔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압축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압축어셈블리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압축어셈블리를 직선이동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축몸체와,
    상기 압축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몸체에 전달하는 링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바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압축몸체와 상기 회전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를 향해 가이드펜스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압축어셈블리의 압축몸체는 상기 가이드펜스에 대응되는 가이드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펜스를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자립시키는 연장레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장레그에 경사진 각도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배출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드럼에는 압축된 캔이 삽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빈 캔의 측면이 지지되는 배면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빈 캔의 바닥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는 안착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펜스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면플레이트는 경사진 각도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하단에 인접한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하단에는 배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폭은 압축되기 전 빈 캔의 높이 보다 작고 압축된 후의 캔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캔이 압축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면플레이트 후방으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향한 상기 압축몸체의 압축면에는 압축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리브는 상기 압축몸체의 압축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압축몸체와 상기 회전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와 상기 압축몸체 및 상기 링크바와 상기 회전바 사이의 연결은 상기 링크바 및 상기 압축몸체를 관통하는 제1연결구, 그리고 상기 링크바 및 회전바 사이를 관통하는 제2연결구에 의해 각각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일측 또는 상기 연장레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 압축장치.
KR2020120005228U 2012-06-19 2012-06-19 캔 압축장치 KR20130007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228U KR20130007438U (ko) 2012-06-19 2012-06-19 캔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228U KR20130007438U (ko) 2012-06-19 2012-06-19 캔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38U true KR20130007438U (ko) 2013-12-30

Family

ID=5371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228U KR20130007438U (ko) 2012-06-19 2012-06-19 캔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4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055A (zh) * 2019-03-14 2019-05-10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液氮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055A (zh) * 2019-03-14 2019-05-10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液氮罐
CN109730055B (zh) * 2019-03-14 2024-03-26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液氮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38997U (zh) 一种移动式垃圾压缩成套设备
CN109501364A (zh) 一种环保建设用易拉罐压缩收集装置
CN110406148A (zh) 一种垃圾压缩机
CN107813440A (zh) 一种基于压杆屈曲原理的塑料瓶压缩回收装置
CN206456832U (zh) 一种具有压缩功能的垃圾桶
KR20130007438U (ko) 캔 압축장치
CN201961764U (zh) 压缩式垃圾桶
US5746126A (en) Rubbish compressing apparatus
CN109533722A (zh) 一种环保垃圾清运装置
CN211386241U (zh) 一种切割机用钣金废料收集装置
KR101404040B1 (ko) 생활쓰레기 압착기
CN214872919U (zh) 食品垃圾处理设备
CN214134342U (zh) 一种用于套丝机的废料收集装置
CN116639407A (zh) 一种垃圾盒自动倾倒设备
CN112452436B (zh) 一种面粉加工筛选机及其使用方法
KR10141677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CN211935855U (zh) 一体化污水处理垃圾收集装置
CN108190314A (zh) 一种环保易清洁垃圾桶
NL2006462C2 (nl) Inrichting voor het comprimeren van in een afvalbak aanwezig afval.
CN207329392U (zh) 一种环保的垃圾收集预处理设备
CN208699660U (zh) 一种市政环保用多功能垃圾回收装置
CN217016945U (zh) 一种专用无机铜粉碎装置
KR20110001502U (ko) 분리수거 유도 압축 식 사용자 경험 제공 쓰레기통
CN217512523U (zh) 一种用于垃圾分拣作用的装置
CN2257241Y (zh) 饮料容器回收压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