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230U -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230U
KR20130007230U KR2020120004875U KR20120004875U KR20130007230U KR 20130007230 U KR20130007230 U KR 20130007230U KR 2020120004875 U KR2020120004875 U KR 2020120004875U KR 20120004875 U KR20120004875 U KR 20120004875U KR 20130007230 U KR20130007230 U KR 201300072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structure
upper plate
cover
beam frame
fl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원
오도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230U/ko
Publication of KR20130007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탑승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딛고 설 수 있는 바닥 유닛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빔 프레임; 상기 빔 프레임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탑승자가 이동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발열 케이블; 서로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발열 케이블을 덮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을 덮는 1차 커버; 상기 1차 커버 및 상기 단열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1차 커버를 지지하는 고정핀; 및 상기 빔 프레임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1차 커버 및 상기 빔 프레임을 보호하는 2차 커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A bottom part of floating structure}
본 고안은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은 다양한 환경 조건하에서 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눈이 매우 많이 오고, 기온이 매우 낮은 극지방 같은 환경 조건에서 운용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이 극지방에서 운용될 경우, 통로나 계단, 레이다운(laydown, 선박에 물품을 선적하거나 하적 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장소) 등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에는 눈이 쌓이거나, 얼음이 얼어서 빙판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적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등록특허 10-1107093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무거운 기기설비나 화물을 올려놓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반복된 통행 및 적재로 인해 내부에 결선된 발열 케이블 등이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107093호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탑승자가 결빙에 대한 우려없이 안전하게 통행하거나 작업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탑승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딛고 설 수 있는 바닥 유닛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빔 프레임; 상기 빔 프레임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탑승자가 이동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발열 케이블; 서로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발열 케이블을 덮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을 덮는 1차 커버; 상기 1차 커버 및 상기 단열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1차 커버를 지지하는 고정핀; 및 상기 빔 프레임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1차 커버 및 상기 빔 프레임을 보호하는 2차 커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케이블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프레임의 하측 플랜지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커버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미네랄울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1차 커버는 알루미늄 호일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2차 커버는 스테인리스강 소재로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커버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본체에 제공된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어, 적어도 상기 2차 커버의 일부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레이다운 영역을 형성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탑승자가 결빙에 대한 우려없이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을 안전하게 통행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바닥 유닛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 유닛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100)은 본체(10)에 설치되며, 탑승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닥 유닛(100)이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은 자항 성능을 갖추고 이동할 수 있는 선박 및 특정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해양 플랫폼 등의 해양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드릴쉽, 컨테이너선 등의 선박의 거주구역에 설치되는 외부 통로를 예시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상기 바닥 유닛(100)은 탑승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딛고 설 수 있는 것으로서, 통로, 계단, 레이다운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바닥 유닛(100)이 선박의 거주구역에 설치되는 통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 유닛(100)에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열 케이블(120)이 설치되어 있어, 부유식 구조물이 극지방 등 온도가 낮은 지역에 위치할 때 발생되어 있는 적설, 결빙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 유닛(100)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빔 프레임(102), 상기 빔 프레임(102)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바닥 유닛(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탑승자가 이동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상부 플레이트(110),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부착되는 발열 케이블(120), 상기 발열 케이블(120)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접착 테이프(122),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102)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발열 케이블(120)을 덮는 단열층(130), 상기 단열층(130)을 덮는 1차 커버(140), 상기 하부 커버(140)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고정하는 고정핀(150), 상기 빔 프레임(102)의 하부에 제공되는 브라켓(104), 상기 브라켓(104)에 고정되며 상기 빔 프레임(102) 및 상기 1차 커버(140)를 보호하는 2차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빔 프레임(102)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프레임(102)은 상부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2)를 안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빔 프레임(102)를 H빔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T빔, I빔 등 상기 상부 플레이트(102)가 안착될 수 있는 상부면을 가지는 빔 프레임은 어떤 형상이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빔 프레임(102)은 H빔으로서, 웨브(web)가 수직인 상태로 배치되며, 상부면인 플랜지(flange) 부분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가 안착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소정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상기 발열 케이블(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빔 프레임(102)과 용접 고정 또는 접착 고정 가능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상기 빔 프레임(1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하나의 판이 다수 개의 상기 빔 프레임(102) 위에 놓일 수도 있고, 여러 개로 나뉘어 다수 개의 상기 빔 프레임(102) 위에 놓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가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제공되는 경우, 각 부분의 접합 지점은 상기 빔 프레임(102)의 플랜지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부유식 구조물의 탑승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구성이라면 어느 형태를 갖더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은 탑승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지지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핀 삽입홈(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 삽입홈(1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케이블(12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로 열을 공급한다. 상기 발열 케이블(120)은 소정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눈이 쌓이거나 빙판이 형성된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를 가열하여 눈 또는 얼음을 녹일 수 있다.
상기 발열 케이블(120) 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발열 케이블(12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테이프(122)는 상기 발열 케이블(120)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 케이블(120)을 감싸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테이프(122)는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서로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102)의 사이에는 상기 발열 케이블(120)을 덮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측으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발열 케이블(12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오랜 시간 동안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층(130)이 제공된다. 상기 단열층(130)은 지속적인 보온성 유지 및 경량화를 위해 단열성능이 좋고 가벼운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130)은 상기 발열 케이블(120)을 덮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밀착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102)의 웨브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102)의 웨브 사이에 꼭 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130)은 단열 성능을 위해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빔 프레임(102)의 웨브의 길이의 약 1/2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1차 커버(140)는 내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호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층(13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층(130)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고정핀(150)은 상기 1차 커버(140) 및 상기 단열층(13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핀 삽입홈(15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150)의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150)의 단부와 상기 고정핀 삽입홈(152)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핀(150)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50)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1차 커버(140)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130)은 상기 고정핀(150)에 의해 견고하게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빔 프레임(102)의 하측 플랜지에는 상기 브라켓(104)이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4)은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커버(160)가 볼트(152)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4)은 두껍게 형성되는 상기 빔 프레임(102)의 플랜지에 상기 2차 커버(160)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브라켓(104)이 생략되고 상기 2차 커버(160)가 직접 상기 빔 프레임(102)의 플랜지에 용접, 접착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2차 커버(160)는 상기 빔 프레임(102) 사이에 제공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스테인리스강 소재로 요철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바닥 유닛(100)은 상기 본체(10)에 기둥 형태의 받침대(미도시) 등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 유닛(100)은 상기 받침대가 상기 2차 커버(160)를 떠받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2차 커버(160)는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닥 유닛(100)은 상기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어, 적어도 상기 2차 커버(160)의 일부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 유닛(100)을 설치하는 작업자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바닥 유닛(100)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핸드 드릴 등의 공구로 상기 볼트(162)를 조임으로써 상기 바닥 유닛(100)의 설치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부유식 구조물이 온도가 낮은 지역을 운항하거나, 그러한 지역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바닥 유닛(100)의 상면에는 눈이 쌓이거나 결빙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상기 바닥 유닛(100) 위를 통행하거나 상기 바닥 유닛(100) 위에서 작업하는 탑승자는 미끄러짐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열 케이블(120)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열 케이블(120)에서 발생된 열은 전도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쌓여 있던 눈이나 얼음은 녹아서 제거될 수 있으며, 탑승자는 상기 바닥 유닛(100)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유닛(100)은 상기 빔 프레임(102)을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무거운 물체가 위에 올려지더라도 가해지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닥 유닛(100)이 무거운 하중의 물체가 올려질 수 있는 레이다운 영역에 사용되는 경우, 즉,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가 레이다운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지지 기능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130)을 상기 1차 커버(140)로 1차적으로 지지한 후 상기 고정핀(150)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단열층(130)이 쉽게 비, 바람, 충격 등에 의해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사 상기 단열층(130)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이를 상기 2차 커버(160)로 추가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본체 100 : 바닥 유닛
102 : 빔 프레임 104 : 브라켓
110 : 상부 플레이트 120 : 발열 케이블
122 : 접착 테이프 130 : 단열층
140 : 1차 커버 150 : 고정핀
160 : 2차 커버 162 : 볼트

Claims (6)

  1. 부유식 구조물의 탑승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딛고 설 수 있는 바닥 유닛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부면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빔 프레임;
    상기 빔 프레임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탑승자가 이동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발열 케이블;
    서로 인접한 상기 빔 프레임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발열 케이블을 덮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을 덮는 1차 커버;
    상기 1차 커버 및 상기 단열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1차 커버를 지지하는 고정핀; 및
    상기 빔 프레임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1차 커버 및 상기 빔 프레임을 보호하는 2차 커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케이블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레임의 하측 플랜지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커버는 상기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미네랄울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1차 커버는 알루미늄 호일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2차 커버는 스테인리스강 소재로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커버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본체에 제공된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어, 적어도 상기 2차 커버의 일부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레이다운 영역을 형성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KR2020120004875U 2012-06-08 2012-06-08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KR201300072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75U KR20130007230U (ko) 2012-06-08 2012-06-08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75U KR20130007230U (ko) 2012-06-08 2012-06-08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30U true KR20130007230U (ko) 2013-12-18

Family

ID=5244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75U KR20130007230U (ko) 2012-06-08 2012-06-08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23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7773A (zh) * 2019-09-25 2020-01-10 靖江市金舟船舶器材有限公司 一种便于组合连接的模块化甲板敷料
CN113653712A (zh) * 2021-07-21 2021-11-1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绝缘材料平整固定结构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7773A (zh) * 2019-09-25 2020-01-10 靖江市金舟船舶器材有限公司 一种便于组合连接的模块化甲板敷料
CN113653712A (zh) * 2021-07-21 2021-11-1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绝缘材料平整固定结构及方法
CN113653712B (zh) * 2021-07-21 2022-11-1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绝缘材料平整固定结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3478B1 (en) Heating device for use below ship decks
CN105352371B (zh) 一种厢体式激光低空安保防护系统
KR102184163B1 (ko) 일종의 중공관을 클램핑한 금속판
AU2017208336B2 (en) Storage tank insulation joint apparatus and method
CN104919699A (zh) 用于屋顶支架的减磨损系统
PT2678252T (pt) Contentor marítimo que se pode fechar por todos os lados
CN109458309A (zh) 风力涡轮机机舱平台结构
KR20160074636A (ko) 철도 차량
KR20130007230U (ko) 부유식 구조물의 바닥 유닛
KR20150004141A (ko) 계단의 발열장치
CN102555753B (zh) 用于将蓄电池保持在汽车车身内的装置
KR102641341B1 (ko) 극지 선박의 선수 차폐 구조
KR10179435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탱크 내벽 구조
US11155970B2 (en) Suspension mounted heating system
KR101332307B1 (ko) 선박갑판용 온열통행로
KR200489164Y1 (ko) 크레인 전력 케이블용 커버링장치
KR20170088567A (ko) 선박용 헬리데크
US11505899B2 (en) Anti-icing surface with polymeric supports
KR102039612B1 (ko)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6829709B2 (ja) フロアヒータ装置
US5899039A (en) Method for installing a suspended ceiling in a storage tank
KR102490346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분리 구조형 펌프 타워 베이스 서포트
KR20150002063U (ko) 헬리 데크
EP2176157B1 (en) Arrangement for installing cables on outer surfaces of crane structures
KR20140003357A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