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153U -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153U
KR20130007153U KR2020120004723U KR20120004723U KR20130007153U KR 20130007153 U KR20130007153 U KR 20130007153U KR 2020120004723 U KR2020120004723 U KR 2020120004723U KR 20120004723 U KR20120004723 U KR 20120004723U KR 20130007153 U KR20130007153 U KR 20130007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able terminal
keyboard
mobile termi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주)이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퓨 filed Critical (주)이퓨
Priority to KR2020120004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153U/ko
Publication of KR20130007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P)가 거치되는 제1지지대(10); 상기 제1지지대(1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휴대단말기(P)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제2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로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함으로써 작업을 위한 시야각이 용이하게 확보되며, 휴대단말기가 제1지지대의 수납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운반되어 휴대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조정해주면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시 돌출부를 최소화하고, 키보드와 함께 사용시 노트북과 같은 사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처럼 휴대가 용이한 정보처리기기를 지칭하며, 최근에는 기기의 성능향상과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료의 검색과 다운로드가 가능해짐에 따라 간단한 문서작성이나 일정관리용으로 사용되던 기존 단말기의 한계를 벗어나 인터넷검색, 동영상/음악감상, 게임과 같이 다양한 용도에서 컴퓨터를 대체하는 수준에 이를 정도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휴대폰과 같은 작은 휴대단말기로는 화면이 작아서 정보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표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데이터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화면에 표시되므로 데이터 입력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애플사의 아이패드처럼 큰 액정패널을 적용한 휴대단말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처럼 대화면을 채택한 기기의 경우 중량증가로 장시간 작업시 손에 들고 작업하기가 어려우며 책상이나 바닥에 놓고 사용할 경우 바닥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시야각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조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종래의 거치구조를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07-0027859호에서 휴대단말기 받침대와 키보드 본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휴대단말기가 세워져 거치 됨에 따라 작업중의 시야각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키보드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로의 정보입력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을 활용한 다기능 키보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키보드는 단말기 받침대와 키보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장치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되고, 돌출부가 많아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휴대단말기들이 대부분 화면에 구현되는 가상키보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므로 반드시 키보드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선행기술은 키보드가 일체로 되어 있어 휴대, 운반 등에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공간활용도와 휴대성이 향상되면서도 거치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키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운반과정에 무게를 줄여주므로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휴대단말기(P)가 거치되는 제1지지대(10); 상기 제1지지대(1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휴대단말기(P)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제2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1지지대는(10)는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의 일부분만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부분과 자석으로 결합되면서 휴대단말기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것 중에서 택일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대(20)는 키보드이거나, 내측에 수납부(21)가 형성되어, 키보드(K)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와 수납부(21)는 내측에 휴대단말기(P) 또는 키보드(K)의 고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12)(22)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 1지지대(10)와 제 2지지대(20)는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 결합된 제1, 제2지지대의 결합각도를 조정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함으로써 작업을 위한 시야각이 용이하게 확보되며, 휴대단말기가 제1지지대의 수납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운반되어 휴대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지지대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키보드를 간편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입력작업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 및 운반 중 상기 키보드가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키보드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무게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및 2 지지대를 절첩시에 노트북을 접은 형태가 되므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휴대시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키보드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지지대 탈부착구조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각도조절구조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휴대단말기(P)가 거치되는 제1지지대(10); 상기 제1지지대(1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휴대단말기(P)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제2지지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10)는 휴대단말기(P)의 배면과 둘레를 감싼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휴대단말기(P)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케이스의 역할을 하게 되며, 도 2 또는 도 3처럼 일측에 결합된 제2지지대(20)가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 힌지구조의 회동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각도조절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을 위한 휴대단말기(P)의 시야각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휴대단말기(P)를 들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지지대(20)를 손잡이 삼아 들고다닐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20)는 내측에 수납부(21)가 형성되어, 키보드(K)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키보드(K)는 거치대 구조의 간소화를 위해 블루투스나 RF방식의 무선키보드가 주로 사용되며 도 3 내지 도 4처럼 휴대단말기를 노트북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수납부(21)는 입력작업 중에 키보드(K)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키보드(K)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와 수납부(21)는 내측에 휴대단말기(P) 또는 키보드(K)의 고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12)(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부재(12)는 휴대단말기(P)나 키보드(K)가 작업 및 운반중에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돌기를 이용한 고정방식 외에도 자석이나 벨크로테입, 양면테입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지지대(10)가 다양한 규격의 휴대단말기(P)에 대응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 반대측 단부에 휴대단말기(P)의 일측 모서리부분의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홈(14)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거치홈(14)에 수납되는 휴대단말기(P)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휴대단말기(P) 케이스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거치대 상에 탈부착되므로 거치대의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에서 거치홈(14)이 어떠한 크기의 휴대단말기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거치홈(14)의 입구측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삽입시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홈(14)의 입구측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나머지 부분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10)가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휴대단말기의 범퍼케이스와 같이 경질의 재료를 이분형성하여 체결수단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하거나,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휴대단말기의 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은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지지대(20)는 키보드(K)로서 키보드(K)의 일측에 제 1지지대(10)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절첩시 노트북과 같은 형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지지대(10)에는 휴대단말기(P)의 일측 모서리부분과 자석(M)으로 결합되면서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형성된다.
또한 도 12 내지 14와 같이 제 2지지대(20)인 키보드(K)에 삽입홈(24)을 형성하고, 제 1지지대(10)가 절첩시 상기 삽입홈(24)내로 삽입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대(10)를 펼쳤을때 상부면에는 휴대단말기(P)가 삽입 고정되는 거치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14)의 내부에는 휴대단말기(P)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연질 합성수지(15)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에서 제 1지지대(10)와 제 2지지대(2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15와 같이 상기 제 1지지대(10)와 제 2지지대(20)의 대응부위에 각각 체결홈(10a)과 상기 체결홈(10a) 내로 삽탈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진하는 체결핀(20a)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6은 제 1지지대(10) 각도조절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대(10)의 힌지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10b)에 접하는 볼플렌져(20b)를 제 2지지대 상에 구비함으로써, 제 1지지대(10)의 회동시 걸림홈(10b)과 볼플렌져(20b)가 맞물리며 각도 조절이 견고하게 구현된다.
10 : 제1지지대 12 : 체결부재
20 : 제2지지대 21 : 수납부
P : 휴대단말기 K : 키보드

Claims (5)

  1. 휴대단말기(P)가 거치되는 제1지지대(10);
    상기 제1지지대(1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휴대단말기(P)의 거치각도를 조정하는 제2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20)는 내측에 수납부(21)가 형성되어, 키보드(K)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는(10)는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의 일부분만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부분과 자석으로 결합되면서 휴대단말기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것 중에서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4. 제 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10)와 수납부(21)는 내측에 휴대단말기(P) 또는 키보드(K)의 고정을 위해 체결부재(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10)와 제 2지지대(20)는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20120004723U 2012-06-05 2012-06-05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30007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23U KR20130007153U (ko) 2012-06-05 2012-06-05 휴대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23U KR20130007153U (ko) 2012-06-05 2012-06-05 휴대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53U true KR20130007153U (ko) 2013-12-13

Family

ID=5244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23U KR20130007153U (ko) 2012-06-05 2012-06-05 휴대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1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040B2 (en) Supporting device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US8625273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201100506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20030142471A1 (en) Replaceable cover for handheld computer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12130624A (zh) 混合计算设备、装置和系统
US9092193B2 (en) Electronic device
TW201401019A (zh)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之電子裝置
KR20070092042A (ko) 정보처리장치용 홀딩케이스
US20120057289A1 (en) Dual-Use Portable Display Device
TW201514664A (zh) 用於可攜式運算裝置之支架
US20160062395A1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JPWO2007086117A1 (ja) 電子機器および支持部材
KR20070092044A (ko) 휴대용전자장치
CN106068485B (zh) 可分离电子装置
KR20140090921A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CN103425196A (zh) 电子装置
US9107288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5554197B (zh) 外壳及移动终端
KR20130007153U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US11360516B2 (en) Portable device for proces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ound, and video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