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09A - 조직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조직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609A
KR20130006609A KR1020127023182A KR20127023182A KR20130006609A KR 20130006609 A KR20130006609 A KR 20130006609A KR 1020127023182 A KR1020127023182 A KR 1020127023182A KR 20127023182 A KR20127023182 A KR 20127023182A KR 20130006609 A KR20130006609 A KR 2013000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annula
cutting device
irrigation
outer cann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엘. 마크
브라이언 시. 도허티
Original Assignee
니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700,456 external-priority patent/US8486097B2/en
Application filed by 니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니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61B17/1606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of forceps type, i.e. having two jaw element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1608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of forceps type, i.e. having two jaw element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jaw elements being linked to two elongated shaft elements moving longitudinally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1611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of forceps type, i.e. having two jaw element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jaw elements being linked to two elongated shaft elements moving longitudinally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jaw elements being integral with respective elongate shaf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6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with tissue or sample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원의 조직 절단장치는 활주식 절단부재와 고정식 기초부재를 포함한다. 활주식 절단부재는 개방된 말단부와 개방된 기부근방 단부에 의해 한정된다. 활주식 절단부재는 작동기 조립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고정식 기초부재는 그 말단부에 배치된 상향하여 신장되는 발판을 갖는다. 활주식 절단부재는 고정식 기초부재에 대해 왕복운동 하게 형성된다. 활주식 절단부재의 말단부와 발판은 함께 협력하여 조직을 수용하는 개구를 한정한다. 진공 소스가 절단부재의 기부근방 단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절단부재를 통해 진공을 전달한다. 이 형성은 다수의 조직 샘플이 1회 삽입으로 취해질 수 있게 하여, 환자에 대한 조직 제거시간과 외상을 최소화 한다. 발판은 추가로 바탕 면을 포함하여 잘라져야 할 조직을 보유하는 작용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제거장치{TISSUE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조직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 및 척수 종양, 낭종(cysts), 병변, 또는 신경 혈종(hematomas)과 같은 신경계의 여러 이상(abnormality)은, 운동기능의 악화, 메스꺼움이나 구토, 기억력이나 의사소통 문제, 행동 변화, 두통, 또는 발작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괴로워하는 환자에게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는 비정상적 조직 매스(masses)의 절제(resection)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신경계의 복잡함과 중요성으로, 그런 신경외과 처리방식(neurosurgical procedures)은 극히 섬세하며, 매우 정밀하고 세심하게 실행되어야한다.
두뇌와 척추 조직을 잘라내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다른 형식의 처리방식이 있다. 하나의 그런 처리방식에는 개방 경두부(transcranial) 수술이 있고; 다른 하나의 처리방식에는 코내부(endonasal) 신경외과 수술이 있는데, 신경외과 처리방식은 코를 통해 수행된다. 각 처리방식은 이상이 있는 부위에 따라 그 자신 만의 장점이 있다. 뇌하수체와 관련된 이상의 경우 예를 들어, 코내부 접근 방식이 특히 유용하다.
조직을 절제하는, 심지어 뼈 재료(bony material)를 절제하는 다양한 의료 처리과정에 골경자(rongeurs) 또는 Kerrison 타입 절단기(cutter)로 지칭되는 펀치(punch) 타입 포셉(forcep)이 이용되어 왔다. 알려진 펀치 장치는 단순히 조직 부위를 그 사이에서 집도록(pinch) 벽 부재(wall member)에 대항하여 동작하는 활주식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활주식 블레이드와 벽 부재가 효율적으로 그립(grip)하고, 다음 그 기질로부터 조직을 찢어낸다(tear). 그러나, 작동 경로의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펀치 장치가 경로 내에 수용되기에 충분하게 작아야 하며, 그래야 블레이드 각각의 미끄럼 이동으로 제한된 양의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펀치를 작동한 후, 펀치 장치는 펀치 장치로부터 찢어진 조직을 제거하도록 경로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회 삽입은 경로가 깨끗한 펀치 장치(및 여러 조직제거 작동)를 제조하게 하며, 경로에서의 출혈 증가에 더하여, 처리과정을 길게하고 환자에게 증가된 외상이 발생하게 한다. 또한 출혈을 없애려면, 별도의 흡입 장치의 삽입이 필요하여, 처리과정의 길이는 훨씬 더 길어진다.
또한 알려진 펀치 장치에서는 중공 관의 기부근방(proximal) 단부가 발판(footplate)에 대항하여 펀치가 이동하도록 함께 압착되는 핸드 그립에 연결된다. 작동 시, 핸드 그립이 작동하지 않았을 때, 발판과 커터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조직 및/또는 뼈 재료가 갭에 들어가며, 핸드 그립을 작동하여 커터가 발판에 대하여 동작하여, 갭에 위치한 조직 및/또는 뼈 재료를 잡고 및/또는 절단한다.
대부분의 종래 기술에서 설계된 발판은 그 각도가 40°또는 90°를 포함하는 각도로 형성된다. 이런 설계는 다양한 임상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효과적인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 접근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게 만들어 졌다. 예를 들어, 40°각도의 발판은 조직 면 아래에서 획득하여 가져올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가장 눈에 띄게 사용된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발판이 삽(shovel)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연골 조직, 경성 뼈, 연성 조직이 발판과 커터 사이의 갭을 빠져나와(slip out), 절단기구가 발판쪽으로 전진하면서 발판을 벗어날 수 있다.
1실시예에서, 본원의 조직 절단장치는 활주식 절단부재와 고정식(stationary) 기초부재(base member)를 포함한다. 활주식 절단부재는 개방된 말단부(open distal end) 및 개방된 기부근방 단부에 의해 한정된다. 활주식 절단부재는 작동적으로 작동기 조립체에 연결된다. 고정식 기초부재는 그의 말단부에 배치된 상향하여 신장하는 발판을 갖는다. 활주식 절단부재는 고정식 기초부재와 관련한 왕복운동을 하게 형성된다. 활주식 절단부재의 말단부와 발판은 함께 협력하여 조직을 수용하는 개구를 한정한다. 진공 소스는 절단부재를 통해 진공을 전달(deliver)하도록 절단부재의 기부근방 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런 구조는 여러 조직 샘플이 1회 삽입을 취하게 하여 조직 제거 시간과 환자에 대한 외상을 최소화 한다.
다른 구조에서, 기초부재는 부가로 기초부재의 기부근방 단부로부터 기초부재의 말단부까지 신장하는 관주 채널을 포함한다. 관주 채널은 기부근방 단부에서 관주 소스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구조에서,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관주 채널 및 발판을 통해 형성된 개구와 연통하는 절단 면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구조에서, 발판은 절단부재가 발판쪽으로 이동할 때 절단되는 재료를 작동적으로 유지하도록 그립(grip)부로서 역할을 하는 바탕 면(textured surface)으로 형성된 접촉 면을 한정한다. 바탕 면은 다음 중 하나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요홈(groove)인, 적어도 1개의 신장 피크 혹은 밸리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serration), 및 복수개의 제1 및 제2기부근방으로 신장되는 상호 교차하는 접촉 엣지에 의해 한정되는 와플(waffle) 패턴. 접촉 면에는 굵고 거친 그릿 코팅(coarse grit coating)이 적용된다.
조직 절단장치의 작동 조립체는 제1 및 제2그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재 중 하나는 피벗식으로 슬리브(sleeve)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고, 상기 슬리브는 절단부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절단부재의 측벽을 통해 형성된 통기구(vent aperture)와 기초부재에게 고정된 밀봉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구는 절단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차단되지 않아 조직수용 개구를 노출하고, 절단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으면 차단되어 조직수용 개구를 닫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직 절단장치는 말단부 및 기부근방 단부에 의해 한정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외부 캐뉼러와, 외부 캐뉼러 내에 배치된 선택적으로 왕복운동하는 내부 캐뉼러를 포함한다. 내부 캐뉼러는 말단부 및 기부근방 단부에 의해 한정된다.
하우징은 허브부재를 보유하며, 외부 캐뉼러의 일부분이 허브 부재에 고정된다. 작동 조립체는 내부 캐뉼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작동 조립체의 작동은 내부 캐뉼러가 외부 캐뉼러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한다. 진공 소스는 작동적으로 내부 캐뉼러에 연결된다.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캐리어 부재를 가진 셔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부재는 작동 조립체에 연결되며, 캐리어 부재는 작동 조립체의 작동이 내부 캐뉼러를 이동하게 내부 캐뉼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편향 부재(biasing member)는 작동적으로 셔틀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편향 부재는 내부 캐뉼러의 말단부가 외부 캐뉼러의 말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후퇴 위치로 내부 캐뉼러를 편향시킨다.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캐리어 부재에 고정된 장착 슬리브를 포함한다. 내부 캐뉼러는 셔틀부재와 내부 캐뉼러가 이동하도록 장착 슬리브에 고정된다. 장착 슬리브는 부가로 가늘고 긴 섹션과 장착 섹션을 포함한다. 장착 섹션은 캐리어 부재의 어느 1측에 배치된 플랜지 부재를 갖는다. 장착 슬리브의 가늘고 긴 섹션은 부가로 내부 캐뉼러를 통해 신장되는 통기구를 포함한다. 장착 슬리브의 가늘고 긴 섹션을 수용하는 교합(mating) 슬리브가 제공될 수도 있다. 교합 슬리브는 내부 캐뉼러가 절단 위치에 있을 때 통기구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관주 포트(irrigation port)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주 포트는 내부 캐뉼러와 외부 캐뉼러 사이에 형성된 갭 사이에 관주를 전달하도록 관주 공급부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회전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 다이얼은 회전 다이얼이 작동되었을 때 허브 부재가 회전하도록 허브 부재에 고정된다.
외부 캐뉼러는 내부 캐뉼러가 발판쪽으로 이동할 때 절단되는 재료를 작동적으로 보유하는 그립으로 역할을 하는 바탕 면으로 형성된 접촉 면을 한정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탕 면은 다음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신장 피크 혹은 밸리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 적어도 하나의 요홈; 및 복수개의 제1 및 제2기부근방으로 신장되는 상호교차하는 접촉 엣지에 의해 한정된 와플 패턴. 접촉 면 및/또는 바탕 면에는 굵고 거친 그릿 코팅이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직 절단장치는 말단부 및 기부근방 단부에 의해 한정된 선택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외부 캐뉼러와; 외부 캐뉼러 내에 배치되는 축방향(axially)으로 고정되고, 말단부와 기부근방 단부에 의해 한정된 내부부재와; 내부부재의 일부분이 고정되는 허브 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작동 조립체의 작동이 외부 캐뉼러가 내부부재 위를 왕복운동하게 하고, 외부 캐뉼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작동 조립체; 및 장치의 말단부에 진공을 전달하게 형성된 진공 소스를 포함한다.
조직 절단장치는 부가로 캐리어 부재를 가진 셔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부재는 작동 조립체에 연결되며, 캐리어 부재는 작동 조립체의 작동이 외부 캐뉼러를 왕복운동시키도록 외부 캐뉼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바이어스 부재는 작동적으로 셔틀부재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이어스 부재는 외부 캐뉼러의 말단부가 내부 캐뉼러의 말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퇴 위치로 외부 캐뉼러를 편향시킨다.
장착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장착 슬리브는 캐리어 부재에 장착되며, 외부 캐뉼러는 셔틀부재와 같이 외부 캐뉼러가 이동하도록 장착 슬리브에 고정된다.
회전 다이얼은 회전 다이얼을 작동했을 때 장착 슬리브가 회전하도록 장착 슬리브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캐뉼러는 부가로 그의 측벽을 통해 신장되는 통기구와, 외부 캐뉼러의 말단부가 내부부재의 말단부쪽으로 이동할 때 통기구를 밀봉하게 형성된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재는 통기구의 기부근방에 배치되는 장착 플랜지의 밀봉단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통기구는 밀봉 단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챔버 내에 수용되었을 때 밀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허브 부재는 부가로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관주 포트와 연통하는 관주 개구를 포함한다. 관주 구멍은 내부부재와 외부 캐뉼러 사이에 형성된 채널로 관주를 전달한다. 관주 개구는 내부부재의 말단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1장치에서, 내부부재는 부가로 요홈 면과 반대편의 베어링 면을 포함한다. 요홈 면은 관주 채널을 한정하도록 외부 캐뉼러의 내부 루멘(lumen)과 서로 함께 협력한다. 베어링 면은 일반적으로 내부 루멘의 모양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부재는 부가로 그의 말단부 근방에 배치된 조직 수용 개구와 내부부재 내에 위치한 관주 공급관을 포함한다.
조직 절단장치의 접촉 면은 외부 캐뉼러가 내부부재의 발판쪽으로 이동할 때 절단되는 재료를 작동적으로 보유하도록 그립으로 역할을 하는 바탕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탕 면은 다음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신장 피크 혹은 밸리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 적어도 하나의 요홈; 및 복수개의 제1 및 제2기부근방으로 신장되는 상호교차하는 접촉 엣지에 의해 한정되는 와플 패턴. 접촉 면 및/또는 바탕 면에는 굵고 거친 그릿 코팅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1A는 관주 흡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B는 1B-1B선을 따라 절취된 도1A의 관주 흡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2A는 관주 흡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B는 2B-2B선을 따라 잘라낸 도2A의 관주 흡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3A는 관주 흡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3B는 도3A의 관주 흡입 장치의 작동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3C는 도3A의 관주 흡입 장치의 작동부분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3D는 도3C로부터의 3D영역의 단부도이다.
도3E는 도3A로부터 취해진 3E영역의 확대도이다.
도3F는 도3E에서 3F-3F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단부도이다.
도3G는 도3E에서 3F-3F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4A는 관주 흡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4B는 도4A로부터의 4B영역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
도4C는 도4A의 관주 흡입 장치의 말단부의 평면도이다.
도4D는 도4A의 관주 흡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4E는 도4D로부터의 4E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F는 도4D로부터의 4F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G는 도4D로부터의 4G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H는 도4G에서 4H-4H선을 따라 취해진 내부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다.
도4I는 관주 흡입 펀치의 다른 장치의 말단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4J는 도4I의 4J-4J선을 따라 취해진 말단부의 횡단면도이다.
도4K는 살린(saline) 허브의 다른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4L은 도4A-4H 또는 도4I-4K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관주 흡입 펀치의 말단부에 대한 다른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4M은 도4L에서 4M-4M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단부도이다. .
도4N은 도4L에서 4N-4N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5A는 도4A-4H 또는 도4I-4K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관주 흡입 펀치의 말단부에 대한 다른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5B는 도5A에서 5B-5B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단부도이다.
도6A는 도4A-4H 또는 도4I-4K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주 흡입 펀치의 말단부에 대한 다른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6B는 도6A에서 6B-6B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단부도이다.
도7A는 도4A-4H 또는 도4I-4K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관주 흡입 펀치의 말단부에 대한 다른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7B는 도7A에서 7B-7B선을 따라 취해진 발판의 단부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원의 시스템과 방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몇몇 가능한 해결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의 척도는 필수적이지 않은 것이고, 어떤 특징부는 본원의 설명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확대, 제거, 또는 부분적 구분이 된 것이다. 또한, 다음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구성과 그에 따른 설명인 것이며, 그 기술 내용만으로 본원의 청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은 절제에 사용되는 장치의 여러 구성요소와, 조직 절제의 방법도 기재한다. 본원에 기재된 구성요소는 외과의사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최소한의 외과적인 수술 기법을 제공하면서 환자에 대한 외상을 최소화하는 향상된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1B를 참조하여 흡입 펀치(200)의 제1실시예를 기술한다. 흡입 펀치(200)의 제1실시예는 기초부재(202)와 기초부재(202)상에서 활주하는 선택적 활주식 절단부재(204)를 포함한다. 흡입 펀치(200)의 말단부(206)는 기초부재(202)로부터 상향하여 신장하며, 절단 면(208)을 한정하는 발판을 형성한다.
흡입 펀치(200)는 부가로 작동기 조립체(210)를 포함한다. 작동기 조립체(210)는 제1그립부재(212)와 제2그립부재(214)를 포함한다. 제1그립부재(212)는 피벗식으로 슬리브(218)에 연결된 제1단부(216)를 포함한다. 제1그립부재(212)의 제2단부(284)는 손가락 또는 엄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22)를 가진 그립부재로 형성된다. 제2그립부재(214)는 고정적으로 기초부재(202)에 연결된 제1단부(224)를 포함한다. 제2그립부재(214)의 제2단부(226)도 개구(228)를 가진 그립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활주식 절단부재(204)는 개방된 말단부(230)와 개방된 기부근방 단부(232)에 의해 한정된다. 활주식 절단부재(204)는 개방 위치와 절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개방 위치에서, 말단부(230)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면(208)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조직수용 개구(233)를 발생 시킨다. 절단 위치에서, 말단부(230)는 활주하여서 절단 면(208)과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조직수용 개구(233)를 폐쇄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직수용 개구(233)의 내부를 이탈(prolapses)하는 조직을 절단한다.
말단부(230)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직을 잘라내기에 충분히 날카로운 절단 엣지(cutting edge)로 형성된다. 기부근방 단부(232)는 진공 소스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배관 라인(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피팅(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 펀치(200)가 작동하는 동안 절단부재(204)를 통해 진공이 전달된다(화살표 V로 표시). 슬리브(218)는 기부근방 단부(232) 근방에서 절단부재(20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작동 시, 흡입 펀치(200)의 말단부(206)는 환자의 관심 조직 근방의 부위에 삽입된다. 흡입 펀치(200)의 적절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 흡입 펀치(200)는 (절단 면(208)상의 조직을 끌거나(drag) 얽히지(snag) 않도록) 삽입하기에 앞서 폐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되는 동안, 진공 소스는 작동상태이지만, 대기와 통기(vent)하여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질 때까지 조직이 흡입 펀치(200) 안으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통기가 이루어지게, 절단부재(204)의 측벽을 통하는 구멍(233)(가상선으로 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 펀치(200)가 개방 위치에 있으면, 구멍은 차단이 해제되어 장치가 통기를 실행한다. 흡입 펀치(200)가 폐쇄 위치에 있으면, 구멍(233)이 밀봉되어 진공을 유지한다. 1실시예에서, 밀봉 슬리브(235)가 제공되며, 상기 밀봉 슬리브(235)(가상선 참조)는 기초부(20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절단부재(204)는 기초부를 통해 활주하게 형성된다. 절단부재(204)가 말단부로 이동함으로써, 구멍(233)은 밀봉 슬리브(235)쪽으로 활주하며, 상기 슬리브는 어느 1단부에서 0링과 같은 1쌍의 밀봉부를 포함한다. 그 안에 구멍이 수용되었으면, 구멍(235)은 효과적으로 밀봉되어, 흡입 장치(200)는 진공을 회복한다. 또한, 선택적 통기를 제공하는 다른 구조도 고려된다. 일단, 배치되었으면, (통기구를 폐쇄하여) 진공이 회복되며, 흡입 펀치(200)는 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진공 소스는 조직 수용 개구(233) 안으로 조직을 기계적으로 인출한다. 다음, 제1그립부재(212)를 화살표(F) 방향으로 제2그립부재(214)쪽으로 작동시킨다. 이 동작은 절단부재(204)의 말단부(230)가 화살표(C) 방향으로 절단 면(208)쪽으로 이동하도록 절단부재(204)가 기초부(202)를 따라 활주하게 한다. 1실시예에서, 절단 면(208)에는 절단부재(204)의 말단부(230)에 형성된 절단 엣지와 함께 협력하는 절단 립(lip)(236)이 제공되어, 조직을 깨끗하게 잘라낸다.
흡입 장치(200)가 조직 수용 개구(233)에 진공을 제공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수동식 절단동작은 자동적으로 조직의 잘라낸 부위(코 내부 접근(endonasal approach)을 위한 비개골(turbinates)(12))를 환자로부터 떨어지게 전달한다. 1실시예에서, 조직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조직의 잘라진 부분을 보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조직 필터는 흡입 장치(200)의 기부근방 단부(232)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조직 필터는 먼거리에 배치되어, 배관에 의해 흡입 장치(200)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Kerrison 펀치와 같은 종래기술의 펀치 장치와 다르게, 흡입 장치(200)의 1회 삽입 만이 원하는 경로에서 특정 조직을 잘라내는데 필요하다. 실제로 여러 조직의 절단 동작이 1회 삽입으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장치(200)는 빠른 처리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외상도 덜 발생하게 한다.
조직이 흡입 장치(200)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초부재(202)에는 부가로 관주(irrigation) 채널(238)이 제공된다. 관주 채널(238)은 기초부재(202)의 개방된 기부근방 단부(240)로부터 신장한다. 기부근방 단부(240)는 피팅을 수용하게 형성되며, 상기 피팅은 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관주 공급부에 연결된다. 적절한 관주 공급수는 식염수(saline) 또는 링거(ringers)를 포함할 수 있다.
관주 채널(238)은 부가로 말단부(242)를 포함하며, 상기 말단부(242)는 흡입 장치(200)의 말단부(206)에 있는 절단 면(208) 근방에 형성된 가늘고 긴 교합(mating) 채널(244)(도1B에서 가상선으로 가장 잘 나타냄)에 인접한다.
작동 시, 관주는 관주 채널(238)을 통해 제공되어, 조직 수용 개구(233)로 전달된다. 조직을 잘라내면, 관주가 환자의 신체로부터 제거된 조직으로 전해져, 조직을 윤활하고, 세정(flushing) 메커니즘으로 역할을 하여, 흡입 펀치(200)를 통해 조직을 전달하여 폐색(occlusion)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 장치(200)를 작동하여 환자가 배출하는 관주 유체를 세정하는데 진공도 적용할 수 있다.
흡입 펀치(300)의 기초부재(302)의 다른 배치의 구성요소를 도3A 및 도3B에 나타내었다. 도3A는 기초부재(302)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302)는 흡입 펀치(300)의 말단부(306)에 연결되며, 상기 말단부는 절단 면(308)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판을 한정한다. 절단 립(336)도 또한 절단 면(308)에 제공된다.
흡입 펀치(200)와 마찬가지로, 흡입 펀치(300)의 기초부재(302)도 말단부(342)까지 기초부재(302)의 길이를 따라 기부근방 단부(334)로부터 신장하는 관주 채널을 포함한다. 기부근방 단부(334)에서, 관주 채널(302)은 흡입 펀치(200)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관주 공급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말단부(342)에서, 관주 채널은 절단 면(308)의 기초부(347)에 형성된 개구(346)에 인접한 요홈(344)에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 시, 관주 유체는 절단 면(308)의 기초부(347)에 공급되게 된다.
흡입 펀치(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3A 내지 도5G에 나타내었다. 흡입 펀치(400)는 말단부(404)와 기부근방 단부(406)(도3C에 가장 잘 도시됨)에 의해 한정된 외부 캐뉼러(402)를 포함하며, 상기 기부근방 단부는 하우징 부재(408)의 내부에 배치된다(추가로 아래에서 설명됨). 조직 수용 개구(410)는 말단부(404)에 인접한 외부 캐뉼러(402)에 형성된다. 외부 캐뉼러(402)는 선택적 회전운동을 하게 형성된다. 특정하게는, 회전 다이얼(412)이 외부 캐뉼러(402)의 외부 면에 고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접합제 간섭물(glue interference)을 사용하여 외부 캐뉼러(402)에 회전 다이얼(412)을 고정시킨다. 회전 다이얼(412)을 회전시키면, 조직 수용 개구(410)도 회전하여, 작동하는 동안 흡입 펀치(400)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조직 수용 개구(410)의 말단부위로, 외부 캐뉼러(402)의 말단부(404)에 절단 면 또는 발판(414)이 형성된다.
도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캐뉼러(402) 내에는 내부 절단 캐뉼러(416)가 배치된다. 내부 절단 캐뉼러(416)는 그 말단부(420)에 배치된 절단 엣지(418)를 포함한다. 절단 엣지(418)는 조직 수용 개구(410)의 말단 엣지(422)와 함께 협력하여 조직 수용 개구(410) 내부에 수용된 조직을 잘라낸다. 내부 절단 캐뉼러(416)의 기부근방 단부(424)는 진공 라인(428)이 작동적으로 연결된 피팅 미늘(barb)(426)에 배치된다. 내부 절단 캐뉼러(416)는 하우징 부재(408)의 내부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내부 절단 캐뉼러(416)는 작동을 하는 동안 외부 캐뉼러(402)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활주 또는 왕복운동을 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내부 절단 캐뉼러(416)가 또한 회전 다이얼(412)의 회전이 외부 캐뉼러(402)와 함께 내부 절단 캐뉼러(416)를 회전하는 역할도 하게 외부 캐뉼러(40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우징 부재(408)는 작동 부재(430)에 장착된다. 작동 부재(430)는 제1핸들장치(432)와 제2핸들장치(434)를 포함한다. 제1핸들장치(432)는 셔틀 하우징(436)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1예의 구조에서, 셔틀 하우징(436)은 제1핸들장치(4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핸들장치(432)에는 추가로 사용의 편의를 위해 엄지 그립(438)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핸들장치(434)는 셔틀 하우징(436)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핸들장치(434)의 제1단부(440)는 슬롯(442) 내에 수용되며, 상기 슬롯은 셔틀 하우징(436)의 내부에 배치된 선택적 활주식 셔틀부재(444)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2핸들장치(434)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그립부재(446, 448)가 형성될 수 있다.
셔틀부재(444)는 셔틀 하우징(436)에 배치된 로드(450)(도3C에 가장 잘 도시됨)에 장착된다. 로드(450)는 말단부(452)와 기부근방 단부(454)에 의해 한정된다. 말단부(452)는 셔틀 하우징(436)의 말단 면(456)에 고정된다. 기부근방 단부(454)는 셔틀 하우징(436)의 기부근방 면(458)에 고정된다. 편향 부재(460)는 말단 면(456)과 셔틀(444)의 말단부가 접하도록 셔틀(444)의 말단부위의 로드(450)에 배치된다. 편향부재(460)(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음)는 말단 면(456)에서 멀어지는 후퇴 위치로 셔틀(444)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1예의 배치에서는 정지 부재(462)가 로드(450)의 기부근방 단부(454)에 고정된다. 정지부재(462)는 셔틀(444)이 편향부재(460)에 의해 후퇴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1예의 배치에서는 작동 부재(430)가 재사용 요소(re-useable element)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부재(464)는 셔틀(444)에 의해 갖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 부재(464)의 단부 부분은 도3D에 도시되었다. 캐리어 부재(464)는 장착 요홈(468)의 측면이 상향하여 신장된 벽 부재(466)를 포함한다. 캐리어 부재(464)는 셔틀 하우징(436)으로부터 상향하여 신장된다.
하우징 부재(408)는 셔틀 하우징(436)에 고정된다. 1예의 배치에서, 하우징 부재(408)는 하우징 부재(408)로부터 하향하여 신장하고 셔틀 하우징(436)의 말단 면(456)에 형성된 장착 요홈(472)과 계합하는 잠금 탭(470)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408)의 기부근방 단부(474)는 추가로 셔틀 하우징(436)의 일부분을 파지하도록 스냅 돌출부(478)을 가진 하향 연장되는 벽 부재(47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8)의 내부에는 장착 슬리브(480)가 배치된다. 장착 슬리브(480)는 장착 섹션(484)에 연결되는 가늘고 긴 섹션(482)을 포함한다. 장착 섹션(484)의 어느 일측에 플랜지 부재(486)가 배치된다. 장착섹션(484)은 캐리어 부재(464)의 장착 요홈(468)의 내부에 수용된다. 가늘고 긴 섹션(482)의 말단부(488)는 교합 슬리브(487)에 형성된 채널(485) 내에 활주동작으로 수용된다. 장착 슬리브(480)는 내부 절단 캐뉼러(416)의 외부 면에 고정된다. 내부 절단 캐뉼러(416)가 외부 캐뉼러(402)와 함께 회전하도록, 가늘고 긴 섹션(482)에는 채널(484)에 형성된 대응 키의 표면(keyed surface)(도시되지 않음)과 교합하는 키의 표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내부 절단 캐뉼러(416)는 여전히 채널(484) (및 궁극적으론 외부 캐뉼러(402)) 내에서 선택적으로 활주할 수 있는 것이지만, 교합 슬리브(487)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내부 허브부재(490)는 하우징 부재(408) 내에 제공된다. 허브부재(490)는 회전 다이얼(412)에 고정된 제1단부와 교합 슬리브(487)에 고정된 제2단부를 갖는다. 외부 캐뉼러(402)의 기부근방 단부(406)는 허브부재(490)에 고정된다.
하우징 부재(408)를 통해 형성되는 관주 포트(492)는 허브 부재(490)의 개구(494)와 연통한다. 작동 시, 관주(예: 온수, 식염수, 또는 링거)는 하우징 부재(408)와 허브부재(490) 내로 유입되어, 내부 절단 캐뉼러(416)와 외부 캐뉼러(402) 사이의 공간 내에 관주를 전달한다. O-링과 같은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개구(494)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요홈(496)에 배치되어, 외부 캐뉼러(402)와 내부 절단 캐뉼러(416) 사이로 관주가 향하게 한다.
흡입 펀치(400)의 기부근방 단부에 배치된 피팅 부재(498)는 피팅 하우징(499)에 배치된다. 피팅 부재(498)는 피팅 미늘(424)을 갖고, 밀봉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장착 요홈(50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라인(428)은 피팅 미늘(424)에 연결되어 내부 절단 캐뉼러(416)에 진공을 제공한다. 요홈(500)에 배치된 밀봉부재는 진공이 내부 절단 캐뉼러(416)로 전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캐뉼러(416)에도 흡입 장치(400)의 선택적 통기를 제공하기 위한 통기구(501)가 제공된다. 내부 캐뉼러(416)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수용 개구(410)로부터 후퇴되면, 통기구(501)가 개방된다. 그러나 내부 캐뉼러(416)가 절단 위치에 (즉, 말단부(418)가 절단 면(422)과 접촉하고 있을 때) 있으면, 통기구(501)는 밀봉된다. 특정하게 설명하면, 1예에서, 장착 슬리브(480)는 적어도 통기구(501)가 노출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교합 슬리브(487)의 채널(485)로부터 이동하며, 상기 통기구는 장착 슬리브(480)와 내부 캐뉼러(416) 양쪽을 통해 신장된다. 내부 캐뉼러(416)가 절단 행정 동안 전진하였을 때, 통기구(501)는 장착 요홈(503)에 배치된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의 말단부위의 교합 슬리브(487)에 수용된다. 이런 구조에서는 완전 진공이 내부 캐뉼러(416)를 통해 전해진다.
흡입 장치(400)가 작동하는 동안, 제2핸들장치(434)는 제1핸들장치(432)쪽으로 후퇴된다. 이런 동작은 편향 부재(460)에 대항하여 셔틀(444)을 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셔틀(444)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캐리어 부재(464)가 장착 슬리브(480)의 플랜지(486) 중의 하나에 대하여 압력을 가한다. 장착 슬리브(480)가 내부 절단 캐뉼러(416)의 외부 면에 고정되어, 내부 절단 캐뉼러(416)의 말단부(420)가 외부 캐뉼러(402)의 발판(414)과 접촉할 때까지 조직 수용 개구(410)쪽으로 외부 캐뉼러(402) 내의 말단부위로 내부 절단 캐뉼러(416)가 전진되어, 조직 수용 개구(410)에 배치된 조직을 잘라낸다. 제2핸들장치(434)의 반복된 후퇴 및 릴리즈 동작은 반복된 절단동작을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의 절단작업을 촉진하기 위해, 진공이 진공 라인(428)을 통해 내부 절단 캐뉼러(416)에 제공된다. 진공은 조직 수용 개구(410)로부터 진공 라인(428)에 부착된 수집 챔버(도시되지 않음)로 절단 조직을 제거하는 동작에 더하여 조직 수용 개구(410) 내로 조직을 흡인하는 역할도 한다. 연속적인 진공은 복수의 잘라내는 동작이 단일 삽입에 이용되게 한다. 그러나, 연속적인 진공의 전달은 절단 캐뉼러의 동작에 의해 제어된다. 특정하게는, 내부 절단 캐뉼러의 동작이 진공을 완화하는 통기 동작을 제공한다. 따라서 작동하는 동안 그런 구조를 잘못 제거하지 않도록 환자 내부의 임계 구조의 근방과 주위를 나아가는데 상기 장치는 특히 유용하다. 또한, 여러 잘라내는 동작의 기능을 제공하여,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절단 작업을 하는 동안 제거된 조직이 흡인 경로를 막는 동작을 완화하기 위해, 내부 절단 캐뉼러(416)와 외부 캐뉼러(402) 사이에, 관주 라인(493)에 의해 관주 공급부에 연결된 관주 포트(492)를 통한 관주가 제공된다. 작업을 하는 동안, 온수, 식염수, 락테티드 링거(lactated ringers), 또는 추가로 잘라진 조직의 생물학적 보존이나 무결성을 추가로 강화시키는 용액이 될 수 있는 관주 유체를 조직을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연성 조직이나 뼈(boney) 조직 구조에 접근 시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회전 다이얼(412)은 사용자가 비강(14) 내의 원하는 장소로 조직 수용 개구(410)를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절단 캐뉼러(416)가 절단 행정 동안 발판(414)쪽으로 전진하였을 때 절단된 조직이 발판(414)으로부터 미끄러져 멀어지는 것을 막도록 발판(414)의 접촉 면(413)에는 조직을 그립(grip)하게 설계된 바탕 면(textured surface)이 제공된다. 1예의 배치에서, 발판(414)의 바탕 면은 접촉 면(41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serration)(415)을 포함한다. 1예의 배치에서, 톱니모양부분(415)은 기부근방에서 외향하여 신장하는 피크(417)를 가진 상승 경사면(raised ramp)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크(417)는 접촉 면(413)의 전체 폭을 대체로 가로질러 신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피크(417)가 접촉 면(413)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신장할 필요가 있지는 않다. 다른 대안 및 예의 구조에서는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역 톱니모양부분이 발판(414)에 형성된다. 역 톱니모양부분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톱니(415)는 예를 들어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하여 마주하는 피크(417)에서 종료되는 일련의 상승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접촉 면(413)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피크(417)는 전체 접촉 면(413)을 대체로 가로질러 신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개의 분리하여 외향하여 신장되는 피크(417)가 평면을 따라 형성되도록 피크(417)가 단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의 구조에서, 발판(414')의 바탕 면은 각각 제1 및 제2교차 접촉 엣지(417', 419')를 가진 와플(waffle) 패턴을 포함한다. 1예의 배치에서, 와플 패턴은 제1접촉 엣지(417')가 대략 수평적이게 지향되고 제2접촉 엣지(419)가 대략 수직적이게 지향되도록 접촉 면(413')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게시된 특별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다른 지향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원의 기술은 본원에 기재된 특별한 바탕 면 구조(즉, 제1 및 제2접촉 엣지(417', 419)를 포함하는 톱니모양부분(415)과 와플 패턴)에 제한되지도 않는다. 그립 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바탕 면이면 본원의 기술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발판(414)의 바탕 면은 서로 다른 여러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친 접촉 면(413/413')은 예를 들어 밀링, 연삭, 널링(knurling), 비드 블래스팅(bead blasting), 샌드 블래스팅 또는 피팅(pitting) 등의 재료제거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거친 접촉 면(413/413')은 예를 들어 비딩(beading)과 같은 추가 제조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거친 접촉 면(413/413')은 소결, 스탬핑, 매몰(investment) 주조, 프레스 성형, 또는 다이 캐스팅과 같은 주조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거친 접촉 면(413/413')은 경사진 발판(414)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도3E에 도시), 발판(414)이 절단되는 조직 및/또는 뼈 재료 밑으로 쉽고 빠르게 얻게하는 삽질하는 방식(shoveling manner)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보다 특정하게는 접촉 면(413/413')이 거칠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면(413/413')은 절단 캐뉼러(416)가 절단 행정 중에 발판(414)쪽으로 전진할 때 접촉 면(413/413')에 대하여 조직 및/또는 뼈 재료가 마찰식으로 유지되도록 그립으로 역할을 한다. 1예의 구조에서는 발판(414)이 대략 40도로 경사지는데, 상기 각도는 다른 각도의 구성도 가능한 것이다.
흡입 펀치(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4A 내지 도4K에 도시하였다. 흡입 펀치(1400)는 말단부(1404)와 기부근방 단부(1406)에 의해 한정된 외부 캐뉼러(1402)를 포함하며(도4F에 가장 잘 도시됨), 외부 캐뉼러는 하우징 부재(1408) 내에 위치한다(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됨). 말단부(1404)는 개방되어 있고 추가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증가된 절단 효과를 제공하도록 경사진 절단 엣지(1414)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캐뉼러(1402)는 선택적 회전운동을 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다이얼(1412)이 작동적으로 외부 캐뉼러(1402)에 고정된다(추가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됨). 회전 다이얼(1412)이 회전되면, 말단부(1404)도 회전되어, 작업하는 동안 흡입 펀치(1400)의 조작이 용이하게 한다. 외부 캐뉼러(1402)도 또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왕복운동을 하게 형성된다.
도4D를 참조하여, 내부 블레이드(1416)는 외부 캐뉼러(1402) 내에 배치된다. 내부 블레이드(1416)는 하우징(1408)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왕복운동을 하지 않는다. 1실시예에서, (도4D 및 도4F에 도시) 내부 블레이드(1416)의 기부근방 단부(1418)는 하우징(1408)에 배치된 식염수 허브(1421) 부분에 (추가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됨) 고정된 부착 립(1419)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부근방 단부(1418)에는 부착 경로(1420)와 정렬된 도시되지 않은 부착 홀(attachment hole)이 형성되며, 부착 홀과 부착 경로는 모두 핀과 같은 부착기구를 수용한다.
도4H는 도4G의 H-H선을 따라 절단된 내부 블레이드(1416)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내부 블레이드(1416)는 상부 면(1422), 요홈 면(grooved surface)(1424), 구부러진 베어링 면(1426)으로 한정된다. 상부 면(1422)은 외부 캐뉼러(1402)의 내부 루멘(1428)과 함께 협력하여 조직 경로를 (추가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됨) 형성한다. 요홈 면(1424)은 외부 캐뉼러(1402)의 내부 루멘(1428)과 함께 협력하여 식염수 경로를 형성한다. 말단부(1430)에 인접하여 배치된 식염수 개구(1432)는 식염수 경로와 연통한다. 곡선의 베어링 면(1426)은 일반적으로 내부 루멘(1428)의 윤곽에 대응한다. 곡선의 베어링 면(1426)의 일부분(1431)은 식염수 허브(1421)에 내부 블레이드(1416)를 단단히 부착하는 접착제 면(glue surface)으로 역할을 한다. 실제로, 내부 블레이드(1416)는 하우징(1408)에 장착되는 식염수 허브(1421)의 내부 면에 고정되어, 내부 블레이드(1416)가 하우징(1408)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내부 블레이드(1416)의 말단부(1430)는 상부 면(1422)으로부터 상향하여 신장되는 절단 면 또는 발판(1432)을 포함한다. 절단 면/발판(1432)은 외부 캐뉼러(1402)의 절단 엣지(1414)와 함께 협력하여 내부 블레이드(1416)의 말단부(1430)와 외부 캐뉼러(1402)의 말단부(1404) 사이에 형성된 갭(1434)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직을 잘라낸다.
도4A를 참조하여, 하우징 부재(1408)는 작동 부재(1436)에 장착된다. 작동 부재(1436)는 제1핸들장치(1438)와 제2핸들장치(1440)를 포함한다. 제1핸들장치(1438)는 셔틀 하우징(144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1예의 구조에서, 셔틀 하우징(1442)은 제1핸들장치(1438)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핸들장치(1438)는 도3A에서 '438'로 나타낸 것과 유사한 엄지 그립(도시되지 않음)을 갖게 형성된다.
제2핸들장치(1440)는 셔틀 하우징(1442) 내에 배치된 셔틀부재(1443)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제2핸들장치(1440)는 그립부재(1444, 1446)를 갖게 형성된다.
도4D를 참조하여, 셔틀부재(1443)는 셔틀 하우징(1442)에 배치된 로드(1448)에 장착된다. 로드(1448)는 말단부(1450)와 기부근방 단부(1452)에 의해 한정된다. 말단부(1450)는 셔틀 하우징(1442)의 내부 말단 면(1456)에 고정된다. 기부근방 단부(1452)는 셔틀 하우징(1442)의 내부 기부근방 면(1458)에 고정된다. 편향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셔틀부재(1443)의 말단부위의 로드(1448)에 배치되어, 셔틀부재(1443)의 말단 면(1456)과 말단부(1460)가 접하게 한다. 편향 부재(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음)는 말단 면(145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된 위치쪽으로 셔틀부재(1443)를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지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로드(1448)의 기부근방 단부(1452)에 고정되어 셔틀부재(1443)가 편향 부재에 의해 후퇴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캐리어 부재(1464)는 셔틀부재(1443)에 의해 유지되며, 셔틀부재(1443)에 단단히 고정된다. 캐리어 부재(1464)는 도3D에 도시된 캐리어 부재(464)와 유사하며, 장착 요홈의 측면에 있는 상향하여 신장된 벽 부재를 포함한다. 캐리어 부재(1464)는 셔틀 하우징(1442)으로부터 상향하여 신장된다.
하우징 부재(1408)는 셔틀부재(1443)에 고정된다. 도4D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1예의 배치에서, 하우징 부재(1408)는 하우징 부재(1408)로부터 하향하여 신장되는 장착 플랜지(1470)를 포함한다. 조임(fastening)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장착 플랜지(1470)를 통해 신장되는 장착 채널(1471)을 통해 계합된다. 조임 장치는 추가로 로드(1448)를 통해 신장되어 로드(1448)를 하우징 부재(1408)에 고정시킨다.
하우징 부재(1408)의 기부근방 단부(1474)는 부가로 잠금 탭(1478)을 보유하는 하향 신장되는 벽 부재(1476)를 포함한다. 잠금 탭(1478)은 셔틀부재(1443)의 기부근방 면에 형성된 장착 요홈(1479)과 계합한다.
하우징 부재(1408) 내에는 장착 슬리브(1480)가 배치된다. 장착 슬리브(1480)는 장착 섹션(1484)에 연결되어있는 가늘고 긴 섹션(1482)을 포함한다. 장착 섹션(1484)의 어느 일측에 플랜지 부재(1486, 1486')가 배치된다. 장착 섹션(1484)은 캐리어 부재(1464)에 형성된 장착 요홈 내에 수용된다. 장착 플랜지(1486, 1486') 및 장착 슬리브(1480)를 통해 외부 캐뉼러(1402)를 수용하는 경로가 신장된다. 외부 캐뉼러(1402)는 통로 내에 고정된다. 1예의 배치에서는 외부 캐뉼러(1402)가 접착제에 의해 경로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 슬리브(1480)의 가늘고 긴 섹션(1482)의 외부 면에 회전 다이얼(1412)이 고정된다. 이런 배치로, 회전 다이얼(1412)의 회전으로, 장착 슬리브(1480)도 마찬가지로 회전할 것이다. 또한, 외부 캐뉼러(1402)가 장착 슬리브(1480)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회전 다이얼(1412)이 회전됨으로써, 외부 캐뉼러(1402)도 또한 회전될 것이다.
도4F를 참조하여, 식염수 허브(1421)를 설명한다. 식염수 허브(1421)는 내부 허브 부분(1490) 및 외부 허브 부분(1492)(도4D에 가장 잘 도시됨)을 포함한다. 식염수 허브(1421)는 하우징(1402) 내에 내부 허브 부분(1490)이 배치되도록 하우징(1402)의 기부근방 단부(1474)에 장착된다. 채널(1423)은 식염수 허브(1421)를 통해 신장되며, 식염수 허브(1421)를 통해 형성된 관주 개구(1494)와 연통한다. 채널(1423)은 외부 캐뉼러(1402)를 수용하게 형성된다. 외부 캐뉼러(1402)는 활주 계합하여 채널(1423) 내에 장착된다. 또한, 내부 블레이드(14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1423) 내에 수용된다. 외부 캐뉼러(1402)의 내부 루멘(1428)은 외부 캐뉼러(1402)의 말단부(1406)에서 채널(1423)쪽으로 개방된다.
하우징 부재(1408)를 통하는 관주 포트(1493)가 형성된다. 관주 포트(1493)는 작동적으로 관주 라인(1495)에 연결되며, 식염수 허브(1421)에 있는 관주 개구(1494)와 연통한다. 작동 시, 관주(예: 온수 또는 식염수)는 하우징 부재(1408) 안으로 그리고 식염수 허브(1421) 안으로 들어가, 요홈 면(1424)과 내부 루멘(1428)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따라 내부 블레이드(1414)와 외부 캐뉼러(1402) 사이의 공간 내에 관주를 전달한다. 관주는 내부 블레이드(1414)의 말단부(1430)에 형성된 식염수 개구(1496)를 통해 흘러나와 내부 블레이드(1414)와 외부 캐뉼러(1402) 사이의 갭(1434) 내로 전달된다. O-링과 같은 밀봉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관주 개구(1494)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요홈(1491)에 배치되어 관주가 외부 캐뉼러(1402)의 요홈 면(1424)과 내부 루멘(1428)에 의해 형성된 채널로 향하게 한다.
흡입 펀치(1400)의 기부근방 단부(1474)에는, 외부 허브 부분(1492)에 배치된 피팅부재(1498)가 배치된다. 피팅 부재(1498)는 피팅 미늘(1499)을 보유한다. 진공 라인(도시되지 않음)은 피팅 미늘(1499)에 연결되어 외부 캐뉼러(1402)로 진공을 전달된다. 외부 캐뉼러(1402)로, 궁극적으로는 외부 캐뉼러(1402)의 말단부(1404)로 진공을 전달하기 위해서, 흡입 펀치(1400)에는 하우징(1408) 내에 배치된 밀봉부재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예의 배치에서, 식염수 허브(1421)에는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그 말단부에 배치된 요홈(1500)이 제공된다. 그리고 추가 세트의 요홈(1502)이 말단 하우징 허브(1504)(도4D에 도시됨)에 제공된다. 말단 하우징 허브(1504)는 하우징(1408)의 제1장착 부분(1506)에 장착된다. 제1장착 부분(1506)은 부가로 말단 챔버(1508) 및 기부근방 챔버(1510)를 포함한다. 말단 하우징 허브(1504)는 말단 챔버(1508)에 장착된다. 기부근방 챔버(1510)는 장착 슬리브(1480)의 말단 밀봉단부(1512)를 수용하게 형성된다. 장착 그루브(1513)는 말단 밀봉 단부(1512)와 플랜지 부재(1486')사이에 형성된다. 장착 요홈(1513)은 O-링과 같은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1실시예에서, 통기구(1514)(도4E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는 장착 슬리브(148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통기구(1514)는 외부 캐뉼러(1402)의 측벽을 통해 신장된다.
흡입 장치(1400)를 작동하는 동안, 제2핸들장치(1440)는 제1핸들장치(1438)쪽으로 후퇴된다. 이 작동은 편향 부재에 대해, 셔틀부재(1443)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셔틀부재(1443)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캐리어 부재(1464)가 장착 슬리브(1480)의 플랜지(1486') 중의 하나를 민다. 장착 슬리브(1480)가 외부 캐뉼러(1402)의 외부 면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외부 캐뉼러(1402)의 말단부(1404)가 내부 블레이드(1414)의 절단 면(1432)과 접촉할 때까지 외부 캐뉼러(1402)가 내부 블레이드(1414) 상의 말단부가 전진하여, 내부 블레이드(1414)와 외부 캐뉼러(1402)의 말단부(1404) 사이로 한정된 갭(1434)(도4B 참고)에 놓여지는 조직을 잘라낸다. 제2핸들장치(1440)의 반복된 후퇴 및 구속해제동작(releasing)은 반복된 절단작업을 하게 한다.
조직의 수집(collection)을 촉진하기 위해 피팅 미늘(1499)에 부착된 진공 라인을 통해 외부 캐뉼러(1402)로 진공이 전달된다. 진공은 외부 캐뉼러(1402) 내로 조직을 흡인하는 역할뿐 아니라, 진공 라인에 부착된 수집실(도시하지 않음)로 절단된 조직을 이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연속적 진공은 1회 삽입으로 여러 절단 작업이 사용되게 한다. 그러나, 연속적 진공의 전달은 절단 캐뉼러의 동작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절단 캐뉼러의 동작은 진공을 경감시키는 통기 작업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그런 구조물을 부주의하게 제거하지 않도록 환자의 신체 내에서 중요한 구조물의 부근과 주변을 나아가는데(navigating) 특히 유용한다. 또한, 여러 절단 동작의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 수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절단 동작을 하는 동안에 제거된 조직이 흡인 경로를 막는 동작을 완화하기 위해, 내부 블레이드(1414)와 외부 캐뉼러(1402)와의 사이에서, 관주 라인(1495)에 의해 관주 공급부에 연결되는 관주 포트(1493)를 통해 관주를 제공할 수 있다. 온수 또는 식염수가 될 수 있는 관주 유체는 내부 블레이드(1414)에서 개구(1496)를 통해 흘러 보낼 수 있다. 이 유체는 처리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조직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코내부 작업에서 비개골(12)에 접근하는 것과 같은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회전 다이얼(1412)은 사용자가 몸체 공동 내의 원하는 위치로의 내부 블레이드(1414)와 외부 캐뉼러(1402)의 선택적인 회전을 할 수 있게 한다.
흡입 펀치(1400)는 또한 작동하는 동안에 진공 경감(relief)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절단 행정을 하는 동안, 제2핸들장치(1440)가 작동되고 외부 캐뉼러(1402)의 말단부(1404)가 내부 블레이드(1414)의 절단 면(1432)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장착 슬리브(1480)의 말단 밀봉 단부(1512)는 플랜지 부재(1486')가 제1장착 부분(1506)과 접촉할 때까지 제1장착부분(1506)의 기부근방 챔버(1510) 쪽으로 이동하며, 밀봉부재(장착 요홈(1513) 내에 배치)는 기부근방 챔버(1510)의 내부 면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말단 밀봉 단부(1512)의 말단부에 위치한 통기구(1514)가 밀봉되고, 반면에 외부 캐뉼러(1402)는 내부 블레이드의 절단 면(1432)과 계합되며, 완전 진공을 제공하여 잘라진 조직을 외부 캐뉼러(1402)를 통해 전달한다.
진공 경감을 제공하도록, 제2핸들장치(1440)가 편향 부재에 의해 비-작동위치로 (즉, 제1핸들장치(143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되면, 장착 슬리브(1480)의 말단 밀봉 단부(1512)가 기부근방 챔버(1510) 밖으로 이동되어, 외부 캐뉼러(1402)를 통해 전달되는 진공이 통기구(1514)를 통한 배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4I 내지 도4K에 다른 구조의 흡입 펀치(1600)의 일 부분을 도시하였다. 흡입 펀치(1600)는 흡입 펀치(1400)와 매우 유사한 것이며, 외부 캐뉼러(1402)와 유사하게 형성된 외부 캐뉼러(1602)를 포함한다. 외부 캐뉼러(1602)는 말단부(1604) 및 기부근방 단부(1606)(도4K에 도시)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기부근방 단부는 하우징 부재(1408)와 유사한 하우징 부재 내에 놓여진다. 말단부(1604)는 개방되며, 경사진 절단 엣지(1614)로 이루어져 향상된 절단 효과를 발휘한다. 외부 캐뉼러(1602)는 흡입 펀치(1400)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조립체에 의해 선택적인 회전운동과 왕복운동을 하게 형성된다.
외부 캐뉼러(1602) 내에는 내부 캐뉼러(1616)가 배치된다. 도41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내부 캐뉼러(1616)로 내부 블레이드(1416)를 대체하였다. 내부 캐뉼러(1616)는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왕복운동을 하지 않는다. 1예의 배치에서, 내부 캐뉼러(1616)의 기부근방 단부(1619)의 일부분은 하우징(1608)에 배치된 식염수 허브(1621)의 일부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외향하여 신장된 장착 부재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4K 참조). 1구조에서, 장착 부재는 장착 요홈(1620) 내에 수용된다. 장착 부재는 내부 캐뉼러(1616)가 하우징(1408)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장착 요홈(1620) 내에 접착제로 고정된다. 내부 캐뉼러(1616)의 외부 면의 일부분은, 하우징(1408)에 장착되는 식염수 허브(1621)의 내부 면(1622)의 일부분에 내부 캐뉼러(1616)를 단단히 부착시키는 접착제 면으로 역할을 하여, 내부 캐뉼러(1616)가 하우징(1408)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내부 캐뉼러(1616)는 추가로 말단부(1630)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말단부는 그 선단부(1633)에 배치된 절단 면/발판(1632)을 포함한다. 조직 수용 개구(1635)는 선단부(1633) 근방에 형성된다. 절단 면/발판(1632)은 외부 캐뉼러(1602)의 절단 엣지(1614)와 함께 협력하여 조직 수용 개구(1635) 내에 수용되는 조직을 잘라낸다. 조직 수용 개구(1635)는 조직 경로(1637)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조직 경로(1637)는 진공 공급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진공 공급부가 작동하여 하우징을 통해 수집 용기에 잘라낸 조직을 전달한다.
내부 캐뉼러(1616) 내에는 관주 공급 관(1639)이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1예의 구조에서, 관주 공급 관(1639)은 내부 캐뉼러(1616)의 저부 부분을 따라 배치되며, 절단 면(1632) 근방에 위치한 말단부(1640)를 포함한다. 관주 공급 관(1639)의 기부근방 단부(1634)는 식염수 허브(1621) 내에 배치된 관주 개구(1694)와 연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주 공급 관(1639)은 내부 캐뉼러(1616)가 형성된 대응 개구(1638)와 정렬된 측벽에 형성된 개구(1636)를 포함한다. 관주 공급 관(1639)이 내부 캐뉼러(1616)의 저부 부분을 따라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본원의 구조는 상기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관주 공급 관(1639)도 내부 캐뉼러(1616)의 상부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말단부(1640)가 조직 개구(1635)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4K를 참조하여 식염수 허브(1621)를 설명한다. 식염수 허브(1621)는 내부 허브 부분(1690)을 포함한다. 식염수 허브(1621)가 하우징(1402)의 기부근방 단부에 장착되어, 내부 허브 부분(1690)이 하우징(1408) 내에 배치된다. 식염수 허브(1621)의 내부 면(1622)에 의해 한정된 채널은 식염수 허브(1621)를 통해 신장된다. 채널은 외부 캐뉼러(1602)를 수용하게 형성된다. 외부 캐뉼러(1602)는 활주 계합을 하게 채널 내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캐뉼러(1614)도 채널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 부재(1608)를 통해 관주 포트(1693)가 형성된다. 관주 포트(1693)는 관주 라인에 연결되어 작동되며, 식염수 허브(1621)의 관주 개구(1694)와 연통한다. 작동 시, 관주(예, 온수 또는 식염수)는 하우징 부재(1608)와 식염수 허브(1621) 안으로 유입되어 관주 공급 관(1639)에 관주를 전달한다. 관주 공급 관(1639)으로 관주 유체가 향하도록, O-링과 같은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관주 개구(1694)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요홈(1691, 1695)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요홈(1691)은 식염수 허브(1621의 외부 면에 배치되어 그곳에 배치된 밀봉 부재가 식염수 허브(1621)와 하우징(1608) 사이로 관주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요홈(1695)은 식염수 허브(1621)의 내부 면(1622)에 배치되어 그곳에 배치된 밀봉 부재가 내부 및 외부 캐뉼러(1616, 1602) 사이로 관주 유체가 유입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4L 내지 도4N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단 행정을 하는 동안 절단 캐뉼러(1402/1602)가 발판(1432/1632) 쪽으로 전진할 때 절단되는 조직이 발판(1432/1632)으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막도록, 도3E 내지 도3G와 관련하여 상술된 구성과 유사하게, 발판(1402/1602)의 접촉 면(1413/1613)에 조직을 그립하게 설계된 바탕 면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1예의 배치에서, 발판(1432/1632)의 바탕 면은, 예를 들어 도4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하여 마주하는 피크(1417/1617)에서 종료되는 일련의 경사진 부재로 형성되는 접촉 면(1413/1613)에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모양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예의 구조에서는 발판(1432/1632)의 바탕 면은 각각 제1 및 제2교차 접촉 엣지(1415/1615 및 1419/1619)를 가진 와플 패턴을 포함한다. 1예의 배치에서, 와플 패턴은 제1접촉 엣지(1415/1615)가 거의 수평적이게 지향되고 제2접촉 엣지(1419/1619)가 거의 수직적이게 지향되게 접촉 면(1413'/1613')에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이 본원의 특별한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다른 방향을 지향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은 본원에 기술된 특별한 바탕 면의 구조(즉, 톱니모양부분이 외향하여 마주보는 피크(1417/1617)에서 종결되는 경사진 부재를 포함하며, 와플 패턴은 제1 및 제2접촉 엣지(1415/1615 및 1419/1619)를 포함하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그립 표면으로 작동할 수 있는 어떤 바탕 면도 본원의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 판(2432)의 접촉 면(2413)에는 접촉 면(2413)에 형성된 복수개의 역으로 된 톱니모양부분이 제공된다. 또한 역으로 된 톱니모양부분은 일련의 경사모양 부재로 형성되지만, 경사모양 부재가 예를 들어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하여 마주하는 밸리(2417)에서 종료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배치에서는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판(2432')의 접촉 면(2413')에는 예를 들어,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랜드(land) 부재(2416)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개의 내향하여 신장되는 요홈(2417')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선택적인 배치에서,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발판(3432)의 접촉 면(3413)의 바탕 면은 예를 들어 샌드 블래스팅으로 굵고 거친 그릿(coarse grit)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7A 및 도7B가 접촉 면(3413)에 굵고 거친 그릿을 사용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지만, 다른 예의 배치에서 굵고 거친 그릿 텍스쳐가 도4L-도4N, 도5A-도5B, 도6A-도6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발판(1432/1632/2432/2432')의 바탕 면은 많은 다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친 접촉 면(1413/1613/2413 및 1413'/1613'/2413')은 밀링, 연삭, 널링, 비드 블래스팅, 샌드 블래스팅 또는 피팅과 같은 재료제거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르게는, 거친 접촉 면(1413/1613/2413 및 1413'/1613'/2413')은 비딩과 같은 첨가제조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거친 접촉 면(1413/1613/2413 및 1413'/1613'/2413')은 소결, 스탬핑, 매몰 주조, 프레스 성형, 또는 다이 캐스팅과 같은 주조작업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거친 접촉 면(1413/1613 및 1413'/1613')은 경사진 발판(1432/1632)(도4B 및 도41 참고)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발판(1432/1632)이 절단되는 조직 및/또는 뼈 재료 밑으로 쉽고 빠르게 얻게하는 삽질하는 방식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 면(1413/1613 및 1413'/1613')이 거칠게 되었기 때문에, 절단 행정을 하는 동안 외부 캐뉼러(1402/1602)가 발판(1432/1632) 쪽으로 전진하였을 때 접촉 면(1413/1613 및 1413'/1613')은 그립부로서 역할하여 접촉 면(1413/1613 및 1413'/1613')에 대하여 조직 및/또는 뼈 재료를 마찰식으로 보유한다. 1예의 구조에서, 발판(1432/1632)은 대략 40도의 각도로 경사지는데, 물론 다른 각도로 경사지는 구조도 가능한 것이다.
본원의 장치 및 방법은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원의 방법과 장치의 일부 실질적인 적용 및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정하여 기술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기술은 당업자가 특별한 사용을 고려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상기 방법과 장치를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하게 개조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작동 원리와 방법은 특허법의 규정에 따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자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청구범위는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정신이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정하게 설명되고 나타낸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과 관련하여서가 아니고, 청구범위가 부여한 것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기술 및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정해져야 한다. 그리고, 추가 개량이 본원에 기술된 기술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시된 시스템과 방법은 그런 추가 개량의 예에 포함된다. 또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원에서 상반되게 특정하여 나타내지 않았으면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넓은 범위의 구조 및 통상적인 의미를 나타내게 사용된 것이다. 특별히, "1개", "상기" 등과 같이 단일 부분을 지칭하는 표현이 없으면 1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결국, 본원의 첨부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4)

  1. 조직 절단장치(200, 300)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방된 말단부(230)와 개방된 기부근방 단부(232)에 의해 한정되며, 작동기 조립체(21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활주식 절단부재(204)와;
    그 말단부(206, 306)에 배치된 상향하여 신장되는 발판(208, 308)을 가진 고정식 기초부재(202, 302)를 포함하며;
    상기 활주식 절단부재(204)는 고정식 기초부재(202, 302)에 대해 왕복운동 하게 형성되며;
    활주식 절단부재(204)의 말단부(230)와 발판(208, 308)은 조직 수용 개구(231)를 한정하도록 함께 협력하며;
    진공 소스(V)는 절단부재(204)를 통해 진공(V)을 전달하도록 절단부재(204)의 기부근방 단부(23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2. 제1항에 있어서, 기초부재(202, 302)는 기초부재(202, 302)의 기부근방 단부(234, 334)로부터 기초부재(202, 302)의 말단부(206, 306)로 신장되는 관주 채널(238, 338)을 부가로 포함하며; 관주 채널(238, 338)은 기부근방 단부(234, 334)에서 관주 소스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3. 제2항에 있어서, 관주 채널(238, 338)과 연통하며 발판(208, 308)을 통해 형성된 개구(246, 346)와 연통하는 절단 면 채널(244, 344)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208, 308)은 발판(208, 308)으로부터 외향하여 신장되는 절단 립(236, 336)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208, 308)은 절단부재(204)가 발판(208, 308)을 향해 이동할 때 절단되어야 할 재료를 작동적으로 보유하도록 그립부로서 역할을 하는 바탕 면으로 형성된 접촉 면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6. 제5항에 있어서, 바탕 면은 다음 중의 하나로 형성되며, 다음은:
    적어도 하나의 신장하는 피크 혹은 밸리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
    적어도 하나의 요홈; 그리고
    복수개의 제1 및 제2기부근방에서 신장된 교차 접촉 엣지에 의해 한정된 와플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굵고 거친 그릿 코팅이 접촉 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조립체(210)는 제1 및 제2그립부재(212, 214)를 부가로 포함하며; 그립부재 중 하나는 슬리브(218)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218)는 절단부재(20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부재(204)의 측벽을 통해 형성된 통기구(233)와 기초부재(202, 302)에 고정된 밀봉 슬리브(235)를 부가로 포함하며, 통기구(233)는 조직 수용 개구(231)를 노출하도록 절단부재(204)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차단되지 않고, 통기구(233)는 조직 수용 개구(231)를 폐쇄하도록 절단부재(204)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200, 300).
  10. 조직 절단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말단부(404)와 기부근방 단부(406)에 의해 한정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외부 캐뉼러(402)와;
    외부 캐뉼러(402) 내에 배치되며, 말단부(420)와 기부근방 단부(424)에 의해 한정된 선택적으로 왕복운동 하는 내부 캐뉼러(416)와;
    외부 캐뉼러(402)의 일 부분이 고정되는 허브 부재(490)를 가진 하우징(408)과;
    내부 캐뉼러(4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그것의 작동이 내부 캐뉼러(416)가 외부 캐뉼러(402)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하는 작동 조립체(430); 및
    내부 캐뉼러(4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진공 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1. 제10항에 있어서, 캐리어 부재(464)를 가진 셔틀부재(444)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셔틀부재(444)는 작동 조립체(430)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부재(464)는 작동 조립체 (430)의 작동이 내부 캐뉼러(416)를 이동시키도록 내부 캐뉼러(4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2. 제11항에 있어서, 셔틀부재(444)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편향부재(460)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편향부재(460)는 내부 캐뉼러(416)의 말단부(418)가 외부 캐뉼러(402)의 말단부(40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후퇴 위치로 내부 캐뉼러(416)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장착 슬리브(480)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착 슬리브(480)는 캐리어 부재(464)에 고정되고, 내부 캐뉼러(416)는 장착 슬리브(480)에 고정되어, 내부 캐뉼러(416)가 셔틀부재(444)와 함께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4. 제13항에 있어서, 장착 슬리브(480)는 가늘고 긴 섹션(482) 및 장착 섹션(484)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착 섹션(484)은 캐리어 부재(464)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 플랜지 부재(48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5. 제14항에 있어서, 장착 슬리브(480)의 가늘고 긴 섹션(482)은 내부 캐뉼러(416)를 통해 신장되는 통기구(501)를 부가로 포함하며, 조직 절단장치(400)는 장착 슬리브(484)의 가늘고 긴 섹션(482)을 수용하는 교합 슬리브(487)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교합 슬리브(487)는 내부 캐뉼러(416)가 절단 위치에 있을 때 통기구(501)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관주 포트(492)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관주 포트(492)는 내부 캐뉼러(416)와 외부 캐뉼러(402) 사이에 형성된 갭 사이로 관주를 전달하도록 관주 공급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412)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전 다이얼(412)은 회전 다이얼(412)이 작동할 때 허브 부재(490)가 회전하도록 허브 부재(49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캐뉼러(402)는 접촉 면을 한정하는 발판(414)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면은 내부 캐뉼러(416)가 발판(414)을 향해 이동할 때 절단되어야 할 재료를 작동적으로 보유하도록 그립부로서 역할을 하는 바탕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면은 다음 중 하나로 형성되며, 다음은:
    적어도 하나의 신장 피크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
    적어도 하나의 요홈;
    복수개의 제1 및 제2기부근방에서 신장하는 교차 접촉 엣지로 한정되는 와플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굵고 거친 그릿 코팅이 접촉 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400).
  21. 조직 절단장치(1400, 1600)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말단부(1404, 1604)와 기부근방 단부(1406, 1606)에 의해 한정된 선택적으로 왕복운동 하는 외부 캐뉼러(1402, 1602)와;
    외부 캐뉼러(1402, 1602) 내에 배치되며, 말단부(1430, 1630)와 기부근방 단부(1418, 1619)에 의해 한정된 축방향으로 고정된 내부부재(1416, 1616)와;
    내부부재(1416, 1616)의 일부분이 고정되는 허브부재(1421, 1621)를 가진 하우징(1408, 1606)과;
    외부 캐뉼러(1402, 160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그것의 작동이 외부 캐뉼러(1402, 1602)가 내부부재(1416, 1616) 위에서 왕복운동 하게 한 작동 조립체(1436); 및
    장치(1400)의 말단부에 진공을 전달하게 형성된 진공 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2. 제21항에 있어서, 캐리어 부재(1464)를 가진 셔틀부재(1443)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셔틀부재(1443)는 작동 조립체(1436)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부재(1464)는 외부 캐뉼러(1402, 160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조립체(1436)의 작동이 외부 캐뉼러(1402, 1602)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3. 제22항에 있어서, 셔틀부재(1443)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편향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편향부재(460)는 외부 캐뉼러(1402, 1602)의 말단부(1404, 1604)가 내부부재(1416, 1616)의 말단부(1430, 163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하는 후퇴 위치로 외부 캐뉼러(1402, 1602)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장착 슬리브(1480)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착 슬리브(1480)는 캐리어 부재(1464)에 장착되고, 외부 캐뉼러(1402, 1602)는 장착 슬리브(1480)에 고정되어, 외부 캐뉼러(1402, 1602)가 셔틀부재(1443)와 함께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5. 제24항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1412)이 작동될 때 장착 슬리브(1480)가 회전하도록 장착 슬리브(1480)에 고정되게 부착된 회전 다이얼(1412)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캐뉼러(1402, 1602)는 그 측벽을 통해 신장되는 통기구(1514) 및 외부 캐뉼러(1402, 1602)의 말단부(1404, 1604)가 내부부재(1416, 1616)의 말단부(1430, 1630)를 향해 이동될 때 통기구(1514)를 밀봉하게 형성된 밀봉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7. 제26항에 있어서, 밀봉부재는 통기구(1514)의 기부근방에 배치되는 장착 플랜지(1486')의 밀봉단부(1512)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통기구(1514)는 밀봉단부(1512)가 하우징(1408)에 형성된 챔버(1510) 내에 수용될 때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부재(1421, 1621)는 하우징(1408, 1608)을 통해 형성된 관주 포트(1493, 1693)와 연통하는 관주 구멍(1494, 1694)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관주 구멍(1494, 1694)은 내부부재(1416, 1616)와 외부 캐뉼러(1402, 1602) 사이에 형성된 채널로 관주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29. 제28항에 있어서, 내부부재(1414)의 말단부(1430)를 통해 형성된 관주 개구(1496)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부재(1414)는 요홈 면(1424) 및 반대편의 베어링 면(1426)을 부가로 포함하며, 요홈 면(1424)은 외부 캐뉼러(1402, 1602)의 내부 루멘(1428)과 함께 협력하여 관주 채널을 한정하고, 베어링 면(1426)은 일반적으로 내부 루멘(1428)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31.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부재(1614)는 그 말단부(1630) 근방에 배치된 조직 수용 개구(1635) 및 내부부재(1614) 내에 배치된 관주 공급 관(1639)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600).
  32.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부재(1416, 1614)는 접촉 면을 한정하는 발판(1432, 1632, 2432, 3432)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면은 외부 캐뉼러(1402, 1602)가 발판(1432, 1632, 2432, 3432)을 향해 이동할 때 절단되어야 할 재료를 작동적으로 보유하도록 그립부로서 역할을 하는 바탕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면은 다음 중 하나로 형성되며, 다음은:
    적어도 하나의 신장 피크(1417, 1617) 또는 밸리(2417)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모양부분;
    적어도 하나의 요홈(2417');
    복수개의 제1 및 제2기부근방에서 신장하는 교차 접촉 엣지(1415/1615, 1419/1619)로 한정되는 와플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굵고 거친 그릿 코팅(3432)이 접촉 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장치(1400, 1600).
KR1020127023182A 2010-02-04 2011-02-04 조직제거장치 KR201300066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00,456 US8486097B2 (en) 2010-02-04 2010-02-04 Tissue cutting device
US12/700,456 2010-02-04
US12/966,327 US8986334B2 (en) 2010-02-04 2010-12-13 Tissue removal device with tissue grip
US12/966,327 2010-12-13
PCT/US2011/023766 WO2011097494A2 (en) 2010-02-04 2011-02-04 Tissue remov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09A true KR20130006609A (ko) 2013-01-17

Family

ID=4426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182A KR20130006609A (ko) 2010-02-04 2011-02-04 조직제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986334B2 (ko)
EP (3) EP2531120B1 (ko)
JP (2) JP5932667B2 (ko)
KR (1) KR20130006609A (ko)
AU (1) AU2011212811B2 (ko)
BR (1) BR112012015814A2 (ko)
CA (1) CA2780358A1 (ko)
WO (1) WO2011097494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69B1 (ko) 2016-10-24 2017-03-27 정병오 케리슨 펀치
KR20190054867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엔도비전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WO2019098467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엔도비전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KR20210120280A (ko) * 2020-03-26 2021-10-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셉 장치
KR20230031396A (ko) 2021-08-27 2023-03-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직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9751B2 (en) 2008-12-16 2016-03-08 Nic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taking and collecting tissue cores for treatment
US9504247B2 (en) 2008-12-16 2016-11-29 Nico Corporation System for collecting and preserving tissue cores
US10080578B2 (en) 2008-12-16 2018-09-25 Nico Corporation Tissue removal device with adjustable delivery sleeve for neurosurgical and spinal surgery applications
US9931105B2 (en) 2008-12-16 2018-04-03 Nic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taking and collecting tissue cores for treatment
US9820480B2 (en) 2008-12-16 2017-11-21 Nico Corporation System for collecting and preserving tissue cores
EP2775929B1 (en) 2011-11-09 2020-05-27 TeesuVac ApS Handheld tissue sample extraction device
KR20140114808A (ko) * 2012-01-17 2014-09-29 니코 코포레이션 조직 코어들의 수집 및 보존 시스템
US9724073B2 (en) 2012-04-16 2017-08-08 Jeff M. Hathaway Biopsy device
US11547446B2 (en) 2014-01-13 2023-01-10 Trice Medical, Inc. Fully integrated, disposable tissue visualization device
US9931127B2 (en) 2014-11-19 2018-04-03 Specialty Surgical Instrumentation, Inc. Adjustable rongeur
ES2875745T3 (es) * 2015-07-23 2021-11-11 Morpheus Ag Dispositivo para la separación y extracción de trozos de tejido
WO2017035213A1 (en) * 2015-08-24 2017-03-02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Biopsy sampling device
WO2017161177A1 (en) 2016-03-17 2017-09-21 Trice Medical, Inc. Clot evacuation and visualiz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0874416B2 (en) * 2017-02-02 2020-12-29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urgical cutting instrument with extended blades
CN108670357A (zh) * 2018-05-31 2018-10-19 皖南医学院第附属医院(皖南医学院弋矶山医院) 腹腔镜带抓钳吸引器
JP6910035B2 (ja) * 2019-02-12 2021-07-28 株式会社 田中医科器械製作所 鉗子
US11849924B2 (en) 2019-06-27 2023-12-26 Covidien Lp Tissue resecting instruments including tissue collection cartridges
US11413057B2 (en) 2019-06-27 2022-08-16 Covidien Lp Tissue resecting instruments including auxiliary vacuum features
KR102359170B1 (ko) * 2020-04-02 2022-02-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US11571233B2 (en) 2020-11-19 2023-02-07 Covidien Lp Tissue removal handpiece with integrated suction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8A (en) * 1861-09-10 Improvement in gas-burners
DE935625C (de) 1952-10-18 1955-11-24 Guenther Bodendieck Exzisionsgeraet
US3990453A (en) * 1973-04-25 1976-11-09 Douvas Nicholas G Apparatus for cataract surgery
US4258716A (en) * 1978-02-06 1981-03-31 The University Of Melbourne Microsurgical instruments
US4440170A (en) * 1979-03-06 1984-04-03 Ethicon, Inc. Surgical clip applying instrument
USRE33258E (en) * 1984-07-23 1990-07-10 Surgical Dynamics Inc. Irrigating, cutting and aspirating system for percutaneous surgery
US4848338A (en) * 1987-01-20 1989-07-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ydraulically operated surgical instrument
US5653713A (en) * 1989-04-24 1997-08-05 Michelson; Gary Karlin Surgical rongeur
US5505210A (en) * 1989-11-06 1996-04-09 Mectra Labs, Inc. Lavage with tissue cutting cannula
US5797958A (en) * 1989-12-05 1998-08-25 Yoon; Inbae Endoscopic grasping instrument with scissors
JPH06114070A (ja) * 1990-06-22 1994-04-26 Vance Prod Inc 外科用組織切除装置
US5273519A (en) * 1990-11-02 1993-12-28 Tibor Koros Bongeur surgical instrument
US5269797A (en) * 1991-09-12 1993-12-14 Meditron Devices, Inc. Cervical discectomy instruments
US5387215A (en) * 1992-02-12 1995-02-07 Sierra Surgical Inc. Surgical instrument for cutting hard tissue and method of use
US5304203A (en) * 1992-10-20 1994-04-19 Numed Technologies, Inc. Tissue extracting forceps for laparoscopic surgery
US5385570A (en) * 1993-01-12 1995-01-31 R. J. Surgical Instruments, Inc. Surgical cutting instrument
US5403276A (en) * 1993-02-16 1995-04-04 Danek Medical, Inc.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tissue removal
US5439464A (en) * 1993-03-09 1995-08-08 Shapiro Partners Limited Method and instruments for performing arthroscopic spinal surgery
US5526822A (en) * 1994-03-24 1996-06-18 Biopsys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biopsy and collection of soft tissue
US5702420A (en) * 1994-06-14 1997-12-30 Anthony R. Sterling And Tri-Tech, Inc. Motorized suction punch forceps
DE4424659A1 (de) 1994-07-14 1996-01-18 Waizenegger Klaus Chirurgisches Instrument
US5603724A (en) * 1995-02-13 1997-02-18 Tnco, Inc. Suction punch
US6887240B1 (en) * 1995-09-19 2005-05-03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wave jaw
US6132448A (en) * 1998-06-19 2000-10-17 Stryker Corporation Endoscopic irrigated bur
US6068641A (en) * 1998-08-25 2000-05-30 Linvatec Corporation Irrigated burr
US7458940B2 (en) * 2000-11-06 2008-12-02 Suros Surgical Systems, Inc. Biopsy apparatus
US6638280B2 (en) * 2001-10-10 2003-10-28 Codman & Shurtleff, Inc. Rongeur with drainage
US7226459B2 (en) 2001-10-26 2007-06-05 Smith & Nephew, Inc. Reciprocating rotary arthroscopic surgical instrument
EP1558152B1 (en) * 2002-10-25 2010-10-27 HydroCision, Inc. Surgical devices incorporating liquid jet assisted tissue maniputation
US20040102783A1 (en) * 2002-11-27 2004-05-27 Sutterlin Chester E. Powered Kerrison-like Rongeur system
US6875173B2 (en) * 2003-01-17 2005-04-05 Loubert Suddaby Laminectomy suction and retraction device
EP1673022B1 (en) * 2003-07-24 2012-04-11 Olympus Corporation Forceps cover sheath, surgical forceps and surgical forceps system
US9408592B2 (en) 2003-12-23 2016-08-09 Senorx, Inc. Biopsy device with aperture orientation and improved tip
US20050267503A1 (en) * 2004-05-11 2005-12-01 Hunstad David L Tissue removal device
PL1802245T3 (pl) * 2004-10-08 2017-01-31 Ethicon Endosurgery Llc Ultradźwiękowy przyrząd chirurgiczny
US9216015B2 (en) * 2004-10-28 2015-12-22 Vycor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brain surgery
US20070233133A1 (en) * 2006-02-24 2007-10-04 Cohen Taylor S Bone-Evacuating and Valve-Exiting Res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7766843B2 (en) * 2006-03-03 2010-08-03 Ethicon Endo-Surgery, Inc. Biopsy method
US8251917B2 (en) 2006-08-21 2012-08-28 C. R. Bard, Inc. Self-contained handheld biopsy needle
US20090270895A1 (en) * 2007-04-06 2009-10-29 Interlace Medical, Inc. Low advance ratio, high reciprocation rate tissue removal device
US8486097B2 (en) * 2010-02-04 2013-07-16 Nico Corporation Tissue cutt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69B1 (ko) 2016-10-24 2017-03-27 정병오 케리슨 펀치
KR20190054867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엔도비전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WO2019098467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엔도비전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KR20210120280A (ko) * 2020-03-26 2021-10-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셉 장치
KR20230031396A (ko) 2021-08-27 2023-03-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조직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8683A (ja) 2013-05-23
US8986334B2 (en) 2015-03-24
US20150150583A1 (en) 2015-06-04
EP2531120B1 (en) 2014-09-10
JP2016147074A (ja) 2016-08-18
EP2531120A2 (en) 2012-12-12
BR112012015814A2 (pt) 2019-09-24
WO2011097494A3 (en) 2012-04-19
CA2780358A1 (en) 2011-08-11
EP2810609A1 (en) 2014-12-10
JP5932667B2 (ja) 2016-06-08
AU2011212811A1 (en) 2012-05-31
US20110190802A1 (en) 2011-08-04
AU2011212811B2 (en) 2015-04-09
EP2810608A1 (en) 2014-12-10
WO2011097494A2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609A (ko) 조직제거장치
US8486097B2 (en) Tissue cutting device
US6264666B1 (en) Water jet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US823086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surgical procedure
US6387103B2 (en) Instruments and techniques for inducing neocollagenesis in skin treatments
CA2282516C (en) Power assisted liposuction and lipoinjection equipment
US7458940B2 (en) Biopsy apparatus
US8177803B2 (en) 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having improved cutting efficiency and reduced manufacturing costs
US8475482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distal suction capability
KR20140109924A (ko) 표적 조직의 신속한 제거를 위한 안전한 커팅 헤드 및 시스템
JP2004510469A (ja) 内視鏡的切削器
US20070010823A1 (en) Arthroscopic shaver system
JP2011502709A5 (ko)
EP2667803A1 (en) Surgical cutting instrument with distal suction capability
KR20160040226A (ko) 진공-보조된, 조직 제거 시스템을 위한 막힘 방지 장치
JP6931668B2 (ja) 外部灌注供給チャネルを備えたデブリーダ
JP2013508025A (ja) 減圧を用いるデブリードマン用切除ヘッ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AU2013203053B2 (en) Tissue cutting device
CN110996816B (zh) 用于与外科手术系统一起使用的冲洗套管
WO1999037229A1 (en) Epidermal and dermal skin removal apparatus
US20220361857A1 (en) Surgical instrument, method for producing a surgical instrument, and use of a rotary joint for forming a cutting tool of a surgical instrument
WO2017045182A1 (zh) 用于切除组织的刀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