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516U - 벽걸이 화분 - Google Patents

벽걸이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516U
KR20130006516U KR2020120003659U KR20120003659U KR20130006516U KR 20130006516 U KR20130006516 U KR 20130006516U KR 2020120003659 U KR2020120003659 U KR 2020120003659U KR 20120003659 U KR20120003659 U KR 20120003659U KR 20130006516 U KR20130006516 U KR 201300065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pper case
lower case
wat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578Y1 (ko
Inventor
백영태
Original Assignee
백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태 filed Critical 백영태
Priority to KR2020120003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7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에 걸어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벽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은, 내부에 식재(植栽)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고, 벽에 탈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판; 내부에 식재를 위한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에서 상부 케이스로 연장되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서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는 상부 케이스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부 케이스가 슬라이딩되어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심지가 하부 케이스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하부 케이스에 물을 보충할 수 있어 심지에서 떨어지는 물로 인해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걸이 화분{WALL TYPE FLOWERPOT}
본 고안은 벽걸이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에 걸어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벽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실내에서 화초 등의 식물을 키우기 위해 사용된다. 그렇지만, 화분은 하단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화분에 일정 이상의 물이 차면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물이 빠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로 빠지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화분 아래에 화분받침대를 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이 화초 등의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식물들마다 수분의 공급 주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를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오랜 기간 자리를 비울 때 등에는 화분에 다량의 물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로 인해 식물이 상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화분 아래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저수부를 구비하고, 화분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심지를 구비하여 심자가 저수부의 물에 잠기도록 하는 기술이 연구되었다. 그 중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863호(생활 용기를 재활용한 분식물의 무배수 재배 거치틀, 이하 선행기술)이 있다.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물을 저수부에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부의 화분을 들어낸 상태에서 저수부에 물을 보충해야 한다. 또한, 저수부에 물이 오염된 경우에도 화분을 들어낸 상태에서 물을 교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상부의 화분을 들어낸 상태에서 저수부에 있는 물을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때문에 화분을 들어냈을 때, 화분의 심지에서 물이 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화분의 심지에서 물이 떨어지면 떨어진 물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며, 이를 다시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수부의 물을 보충하거나 교환할 때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벽걸이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은, 내부에 식재(植栽)를 위한 토양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벽에 탈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판; 내부에 식재를 위한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에서 상부 케이스로 연장되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서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슬라이딩 결합이 되도록 상단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 연결부에 대응되도록 하단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연결부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걸려 슬라이딩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 연결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측으로 회전되는 상부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케이스 일 측면에 수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외측으로 회전되는 하부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도어는 상기 하부 케이스 일 측면에 수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식물을 심어 키울 수 있는 상부 케이스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하부 케이스가 슬라이딩되어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심지가 하부 케이스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하부 케이스에 물을 보충할 수 있어 심지에서 떨어지는 물로 인해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에는 상부 케이스 내측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상부 도어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에는 하부 케이스 외측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하부 도어가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에서 슬라이딩시켜 탈착시키지 않아도 하부 케이스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분 주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의 하부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에서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100)은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20), 중간판(130) 및 심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110)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식물이 배양될 수 있도록 흙이나 자갈 등이 채워질 수 있고, 하부 케이스(120)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물 등의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에는 하부 케이스(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 연결부(112)가 형성되며, 상단 연결부(112)에는 상단홈(112b)과 걸림턱(112a)이 형성되어 걸림턱(112a)은 하부 케이스(120)가 걸려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120)에는 물 등의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에는 상단 연결부(112)에 형성된 걸림턱(112a)에 걸리도록 하단 연결부(122)가 형성된다. 하단 연결부(122)에는 걸림단(122a)이 형성되고, 걸림턱(112a)이 삽입될 수 있는 하단홈(122b)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20)에는 통풍구(h)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20)의 측면 상부에 통풍구(h)가 형성된다.
통풍구(h)는 하부케이스(120)에 채워진 물이 심지(140)를 따라 상부케이스(110)로 빨려 올라갈 때, 하부케이스(120)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더욱 잘 올라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하부케이스(120)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하나씩 통풍구(h)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단(122a)은 상단홈(112b)에 삽입되고, 걸림턱(112a)은 하단홈(122b)에 삽입되어 걸림단(122a)과 걸림턱(112a)이 서로 걸린다. 그에 따라 하부 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1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에는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100)을 벽에 탈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114)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연결부재(114)의 가장 간당한 실시예로, 고리형상의 연결부재(114)를 도시하였으나, 연결부재(114)는 고리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상부 케이스(110)에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에 자석 등이 결합되어 철 재질의 벽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중간판(130)은 상부 케이스(110) 내측 하부에 결합되며, 심지(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판(130)은 상부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140)는 일단이 하부 케이스(120)에 위치하고, 타단은 중간판(13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110)에 위치한다. 이때 상부 케이스(110)에 위치한 심지(140) 타단은 상부 케이스(110) 내에 채워진 흙이나 자갈 등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심지(140)는 통상적으로 섬유 소재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하부 케이스(120)에 수용된 물 등의 액체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섬유를 통해 상부 케이스(110)의 흙이나 자갈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하부 케이스(120)에 한 번만 물을 채워주더라도 장기간동안 상부 케이스(11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걸이 화분(200)은 상부 케이스(210), 하부 케이스(220), 중간판(230) 및 심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210)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식물이 배양될 수 있도록 흙이나 자갈 등이 채워질 수 있고, 하부 케이스(220)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물 등의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0)의 일 측면 하단에는 상부 도어(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도어(216)는 상부 케이스(210) 일 측면에 수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부 도어(216)를 밀면, 상부 도어(216)는 상부 케이스(210) 내측으로 밀리면서 위쪽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상부 도어(216)가 상부 케이스(210) 내부로 밀려 회전되면 하부 케이스(220)를 상부 케이스(21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하부 케이스(220)에 물 등의 액체를 보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케이스(220)에 물을 보충할 때 상부 케이스(210)에서 하부 케이스(220)를 분리하지 않아도 더욱 손쉽게 하부 케이스(22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20)의 일 측면 상단에는 하부 도어(226)가 형성된다. 하부 도어(226)는 상부 도어(216)와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220) 일 측면에 수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하부 도어(226)는 상부 도어(216)와는 달리 하부 케이스(220)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216)는 상부 케이스(210) 내측으로 회전되고, 하부 도어(226)는 하부 케이스(220) 외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부 도어(216)의 하단은 상부 케이스(210)의 하단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도어(226)의 상단도 하부 케이스(220) 상단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도어(226)와 상부 도어(216)가 모두 개방되면 하부 케이스(220)에 물 등을 보충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부 도어(216) 및 하부 도어(226)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닫혀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부 도어(216) 및 하부 도어(226)의 회전축에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체는 회전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220)가 상부 케이스(210)에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구조, 상부 케이스(210)에 형성되는 연결부재(214), 중간판(230) 및 심지(24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여 설명하여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벽걸이 화분
110, 210: 상부 케이스 112: 상단 연결부
112a: 걸림턱 112b: 상단홈
114, 214: 연결부재 216: 상부 도어
120, 220: 하부 케이스 122: 하단 연결부
122a: 걸림단 122b: 하단홈
226: 하부 도어
130, 230: 중간판 140, 240: 심지
h: 통풍구

Claims (7)

  1. 내부에 식재(植栽)를 위한 토양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벽에 탈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판;
    내부에 식재를 위한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에서 상부 케이스로 연장되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서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슬라이딩 결합이 되도록 상단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 연결부에 대응되도록 하단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연결부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걸려 슬라이딩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 연결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측으로 회전되는 상부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상부 케이스 일 측면에 수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외측으로 회전되는 하부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는 상기 하부 케이스 일 측면에 수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화분.
KR2020120003659U 2012-05-03 2012-05-03 벽걸이 화분 KR200474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59U KR200474578Y1 (ko) 2012-05-03 2012-05-03 벽걸이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59U KR200474578Y1 (ko) 2012-05-03 2012-05-03 벽걸이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16U true KR20130006516U (ko) 2013-11-13
KR200474578Y1 KR200474578Y1 (ko) 2014-09-26

Family

ID=5200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59U KR200474578Y1 (ko) 2012-05-03 2012-05-03 벽걸이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12A1 (ko) * 2016-02-19 2017-08-24 김용석 다기능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432U (ko) * 1996-04-29 1997-11-10 이계옥 물받이를 겸한 가수자동조절용 화분
KR200381413Y1 (ko) * 2005-01-28 2005-04-11 김재익 조경용 화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12A1 (ko) * 2016-02-19 2017-08-24 김용석 다기능 화분
KR20170098347A (ko) * 2016-02-19 2017-08-30 김용석 다기능 화분
KR101879927B1 (ko) * 2016-02-19 2018-07-19 김용석 다기능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578Y1 (ko)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6669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hydroponically
JP2017515505A (ja) 雨水自動供給栽培装置
KR101248076B1 (ko)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101126188B1 (ko)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200474578Y1 (ko) 벽걸이 화분
JP3192278U (ja) 植物栽培器具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RU127577U1 (ru) Цветочный горшок
KR20140043921A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101012127B1 (ko) 도자기 화분
KR101303785B1 (ko) 식물 관찰용 키트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200466075Y1 (ko) 심지 부착형 화분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200350495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KR200313507Y1 (ko) 배수구가 없는 화분
KR20120055025A (ko) 텃밭용 화분
KR20190125730A (ko) 기능성 화분
KR20130046794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JP6705795B2 (ja)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CN110139554A (zh) 具有根屏障的植物种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