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397U -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 Google Patents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397U KR20130006397U KR2020120003457U KR20120003457U KR20130006397U KR 20130006397 U KR20130006397 U KR 20130006397U KR 2020120003457 U KR2020120003457 U KR 2020120003457U KR 20120003457 U KR20120003457 U KR 20120003457U KR 20130006397 U KR20130006397 U KR 2013000639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marine
- concrete
- end portion
- habita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JYGXADMDTFJGBT-VWUMJDOOSA-N hydrocortis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JYGXADMDTFJGBT-VWUMJDOOSA-N 0.000 title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abstract 2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abstract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2059 Carica parv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98 Dicentrarchus labr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1 regular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수온상승으로 발생되는 갯녹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훼손된 연안 해양생태계를 조기에 활성화시키기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 상부, 측면 및 하부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을 형성시켜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의 해양식물과 소라, 고둥, 담치, 홍합, 굴과 같은 패류 등이 부착·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여 우수한 해중림 조성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록의 구성을 상단부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하여 해양미생물의 서식공간 제공을 통한 수질정화 효과와 해양식물 및 패류가 부착, 서식할 수 있는 재질상의 요철과 공극을 제공함으로서 해양생태계 복원효과를 극대화하고, 하단부는 내부 매트릭스 구조가 밀실한 일반콘크리트로 구성하여 해중림 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훼손된 연안 해양생태계를 조기에 활성화하여 해중림(海中林)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복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증식을 목적으로 인공어초 사업은 오랫동안 시설되어 왔는데 단순히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식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바다환경에 상관없이 시설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오염, 수온상승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연안 해조군락이 쇠퇴하고, 연안암반에는 이용가치가 없는 무절석회조류(無節石灰藻類 : Crustose Coralline Algae)가 번무하여 해조자원 감소로 인한 바다 황폐화 현상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무절석회조류와 같은 현상을 갯녹음 이라 일컫는데, 즉 백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갯녹음현상이란 우리말로는 '갯녹음 현상'이라 하는데, 갯녹음이란 바다물이 흐르는 곳을 의미하는 '갯'자와 '녹다'의 명사형인 '녹음'의 합성어로 이루어진 순우리말이다. 국제적으로는 'Whitening' 또는 Whitening event'로 통용되는데, 연안 암반 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흰색의 무절석회조류(無節石灰藻類)가 달라붙어 암반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탄산칼슘이 주성분인 무절석회조류는 수산 생물에게는 먹이가치가 별로 없기 때문에 갯녹음이 생기면 해조류를 먹는 어패류도 사라져 버려 어장이 황폐화된다.
백화현상의 원인은 이상기온에 따른 수온상승과 육지의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갯녹음으로 해양생태계가 파괴되면서 해조류, 소라, 전복, 해삼, 성게 등의 수확량이 매년 급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연환경에서는 일반적인 인공어초 사업으로는 그 목적에 한계가 있어 해중림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인데, 다행히도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들로는 등록특허 제10-0693948호(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062280호(특허문헌 2) 등이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특허문헌 1의 경우 구조물이 복잡하고 제조하는 비용도 많이 소모되는 맹점을 갖고 있으며, 조류를 따라 흐르는 각종 부유물 중 하중으로 인하여 가라앉는 쓰레기들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 해중림 효과를 제대로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 로프에 해조류가 대형으로 성장하였을 경우 태풍이나 파도에 의한 영향을 감안하지 못하여 매몰되거나 로프와 해조류의 엉킴 현상이 나타나 해중림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은, 해양생물 및 해양식물과 패류 등의 적합한 서식지를 마련하여 제공함으로써 훼손된 해양생태계를 복원활성화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해양의 갯녹음 현상 방지와 함께 해저 지면에 안정적 설치구조를 이루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고안에 따른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은,
블록 상단부 및, 상기 블록 상단부 하부에 배치된 블록 하단부로 이뤄져 2층 구조의 판상 형태를 갖되,
상기 블록 상단부와 블록 하단부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패류 등의 해양생물의 자유로운 이동과 함께 블록 수중 투하시 해류와의 저항력을 감소시켜 해저 바닥에 안정적 안착을 유도하는 대형의 수직 관통공과;
상기 블록 상단부와 블록 하단부 사이에 대형 해양생물의 서식지를 형성한 서식공간부와;
상기 블록 하단부에 공간을 이루기 위하여 이격된 채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갯벌 및 사질토 지반에서의 블록 설치시 지반토에 의한 침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반 지반에서의 블록 설치시에는 해양생물의 은폐, 산란, 서식을 이루기 위한 공간 제공과 무게 중심을 낮춰 해류에 대한 저항력 개선에 따른 블록의 전도 방지를 위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상단부 상면에는,
사다리꼴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룬 채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해양식물 및 패류가 부착.서식지를 제공하는 POC 상향 요철로 이루어지며, 블록 하단부 상면에는, 반원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룬 채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일반콘크리트 상향요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구체는,
3개의 다각형 기둥을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채 연결부재로 연결된 Y자형의 블록 상단부 및, 상기 블록 상단부 하부에 배치되어 3개의 다각형 기둥을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채 연결부재로 연결된 Y자형의 블록 하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 상단부의 다각형 기둥 상단부와 측면부 및 연결부재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해중림 조성을 위한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제공하는 POC 상향요철 및, POC 측면 요철과;
상기 블록 하단부의 연결부재 하단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하향요철과;
상기 블록 하단부의 다각형 기둥 하단부에 형성되어 지반의 지질조건에 따른 블록의 침식을 방지하며 블록의 안정적 설치를 이루게 하는 블록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구체인 것을 택일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구체는,
십자 형의 블록 상단부 및, 상기 블록 상단부의 하단부에 배치된 십자 형의 블록 하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 상단부의 십자형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이룬 채 다수개로 형성되어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제공하는 POC 상향요철과;
상기 블록 상단부 및 블록 하단부의 십자형 측면 각각을 관통하여 해양식물의 은폐.서식지를 제공하는 관통공과;
상기 블록 하단부의 십자형 저부에 하향 돌출되어 해저 지반 조건에 따른 침식 방지 및 전단 저항력을 통한 전도방지를 이루게 하는 블록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구체인 것을 택일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블록 상단부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블록 하단부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2종 재질로 구성된 블록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은, 해양생물 및 해양식물과 패류 등의 적합한 서식지를 마련하여 제공함으로써 훼손된 해양생태계를 조속히 복원활성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양의 갯녹음 현상 방지와 함께 해저 지면에 블록의 안정적 설치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1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1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1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3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3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3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1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1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3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3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3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실시예 1의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은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상단부(11)와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 하단부(12) 사이에 대형의 해양생물 서식공간부(40)를 구성하고 있는 2층 구조의 평상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블록 상단부(11) 상면에 사다리꼴 형태이고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된 POC(Porous Concrete) 상향 요철(30)이 다수개 구성되어 있어 해양식물 및 패류가 부착·서식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함으로서 해중림 조성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록 상단부(11)와 블록 하단부(12) 중앙에 대형의 수직 관통공(20)을 구성하고 있어 블록내부로 패류 등의 해양생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블록의 수중 투하시 해류와의 저항력을 감소시켜 해저 바닥에 블록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블록 하단부(12) 상부에 반원형태의 일반콘크리트 상향요철(32)을 형성시켜 추가적인 패류의 서식공간을 원할히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하단부(12) 맨 하단에 돌출형의 블록 받침부(50)를 구성하여 갯벌 및 사질토 지반에 블록을 설치시 블록구체(10)가 지반토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저 지반이 암반일 경우에는 암반과 블록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서 해양생물이 은폐, 산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적으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블록 받침부(50)는 전체 블록의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서 빠른 해류에 대한 저항력 개선과 블록의 전도방지를 위한 전단키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4 내지 도 6은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실시예 2의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는 블록구체(10)가 블록 상단부(11)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고 블록하단부(12)는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는 2종 재질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 상단부(11)는 재질내부가 다량의 연속공극, 넓은 비표면적 및 수많은 요철이 구성되어 있어 해양식물의 포자 착상 및 서식과, 패조류가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주는 등 해양식물 및 생물의 활성화를 주 기능으로 하며, 블록 하단부(12)는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어 해양구조물로서의 안정성 확보를 주기능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2는 다각형 기둥이 정삼각형의 위치에 자리잡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다각형 기둥이 블록 중심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중 구조물로서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의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은 다각형 기둥 상단부, 측면부, 다각형 기둥 연결부재 상단부에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된 POC 상향요철(30)과 POC 측면 요철(31)이 다양한 형태로 복수개 구성되어 있어 해중림 조성을 위한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면적을 대량 확보하고, 블록 하단부(12)에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된 다각형 기둥의 연결부재 하단면에 일반콘크리트 하향요철(33)을 또한 구비하여 요철에 부착서식하기를 선호하는 패류의 서식공간을 극대화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각형 기둥의 연결부재는 블록구체(10) 전체 높이의 중간부에 구성하여 다각형 기둥과 기둥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어류가 유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어류위집효과 또한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록 하단부(12)에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 받침부(50)를 다각형 기둥의 하단부마다 구성하여 해저 지반의 지질조건에 따른 블록의 침식을 방지하고 블록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실시예 3의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은 블록 상단부(11)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블록 하단부(12)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 구성 콘크리트 블록을 특징으로 하여, 블록 상단부(11)의 다공질 콘크리트는 고유의 친환경 성능의 확보를 통해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하고, 블록 하단부(12)는 큰 단위용적질량과 밀실한 내부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일반콘크리트로 구성하여 해양구조물로서의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은 전체적인 형태가 좌우가 대칭구조를 이루는 10자 기둥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우수하며,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조 및 시공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 상단부(11)의 상단에 다공질 콘크리트로 구성된 다수의 POC 상향요철(30)을 구성하고 있어 해양식물 및 패류의 원할한 서식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블록의 측면에 총 4개의 대형 관통공(20)을 구비하고 있어 해양생물이 은폐,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고 다수개의 블록이 설치될 경우 블록과 블록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해양생물의 위집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 하단부(12) 말단에 하향 도출 형태의 블록 받침부(50)를 구비하고 있어 침식이 발생할 수 있는 해저 지반조건에 대한 대응능력이 우수하고 더불어 블록의 전단저항력 향상을 통한 전도방지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블록구체 11: 블록 상단부
12: 블록 하단부 20: 관통공
30: POC 상향 요철 31: POC 측면 요철
32: 일반콘크리트 상향요철 33: 일반콘크리트 하향요철
40: 해양생물 서식공간부 50: 블록 받침부
10: 블록구체 11: 블록 상단부
12: 블록 하단부 20: 관통공
30: POC 상향 요철 31: POC 측면 요철
32: 일반콘크리트 상향요철 33: 일반콘크리트 하향요철
40: 해양생물 서식공간부 50: 블록 받침부
Claims (5)
- 블록 상단부(11) 및, 상기 블록 상단부 하부에 배치된 블록 하단부(12)로 이뤄져 2층 구조의 판상 형태를 갖되,
상기 블록 상단부(11)와 블록 하단부(12)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패류 등의 해양생물의 자유로운 이동과 함께 블록 수중 투하시 해류와의 저항력을 감소시켜 해저 바닥에 안정적 안착을 유도하는 대형의 수직 관통공(20)과;
상기 블록 상단부(11)와 블록 하단부(12) 사이에 대형 해양생물의 서식지를 형성한 서식공간부(40)와;
상기 블록 하단부(12)에 공간을 이루기 위하여 이격된 채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갯벌 및 사질토 지반에서의 블록 설치시 지반토에 의한 침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반 지반에서의 블록 설치시에는 해양생물의 은폐, 산란, 서식을 이루기 위한 공간 제공과 무게 중심을 낮춰 해류에 대한 저항력 개선에 따른 블록의 전도 방지를 위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 받침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구체(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블록 상단부(11) 상면에는,
사다리꼴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룬 채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해양식물 및 패류가 부착.서식지를 제공하는 POC 상향 요철(30)로 이루어지며,
블록 하단부(12) 상면에는,
반원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룬 채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일반콘크리트 상향요철(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3개의 다각형 기둥을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채 연결부재로 연결된 Y자형의 블록 상단부(11) 및, 상기 블록 상단부(11) 하부에 배치되어 3개의 다각형 기둥을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채 연결부재로 연결된 Y자형의 블록 하단부(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 상단부(11)의 다각형 기둥 상단부와 측면부 및 연결부재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해중림 조성을 위한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제공하는 POC 상향요철(30) 및, POC 측면 요철(31)과;
상기 블록 하단부(12)의 연결부재 하단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하향요철(33)과;
상기 블록 하단부(12)의 다각형 기둥 하단부에 형성되어 지반의 지질조건에 따른 블록의 침식을 방지하며 블록의 안정적 설치를 이루게 하는 블록 받침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구체(10)인 것을 택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십자 형의 블록 상단부(11) 및, 상기 블록 상단부(11)의 하단부에 배치된 십자 형의 블록 하단부(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 상단부(11)의 십자형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이룬 채 다수개로 형성되어 해양식물 및 패류의 부착.서식지를 제공하는 POC 상향요철(30)과;
상기 블록 상단부(11) 및 블록 하단부(12)의 십자형 측면 각각을 관통하여 해양식물의 은폐.서식지를 제공하는 관통공(20)과;
상기 블록 하단부(12)의 십자형 저부에 하향 돌출되어 해저 지반 조건에 따른 침식 방지 및 전단 저항력을 통한 전도방지를 이루게 하는 블록 받침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구체(10)인 것을 택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블록 상단부(12)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블록 하단부(12)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2종 재질로 구성된 블록구체(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 콘크리트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457U KR200473630Y1 (ko) | 2012-04-26 | 2012-04-26 |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457U KR200473630Y1 (ko) | 2012-04-26 | 2012-04-26 |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397U true KR20130006397U (ko) | 2013-11-05 |
KR200473630Y1 KR200473630Y1 (ko) | 2014-07-16 |
Family
ID=519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457U KR200473630Y1 (ko) | 2012-04-26 | 2012-04-26 |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63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7847B1 (ko) * | 2014-01-02 | 2014-10-10 | 전상구 | 사각 지붕형 어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0794B1 (ko) | 2018-09-10 | 2019-09-30 | 대한민국 | 해적생물 저감용 해조류 인공어초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5167B1 (ko) * | 1999-07-16 | 2001-11-26 |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국립수산진흥원장) | 패조류용 인공어초 |
KR200405469Y1 (ko) * | 2005-10-18 | 2006-01-1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연안해역의 조장 목장 형성을 위한 어소ㆍ어초 블록 |
KR100963985B1 (ko) * | 2009-09-11 | 2010-06-15 | (주)메카해양연구소 | 어초블록의 제조방법 및 시공공법 |
-
2012
- 2012-04-26 KR KR2020120003457U patent/KR200473630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7847B1 (ko) * | 2014-01-02 | 2014-10-10 | 전상구 | 사각 지붕형 어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3630Y1 (ko) | 2014-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2496B1 (ko) |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 |
KR101001828B1 (ko) |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 |
KR200473631Y1 (ko) |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 |
KR20130003404U (ko) | 해중림 조성 장치 | |
JP4787868B2 (ja) |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 |
KR200473630Y1 (ko) |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 |
KR101196669B1 (ko)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0734466B1 (ko) |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 |
JP2783775B2 (ja) | 生態系を考慮した護岸構造物 | |
KR200392536Y1 (ko) |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 |
JP3114373U (ja) | 人工浮魚礁 | |
KR100701217B1 (ko) | 친환경 어소 블럭 | |
JP3700138B2 (ja) | 水辺護岸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合成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 | |
KR101239378B1 (ko) |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 |
KR200408495Y1 (ko) | 돔형 굴패각 어초 | |
KR20140018490A (ko) | 파군형 다층 해삼인공어초 | |
KR101473376B1 (ko) | 사다리꼴 다기능 인공어초 | |
KR200405469Y1 (ko) | 연안해역의 조장 목장 형성을 위한 어소ㆍ어초 블록 | |
KR200339439Y1 (ko) | 반톱니형 인공어초 | |
JP2017063761A (ja) | 海藻を防御する人工藻場 | |
KR101013222B1 (ko) | 다공성 천해형 복합 해중림초 | |
KR200369962Y1 (ko) |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 |
KR101652211B1 (ko) | 강제 테트라포드 어초 | |
CN217089174U (zh) | 一种适用于淤泥质潮间带生物共生型仿岩质生态系统 | |
KR101033968B1 (ko) | 인공 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