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261A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261A
KR20130006261A KR1020117025803A KR20117025803A KR20130006261A KR 20130006261 A KR20130006261 A KR 20130006261A KR 1020117025803 A KR1020117025803 A KR 1020117025803A KR 20117025803 A KR20117025803 A KR 20117025803A KR 20130006261 A KR20130006261 A KR 2013000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battery
main body
terminal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941B1 (ko
Inventor
미에꼬 하라
지로 모리야
도모마루 우에다
미찌히또 고바야시
도시유끼 오까다
히데끼 가미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하면서 오삽입이 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셀(10a)이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팩 본체(11)와,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 설치된 단자부(21)를 구비한다. 팩 본체(11)는, 상면(11a) 및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코너부(12, 13)에 모따기부를 갖는다. 단자부(21)는, 전방면(11e)에 있어서,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의 중심선 P1, P2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한쪽의 코너부(12)는, C면 형상을 갖고, 다른 쪽의 코너부(13)는 이 C면 형상에 내접하는 R면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소형의 전자 기기의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고, 이 전자 기기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이나 DC 플레이트라고 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휴대 전화 등의 소형의 전자 기기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와 같은 배터리 팩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배터리 팩은, 일반적으로 모든 코너부를 R면 형상(rounded shape)으로 하여, 유저가 삽입 방향을 잘못 잡아 전자 기기의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의 내벽 등을 파괴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배터리 팩 중에는 유저가 배터리 팩의 삽입 방향을 잘못 잡아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표면에 리브 등의 돌기부를 복수 형성하고 좌우나 상하로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리브 등의 돌기부를 형성한 배터리 팩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되어, 배터리 팩의 한층 더한 소형화의 방해가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6828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하면서 오삽입이 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를 파손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원 공급 장치는, 배터리 셀이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팩 본체와,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에 설치된 단자부를 구비한다. 상기 팩 본체는, 상면 및 저면과 상대하는 측면이 이루는 코너부에 모따기부를 갖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에 있어서,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오삽입 시에도 배터리 수납부측의 접속 단자가 단자부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돌출된 만큼 상기 팩 본체가 소형화된다.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와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는, 모두 C면 형상(chamfered shape) 또는 R면 형상(rounded shape)을 기조(其調)로 한다. 모따기부를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배터리 수납부에 오삽입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의 내벽 등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와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가 C면 형상을 기조로 하는 경우,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의 C면 형상은,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의 C면 형상과 동일한 C면 형상에 내접하는 R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팩 본체는,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와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여, 오삽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와 상기 팩 본체의 배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는 모두 모따기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팩 본체는, 배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를,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보다 작게 하여, 로크 부재가 결합하기 쉽게 한다.
또한,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에는, 상기 상대하는 측면과 상기 저면에 걸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에는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고, 동일한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는 DC 플레이트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DC 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팩의 오목부에 결합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가 형성된 충전 장치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 본체의 상면 및 저면과 상대하는 측면이 이루는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가, 팩 본체의 전방면에 있어서,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삽입 시에도 배터리 수납부측의 접속 단자가 단자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를 돌출시킨 만큼, 팩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터리 수납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배터리 팩을 전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배터리 팩을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배터리 팩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배터리 팩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팩 본체의 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단자부와 팩 본체의 전방면이 평탄한 참고예를 나타내고, (B)는 단자부가 팩 본체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팩 본체를 도시한다.
도 8은 팩 본체의 단자부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본 실시 형태의 단자부의 배치를 나타내고, (B)는 참고예의 단자 배치를 나타낸다.
도 9는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충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DC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배터리 팩이 충전 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배터리 팩의 정면도이고, (B)는 배터리 팩이 충전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DC 플레이트가 충전 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DC 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B)는 DC 플레이트가 충전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배터리 팩의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배터리 팩의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란에서는, 이하의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1)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설명
(2) 배터리 팩의 설명
(2-1) 팩 본체의 구성
(2-2) 단자부의 구성
(2-3) DC 플레이트와의 판별(충전 장치의 설명)
(2-4) 배터리 팩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의 수납 방법
(2-5) 효과
(3) 변형예 1(DC 플레이트)
(4) 변형예 2
(5) 기타 변형예
(1)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설명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10)은, 전자 기기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장착된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카메라 본체(2)를 갖고, 전방면(2a)에, 줌 렌즈, 집광 렌즈 등 복수의 렌즈군이 내장된 렌즈부(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면의 한쪽의 코너부에, 피사체를 촬상할 때에 가압되는 릴리즈 버튼이 설치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2)의 전방면(2a)의 상면측에는 플래시 촬영을 위한 발광부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의 길이 방향의 한쪽 측은, 다른 영역보다 두꺼워지도록 팽출되어 형성되어, 파지부(9)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지부(9)의 내부에는 배터리 수납부(6)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의 하면(2b)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을 수납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이고 배터리 팩(10)의 전방면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또한 대략 동일한 형상의 배터리 삽입구(4)가 설치되고, 이 배터리 삽입구(4)를 개폐하는 배터리 덮개(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에는, 배터리 삽입구(4)에 연속하여 배터리 수납부(6)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삽입구(4)에는, 배터리 수납부(6)에 장착된 배터리 팩(10)을 수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로크 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7)는, 배터리 팩(10)이 배터리 수납부(6)에 장착되었을 때 접속 단자의 스프링압이나 배출 스프링에 의해 배출 방향으로 압박되는 배터리 팩(10)의 배면의 코너부와 결합하여, 배터리 수납부(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이 로크 부재(7)는, 배터리 삽입구(4)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7)는, 회동 조작에 의해 선단부가 배터리 삽입구(4) 상에 대면함으로써, 로크 갈고리가 배터리 수납부(6)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 팩(10)의 배면의 코너부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7)는, 배터리 팩(10)이 배터리 수납부(6)로부터의 접속 단자의 스프링압이나 배출 스프링의 스프링압에 의해 배터리 삽입구(4)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 덮개(5)에는 배터리 삽입구(4)를 개폐하도록, 배터리 삽입구(4)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배터리 덮개(5)에는 선단측에 덮개 로크부(8)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로크부(8)는 배터리 덮개(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덮개 로크부(8)는, 배터리 덮개(5)가 배터리 삽입구(4)를 폐색한 상태에서, 배터리 덮개(5)의 선단부보다 돌출된 로크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배터리 삽입구(4)의 개구단부에 형성된 로크 오목부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덮개(5)는, 배터리 삽입구(4)를 폐색한 상태로 로크한다. 또한, 배터리 덮개(5)는, 덮개 로크부(8)를 배터리 덮개(5) 내에 인입하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덮개 로크부(8)와 로크 오목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덮개(5)는 회동 가능하게 되어, 배터리 삽입구(4)를 열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을 배터리 수납부(6)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 로크 부재(7)를 회동 조작하여, 배터리 삽입구(4) 상으로부터 퇴피시켜, 배터리 팩(10)의 배면 코너부와 로크 부재(7)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면 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은, 접속 단자의 스프링압이나 배출 스프링의 스프링압에 의해 저절로 배터리 삽입구(4)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배출된다.
(2) 배터리 팩의 설명
이 배터리 삽입구(4)로부터 삽입되어 배터리 수납부(6)에 장착되고, 카메라 본체(2)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10)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2-1) 팩 본체의 구성
이 배터리 팩(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배터리 셀(10a)이 내장된 팩 본체(11)를 갖는다. 이 팩 본체(11)는, 전체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6면이 대략 평면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면으로 되어 있고, 단자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팩 본체(11)의 상면(11a) 및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는, 모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 본체(11)의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1 코너부(12, 12)의 모따기부는, 모두 C면(12a)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모따기 각도가 45°이고 모따기의 치수가 3mm로 되어 있다. 또한, C면(12a)의 양측은, R면(12b, 12b)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반경 2mm로 되어 있다.
또한, C면(12a)이나 R면(12b)의 치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팩 본체(11)의 상면(11a)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2 코너부(13, 13)의 모따기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대략 R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코너부(13, 13)는, 팩 본체(11)의 제1 코너부(12, 12)의 모따기부의 C면(12a)과 동일한 C면에 내접하는 대략 R면(13a)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코너부(13, 13)는, 중간 정도가 C면(13a)과 제1 R면(13b)이 연속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는 모따기 각도가 45°이고 모따기의 치수가 3mm인 C면(13a)과 반경이 5mm인 제1 R면(13b)으로 되어 있다. 제2 코너부(13, 13)의 C면(13a)은, 제1 코너부(12)의 C면(12a)과 동일한 모따기로 되어 있다. 또한, C면(13a)의 상면(11a)측은, 상면(11a)과 연속하도록 제2 R면(13c)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반경이 3.8mm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R면(13b)의 저면(11b)측은 저면(11b)과 연속하도록 제3 R면(13d)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반경이 4.3mm로 되어 있다.
또한, C면(13a)이나 제1 내지 제3 R면(13b 내지 13d)의 치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제2 코너부(13)에 있어서, C면(13a)의 부분은, 생략하고, 이 생략한 부분도 제1 코너부(12, 12)의 모따기부의 C면(12a)과 동일한 C면에 내접하는 제1 R면(13b)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팩 본체(11)는, 상면(11a) 및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팩 본체(11)의 저면(11b)측의 제1 코너부(12, 12)와 팩 본체(11)의 상면(11a)측의 제2 코너부(13, 13)의 모따기부를 상이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는, 유저가 손으로 만졌을 때에 팩 본체(11)의 상하면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수납부(6)에의 오삽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1 코너부(12)의 형상과 제2 코너부(13)의 형상은 교체하여, 제1 코너부(12)의 형상을 제2 코너부(13)의 형상으로 하고, 제2 코너부(13)의 형상을 제1 형상으로 해도 좋다.
팩 본체(11)의 전방면(11e)과 상면(11a) 및 저면(11b)이 이루는 전방면측 코너부(14)와 배면(11f)과 상면(11a) 및 저면(11b)이 이루는 배면측 코너부(15)는 모두 모따기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팩 본체(11)의 배면(11f)과 상면(11a) 및 저면(11b)이 이루는 배면측 코너부(15)는, 여기에서는 전체 둘레가 반경 0.5mm인 R면(15a)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팩 본체(11)의 전방면(11e)과 상면(11a) 및 저면(11b)이 이루는 전방면측 코너부(14)는, 모따기 각도가 45°이고 모따기의 치수가 1mm인 C면(14a)의 양측이 반경 1mm의 R면(14b)으로 되어 있다.
즉, 팩 본체(11)는, 전방면측 코너부(14)보다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를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의 배면측 코너부(15)에는,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측의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면측 코너부(15)는, 배터리 수납부(6)측의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하기 쉬워짐으로써, 배터리 삽입구(4)의 로크 부재(7)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전방면측 코너부(14)와 배면측 코너부(15)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전방면측 코너부(14)와 배면측 코너부(15)는,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가 전방면측 코너부(14)의 모따기보다 작은 것이면, C면, R면, C면과 R면의 조합 등, 어떤 형상이든 좋다. 또한, 전방면측 코너부(14)나 배면측 코너부(15)의 치수는, 이상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로크 부재(7)가 결합하는 코너부가 전방면측 코너부(14)일 때에는, 상술한 예와는 반대로, 전방면측 코너부(14)의 모따기를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보다 작게 한다.
배터리 셀(10a)을 수납하는 팩 본체(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팩 반체(16, 17)를 용착, 접착제 등에 의해 맞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쪽의 팩 반체(16)에 있어서는, 무광택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팩 본체(11)는, 팩 반체(16)의 무광택 가공에 의해서도, 팩 본체(11)의 상하를, 촉각이나 시각에 의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팩 본체(11)의 상면(11a)에는, 단자부가 설치되는 전방면(11e)측에, 삼각 표시 등을 각인 또는 인쇄에 의해 삽입 방향 표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2-2) 단자부의 구성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는, 도 3,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11e)에 있어서, 폭 방향의 중심선 P1과 높이 방향의 중심선 P2에 대하여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21)는, 팩 본체(11)의 저면(11b)측을 개방하여 3방을 상승벽(22)으로 둘러싸고, 상승벽(22)의 내측에, 폭 방향의 중심선 P1측부터 순서대로 마이너스 단자(23a), 컨트롤 단자(23b), 플러스 단자(23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자(23a 내지 23c)는, 높이 방향의 슬릿 내로부터 접점 스프링을 면하게 하여, 접점 스프링을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이너스 단자(23a), 컨트롤 단자(23b), 플러스 단자(23c)의 각 슬릿에는,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있는 마이너스 접속 단자, 컨트롤 접속 단자, 플러스 접속 단자가 진입하여, 각 슬릿 내의 접점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이너스 단자(23a) 및 플러스 단자(23c)의 외측에는, 가이드 홈(24, 2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4, 24)은, 각 단자부(23a 내지 23c)의 슬릿보다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4, 24)은,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되었을 때에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이나 충전 장치의 충전 단자부에 있는 가이드 돌기가 결합하여,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분을 보호한다.
또한, 단자부(21)의 단자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저브 단자나 다른 용도의 단자를 설치하여, 4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마이너스 단자와 플러스 단자뿐이어도 좋다.
여기서, 도 7의 (A)는, 참고예로서 나타내는 배터리 팩(100)을 도시하고, 도 7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10)을 도시한다. 참고예의 도 7의 (A)에서는, 팩 본체(101)에서는 단자면이 평탄하다. 이로 인해, 팩 본체(101)의 내부에는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를 받아들이는 단자부(111)를 설치하기 위하여 깊이 D1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자부(111)의 양측은, 빈 스페이스(112)로 되기 쉽다.
이에 대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팩 본체(11)에서는, 단자부(21)를 돌출시킨 만큼, 팩 본체(11) 내의 단자부(21)를 설치하기 위한 전방면(11e)보다 침식 공간(21a)을 얕게 하여, 깊이 D2로 할 수 있다. 즉, 팩 본체(11)는, 단자부(21)를 돌출시킨 만큼(D3) 소형화하게 된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는, 단자부(21) 양측의 빈 스페이스(21b)를 작게 할 수 있어 그만큼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1)의 선단면(21c)은,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과 한층 접근시킬 수 있다(도 7 중 C1>C2).
또한, 단자부(21)의 배치에 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10)을 도시한다. 도 8의 (A)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반부는, 도 5의 높이 방향의 중심선 P2보다 하반부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반부는, 하반부를 점대칭으로 180°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의 (B)는, 참고예를 나타내고, 단자부(121)를, 폭 방향 중앙부에서, 두께 방향의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B)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반부는, 도 5의 높이 방향의 중심선 P2보다 하반부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반부는, 하반부를 점대칭으로 180°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있어서, 하반부를 점대칭으로 180° 회전한 상태의 단자부(21, 121)의 위치(점선으로 나타낸 부분)는, 배터리 팩(10)이 상하 반대로 삽입되었을 때의 단자부(21, 121)의 위치로 된다.
도 8의 (A)에 있어서, 전방면(11e)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있는 단자부(21)는, 단자부(21)가 정규 위치와 점대칭으로 위치할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된다. 또한, 도 8의 (A)의 예에서는,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출 스프링(6a)이 접촉하는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반경 5mm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참고예가 되는 도 8의 (B)에 있어서, 배터리 팩(10)의 전방면(11e)에는, 단자부(121)를, 폭 방향 중앙부에서, 두께 방향의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단자부(121)는, 정규 위치와 점대칭으로 위치하는 경우,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8의 (B)의 예에서는,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출 스프링(6a)이 접촉하는 영역이 도 8의 (A)와 비교하여 작게 되어 버린다. 여기에서는 반경 4mm의 코일 스프링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여기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21)의 폭 방향 중앙의 컨트롤 단자(23b)와 배출 스프링(6a)이 닿는 원형의 영역의 중심의 거리는 12.3mm로 된다. 이에 대해, 도 8의 (B)의 참고예에서는, 단자부(121)의 폭 방향 중앙의 컨트롤 단자(23b)와 배출 스프링(6a)이 닿는 원형의 영역의 중심의 거리는 11.35mm밖에 확보할 수 없다.
(2-3) DC 플레이트와의 판별(충전 장치의 설명)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는, 상대하는 측면(11c, 11d)과 저면(11b)에 걸친 오목부(26, 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6, 26)는, 충전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충전 장치측의 위치 결정 돌기부가 결합하는 오목부로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30)는, 장치 본체(31) 내에 충전 회로를 구비함과 함께, 배터리 팩(10)이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터리 장착부(32)는, 팩 본체(11)의 저면(11b)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32)에는,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이 맞대어지는 일단부에, 충전 단자부(33)가 되는 마이너스 충전 단자(33a), 컨트롤 충전 단자(33b), 플러스 충전 단자(33c)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32)에는 가이드 홈(24, 24)에 결합하는 가이드 돌기(35, 35)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이 맞대어진 면의 양측에는, 팩 본체(11)의 오목부(26, 26)에 결합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34, 34)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팩(10)은,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을 삽입단부로 하여, 배터리 장착부(32)에 장착된다. 그러면, 위치 결정 돌기부(34, 34)에는, 오목부(26, 26)에 결합하여 위치 결정이 되고, 또한, 배터리 팩(10)의 단자부(21)와 충전 단자부(3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충전이 개시되게 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는,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되는 배터리 팩(10) 이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DC 플레이트(40)가 있다. 이 DC 플레이트(4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배터리 수납부(6)에, 배터리 팩(10)을 대신하여 수납되는 것이며, 가정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접속된다. 그리고, DC 플레이트(40)는,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됨으로써,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대하여 DC 전원을 공급한다. 이 DC 플레이트(40)는,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되는 것이기 때문에, 플레이트 본체(42)가 배터리 팩(10)과 동일한 크기이고, 코드(41)가 도출되는 배면측의 형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DC 플레이트(40)에 대해서, 배터리 팩(10)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이 DC 플레이트(40)는, 배터리 팩(10)과 배터리 수납부(6)에의 삽입측의 형상이 동일하다. 이로 인해, DC 플레이트(40)는,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 오장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DC 플레이트(40)의 전방면측에는, 상대하는 측면(11c, 11d)과 저면(11b)에 걸친 오목부(26, 26)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12를 사용하여, 배터리 팩(10)이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의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는, 상대하는 측면(11c, 11d)과 저면(11b)에 걸친 오목부(26, 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는, 오목부(26, 26)에 결합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34, 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10)이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 장착될 때에는, 배터리 장착부(32)의 위치 결정 돌기부(34, 34)가 오목부(26, 26)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은,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 장착된다.
한편, DC 플레이트(40)를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 장착하고자 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DC 플레이트(40)의 전방면측에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대로 배터리 팩(10)처럼, 상대하는 측면(11c, 11d)과 저면(11b)에 걸친 오목부(26, 2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 플레이트(40)를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 장착하고자 하면, 배터리 장착부(32)의 위치 결정 돌기부(34, 34)가 전방면(11e)에 맞대어진다. 이에 의해, DC 플레이트(40)의 단자부(21)와 배터리 장착부(32)의 충전 단자부(33)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4) 배터리 팩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의 수납 방법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배터리 팩(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이,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에 연속한 배터리 삽입구(4)에의 삽입단부가 된다. 배터리 팩(10)에 있어서, 배터리 삽입구(4)에의 삽입 방향이나 상하의 방향은, 팩 본체(11)의 상면(11a)에 형성된 삽입 방향 표시부(18) 외에 다음과 같은 팩 본체(11)의 구성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즉, 팩 본체(11)는, 저면(11b)측의 제1 코너부(12, 12)와 상면(11a)측의 제2 코너부(13, 13)의 모따기부를 상이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는, 유저가 손으로 만졌을 때에 팩 본체(11)의 상하면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수납부(6)에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한쪽의 팩 반체(16)가 무광택 가공되어, 촉각이나 시각적으로도 다른 쪽의 팩 반체(17)와 식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6)에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의 삽입 방향의 식별은, 팩 본체(11)의 전방면측 코너부(14)보다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를 작게 하고 있음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배터리 팩(10)은, 시각이나 촉각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할 때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오삽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되면, 마이너스 단자(23a), 컨트롤 단자(23b), 플러스 단자(23c)의 각 슬릿에,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의 마이너스 접속 단자, 컨트롤 접속 단자, 플러스 접속 단자가 진입한다. 그리고, 배터리 수납부(6)의 마이너스 접속 단자, 컨트롤 접속 단자, 플러스 접속 단자는, 각 슬릿 내의 접점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는,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 있는 오목부(26, 26)와 결합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34, 34)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전방면(11e)에 오목부(26, 2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DC 플레이트(40)를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팩 본체(11)의 상면(11a)측의 제2 코너부(13, 13)의 형상이 팩 본체(11)의 저면(11b)측의 제1 코너부(12, 12)의 모따기부의 C면(12a)과 동일한 C면에 내접하는 대략 R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10)이 상하 반대로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배터리 수납부(6)의 내벽 등이 무리하게 배터리 팩(10)이 삽입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1)는, 전방면(11e)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있고, 따라서,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접촉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이 오삽입되었을 때에도 단자부(21)나 접속 단자(6b)가 서로 간섭이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수납부(6)에 배터리 팩(10)이 수납되면, 팩 본체(11)의 배면측 코너부(15)에는, 배터리 삽입구(4)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로크 부재(7)가 회동 조작됨으로써,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수납부(6)보다 접속 단자의 스프링압이나 배출 스프링(6a)의 스프링압에 의해 배터리 삽입구(4)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여기서, 팩 본체(11)는, 전방면측 코너부(14)보다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를 작게 하고 있어,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팩 본체(11)는, 로크 부재(7)에 의한 로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후, 배터리 삽입구(4)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덮개(5)는, 배터리 삽입구(4)를 폐색하고 덮개 로크부(8)에 의해 로크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배터리 수납부(6)에 확실하게 수납되게 된다.
또한, 배터리 팩(10)을 배터리 수납부(6)로부터 취출하기 위해서는, 덮개 로크부(8)의 로크를 해제하여, 배터리 덮개(5)를 열고, 로크 부재(7)에 의한 로크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10)은, 접속 단자의 스프링압이나 배출 스프링의 스프링압에 의해 저절로 배터리 삽입구(4)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배출된다.
또한, 이상, 배터리 팩(10)을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11에 도시한 DC 플레이트(40)에 대해서도, 동등한 수순으로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된다.
(2-5) 효과
이상과 같은 배터리 팩(10)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 본체(11)의 상면(11a) 및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팩 본체(11)의 저면(11b)측의 제1 코너부(12, 12)와 팩 본체(11)의 상면(11a)측의 제2 코너부(13, 13)의 모따기부를 상이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는, 유저가 손으로 만졌을 때에 팩 본체(11)의 상하면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수납부(6)에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를 전방면측 코너부(14)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는, 배면측 코너부(15)에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측의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를 결합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면측 코너부(15)는, 배터리 수납부(6)측의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하기 쉬워짐으로써, 배터리 삽입구(4)의 로크 부재(7)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팩 본체(11)는, 전방면측 코너부(14)와 배면측 코너부(15)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팩 본체(11)에서는, 단자부(21)를 돌출시킨 만큼, 팩 본체(11) 내의 단자부(21)를 설치하기 위한 전방면(11e)보다 침식하는 공간(21a)을 얕게 하여 깊이 D2로 할 수 있다. 즉, 팩 본체(11)는, 단자부(21)를 돌출시킨 만큼(D3)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팩 본체(11)는, 단자부(21) 양측의 빈 스페이스(21b)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만큼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1)의 선단면(21c)은,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과 한층 접근시킬 수 있다(도 7 중 C1>C2).
또한, 도 8의 (A)에 있어서, 전방면(11e)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있는 단자부(21)는, 단자부(21)가 정규 위치와 점대칭으로 위치할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된다. 따라서, 배터리 팩(10)이 상하 반대로 삽입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의 예에서는,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출 스프링(6a)이 접촉하는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 본체(11)의 전방면(11e)에 있어서, 오목부(26, 26)를 형성하고, DC 플레이트(40)에서는, 플레이트 본체(42)의 전방면(11e)에 있어서, 오목부(26, 26)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부(34, 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 장치(30)의 배터리 장착부(32)에는, 오목부(26, 26)가 있는 배터리 팩(10)만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DC 플레이트(40)가 배터리 장착부(32)에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변형예 1(DC 플레이트)
이상과 같은 배터리 팩(10)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은 DC 플레이트(4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 플레이트(4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배터리 수납부(6)에, 배터리 팩(10)을 대신하여 수납되는 것이며, 가정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접속된다. 그리고, DC 플레이트(40)는,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됨으로써,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대하여 DC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수납부(6)에 수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DC 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 본체(42)가 배터리 팩(10)과 동일한 크기이고, 코드(41)가 도출되는 배면측의 형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DC 플레이트(40)도 플레이트 본체(42)의 상면(11a) 및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의 실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42)는, 저면(11b)측의 제1 코너부(12, 12)와 상면(11a)측의 제2 코너부(13, 13)의 모따기부를 상이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42)는, 유저가 손으로 만졌을 때에 플레이트 본체(42)의 상하면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수납부(6)에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도 3 내지 도 6 참조).
또한, 플레이트 본체(42)는, 전방면측 코너부(14)보다 배면측 코너부(15)의 모따기를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42)의 배면측 코너부(15)에는,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측의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면측 코너부(15)는, 배터리 수납부(6)측의 로크 부재(7)의 로크 갈고리가 결합하기 쉬워짐으로써, 배터리 삽입구(4)의 로크 부재(7)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42)는, 전방면측 코너부(14)와 배면측 코너부(15)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도 3 내지 도 6 참조).
또한, 플레이트 본체(42)에서는, 단자부(21)를 돌출시킨 만큼, 플레이트 본체(42) 내의 단자부(21)를 설치하기 위한 전방면(11e)보다 침식하는 공간(21a)을 얕게 하여 깊이 D2로 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 본체(42)는, 단자부(21)를 돌출시킨 만큼(D3)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42)는, 단자부(21)의 양측의 빈 스페이스(21b)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만큼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1)의 선단면(21c)은,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과 한층 접근시킬 수 있다(도 7 중 C1>C2)(도 7 참조).
또한, 도 8의 (A)에 있어서, 전방면(11e)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있는 단자부(21)는, 단자부(21)가 정규 위치와 점대칭으로 위치할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된다. 따라서, DC 플레이트(40)가 상하 반대로 삽입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 단자(6b)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도 8의 (A)의 예에서는, 플레이트 본체(42)의 전방면(11e)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2)의 배터리 수납부(6)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출 스프링(6a)이 접촉하는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4) 변형예 2
또한, 배터리 팩(10)에 있어서, 팩 본체(11)의 상면(11a) 및 저면(11b)과 상대하는 측면(11c, 11d)이 이루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의 모따기부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14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의 모따기부를 모두 C면 형상으로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코너부(12, 13)는, 모두 C면(12o, 13o) 양측에 R면(12p, 13p)을 형성한다.
또한, 도 15는 제1 및 제2 코너부(12, 13)의 모따기부를 모두 R면 형상으로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코너부(12, 13)는 모두 R면(12x, 13x)을 형성한다.
(5) 기타 변형예
이상, 배터리 팩(10)이나 DC 플레이트(40)가 사용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배터리 팩(10)이나 DC 플레이트(40)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그 밖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로서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기기이어도 좋다. 또한, 그 밖의 전자 기기로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Personal Data Assistance)), 휴대 전화, 랩탑 컴퓨터 등이어도 좋다. 또한, 배터리 셀로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니켈 수소 이차 전지 등이어도 좋다.
1: 디지털 스틸 카메라
2: 카메라 본체
6: 배터리 수납부
6a: 배출 스프링
6b: 접속 단자
7: 로크 부재
8: 덮개 로크부
9: 파지부
10: 배터리 팩
10a: 배터리 셀
11: 팩 본체
11a: 상면
11b: 저면
11c, 11d: 측면
11e: 전방면
11f: 배면
12: 제1 코너부
12a: C면
12b: R면
12o: C면
12p: R면
12x: R면
13: 제2 코너부
13a: C면
13b: 제1 R면
13c: 제2 R면
13d: 제3 R면
13o: C면
13p: R면
13x: R면
14: 전방면측 코너부
14a: C면
14b: R면
15: 배면측 코너부
15a: R면
16, 17: 팩 반체
18: 삽입 방향 표시부
21: 단자부
21a: 공간
21b: 빈 스페이스
21c: 선단면
22: 상승벽
23a: 마이너스 단자
23b: 컨트롤 단자
23c: 플러스 단자
24: 가이드 홈
26: 오목부
30: 충전 장치
31: 장치 본체
32: 배터리 장착부
33: 충전 단자부
33a: 마이너스 충전 단자
33b: 컨트롤 충전 단자
33c: 플러스 충전 단자
34: 위치 결정 돌기부
35: 가이드 돌기
40: DC 플레이트
41: 코드
42: 플레이트 본체
100: 배터리 팩
101: 팩 본체
111: 단자부
112: 빈 스페이스
121: 단자부

Claims (6)

  1. 배터리 셀이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팩 본체와,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에 설치된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팩 본체는, 상면 및 저면과 상대하는 측면이 이루는 코너부에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에 있어서,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와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는 모두 C면 형상(chamfered shape)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는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의 C면 형상과 동일한 C면 형상에 내접하는 R면 형상(rounded shape)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와 상기 팩 본체의 배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는 모두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팩 본체의 배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를,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과 상면 및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보다 작게 하고 있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팩 본체의 전방면에는, 상기 상대하는 측면과 상기 저면에 걸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저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와 상기 팩 본체의 상대하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코너부의 모따기부는 모두 R면 형상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17025803A 2010-03-29 2011-02-21 배터리 KR101757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0-002063 2010-03-29
JP2010002063U JP3160044U (ja) 2010-03-29 2010-03-29 電源供給装置
PCT/JP2011/053736 WO2011122169A1 (ja) 2010-03-29 2011-02-21 電源供給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704A Division KR101821099B1 (ko) 2010-03-29 2011-02-21 배터리 및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61A true KR20130006261A (ko) 2013-01-16
KR101757941B1 KR101757941B1 (ko) 2017-07-13

Family

ID=447119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803A KR101757941B1 (ko) 2010-03-29 2011-02-21 배터리
KR1020177002704A KR101821099B1 (ko) 2010-03-29 2011-02-21 배터리 및 촬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704A KR101821099B1 (ko) 2010-03-29 2011-02-21 배터리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8828601B2 (ko)
EP (4) EP2579355B1 (ko)
JP (1) JP3160044U (ko)
KR (2) KR101757941B1 (ko)
CN (5) CN102439758B (ko)
BR (1) BRPI1106067A2 (ko)
DE (1) DE202011110071U1 (ko)
RU (1) RU2572602C2 (ko)
TW (1) TWI434450B (ko)
WO (1) WO2011122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5756B2 (en) 2002-09-13 2005-05-24 The Boeing Company Compact swirl augmented afterburners for gas turbine engines
JP5742096B2 (ja) 2009-12-29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3160044U (ja) 2010-03-29 2010-06-10 ソニー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
DE102013202062A1 (de) * 2013-02-08 2014-08-14 Robert Bosch Gmbh Akkumulatorzelle und Akkumulatormodul
JP6986236B2 (ja) * 2014-03-24 2021-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およびプリフォーム
CN204302638U (zh) * 2014-10-24 2015-04-29 乐清市创意影视器材有限公司 一种相机机顶闪光灯
USD791695S1 (en) 2017-01-20 2017-07-11 Gopro, Inc. Battery
JP6191796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6961985B2 (ja) * 2017-02-10 2021-11-0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6191795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WO2018230524A1 (ja) * 2017-06-16 2018-12-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CN107645879A (zh) * 2017-08-30 2018-01-30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电子部件及其制备方法
USD940066S1 (en) 2017-09-28 2022-01-04 Gopro, Inc. Battery
USD861592S1 (en) 2017-09-28 2019-10-01 Gopro, Inc. Battery
USD890835S1 (en) 2017-12-28 2020-07-21 Gopro, Inc. Camera
USD907680S1 (en) 2018-08-31 2021-01-12 Gopro, Inc. Camera
USD907101S1 (en) 2019-06-11 2021-01-05 Gopro, Inc. Camera
USD903740S1 (en) 2018-09-14 2020-12-01 Gopro, Inc. Camera
CN111067423B (zh) * 2018-10-19 2022-07-19 德国福维克控股公司 可更换的蓄电池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DE212020000722U1 (de) 2019-09-18 2022-04-26 Gopro, Inc. Türbaugruppen für Bildaufnahmevorrichtungen
CN112993450B (zh) * 2019-12-18 2023-06-09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锂电池、锂电池模块以及电子设备
JP7103389B2 (ja) 2019-12-18 2022-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DE102020104783A1 (de) 2020-02-24 2021-08-26 Volocopter Gmbh Batteriehaltevorrichtung, Batteriesystem, Fluggerät und Verfahren zum Wechseln einer Batterie für ein Fluggerät
US11782327B2 (en) 2020-07-02 2023-10-10 Gopro, Inc. Removable battery door assemblies for image capture devices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69B2 (ja) 1990-12-01 1996-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A2408978C (en) * 1992-05-29 2004-12-28 Sony Corporation Battery cartridge having hollow electrodes and a recess for detecting misuse and/or recessed terminals
JP3416962B2 (ja) 1992-09-18 2003-06-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2711223B2 (ja) 1994-07-29 1998-02-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接続構造
JPH09271144A (ja) 1996-01-29 1997-10-14 Sony Corp 電源識別方法、乾電池パツク、電子機器
JP3490590B2 (ja) 1997-05-29 2004-01-2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装置のバッテリロック機構
US6051336A (en) * 1998-01-19 2000-04-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Battery case for thin metal film cells
US6127063A (en) 1998-01-26 2000-10-03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oration Intelligent battery and well interface
US6261715B1 (en) 1998-03-12 2001-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attery attach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s
USD535253S1 (en) 1998-06-17 2007-01-16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terminal and housing
JP2000058015A (ja) * 1998-08-07 2000-02-25 Mitsubishi Cable Ind Ltd 電池パック
US6057608A (en) 1998-08-13 2000-05-02 Black & Decker Inc. Cordless power tool system
JP2000090961A (ja) 1998-09-17 2000-03-31 Mitsubishi Cable Ind Ltd 角型電池及び電池パック
FR2785952B1 (fr) * 1998-11-12 2001-04-06 Alain Husson Attache rapide pour fixer un outil a l'extremite du bras d'un chargeur ou analogue
TW395568U (en) 1998-12-28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JP4110656B2 (ja)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USD437579S1 (en) * 1999-03-12 2001-02-13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pack casing
US6228526B1 (en) * 1999-05-14 2001-05-08 Rosslare Enterprises, Ltd. Battery pack having durable terminals
USD447122S1 (en) 2000-05-30 2001-08-28 J.S.T. Mfg. Co., Ltd.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2002110287A (ja) 2000-09-14 2002-04-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バッテリーコネクタ構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US6677078B2 (en) 2001-06-29 2004-01-13 The Gillette Company Battery cartridge
JP3643792B2 (ja) * 2001-06-29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3925120B2 (ja) * 2001-07-24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本体側機器に対する装着部品の誤装着防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着部品
KR100919332B1 (ko) * 2001-07-24 2009-09-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장치
JP3705168B2 (ja) * 2001-07-25 2005-10-1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着用端子構造
US6729413B2 (en) 2001-08-24 2004-05-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NL1019047C2 (nl) 2001-09-26 2003-04-02 Univ Eindhoven Tech Werkwijze en stelsel voor het via een multi-modus optische vezel overdragen van microgolfsignalen.
JP3678188B2 (ja) * 2001-10-09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充電装置
USD473192S1 (en) 2002-02-14 2003-04-15 Mitsumi Electric Co., Ltd. Electric connector
US7066970B2 (en) * 2003-05-09 2006-06-27 The Gillette Company Electrochemical cells
JP2005190956A (ja) * 2003-12-26 2005-07-14 Sanyo Electric Co Ltd 薄型バッテリーパック
JP4123516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EP1603246B1 (en) * 2004-06-02 2007-03-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lim line battery pack
JP4622502B2 (ja) * 2004-12-20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
JP4639818B2 (ja) 2005-01-2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7722982B2 (en) * 2005-05-05 2010-05-25 Motorola, Inc. Battery pack having non-orthogonal coupling slots
EP2919295B1 (en) * 2005-10-31 2018-08-29 Black & Decker, Inc. Method of arranging the components of a battery pack
JP4725317B2 (ja) * 2005-12-26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4245017B2 (ja)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9170236A (ja) * 2008-01-16 2009-07-30 Canon Inc バッテリー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9205844A (ja) * 2008-02-26 2009-09-10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
RU76169U1 (ru) * 2008-04-04 2008-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циональная инновационная компания "Новые энергетические проекты" (ООО "Национальная инновационная компания "НЭП") Корпус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JP5742096B2 (ja) 2009-12-29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3160044U (ja) 2010-03-29 2010-06-10 ソニー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6757A1 (en) 2012-03-07
EP2665108A3 (en) 2014-01-15
US8828601B2 (en) 2014-09-09
EP2712007A1 (en) 2014-03-26
EP2665108B1 (en) 2016-04-27
CN104900827B (zh) 2017-10-24
EP2712007B1 (en) 2024-03-27
DE202011110071U1 (de) 2012-10-01
US11101512B2 (en) 2021-08-24
EP2665108A2 (en) 2013-11-20
EP2579355B1 (en) 2014-04-09
KR101821099B1 (ko) 2018-01-22
US20120148912A1 (en) 2012-06-14
US10217972B2 (en) 2019-02-26
EP2426757A4 (en) 2012-11-07
CN104900839A (zh) 2015-09-09
EP2426757B1 (en) 2014-04-02
CN102439758A (zh) 2012-05-02
US20190140219A1 (en) 2019-05-09
RU2572602C2 (ru) 2016-01-20
CN104900838B (zh) 2018-10-19
RU2011147463A (ru) 2013-05-27
KR20170015561A (ko) 2017-02-08
US9716254B2 (en) 2017-07-25
US20170288178A1 (en) 2017-10-05
CN104900839B (zh) 2018-11-30
CN104900838A (zh) 2015-09-09
US20140329123A1 (en) 2014-11-06
CN104900818A (zh) 2015-09-09
JP3160044U (ja) 2010-06-10
TW201203665A (en) 2012-01-16
CN102439758B (zh) 2015-05-27
KR101757941B1 (ko) 2017-07-13
EP2579355A1 (en) 2013-04-10
BRPI1106067A2 (pt) 2017-05-16
TWI434450B (zh) 2014-04-11
WO2011122169A1 (ja) 2011-10-06
CN104900827A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261A (ko) 전원 공급 장치
JP4232851B2 (ja)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6B2 (ja) バッテリー装置
JP3497260B2 (ja) 電源ユニットの誤装着防止装置
JP2023153374A (ja) 接続機器
WO2018146860A1 (ja)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4797016B2 (ja) 携帯通信端末
JP6969594B2 (ja) バッテリー
JP2009176461A (ja) 電池用蓋装置及び電池収納装置
JP2002298813A (ja) 電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