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089U - 분할식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분할식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089U
KR20130006089U KR2020120002968U KR20120002968U KR20130006089U KR 20130006089 U KR20130006089 U KR 20130006089U KR 2020120002968 U KR2020120002968 U KR 2020120002968U KR 20120002968 U KR20120002968 U KR 20120002968U KR 20130006089 U KR20130006089 U KR 20130006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outdoor
water
window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868Y1 (ko
Inventor
김상곤
서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20002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6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식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지지되며, 실내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내측창틀과 실외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외측창틀을 구비하는 외곽 창틀;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에 실내창이 마련되는 실내 창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중간 창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에 실외이동창이 마련되는 실외 상부창틀; 및 상기 중간 창틀의 하단부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내부에 실외고정창이 마련되는 실외 하부창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분할식 이중 창호 {DIVIDED TYPE DUAL FITTINGS}
본 고안은 분할식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낙상 및 물건의 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수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분할식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고층용 창호는 강한 풍압에도 견딜 수 있는 내풍압성이 강화된 창호용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입주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현재 아파트나 고층건물에 설치된 고층용 창호는 내창, 외창 모두 슬라이딩의 형태의 창호로 제작된다.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발코니 외측에 발코니 창을 설치하고 발코니와 거실의 경계부에 거실 창을 설치하여 거실과 발코니가 분리되어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여 거실면적을 확장하고자 거실 창을 제거하는 거실확장공사가 많이 보편화되었고, 이로 인해 발코니 외측에 설치된 창은 슬라이딩 형태로 창호를 개방하면 바로 실외로 연통되어 외부에 쉽게 노출되었다. 이와 같이 발코니 외측에 설치된 창이 개방되어 외부에 쉽게 노출되는 경우, 어린 아이들이 근처에서 놀다가 건물 아래로 추락하여 낙상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또는 실내에 있는 물건이 낙하하여 건물 아래를 지나가는 행인이나 주차된 자동차를 파손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측에는 고정창을 장착하고 상측에는 이동창을 장착하는 구조의 창호가 개발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창호의 경우에는 수밀성과 단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이용되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이러한 문제점들은 남아 있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낙상 및 물건의 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수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분할식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는, 벽체에 지지되며, 실내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내측창틀과 실외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외측창틀을 구비하는 외곽 창틀;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에 실내창이 마련되는 실내 창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중간 창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에 실외이동창이 마련되는 실외 상부창틀; 및 상기 중간 창틀의 하단부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내부에 실외고정창이 마련되는 실외 하부창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 창틀은, 상기 실외 상부창틀 및 상기 실외 하부창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실내 창틀과, 상기 제1 실내 창틀에 대향하여 실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실내 창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 상부창틀은, 상기 실내 창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실외 상부창틀과, 상기 제1 실외 상부창틀에 대항하여 실외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실외 상부창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 하부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실외고정창을 중심으로 실외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될 때 상기 배수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집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있어 실외에 인접한 부분을 덮을 수 있게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집수방지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방지패널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서 실외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곽 외측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실외고정창을 중심으로 실내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될 때 상기 배수된 물이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하단부에 집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를 거쳐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를 통해 실외로 배수될 수 있게 배수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구비된 배수로는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서 실외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수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저수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로 향할 수 있게 상단부에 경사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상기 중간 창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에 마련된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에서 상기 연결구까지 연통된 내부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수홀 또는 상기 내부유로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외측창틀과 연결되는 일면에 배수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에 의하면, 사용자의 낙상 및 물건의 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수밀성과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 하측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 중간 창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일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 외곽 창틀과 중간 창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연결구를 다를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있어 폭이 큰 경우에 변형된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 하측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 중간 창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일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 외곽 창틀과 중간 창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있어 폭이 큰 경우에 변형된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는, 외곽 창틀(100), 실내 창틀(200), 중간 창틀(300), 실외 상부창틀(400), 실외 하부창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곽 창틀(100)은 벽체에 지지되어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외곽 창틀(100)은 설치를 위한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지 않아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어 부분적으로 보강프레임(도면번호 미부여)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곽 창틀(100)은 실내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내측창틀(110)과 실외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외측창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곽 내측창틀(110)에는 실내 창틀(200)이 장착되고, 외곽 외측창틀(120)에는 실외 상부창틀(400) 및 실외 하부창틀(50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외곽 외측창틀(120)은,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실외고정창(510)을 중심으로 실내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도 2에서 Ⅱ 방향)될 때 배수된 물이 외곽 내측창틀(110)의 하단부에 집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로(1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제1 실내창(212)과 제1 실외이동창(412) 사이로 배수되어 외곽 내측창틀(110) 하단부에 집수되는 경우, 물이 실내로 유출될 수도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곽 외측창틀(120)은 배수로(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로(122)는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를 거쳐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곽 외측창틀(120)에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로(122)는 크게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배수홀 형태로 구비되는 배수로(122-1)와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2)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때,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1)는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서 실외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수되는 물이 실외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1)는 배수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저수조(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배수되는 물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우 배수로(122)를 통해 물이 모두 배수되지 않고 외곽 내측창틀(110) 하단부로 넘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내 창틀(200)은 내부에 실내창(210)이 마련되는 창틀로서, 외곽 내측창틀(110)의 상단부와 외곽 내측창틀(1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실내 창틀(200)은 중간 창틀(300)에 의한 분할식 창틀이 아니라 외곽 내측창틀(110) 전체에 장착되는 통합식 창틀로서, 실외 상부창틀(400) 및 실외 하부창틀(500)만으로는 부족한 수밀성과 단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내 창틀(200)은 단일 창틀로도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수밀성과 단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이중 창틀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내 창틀(200)은 실외 상부창틀(400) 및 실외 하부창틀(50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실내창틀(220)과 제1 실내창틀(220)에 대향하여 실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실내창틀(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중간 창틀(300)은 외곽 외측창틀(120)의 상단부와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중간 창틀(300)은 외곽 외측창틀(120)을 분할식 창틀로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중간 창틀(300)을 기준으로 외곽 외측창틀(120)의 상부에는 실외 상부창틀(400)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실외 하부창틀(500)이 마련된다.
이러한 중간 창틀(300) 역시 외곽 창틀(100)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프레임(도면번호 미부여)이 내부에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 창틀(300)은,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2)로 향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경사로(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경사로(310)는 물이 유동되는 방향만을 결정할 정도로만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중간 창틀(300)의 제조 과정의 편의를 고려하여 중간 창틀(300) 상단부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사로(310)는 실외 상부창틀(400)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또는 수밀성과 단열성을 방해할 정도로 기울기를 갖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중간 창틀(300)은 도 6 및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연결구(320)를 통해 외곽 외측창틀(120)과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구(320)는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와 중간 창틀(300)의 양 단부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와 나사 또는 핀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홀(327)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중간 창틀(300)의 중공부(도면번호 미부여)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구(328)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320)는 외관상의 미려감을 높이기 위해 중간 창틀(300)과 연속적으로 보이기 위한 연결구덮개(326)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연결구(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경사로(310)를 거쳐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2)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연결구(320)에는 경사로(310)와 배수로(122)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수홀(322)이 마련된다.
이때, 배수홀(322)은 경사로(310)와 배수로(122)를 상호 연통시키기만 하면 그 형상이나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밀성과 단열성 및 외관상의 미려감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이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중간 창틀(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폭이 큰 경우에는, 경사로(310)를 통해서만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을 완활히 배출시키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단부에 배수공(330)을 포함하고 내부에 내부유로(미도시)을 포함하도록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공(330)은,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 중 경사로(310)를 따라 배출되기 어려운 상태에 있는 물(예를 들어, 경사로(310)에 구조상 턱이 있거나 이물질이 있어 고여있는 물)이 내부유로(미도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수공(330)은 전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중간 창틀(330)의 상단부 상에서의 위치 및 형상 등에 대하여는 제한이 없다. 즉, 배수공(330)은 도면 상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내부유로(미도시)는 배수공(33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122-2)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중간 창틀(300) 내부에 마련된 유로이다.
이러한 내부유로(미도시)는 배수공(330)에서 배수로(122-2)까지 직접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와 중간 창틀(300)의 양 단부가 연결구(320)를 통해 연결되는 만큼 내부유로(미도시)는 배수공(330)에서 연결구(320)까지만 연통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내부유로(미도시)가 배수공(330)에서 연결구(320)까지만 연통되는 경우라면, 연결구(320)의 구조도 일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연결구(320)는 경사로(310)를 따라 배수홀(322)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 내부유로(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모두 유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구(320)가 구성되면, 경우에 따라 배수홀(322) 또는 내부유로(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122-2)로 여러 갈래로 유입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누수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연결구(320)에는 배수라인(32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배수라인(324)는 배수홀(322) 또는 배수유로(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122-2)로 유입되는 것은 안내하기만 하면, 연결구(320) 내에서 위치 및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이 없다. 즉, 배수라인(324)은 외곽 외측창틀(120)과 연결되는 연결구(320)의 일면 상에 마련된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실외 상부창틀(400)은 내부에 실외이동창(410)이 마련되는 창틀로서, 외곽 외측창틀(120)의 상단부와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실외 상부창틀(400)은 중간 창틀(300)에 의해 분할된 외곽 외측창틀(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할식 창틀의 일부로서, 실내 창틀(200)과 함께 개방되었을 때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외 상부창틀(400)은 단일 창틀로도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실내 창틀(200)과 같이 수밀성과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중 창틀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외 상부창틀(400)은 실내 창틀(20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실외 상부창틀(410)과 제1 실외 상부창틀(410)에 대향하여 실외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실외 상부창틀(42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외 하부창틀(500)은 내부에 실외고정창(510)이 마련되는 창틀로서, 중간 창틀(300)의 하단부와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실외 하부창틀(500)은 중간 창틀(300)에 의해 분할된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할식 창틀의 일부로서, 실내 창틀(200)이 개방되더라도 실내 창틀(200)의 하부에는 실내와 실외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낙상 및 물건의 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외 하부창틀(500)은, 개폐되지 않은 실외고정창(510)이 마련되기 위한 창틀인 만큼,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기만 하여도 무방하지만, 실외고정창(510)이 받는 풍압을 고려하여 상하 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도면 상에서는 상하를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이 도시되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면번호를 특별히 부여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외 하부창틀(500)에는,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실외고정창(510)을 중심으로 실외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도 2에서 Ⅰ 방향)될 때 배수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집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방지패널(52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외 하부창틀(5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집수방지패널(520)이 구비되어 있어,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있어 실외에 인접한 부분을 덮음으로써,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로 집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집수방지패널(520)은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서 실외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떨어질 때 발생되는 미세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집수방지패널(520)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앞서 참조한 도 1 내지 도 8을 다시 한 번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실외이동창(410)이 마련되는 실외 상부창틀(400)과 실외고정창(510)이 마련되는 실외 하부창틀(500)을 포함하기 때문에, 창호의 지지력, 내구성, 내풍압성 등이 향상됨은 물론 사용자의 낙상 및 물건의 낙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실외 상부창틀(400)과 실외 하부창틀(500)로 구성되는 분할식 창틀과 실내 창틀(200)로 구성되는 통합식 창틀이 합하여진 형태를 갖기 때문에, 수밀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다. 더욱이, 실내 창틀(200)과 실외 상부창틀(400)은 이중 창틀로 구성될 수 있어, 더욱 수밀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이 다중의 창틀을 갖는 경우, 실외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결로에 의해 발생된 물이 실외로 잘 배수되지 않아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되어 수밀성이 떨어지게 될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경로(도 2에서 Ⅰ 및 Ⅱ로 구분한 2개의 화살표)를 통해, 실외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결로에 의해 발생된 물이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에 집수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지 않고 실외로 잘 배수할 수 있으므로, 수밀성이 떨어질 위험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서 Ⅰ로 구분한 화살표에 해당하는 경로로 물이 배수되는 과정은 제2 실외이동창(412) 또는 방충망(600)을 통해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실외고정창(510)을 중심으로 실외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되는 과정으로, 배수되는 물이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로 집수되는 것을 실외 하부창틀(500)에 구비된 집수방지패널(520)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집수방지패널(520)은 경사져 있으므로 중간 창틀(300)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떨어질 때 발생되는 미세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집수방지패널(520)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되는 물은 집수방지패널(520)로 이내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로 집수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배수되는 물이 집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수밀성이 떨어지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Ⅱ로 구분한 화살표에 해당하는 경로로 물이 배수되는 과정은 제1 실외이동창(412) 또는 제1 실내창(212)을 통해 중간 창틀(300)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실외고정창(510)을 중심으로 실내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되는 과정으로, 배수되는 물이 경사로(310)와 배수로(122)를 따라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를 거쳐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경사로(310)와 배수로(122) 사이에는 외곽 외측창틀(120)과 중간 창틀(300)을 연결시켜주는 연결구(320)가 마련될 수 있으나, 연결구(320)에는 경사로(310)와 배수로(122)를 연통시켜주는 배수홀(322)이 마련되어 있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특히, 경사로(310)를 지나 연결구(320)를 거쳐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2)를 통해 물이 배수되는 과정은, 여타 다른 창호에 있어서 발생되는 레일에 형성된 홀을 통해 물이 배수되는 경우 시험시 압력조건(정압으로 내부에서 흡입)에 따른 추가적인 물의 유입으로 수밀성이 저하되는 역효과 현상이 없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유리한 효과는 사용자의 시야를 최대한 좋게 하기 위해 슬림하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는 추가적인 효과도 수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로(310)를 거쳐 배수로(122)를 따라 물이 원활히 배수되면, 외곽 외측창틀(120)의 하단부에 배수되는 물이 집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수밀성이 떨어지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폭이 큰 경우에 있어서는, 경사로(310)를 지나 연결구(320)를 거쳐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2)를 통해 배수되는 과정 이외에, 배수공(330)을 통해 유입되어 중간 창틀(300)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유로(미도시)를 거쳐 외곽 외측창틀(120)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로(122-2)를 통해 배수되는 과정(도 8에서의 Ⅲ으로 표시한 화살표)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추가되면, 당연히 물은 더욱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물이 집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수밀성이 떨어지는 위험성을 더욱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할식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우수한 수밀성과 단열성을 갖도록 다중의 창틀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실외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결로에 의해 발생된 물이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에 집수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지 않고 실외로 잘 배수함으로써, 수밀성이 저하되는 역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종국적으로는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우수한 수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창호의 제공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외곽 창틀 110 : 외곽 내측창틀
120 : 외곽 외측창틀 122 : 배수로
124 : 저수조
200 : 실내 창틀 210 : 실내창
212 : 제1 실내창 213 : 제2 실내창
220 : 제1 실내 창틀 230 : 제2 실내 창틀
300 : 중간 창틀 310 : 경사로
320 : 연결구 322 : 배수홀
323 : 연통홀 324 : 배수라인
326 : 연결구덮개 327 : 결합홀
328 : 끼움구 330 : 배수공
400 : 실외 상부창틀 410 : 실외이동창
412 : 제1 실외이동창 412 : 제2 실외이동창
420 : 제1 실외 상부창틀 430 : 제2 실외 상부창틀
500 : 실외 하부창틀 510 : 실외고정창
520 : 집수방지패널
600 : 방충망

Claims (12)

  1. 벽체에 지지되며, 실내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내측창틀과 실외에 인접한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외측창틀을 구비하는 외곽 창틀;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에 실내창이 마련되는 실내 창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중간 창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상단부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에 실외이동창이 마련되는 실외 상부창틀; 및
    상기 중간 창틀의 하단부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내부에 실외고정창이 마련되는 실외 하부창틀;을 포함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창틀은,
    상기 실외 상부창틀 및 상기 실외 하부창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실내 창틀과, 상기 제1 실내 창틀에 대향하여 실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실내 창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상부창틀은,
    상기 실내 창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실외 상부창틀과, 상기 제1 실외 상부창틀에 대항하여 실외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실외 상부창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실외고정창을 중심으로 실외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될 때, 상기 배수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집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 하부창틀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있어 실외에 인접한 부분을 덮을 수 있게,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집수방지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방지패널은,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서 실외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실외고정창을 중심으로 실내를 향해 하측으로 배수될 때, 상기 배수된 물이 상기 외곽 내측창틀의 하단부에 집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외측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를 거쳐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를 통해 실외로 배수될 수 있게, 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구비된 배수로는,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서 실외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하단부에 구비된 배수로는,
    상기 배수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저수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로 향할 수 있게, 상단부에 경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경사로를 거쳐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로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창틀과 상기 외곽 외측창틀을 연결하는 연결구에는 상기 경사로와 상기 배수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창틀은,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상기 중간 창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창틀의 상단부에 마련된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에서 상기 연결구까지 연통된 내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수홀 또는 상기 내부유로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외곽 외측창틀의 좌우측부 내부에 구비된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외측창틀과 연결되는 일면에 배수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이중 창호.
KR2020120002968U 2012-04-12 2012-04-12 분할식 이중 창호 KR200482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68U KR200482868Y1 (ko) 2012-04-12 2012-04-12 분할식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68U KR200482868Y1 (ko) 2012-04-12 2012-04-12 분할식 이중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89U true KR20130006089U (ko) 2013-10-22
KR200482868Y1 KR200482868Y1 (ko) 2017-03-13

Family

ID=5243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968U KR200482868Y1 (ko) 2012-04-12 2012-04-12 분할식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2B1 (ko) * 2014-03-21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협소한 시공 구조 여건에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입면 분할 창호
CN104328986A (zh) * 2014-10-21 2015-02-04 唐运宏 一种多功能组合窗户
WO2018056627A1 (en) * 2016-09-22 2018-03-29 Lg Hausys, Ltd. Facade-split window having optimized watertight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18Y1 (ko) * 2017-11-10 2019-10-14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 조립체
KR102035219B1 (ko) * 2018-10-26 2019-11-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배수가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102207186B1 (ko) * 2019-08-13 2021-01-25 주식회사 케이씨씨 배수가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75Y1 (ko) * 1985-07-26 1988-07-23 주식회사 럭키 창문틀의 배수장치
KR200263706Y1 (ko) * 2001-10-23 2002-02-08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200331497Y1 (ko) * 2003-06-27 2003-10-30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연결구
KR200419513Y1 (ko) * 2006-04-11 2006-06-21 주식회사동양강철 이중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75Y1 (ko) * 1985-07-26 1988-07-23 주식회사 럭키 창문틀의 배수장치
KR200263706Y1 (ko) * 2001-10-23 2002-02-08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200331497Y1 (ko) * 2003-06-27 2003-10-30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연결구
KR200419513Y1 (ko) * 2006-04-11 2006-06-21 주식회사동양강철 이중 창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2B1 (ko) * 2014-03-21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협소한 시공 구조 여건에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입면 분할 창호
CN104328986A (zh) * 2014-10-21 2015-02-04 唐运宏 一种多功能组合窗户
WO2018056627A1 (en) * 2016-09-22 2018-03-29 Lg Hausys, Ltd. Facade-split window having optimized watertight structure
KR20180032448A (ko) * 2016-09-22 2018-03-30 (주)엘지하우시스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68Y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089U (ko) 분할식 이중 창호
JP5450664B2 (ja) 窓戸設備
KR20150077655A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JP5290843B2 (ja) 下枠の排水構造および建具
KR200485380Y1 (ko)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WO2018062640A2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JP5341441B2 (ja) 開口部装置
JP4267582B2 (ja) 建具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TWI499715B (zh) Doors and windows with waterproof devices and doors and windows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JP6968555B2 (ja) 建具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JP3917538B2 (ja) 浴室出入口建具枠の排水構造
JPH019915Y2 (ko)
KR102483847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JP2010053591A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用水切り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防水構造
JP5066045B2 (ja) 建具
KR102296251B1 (ko) 공동주택 발코니용 조립식 배수시설
KR102579839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호의 아래 가로변 구조
CN219974325U (zh) 门窗用防风排水装置和一种门窗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