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18Y1 -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18Y1
KR200490218Y1 KR2020170005788U KR20170005788U KR200490218Y1 KR 200490218 Y1 KR200490218 Y1 KR 200490218Y1 KR 2020170005788 U KR2020170005788 U KR 2020170005788U KR 20170005788 U KR20170005788 U KR 20170005788U KR 200490218 Y1 KR200490218 Y1 KR 200490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ventilation unit
horizontal member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197U (ko
Inventor
김범식
신석필
이승상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70005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1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가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세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와 복수의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으로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환기유닛과,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 조립체{WINDOW ASSEMBLY}
본 고안은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조립성과 품질 및 외관이 향상된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란 창과 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건물의 창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개폐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붙박이 창호, 겹 창호, 기타 특수한 창호 등이 있다.
창호를 통해 실내를 환기할 때 창문이나 문을 통해 자연환기시키거나 별도의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환기시키는 방법이 있다. 종래 환기장치는 창짝과 유리 사이에 설치하거나 중간바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 환기장치의 설치방식은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이 쉽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환기장치의 수리나 교체 시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환기장치는 전자제품으로 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하고, 환기장치가 설치된 영역에서 쉽게 배수가 가능한 구조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 환기장치의 설치 구조상 배수가 쉽지 않으며 분할창과 같이 환기장치가 설치된 부분에 물구멍을 바로 낼 경우, 물구멍을 통해 빗물 또는 해충이 들어올 우려가 있고, 환기기능에도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기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환기기능을 훼손하지 않고 배수가 용이한 창호조립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재나 구성없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개선함으로써, 환기유닛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원활하게 하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호 조립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고, 환기유닛의 설치가 용이한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가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세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와 복수의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으로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환기유닛과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이용하면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재나 구성없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개선함으로서, 환기유닛이 설치된 영역에서 발생한 누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환기창호 조립체의 성능을 유지시키면서 누수로인한 환기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환기유닛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배수하기 위해 창호 조립 시에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마감부재와 배선관통홀에 의해 창호 조립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환기유닛을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으므로 환기유닛을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입면도.
도 2는 도 1에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결합부위를 확대한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창틀을 제거한 일 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종래 창호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마감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환기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유닛의 결합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세로부재에 배선관통홀이 형성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창틀이 마감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창호 조립체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창호 조립체(100)는 창틀(200)과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와 환기유닛(600)과 연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창틀(200)은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20)과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30)으로 사각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창틀(200)은 창문에 적용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창이나 문, 출입구 등의 개구부의 틀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로부재(300)는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양단부가 수직프레임(23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로부재(300)는 상부프레임(210)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하부프레임(220)보다 상부프레임(2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창틀(200)의 입면을 상하로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부재(300)의 입면의 분할에 의해, 가로부재(300)의 상부와 하부에 다른 기능을 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창호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로부재(300)의 상부의 개구부에는 환기유닛(600)이 설치되고, 가로부재(300)의 하부의 개구부에는 슬라이드 창이 형성될 수 있다.
세로부재(400)는 상부프레임(210)과 가로부재(300)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세로부재(400)는 가로부재(300)와 상부프레임(210) 사이에 수직하게 복수로 설치됨으로써, 가로부재(300) 상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세로부재(400)에 의해 가로부재(300) 상부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중 어느 한 영역에 환기유닛(60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부재(400)는 2개로 구비되어 가로부재(300) 상부의 영역을 3개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고, 이 중 가운데 영역에 환기유닛(600)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세로부재(400)의 개수와 장착위치는 도시된 일 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창호의 환경과 크기에 따라 가로부재(300) 상부의 영역을 다양한 크기와 개수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의 재질과 두께에는 한정이 없으며, 예를 들어 창틀(200)과 같은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환기유닛(600)은 가로부재(300)와 복수의 세로부재(400)와 상부프레임(210)으로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부재(300)와 상부프레임(210) 사이의 개구부는 2 이상의 세로부재(400)에 의해 분할되고, 환기유닛(600)은 한 쌍의 이웃하는 세로부재(4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500)는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를 연결하고, 환기유닛(600)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500)는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가로부재(300)과 세로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구(50)는 수직플레이트(51)와 수평플레이트(53)를 포함하는데 배수를 위한 구성이 없어서(도 4 참조), 세로부재(400) 사이에 설치된 환기유닛(600)에서 발생한 누수가 배수되지 못하여 환기유닛(600)의 작동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환기유닛(600)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어 환기유닛이 설치된 영역에서 발생한 누수일 수 있다. 그런데, 환기유닛(600)이 설치되는 프레임에 직접 물구멍을 내는 경우 물구멍을 통해 빗물이나 해충 등이 이물질이 들어와서 환기기능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500)는 환기유닛(600)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 가능한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환기유닛(600)에서 발생한 누수를 간접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재나 구성없이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를 개선함으로서, 환기유닛(600)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환기창호 조립체의 성능을 유지시키면서 누수로인한 환기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유닛(600)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배수하기 위해 창호 조립 시에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500)는 수직판(510)과, 수평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판(510)은 세로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판(530)은 수직판(510)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가로부재(300)에 구비되며, 가로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배수홀(531)을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홀(531)은 수평판(530)의 하면에 길게 관통형성되고, 수평판(530)의 양 단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배수홀(531)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평판(530)을 가로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한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배수홀(531)을 통해 세로부재(400)의 일측영역의 누수를 타측영역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로부재(400)는 가로부재(300)와 상부프레임(210) 사이를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영역(A)은 환기유닛(600)이 설치되는 영역으로 세로부재(400) 사이의 영역이다. 제2 영역(B)은 환기유닛(600)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창틀(200)의 수직프레임(230)과 세로부재(400) 사이, 또는 세로부재(400)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배수홀(531)은 가로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수평판(530)에 요입 형성됨으로써,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에 설치된 환기유닛(600)에서 발생한 누수가 배수홀(531)을 통해 제2 영역(B)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B)의 부분의 가로부재(300)는 실외 측을 방향으로 관통된 배수구멍(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기유닛(600)에서 발생한 누수는 배수홀(531)을 통해 제1 영역(A)에서 제2 영역(B)으로 유입되고, 배수구멍(310)을 통해 제2 영역(B)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유닛(600)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누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창호 조립체(100)는 마감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재(700)는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에 구비되어, 연결부재(500)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가 서로 접하면서 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틈으로 연결부재(500)가 노출될 수 있다. 마감부재(700)는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가 서로 접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500)는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마감부재(7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50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마감부재(700)가 복수의 연결부재(500)를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감부재(700)에 의해 연결부재(500)의 노출이 방지되므로 창호 조립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세로부재(400)는 환기유닛(600)에 연결된 배선(W)이 관통되는 배선관통홀(4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관통홀(410)은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 영역(A)에 환기유닛(600)의 배선(W)이 관통되어 제2 영역(B)을 통해 외부의 전원(P)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에 따라 환기유닛(600)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환기유닛(600)의 배선(W)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10 참조). 미설명부호인 C는 배선(W)을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환기유닛(600)은 제1 커버(610)와 제2 커버(620)와 환기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610)는 실외 측에 조립되고, 제2 커버(620)는 실내 측에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610)와 제2 커버(620)의 사이의 공간에는 환기모듈(6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커버(620)는 환기모듈(630)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어하는 표시부(621)가 표시될 수 있다.
환기유닛(600)의 조립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제1 커버(610)와 제2 커버(620)와 환기모듈(630)은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에 수평방향(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커버(610)를 먼저 삽입하여 조립한 후, 환기모듈(630)을 설치하고, 실내 측에 제2 커버(6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610)와 제2 커버(620)와 환기모듈(630)은 가로부재(300)와 세로부재(400) 및 창틀(200)(상부프레임(210))에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615,63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인 250은 단열재이고, 270은 가스켓이다.
다만,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환기유닛(600)의 구성과 조립방법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호 조립체를 이용하면,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재나 구성없이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개선함으로서, 환기유닛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환기창호 조립체의 성능을 유지시키면서 누수로인한 환기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환기유닛이 설치된 영역의 누수를 배수하기 위해 창호 조립 시에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마감부재와 배선관통홀에 의해 창호 조립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창호 조립체 200: 창틀
210: 상부프레임 220: 하부프레임
230: 수직프레임 250: 단열재
300: 가로부재 310: 배수구멍
400: 세로부재 410: 배선관통홀
500: 연결부재 510: 수직판
530: 수평판 531: 배수홀
600: 환기유닛 610: 제1 커버
615: 고정부재 620: 제2 커버
630: 환기모듈 20 창짝
635: 고정부재 700: 마감부재
A: 제1 영역 B: 제2 영역
C: 커넥터 W: 배선
P: 전원

Claims (6)

  1.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가로부재;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세로부재;
    상기 가로부재와 복수의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으로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환기유닛 및,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환기유닛의 누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게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를, 상기 환기유닛이 설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환기유닛이 설치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분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세로부재에 결합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상기 가로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가로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배수홀을 구비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된 누수를 실외로 배수하도록, 실외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배수구멍을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가 서로 접하는 부분을 포함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커버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는 상기 환기유닛에 연결된 배선이 관통되는 배선관통홀을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유닛은
    실외 측에 설치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실내 측에 설치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모듈을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2020170005788U 2017-11-10 2017-11-10 창호 조립체 KR200490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88U KR200490218Y1 (ko) 2017-11-10 2017-11-10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88U KR200490218Y1 (ko) 2017-11-10 2017-11-10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97U KR20190001197U (ko) 2019-05-20
KR200490218Y1 true KR200490218Y1 (ko) 2019-10-14

Family

ID=6665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88U KR200490218Y1 (ko) 2017-11-10 2017-11-10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1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68Y1 (ko) * 2012-04-12 2017-03-13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할식 이중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293B2 (ja) * 1988-04-22 1998-12-09 三洋電機株式会社 換気扇付サッ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68Y1 (ko) * 2012-04-12 2017-03-13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할식 이중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97U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99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20090072863A (ko) 통기구조를 적용한 이중 창호
KR200490218Y1 (ko) 창호 조립체
US4067204A (en) Air conditioner
KR102095390B1 (ko) 프로젝트 창호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060054723A (ko) 도어의 방음장치
TW202111200A (zh) 建築物開口之遮蔽結構
JP2014020153A (ja) 開口部装置
JP20170667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の換気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201618849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物
KR102197170B1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TWI499715B (zh) Doors and windows with waterproof devices and doors and windows
KR101949136B1 (ko) 단열 창호
JP6423289B2 (ja) 建具
KR20190130113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190027451A (ko) 편의설비 설치용 창호 프레임 조립체
KR20190070191A (ko) 기밀과 단열 및 수밀을 해결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70095760A (ko) 창호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JP6334303B2 (ja) サッシ
CN212258150U (zh) 一种智能型防尘配电箱
JP2019183544A (ja) 簡易構造物
CN220492451U (zh) 自动化监测仪器用开关柜
JP6918034B2 (ja) 建具
KR102050819B1 (ko) 착탈식 고단열 창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