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31A -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31A
KR20130005831A KR1020110067468A KR20110067468A KR20130005831A KR 20130005831 A KR20130005831 A KR 20130005831A KR 1020110067468 A KR1020110067468 A KR 1020110067468A KR 20110067468 A KR20110067468 A KR 20110067468A KR 20130005831 A KR20130005831 A KR 20130005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round
pedestal
prefabricated flooring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919B1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1006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9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94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non-rollable common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판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상기 각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패널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패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적어도 상기 판재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재를 복수의 블록 단위로 구성하여 설치는 물론, 부분적 유지보수와 이전설치 및 구조 변경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패널을 소단위의 블록으로 모듈화한 후, 미리 방부처리를 하여 현장에서의 가공 및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한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방부성능의 지속을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을 지면에 고정하는 브래킷이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 시, 패널에 대한 훼손 및 천공되는 영역을 최소화시켜줌으로써, 방부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패널이 소단위 모듈로 이루어져, 연결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녹지 위에서의 산책로를 구현하거나, 보도를 구현함에 있어 그 형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패널이 연결부재를 통해 일체의 구조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옥상 등과 같은 고층에서의 풍압은 물론, 보행에 의한 외부적 충격 및 압력에도 각 패널이 해체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패널 사이에 간격 유지부가 구비되어, 설치된 바닥재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유지보수할 경우,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패널에 대한 철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부를 통해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하여 빗물, 세척수 및 수돗물 등에 대한 유로의 형성이 가능하고, 지면이 불규칙하거나, 사면일 경우에도 패널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높이 조절부를 통해 간격 유지부의 상/하 수직이동이 가능하므로, 패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간격 유지부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여 패널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바닥재{Prefab Flooring}
본 발명은 옥상, 베란다 및 지상 바닥면 등에 설치되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진 바닥재로서, 복수의 패널을 서로 연결되게 설치함으로써, 지면으로의 설치가 용이하고, 부분적 보수와 이전설치가 자유로움은 물론, 지면에 대한 세척이 필요할 경우, 부분적 내지는 전체적인 철거가 편리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지상의 평탄면이나 건축물의 옥상, 아파트의 베란다, 실내외 물놀이 시설의 주변 등 다양한 장소의 지면에 설치되어 공간활용은 물론, 녹지 공간에서 식물영역과 보행로를 구획하여 녹지공간에서의 산책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닥재는 통상 지면에 장선을 배치하고, 이를 멍에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그 위에 긴 장방형 판재를 배열하되, 판재가 장선에 고정되도록 나사 및 못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바닥재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바닥재는 설치는 물론, 이후, 이설작업 및 부분적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장방향의 긴 판재가 적용됨으로, 바닥재의 구조변경, 부분적 철거 및 지면에 대해 부분적인 세적작업이 필요할 경우 이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바닥재는 장방향의 판재가 적용됨으로써, 그 사이에 대한 철거 및 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며, 부분적 보수가 이루어질 경우, 장방향 판재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닥재의 구조변경이 발생할 경우, 이는 전체를 철거한 후, 변경 내용에 따른 구조로 새로이 설치해야 하며, 이는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배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바닥재를 이용한 지면의 공간 활용과 함께, 유지보수 및 구조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경제적 부담 등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바닥재가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재를 복수의 블록 단위로 구성하여 설치는 물론, 부분적 유지보수와 이전설치 및 구조 변경에 대한 대응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을 소단위의 블록으로 모듈화한 후, 미리 방부처리를 하여 현장에서의 가공 및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한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방부성능의 지속을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을 지면에 고정하는 브래킷이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 시, 패널에 대한 훼손 및 천공되는 영역을 최소화시켜줌으로써, 방부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이 소단위 모듈로 이루어져, 연결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녹지 위에서의 산책로를 구현하거나, 보도를 구현함에 있어 그 형태가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패널이 연결부재를 통해 일체의 구조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옥상 등과 같은 고층에서의 풍압은 물론, 보행에 의한 외부적 충격 및 압력에도 각 패널이 해체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패널 사이에 간격 유지부가 구비되어, 설치된 바닥재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유지보수할 경우,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패널에 대한 철거가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부를 통해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하여 빗물, 세척수 및 수돗물 등에 대한 유로의 형성이 가능하고, 지면이 불규칙하거나, 사면일 경우에도 패널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부를 통해 간격 유지부의 상/하 수직이동이 가능하므로, 패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간격 유지부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여 패널의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판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상기 각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패널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패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적어도 상기 판재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개시한다.
상기 패널은, 상기 받침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거나, 체결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핀 형태로서, 양단 중 적어도 어느 단부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의 타면에 음각의 걸림홈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은, 지면과 맞닿는 상기 받침대의 일부를 삭제한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일면이 천공홀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자웅의 걸림을 통해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게 마련되어, 지면과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거나, 접착수단을 통해 지면에 부착 고정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지면에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타 패널과의 이격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 영역을 지지하는 안착부; 및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받침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타 받침대와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지면에 설치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 테두리 영역과 대응하는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각 패널간의 이격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공간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고, 상기 각 받침대가 서로 이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안착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지면과 상기 간격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판형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형태의 높이 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 조절수단과 스크루 결합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간격 유지부를 지지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간격 유지부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와 상기 간격 유지부 사이에 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축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자웅의 결합이거나,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판형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형태의 높이 조절수단; 및 일면이 폐쇄된 관체로서, 상기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외측과 결합되고, 상기 간격 유지부를 지지하는 이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수단과 스크루 체결되되, 상기 이동부의 밑면이 지지되도록 체결하여,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의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재를 복수의 블록 단위로 구성하여 설치는 물론, 부분적 유지보수와 이전설치 및 구조 변경에 대한 대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을 소단위의 블록으로 모듈화한 후, 미리 방부처리를 하여 현장에서의 가공 및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한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방부성능의 지속을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을 지면에 고정하는 브래킷이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 시, 패널에 대한 훼손 및 천공되는 영역을 최소화시켜줌으로써, 방부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이 소단위 모듈로 이루어져, 연결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녹지 위에서의 산책로를 구현하거나, 보도를 구현함에 있어 그 형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패널이 연결부재를 통해 일체의 구조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옥상 등과 같은 고층에서의 풍압은 물론, 보행에 의한 외부적 충격 및 압력에도 각 패널이 해체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패널 사이에 간격 유지부가 구비되어, 설치된 바닥재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유지보수할 경우,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패널에 대한 철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부를 통해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하여 빗물, 세척수 및 수돗물 등에 대한 유로의 형성이 가능하고, 지면이 불규칙하거나, 사면일 경우에도 패널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부를 통해 간격 유지부의 상/하 수직이동이 가능하므로, 패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간격 유지부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여 패널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의 일례를 설명하깅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는 블록 단위의 패널(100), 각 패널(1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10), 연결된 각 패널(100)에 대한 간격을 이격시키기 위한 간격 유지부(120) 및 패널(10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브래킷(1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패널(100)은 판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된 상판(101)과, 상판(101)의 밑면에 설치되고, 어느 일면에 연결부재(110)가 연결되도록 결합홈(107)이 형성되며, 지면과 맞닿게 설치될 경우, 지면으로 유체의 이동 및 흐름이 조성되도록 지면과 맞닿는 일부를 삭제한 절개부(105)를 포함하는 받침대(10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절개부(105)는 빗물 세척수 및 수돗물 등의 유체 등의 배수를 위한 영역인 것으로, 받침대(103)가 지면과 맞닿아 설치될 경우 유체의 흐름을 조성하기 영역인 것이며, 이는 설치 조건에 따라 선택적인 존재 영역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130)가 존재할 경우, 받침대(103)가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상태이므로, 이때는 절개부(105)가 존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패널(100)은 주로 목재로서, 남양재이거나, 간벌목재를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패널(100)의 일례일 뿐, 더욱 다양하게는 패널(100)의 형상이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각은 물론,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재질로는 목재는 물론, 합성수지를 통해서도 제작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패널(100)은 소 단위 블록으로 제작됨으로, 비교적 짧은 목재일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종래에는 500mm 내지는 1000mm 길이의 판재는 바닥재로서, 적합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소 단위 블록으로 제작됨으로, 상기 길이의 판재일 경우에도 충분히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소 단위의 블록으로 제작됨으로, 현장에서의 제작은 물론, 제품을 정형화하여, 미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미리 제작된 패널(100)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 즉, 별도의 가공 및 절단 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리함을 통해 시공 및 설치에 대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패널(100)을 소단위의 블록으로 모듈화한 후, 미리 방부처리를 하여 현장에서의 가공 및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한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방부성능의 지속을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결합상태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용이하여, 녹지 위에서의 산책로를 구현하거나, 보도를 구현함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편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상승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바닥재는 현장에서의 맞춤형 시공으로 설치하여, 가공 및 절단 등이 현장에서 이루어져, 방부처리된 영역에 대한 훼손이 발생하여 바닥재로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바닥재(10)는 블록의 조립형태로서, 현장에서의 가공 및 절단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바닥재(10)로서의 방부성능에 대한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패널(100)은 연결부재(110)를 통해 블록 단위의 패널(100)을 일체형의 바닥재를 완성되는데, 즉, 바닥재(10)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분리도와 같이, 연결부재(110)는 복수의 패널(1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서로 마주하는 각 패널(100) 사이를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형의 바닥재(10)를 완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110)는 각 양단이 서로 마주하는 결합홈(107)에 각각 삽입 내지는 체결되어 적어도 마주하는 각 패널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결합홈(107)은 연결부재(110)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서, 압입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부재(11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이 삽입되는 결합홈(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 및 어느 일면이 소폭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그 일단을 압입시키되, 강제의 입으로 압입되도록 하여 결합된 영역으로부터 그 일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탈의 방지는 결합홈(107)의 형상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연결부재(110)의 형상 변화를 통해서도 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가 결합홈(107)과 대응하는 형상의 것으로, 서로 동일한 크기이거나, 결합홈(107)이 소폭 작게 형성된 민짜의 핀 자체인 것을 나타낸 것이며, 이때, 연결부재(110)가 결합홈(107)의 크기보다 소폭 크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b는 양단 중 어느 일면에 걸림돌기(111)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결합홈(107)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107)으로 삽입되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걸림돌기(111)가 결합홈(107)에 압입된 후, 나무의 고유 성질인 복원 내지는 수축을 이용하여 걸림돌기(111)가 결합홈(107) 내에서 고정되어 적어도 연결부재(110)의 일단이 결합홈(107)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마주하는 어느 하나의 패널(100)에 연결부재(110)를 고정하고, 다른 패널(100)이 고정된 연결부재(110)를 통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하나의 패널(100)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하여 바닥재(10)를 구성함에 있어, 설치에 대한 방향성을 명확히 하여 미관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균형있는 바닥재(10)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3c는 연결부재(110)의 일단에 걸림돌기(111)와 함께 결합홈부(113)가 더 구비되어, 결합홈(107)과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히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연결부재(110)에는 그 형상이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 형상은 사각형, 다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거나, 또는 양단이 서로 다른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110)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111)와 걸림홈부(113)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나타낸 형상 및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연결부재(110)를 통해 일체형의 바닥재(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특히 풍압 내지는 보행에 의한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40)을 통해 지면에 고정되는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40)은 패널(100)의 설치 이전 지면에 미리 설치하거나, 또는 패널(100) 설치 후, 연결부재(110)를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래킷(140)은 앵글 형태이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티(T)"의 역형상으로, 천공부(143)가 마련된 수직부(141)와 지면에 고정되는 수평부(145)로 구성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를 통해 각 패널(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를 통해 각 패널(100)이 풍압 내지는 보행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훼손은 물론,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패널(100)의 설치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브래킷(14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141)에 고리 형태의 천공부(143)가 마련되어, 연결부재(110)의 외측을 감싸듯 결합 고정되고, 수평부(145)는 지면에 고정되되, 지면의 상태에 따라 고정 방식이 소정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지면에 방수처리가 되어 있을 경우, 방수층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평부(145)를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방수층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앵커, 볼트 및 너트 들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브래킷(140)은 결합 방식 내지는 연결부재(110)의 개수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a의 브래킷(140)을 살펴보면, 천공부(143)가 측면이 개방된 "ㅏ" 의 형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천공부(143)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상태로서, 연결부재(110)가 하나 이상이거나, 연결부재(110)의 위치에 따른 선택적 결합을 요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c는 천공부(143)의 상면이 개방된 "ㅗ"의 형태인 것으로, 연결부재(110)와의 결합이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브래킷(140), 특히, 연결부재(110)을 고정하기 위한 천공부(143)의 형상 및 그 개수를 적어도 도 5와 같이 변형을 줌으로써, 바닥재(10)의 안정적 시공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과 함께 경쟁력 강화와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상승효과가 함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100)이 연결부재(1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소정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120)가 구비되는데,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유지부(120)는 지면에 설치되거나, 받침대(103)에 미리 부착된 형태인 것으로, 각 패널(100)의 간격을 소정 이격시켜 줌으로써, 설치된 바닥재(10)에 대한 통일감을 부여하여 양호한 설치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심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추후, 유지보수를 할 경우,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패널(100)에 대한 철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간격 유지부(120)를 통해 이격되는 간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100)과의 간격(D1)은 상판 사이 간격(D2)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닥재(10)로 하여금 설치상태가 통일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복수의 패널(100)이 조립된 바닥재(10)가 전체적으로 통일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여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고, 그로 인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효과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간격 유지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서, 받침대(103)가 지지되는 안착부(123)와, 안착부(123)와의 경계 및 마주하는 받침대(103)와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121)로 구성되며, 이때, 간격 유지부(120)의 재질로는 소프트 내지는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무엇보다 보행 시, 보행 충격을 최소화시키면서, 완충효과가 있는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 등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부재된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100)이 연결부재(110)를 통해 서로 일체형의 바닥재(10)를 이루되, 각 패널(100)은 간격 유지부(120)를 통해 소정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간격 유지부(120)는 패널(100) 즉, 받침대(103)의 밑면 테두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이 사각의 형상일 경우, 각 받침대(103)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 유지부(120)에 의한 간격(D1)은 각 상판(101)의 사이 간격(D2)과 대응하는 간격인 것이며, 이때, 간격은 마주하는 각 패널(100)의 외측 상판과의 간격으로서, 각 간격 유지부(120)가 서로 맞닿아 이격되는 간격인 것이다.
한편, 간격 유지부(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103)가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유지부(120)는 패널(100)이 설치되는 지면에 미리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각 패널(100)을 소정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때, 각의 패널(100)이 지지되는 안착부(123)의 영역은 이격부(121)에 의해 구획형성된다.
안착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4개의 영역으로서, 4개의 패널(100)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 영역은 안착부가 적어도 4개의 영역으로 구획도록 십자형태로 존재하는 이격부(121)를 통해 구획된다.
그러나, 이격부(121)는 4개의 패널(100)을 지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일례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패널(100)을 지지하거나, 도 9b와 같이 2개의 패널(100)을 지지할 수도 있으며, 도 9c와 같이 하나의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간격 유지부(12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의 안착 상태가 더욱 안정화되록 하는 안착 돌기부(125)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23)의 적어도 테두리 영역에 마련되어, 패널(100)이 안착부(1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 돌기부(125)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안착 돌기부(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유지부(120)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패널(100) 즉,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3)의 후면을 지지해 줌으로써, 안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받침대(103)의 전면은 이격부(121)에 지지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부재된 부호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100)이 연결부재(110)를 통해 서로 일체형의 바닥재(10)를 이루되, 각 패널(100)은 간격 유지부(120)를 통해 소정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간격 유지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100) 즉,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패널(100)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도 7과 동일한 간격(D1)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간격 유지부(120)는, 마주하는 패널(100)의 개수에 대응하는 형태의 간격 유지부(120)를 적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도 9c의 형태의 간격 유지부(120)를 적용하고, 2개의 간격 유지부(120)가 접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도 9b의 형태의 간격 유지부(120)를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4개의 간격 유지부(120)가 접하는 중심 영역에는 도 9a의 간격 유지부(120)가 적용됨은 당연하다.
한편, 패널(100)을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하거나, 사면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직접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 경우, 패널(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하는데,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띄워 설치해야 할 경우, 높이 조절부(130)가 적용된다.
높이 조절부(130)는 지면에 시공되는 판형의 고정부(133)와, 고정부(133)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형태의 높이 조절수단(135) 및 높이 조절수단(135)과 스크루 결합하되, 회전을 통해 높이 조절수단(1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간격 유지부(120)를 지지하는 이동부(131)로 구성된다.
고정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시공되는 판 형태로서, 지면의 상태에 따라 고정 방식이 소정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지면에 방수처리가 되어 있을 경우, 방수층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거나, 지면에 방수층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앵커, 볼트 및 너트 들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133)는 패널(100)의 설치 이전에 지면에 미리 설치되는 것으로, 패널(100)의 설치방향의 기준이 되도록 방향성을 표시하는 가이드(139)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139)는 음각 또는 양각의 입체적 형태이거나, 이를 표면적으로 나타낸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높이 조절수단(135)은 통상의 볼트인 것으로, 고정부(133)와 직교하게 체결되거나, 용접 들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동부(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수단(135)과 스크루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며, 이때, 이동부(131)와 간격 유지부(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37)를 통해 결합된다.
회전체(137)는 높이 조절수단(135)의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자웅 결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간격 유지부(120)의 독자적 회전이 용이한 베어링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체(137)는 이동부(131)가 높이 조절수단(135)의 축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하 이동할 경우, 이동부(131)와 간격 유지부(12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회전체(137)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높이 조절수단(135)의 회전과 함께 간격 유지부(120)가 회전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안착부(123)의 위치가 어긋나 패널(100)의 안착이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안착되는 위치에 맞춰 이동부(131)를 회전시킬 경우, 간격 유지부(120)의 높이가 어긋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부(131)가 회전하더라도, 회전체(137)를 통해 간격 유지부(120)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함께 설치가 양호한 설치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높이 조절부(130)와 이동부(131)의 결합방식을 달리하여, 간격 유지부(120)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유지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130)는 고정부(133)와 높이 조절수단(135) 및 일면이 폐쇄된 관체로서, 개방된 영을 통해 높이 조절수단(135)의 외측과 결합되고, 간격 유지부(120)를 지지하는 이동부(131)를 포함하고, 높이 조절수단(135)과 스크루 결합되되, 이동부(131)의 밑면이 지지되도록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높이 조절수단(135)의 축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1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동부재(136)는 높이 조절수단(135)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서, 이동부의 밑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이동부재(136)는 높이 조절수단(135)와 스크루 체결 가능한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부재(136)가 회전을 통해 높이 조절수단(135)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과 함께 이동부(131)가 이동하여 간격 유지부(120)가 상/하 이동되는 것은 물론, 이동부(131)가 높이 조절수단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서, 이동부(131)의 독자적 회전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이동부(131)가 회전하더라도, 간격 유지부(120)의 회전이 고정되거나, 또는 독자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함께 설치가 양호한 설치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바닥재 100 : 패널
101 : 상판 103 : 받침대
105 : 절개부 107 : 결합홈
110 : 연결부재 111 : 걸림돌기
113 : 걸림홈부 120 : 간격 유지부
121 : 이격부 123 : 안착부
125 : 안착 돌기부 130 : 높이 조절부
131 : 이동부 133 : 고정부
135 : 높이 조절수단 136 : 이동부재
137 : 회전체 139 : 가이드
140 : 브래킷 141 : 수직부
143 : 천공부 145 : 수평부

Claims (18)

  1. 복수의 판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상기 각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패널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패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적어도 상기 판재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받침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거나, 체결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핀 형태로서, 양단 중 적어도 어느 단부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의 타면에 음각의 걸림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지면과 맞닿는 상기 받침대의 일부를 삭제한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면이 천공홀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자웅의 걸림을 통해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여 마련되어, 지면과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거나, 접착수단을 통해 지면에 부착 고정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지면에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타 패널과의 이격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 영역을 지지하는 안착부; 및
    상기 받침대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받침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타 받침대와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지면에 설치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 테두리 영역과 대응하는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각 패널간의 이격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공간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고, 상기 각 받침대가 서로 이격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안착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지면과 상기 간격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판형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형태의 높이 조절수단; 및
    상기 높이 조절수단과 스크루 결합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간격 유지부를 지지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간격 유지부의 독자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와 상기 간격 유지부 사이에 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축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자웅의 결합이거나,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판형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스크루 형태의 높이 조절수단; 및
    일면이 폐쇄된 관체로서, 상기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외측과 결합되고, 상기 간격 유지부를 지지하는 이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수단과 스크루 체결되되, 상기 이동부의 밑면이 지지되도록 체결하여,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의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KR1020110067468A 2011-07-07 2011-07-07 조립식 바닥재 KR10134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68A KR101343919B1 (ko) 2011-07-07 2011-07-07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68A KR101343919B1 (ko) 2011-07-07 2011-07-07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31A true KR20130005831A (ko) 2013-01-16
KR101343919B1 KR101343919B1 (ko) 2013-12-20

Family

ID=4783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68A KR101343919B1 (ko) 2011-07-07 2011-07-07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9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602B1 (ko) 2018-07-11 2019-05-07 김민재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바닥 보호판
CN110067361A (zh) * 2019-05-23 2019-07-30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地饰面的水平拼接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2658329B1 (ko) * 2022-12-19 2024-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491A (ja) * 2002-06-21 2004-01-29 Kyodo Ky Tec Corp 二重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21953B1 (ko) * 2008-08-12 2011-03-16 전병운 건축용 패널의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602B1 (ko) 2018-07-11 2019-05-07 김민재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바닥 보호판
CN110067361A (zh) * 2019-05-23 2019-07-30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地饰面的水平拼接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2658329B1 (ko) * 2022-12-19 2024-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919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57972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CN106284911B (zh) 一种装配式架空地板、装配式空间分隔系统及施工方法
KR20180013628A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KR101343919B1 (ko) 조립식 바닥재
KR101067629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794718B1 (ko) 가변형 칸막이 벽체
KR20170122509A (ko) 가변형 칸막이 벽체
RU2633840C1 (ru) Модульный пол
KR20100107297A (ko) 무대장치 조립구조
JP5528845B2 (ja) 床構造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床板固定具
KR102210403B1 (ko)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JP2002081196A5 (ko)
JP5685710B2 (ja) 手摺
US20150225958A1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060106B1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ES2569579T3 (es) Sistema de recubrimiento para recubrimiento de superficies mediante baldosas
KR200396804Y1 (ko)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1029360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20160017465A (ko) 난방 모듈판 및 난방 모듈판의 시공방법
CN112878557A (zh) 一种建筑幕墙安装结构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JP2009028216A (ja) 収納体の設置方法
CN204781678U (zh) 一种遮阳板
JP6850829B2 (ja) ベース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