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329B1 -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329B1
KR102658329B1 KR1020220178357A KR20220178357A KR102658329B1 KR 102658329 B1 KR102658329 B1 KR 102658329B1 KR 1020220178357 A KR1020220178357 A KR 1020220178357A KR 20220178357 A KR20220178357 A KR 20220178357A KR 102658329 B1 KR102658329 B1 KR 10265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tructure
floor
module
space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혜경
박상희
김경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7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100),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FS) 및 그 시공방법(M)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바닥 구조모듈을 복수로 배치하되,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이격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지점의 바닥 구조모듈만 가진되고, 충격에 의한 진동이 이격 공간에 의하여 흡수 및 분산되므로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잔여 진동을 감쇠시키고,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Horizontal Vibration Damping Floor Module,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재의 상부로 하부 모르타르층, 방진부재, 상부 모르타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바닥 구조모듈을 제작함으로써 운반성과 시공성을 도모하고,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 이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충격음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킨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바닥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난방용 배관 및 몰탈 마감층을 순차적으로 적층 시공하였다. 그런데, 근래에 층간 소음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바닥 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구조에 포함되는 완충재의 재료를 개량하거나, 완충재의 형상, 두께 및 기타 물성에 변화를 주거나, 완충재의 상부에 도포되는 기포 콘크리트, 마감 모르타르 또는 마감재의 특성을 변경하거나, 건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 자체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바닥 충격음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범용적이지 않은 재료들을 사용함과 동시에 너무 많은 재료가 하나의 바닥구조에 내장됨에 따라 현장 시공시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시공 용이성과 효율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객관적인 성능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술들이 대부분이어서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1980호(2021. 10. 06.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완충재(1), 하부 몰탈층(2), 방진 차음층(3) 및 상부 몰탈층(4)을 순차적으로 적층 시공함으로써 바닥 충격음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바닥완충 구조체는 진동음 및 공명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시공되는 공간의 면적에 따라서 충격음 차단 효과에 일부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는 경량 충격음 및 중량 충격음 모두 우수한 저감 효과가 발휘되나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측면 완충재(5)를 구비하지 않는 한 충격음이 수평방향을 따라 벽체로 전달되어 충격음 저감 효과가 미비해지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을 포함한 뜬바닥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기포 콘크리트층이나 모르타르층을 적층 시공함에 따라 작업자가 현장에서 이를 도포하고, 양생함에 따른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필연적으로 공기가 길어지는 추가적인 문제점도 야기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1980호 (2021. 10. 06.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적층구조를 모듈화하여 충격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으며, 바닥 구조의 모듈화를 바탕으로 현장 반입이 용이하여 운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100)은 일정한 형상을 지니도록 30 내지 40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재(10); 상기 완충재(1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20 내지 30mm의 두께로 적층되는 하부 모르타르층(20); 상기 하부 모르타르층(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2 내지 3mm의 두께로 적층되는 방진부재(30); 및 상기 방진부재(3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40 내지 70mm의 두께로 적층되는 상부 모르타르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30)는 점성을 지니는 부틸고무계 시트 또는 고무아스팔트계 시트의 상부에 알루미늄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모르타르층(40)에는 모듈형 배관(50)이 매립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형 배관(50)에는 적어도 한 쌍의 배관 노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노출부(51)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슬리브(52) 또는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연결 슬리브(52)가 삽입되는 연결 소켓(5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FS)는,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바닥 구조모듈(100)을 복수로 배치하되,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100)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이격 공간(G)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는 이격 공간(G)이 마련되도록 스페이스 가이더(2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 공간(G)에는 상부를 덮도록 마감 커버(300)가 구비되되, 상기 마감 커버(300)는 스페이스 가이더(20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의 시공방법(M)은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바닥 구조모듈(100)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하는 바닥 구조모듈 배치단계(S10); 및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G)의 상부를 덮도록 마감 커버(300)를 구비하는 마감 커버 구비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의 상부 모르타르층(40)에 매립 형성된 모듈형 배관(50)을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모듈형 배관(50)과 상호 연결하는 배관 연결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100),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FS) 및 그 시공방법(M)에 의하면, 완충재의 상부로 하부 모르타르층, 방진부재 및 상부 모르타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화된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를 형성하되,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들을 상호 이격 배치함으로써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지점의 바닥 구조모듈만 가진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 사이에 마련된 이격 공간에 의하여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충격에 의한 진동이 이격 공간에 의하여 흡수 및 분산되므로,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잔여 진동을 감쇠시키고,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된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타입으로 선제작함으로써 모듈의 균일화가 가능하며, 현장 운반의 용이성이 확보된다.
나아가,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선제작된 바닥 구조모듈을 슬래브 상부 정위치에 배치하면 충분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는 보다 넓은 공간에 설치될수록 중량 충격음에 대한 저감 효과도 더욱 우수해지는 것으로 입증되어 대규모 공간에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바닥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선행기술문헌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경량 충격음, 중량 충격음(뱅머신) 및 중량 충격음(고무공)의 주파수 대역별 소음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 공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통한 충격 분산형 바닥완충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FS)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소위 충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슬래브(S)나 벽체(W)를 매질로 일상 생활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수평진동을 감쇠시켜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FS)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효과와 충격음 차단 효과가 입증된 적층구조를 지니도록 바닥 구조모듈(100)을 사전에 제작하고, 제작된 바닥 구조모듈(100)을 운반하여 현장에서 배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은 콘크리트 슬래브(S)에 위치하게 되는 완충재(10)를 기준으로 상부에 하부 모르타르층(20), 방진부재(30) 및 상부 모르타르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완충재(10)는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맞닿는 부분으로서, 모듈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상을 지니도록 제작되며,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 이격 공간(G)이 안정적으로 확보됨과 동시에 충분한 표면적이 제공되도록 정방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재(10)는 소정의 탄성을 지니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범용적인 소재인 EPS로 제작되는 경우에 적어도 30mm 이상의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층고를 확보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30mm 내지 4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모르타르층(200)은 완충재(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되는 모르타르의 종류는 특별히 제약되지 않으며, 후술할 특징적 구성인 섬유제 충격음 흡수부재(300)와 방진매트(400)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충격음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기포 콘크리트가 아닌 일반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시공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모르타르층(20)는 완충재(1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며, 범용적인 소재인 일반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어도 20mm 이상의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층고를 확보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20mm 내지 3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부재(30)는 하부 모르타르층(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점성을 지니는 부틸고무계 시트 또는 고무아스팔트계 시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진부재(30)는 2 내지 3mm의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점성을 지니므로 상기 하부 모르타르층(20) 사이에 안정적인 부착력을 제공할 있다.
상기 방진부재(30)는 상부 모르타르층(4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진동을 소산시키는 방진 효과가 우수하며, 충격음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콘크리트 슬래브(S)와 밀착된 상기 완충재(10)에 의하여 2차적으로 흡수되므로 충격음 차단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30)의 상면에는 알루미늄시트(3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시트(31)는 방진부재(30)의 표면을 감싸서 상부 모르타르층(40)에 의한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는 인장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부 모르타르층(40)으로부터 전달되는 잔여 진동음을 흡수하는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르타르층(40)은 방진매트(3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며, 생활에 따른 충격을 직간접적으로 수용하여 전달하므로, 범용적인 소재인 일반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적어도 40mm 이상의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층고를 확보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40mm 내지 7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의 측면을 에워싸도록 피복 모르타르가 추가적으로 도모되어 측면에 노출되는 충진재(10)와 방진부재(30)가 노출됨에 따라 이동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운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100)은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복수로 배치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100)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이격 공간(G)이 마련되는 점에 주요한 기술적 차별성이 존재한다.
즉, 상기 이격 공간(G)에 의하여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100)들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으므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지점의 바닥 구조모듈(100)만이 가진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 마련된 이격 공간에 의하여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더라도 충격에 의한 진동이 이격 공간에 의하여 흡수 및 분산되므로,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잔여 진동을 감쇠시키고,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S)와 일체로 형성되어 진동 전달의 매질로서 기능하는 벽체(W)는 바닥 구조체와 맞닿는 경우에 충격음 저감 효과가 미비해지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벽체(W)와 인접 배치되는 바닥 구조모듈(100)은 벽체(W) 사이에도 이격 공간(G)이 마련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모듈화된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100)을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타입으로 선제작함으로써 모듈의 균일화가 가능하고, 현장 운반의 용이성이 확보되며,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선제작된 바닥 구조모듈을 슬래브 상부 정위치에 배치하면 충분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을 구성하는 완충재(10), 하부 모르타르층(20), 방진부재(30) 및 상부 모르타르층(40)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바닥 구조체에서 사용되어 온 재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바닥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경제성과 효율성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비교예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바탕으로 경량 충격음(도 4a), 뱅머신을 이용한 중량 충격음(도 4b), 고무공을 이용한 중량 충격음(도 4c)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별 소음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비교예는 공간의 면적을 7.2m2 , 13.0m2 , 20.7m2 로 달리하여 실험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동일한 면적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비교예에서 소음 저감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지 못했던 20.7m2의 결과값에 대하여면 정리하였다. 또한, 비교예는 벽체(W) 사이에 측면 완충재(5)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였으며, 본 발명은 벽체(W)와 이격되게 배치하였다.
한편, 대역별로 소음의 정도를 다르지만 주파수와 무관하게 이를 단일 수치평가량으로 변환하면, 아래의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구분 선행기술문헌
면적 7.2m2
선행기술문헌
면적 13.0m2
선행기술문헌
면적 20.7m2
본 발명 실시예
면적 20.7m2
경량 충격음 (dB) 27 31 36 36
중량 충격음
(dB)
뱅머신 47 50 49 47
고무공 38 42 44 41
즉, 상기 표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닥 구조모듈(100)이 시공되는 실의 면적이 20m2 이상으로 비교적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선행기술문헌에 비하여 소음이 2 내지 3dB 감소하여 우수한 소음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입증되었다. 특히,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충격음의 경우에는 1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 구조모듈(100)에는 상기 상부 모르타르층(40)에 모듈형 배관(50)이 매립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바닥 마감재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되는 상기 모듈형 배관(50)에는 적어도 한 쌍의 배관 노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노출부(51)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슬리브(52) 또는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연결 슬리브(52)가 삽입되는 연결 소켓(5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100)들을 상호 이격되게 배치한 후, 일측에 구비된 연결 슬리브(52)를 회전 등의 방식으로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연결 슬리브(52)가 자연스럽게 연결 소켓(53)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슬리브(52)의 외주면 또는 연결 소켓(53)의 내주면에는 끼움 결합이 유도되도록 테이퍼형의 실링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바닥 구조모듈(100)들은 정위치에 배치되어야 이격 공간(G)이 이상적으로 형성되어 수평진동 감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는 이격 공간(G)이 마련되도록 스페이스 가이더(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가이더(2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모듈(100)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가이더(200)는 사전에 바닥 구조모듈(100)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사전에 바닥에 부착되거나 고정된 상태로 바닥 구조모듈(100)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100)을 배치하면서도 이격 공간(G)에 의하여 바닥 마감재가 변형되거나 재실자가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상기 이격 공간(G)에는 상부를 덮도록 마감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마감 커버(300)는 스페이스 가이더(2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 가이더(200) 사이에 마련된 끼움 홈부(210)에 마감 커버(300)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끼움 돌부(3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평탄화된 상부 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의 시공방법(M)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 구조체 시공방법(M)은 바닥 구조모듈 배치단계(S10) 및 마감 커버 구비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구조모듈 배치단계(S10)는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상술한 바닥 구조모듈(100)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은 완충재(10)를 기준으로 상부에 하부 모르타르층(20), 방진부재(30) 및 상부 모르타르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다.
다만,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을 순차적으로 정위치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는 이격 공간(G)이 이상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사전에 스페이스 가이더(200)를 바닥 구조모듈(100)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하거나, 슬래브(S)에 부착 또는 고정함으로써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벽체(W)는 콘크리트 슬래브(S)와 일체로 형성되어 진동 전달의 매질로서 기능하므로, 벽체(W)와 인접 배치되는 바닥 구조모듈(100)은 벽체(W) 사이에도 이격 공간(G)이 마련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진행되는 마감 커버 구비단계(S20)는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G)의 상부를 덮도록 마감 커버(30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 커버(300)는 바닥 구조모듈(100)의 상부 모르타르층(40)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 마감재가 들뜨거나 패이지 않도록 동일한 표면 레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 가이더(200)가 배치되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마감 커버(300)가 스페이서 가이더(2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구조모듈(100)의 상부 모르타르층(40)에 모듈형 배관(50)이 매립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의 상부 모르타르층(40)에 매립 형성된 모듈형 배관(50)을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모듈형 배관(50)과 상호 연결하는 배관 연결단계(S15)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배관(50)의 단부에는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모듈형 배관(50)과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 슬리브(52)와 연결 소켓(53)이 형성되어 연결 슬리브(52)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연결 소켓(53)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100),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FS) 및 그 시공방법(M)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S: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체
S:콘크리트 슬래브 G:이격 공간
100: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10:완충재 20:하부 모르타르층
30:방진부재 40:상부 모르타르층
50:모듈형 배관
200:스페이서 가이더 300:마감 커버

Claims (10)

  1.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바닥 구조모듈(100)을 복수로 배치하되,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은, 일정한 형상을 지니도록 30 내지 40mm의 두께로 완충재(10)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재(1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20 내지 30mm의 두께로 하부 모르타르층(20)이 적층되며, 상기 하부 모르타르층(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2 내지 3mm의 두께로 방진부재(30)가 적층되되, 상기 방진부재(30)는 점성을 지니는 부틸고무계 시트 또는 고무아스팔트계 시트의 상부에 알루미늄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방진부재(3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도록 40 내지 70mm의 두께로 상부 모르타르층(40)이 적층되며,
    복수의 바닥 구조모듈(100)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도록 측면에 부분적으로 스페이스 가이더(200)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이 정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이격 공간(G)이 마련되며, 상기 스페이스 가이더(200)에는 끼움 홈부(210)가 마련되고, 상기 이격 공간(G)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마감 커버(300)의 하방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 돌부(310)가 돌출되어 상기 끼움 홈부(210)에 끼움 결합되어 스페이스 가이더(200)에 지지된 상태로 평탄화된 상부 마감을 제공하는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르타르층(40)에는 모듈형 배관(50)이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배관(50)에는 적어도 한 쌍의 배관 노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노출부(51)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슬리브(52) 또는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연결 슬리브(52)가 삽입되는 연결 소켓(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벽체(W)와 인접 배치되는 바닥 구조모듈(100)은 벽체(W) 사이에도 이격 공간(G)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
  7. 삭제
  8. 삭제
  9.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청구항 1의 바닥 구조모듈(100)을 정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측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는 스페이스 가이더(20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하는 바닥 구조모듈 배치단계(S10); 및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 공간(G)의 상부를 덮도록 마감 커버(300)를 구비하되, 상기 마감 커버(300)의 하방에 돌출된 끼움 돌부(310)를 상기 스페이스 가이더(200)의 끼움 홈부(210)에 끼움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구비하는 마감 커버 구비단계(S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의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모듈(100)의 상부 모르타르층(40)에 매립 형성된 모듈형 배관(50)을 인접한 바닥 구조모듈(100)의 모듈형 배관(50)과 상호 연결하는 배관 연결단계(S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을 이용한 바닥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220178357A 2022-12-19 2022-12-19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65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57A KR102658329B1 (ko) 2022-12-19 2022-12-19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57A KR102658329B1 (ko) 2022-12-19 2022-12-19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329B1 true KR102658329B1 (ko) 2024-04-18

Family

ID=9084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357A KR102658329B1 (ko) 2022-12-19 2022-12-19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3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31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조립식 바닥재
KR20150097960A (ko) * 2014-02-19 2015-08-27 김원빈 온수난방패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구조
KR102311980B1 (ko) 2020-12-09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차음층이 구비된 바닥완충구조
JP2022057240A (ja) * 2020-09-30 2022-04-1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防振浮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31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조립식 바닥재
KR20150097960A (ko) * 2014-02-19 2015-08-27 김원빈 온수난방패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구조
JP2022057240A (ja) * 2020-09-30 2022-04-1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防振浮床
KR102311980B1 (ko) 2020-12-09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차음층이 구비된 바닥완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3757A (ko)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및 그 층간소음 차단구조
KR200394587Y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2295294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20190079758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92208B1 (ko) 공동주택의 바닥과 벽체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2658329B1 (ko) 수평진동 감쇠형 바닥 구조모듈,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361502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06007834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KR20190067995A (ko)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KR101786166B1 (ko) 단열성능과 층간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KR101786165B1 (ko) 층간 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102573467B1 (ko)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102334371B1 (ko)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KR102528587B1 (ko) 벽체와 마감모르타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마감모르타르를 차단하는 공법 및 구조
KR101774493B1 (ko) 층간차음재
KR102658333B1 (ko) 공기층을 통한 충격 분산형 바닥완충 구조체
KR101774494B1 (ko) 층간차음재
KR102082255B1 (ko) 층간소음을 감쇄하는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