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17U -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 Google Patents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17U
KR20130005817U KR2020120002468U KR20120002468U KR20130005817U KR 20130005817 U KR20130005817 U KR 20130005817U KR 2020120002468 U KR2020120002468 U KR 2020120002468U KR 20120002468 U KR20120002468 U KR 20120002468U KR 20130005817 U KR20130005817 U KR 201300058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guide plate
storage compartment
orbital welding
w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지만화
박종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817U/ko
Publication of KR20130005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Landscapes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비에 대한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수납칸과, 이 수납칸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있어서,상기 수납칸은 구획판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공간이 구획되고,일측 또는 타측공간의 수납칸에는 지면을 향해 회동되면서, 수납칸에 수용된 장치를 보호하거나 수납칸으로의 장치 수납 및 수납칸으로부터 보관함 외부로의 장치 인출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제공하는 인출 가이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Storage box for orbital welding device}
본 고안은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비에 대한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라인 자동용접 작업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있는 파이프를 계속적으로 연결시키면서 작업이 진행되는데, 이로 인해 파이프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는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에 관련된 장치가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장치를 따라서 용접을 하는 오비탈 용접(orbital welding)이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용접캐리지를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궤도형 안내장치를 파이프에 견고하게 부착시키고, 이 궤도형 안내장치는 정밀한 캐리지의 구동을 위해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접 캐리지에도 이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가 구성되어 궤도형 안내장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용접 캐리지가 이동하는 원리가 구현된다.
이러한 오비탈 용접장치는 용접기 및 캐리지를 비롯한 장비의 구성이 다양하고, 각 장비마다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게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오비탈 용접장치의 사용은 물론, 오비탈 용접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 역시 상기 오비탈 용접장치의 각 장비를 효율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오비탈 용접이 많이 사용되는 조선 선체 구조물 제작은 작업 특성상 옥외공장에서 장기간의 용접 수행이 필요하며, 옥외 용접 수행 후 오비탈 용접장치에 대한 신속하고 간편한 보관을 위한 보관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종래에도 복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이 제공되고 있으나, 무거운 중량물의 용접기를 비롯한 각 장치 구성들을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빼내거나 보관시 작업자가 각 장치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많은 근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맨아워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1776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48079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치들에 대한 보관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아워 및 작업자의 근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납칸과, 이 수납칸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칸은 구획판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공간이 구획되고, 일측 또는 타측공간의 수납칸에는 지면을 향해 회동되면서, 수납칸에 수용된 장치를 보호하거나 수납칸으로의 장치 수납 및 수납칸으로부터 보관함 외부로의 장치 인출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제공하는 인출 가이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인출 가이드판이 설치되지 않은 수납칸에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인출 트레이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출 가이드판의 하단부 양측은 수납칸에 축 결합되고, 인출 가이드판의 상단부에는 인출 가이드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장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출 가이드판이 지면을 향해 펼쳐졌을 때 노출된 경사면의 양단부에는 경사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일측의 수납칸에는 지면을 향해 회동되면서 경사면을 제공하는 인출 가이드판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인출 트레이가 설치됨으로써,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비에 대한 보관 및 수납칸으로부터 각 장비를 꺼내는 일련의 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인출 가이드판의 경우, 지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장비에 대한 보관시에는 수납칸으로부터 장비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장비의 수납 또는 장비의 인출시에는 인출 가이드판을 젖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바퀴 달린 장비에 대한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인출 트레이의 경우에도,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서랍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장비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며, 근력 소모가 줄어들어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의 인출 가이드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의 인출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은 몸체(100)와, 인출 가이드판(200)과, 인출 트레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의 외관을 구성하며,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몸체(100)는 금속의 재질임이 바람직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칸(110)이 형성된다.
이때, 수납칸(110)은 구획판(P)에 의해 일측과 타측이 구획된다.
이때, 일측과 타측이라 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좌측과 우측을 말한다.
그리고, 구획판(P)에 의해 구획된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은, 칸막이(C)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수납칸(110)이 여러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수납칸(110) 크기는 다양하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비에 대한 보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몸체(100)의 전면은 수납칸(110)이 노출되도록 개구되며, 상기 몸체(100)에는 수납칸(110)을 개폐하는 도어(12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인출 가이드판(200)은 장비를 수납칸(110)으로 용이하게 보관시키거나 수납칸(110)에 수용된 장비를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인출 가이드판(200)은 바퀴가 설치된 장비에 대한 보관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비의 구름이 용이하도록 수납칸(110)과 지면 사이에 경사면을 제공한다.
인출 가이드판(200)은 수납칸(110)에 축 결합되되, 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 수납칸(110)에 축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인출 가이드판(200)이 몸체(100)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축 결합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출 가이드판(200)은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칸(110) 중, 맨 하부의 수납칸(110)에 설치되며, 인출 가이드판(200)의 하단부 양측은 수납칸(110)을 형성하는 구획판(P) 및 몸체(100)에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인출 가이드판(200)은 축을 중심으로 수납칸(110)의 전방을 향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출 가이드판(200)의 상단부에는 구속장치(210)가 설치된다.
구속장치(210)는 인출 가이드판(20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칸(110)에 장비 보관시 인출 가이드판(200)이 저절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구속장치(210)는 인출 가이드판(200)의 상단부 양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인출 가이드판(20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걸쇠(210)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걸쇠(210)에 대응되는 구획판(P) 및 몸체(100)에는 걸쇠홈(211)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인출 가이드판(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수납칸(110)의 전방을 향해 회전되는데, 이와 같이 회전됨에 따라 인출 가이드판(200)은 지면을 향해 펼쳐저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걸쇠(210)가 설치된 인출 가이드판(200)의 일면은 전면이라할 때, 상기 경사면은 인출 가이드판(200)의 타면을 말한다,
즉, 경사면은, 수납칸(110)에 보관된 장비가 지면으로 인출되거나, 장비가 수납칸(110)으로 보관되는 과정에서 바퀴가 설치된 장비가 구르면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경사면의 양측에는 경사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방지부재(2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재(220)는 바퀴가 설치된 장비의 구름작용시,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된 바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인출 트레이(300)는 장비 보관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는 서랍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인출 트레이(300)는 몸체(100)의 타측에 설치되되, 수납칸(110)의 맨 하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인출 트레이(30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수납칸(1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 트레이(300)에는 장비가 직접 수납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상자(B)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자(B)에 베벨머신 등의 유닛 장비가 별도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출 트레이(300)의 양측에는 롤러(31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310)에 대응되는 수납칸(110)의 양측 내면에는 롤러홈(320)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각 장비들이 보관되거나 인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비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몸체(100) 내부의 수납칸에 보관시킨다.
이때,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장비 및 공구들은 상부의 수납칸(100)에 보관하고,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장비 및 공구들은 하부의 수납칸에 보관하는 것이 효율적임은 이해 가능하다.
이때, 오비탈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장비 중,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장비는 용접기와 베벨머신 등이 있는데, 용접기는 이동이 편리한 이동박스(M) 내에 수용되어 운반된다.
이때, 이동박스(M)의 저면에는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구름됨으로써 운반이 편리해진다.
이와 같은 이동박스(M)를 몸체(100)의 수납칸(110)에 보관시키기 위해서는, 구속장치(210)를 걸쇠홈(211)으로부터 해제하여 인출 가이드판(200)을 지면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인출 가이드판(200)은 지면을 향해 펼쳐지면서 인출 가이드판(200)의 상단부는 지면에 닿게 된다.
이때, 인출 가이드판(200)은 지면과의 높이 차로 인해, 경사지게 제공되고 인출 가이드판(200)의 타면인 경사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작업자는 바퀴 달린 이동박스(M)에 용접기를 수용한 후, 상기 이동박스(M)를 밀어 경사면을 따라 수납칸(110)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이때, 이동박스(M)는 경사면을 따라 주행하는 중, 경사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재(220)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이동박스(M)가 경사면 밖으로 추락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인출 가이드판(200)을 들어올려 수납칸(110)을 차폐한 상태에서, 구속장치의 걸쇠(210)를 걸쇠홈(211)에 삽입하여 인출 가이드판(200)의 회전을 구속시킨다.
한편, 베벨머신과 같은 장비 역시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장비에 속하므로, 하부 수납칸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인출 트레이(300)를 몸체(100)의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이때, 인출 트레이(300)의 롤러(310)는 롤러홈(320)을 따라 이동되므로, 인출 트레이(300)는 유연하게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인출 트레이(300)에는 상자(B)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자(B)의 덮개를 열어 베벨머신을 수납시킨다.
이후, 인출 트레이(300)를 밀어 원위치시킴으로써, 베벨머신의 보관이 완료된다.
이때, 베벨머신이 반드시 상자(B)에 보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인출 트레이(300) 위에 직접 올려놓을 수도 있으나, 인출 트레이(30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베벨머신이 지면으로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상자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나머지 수납칸(110)에는 비교적 무게가 덜 나가는 공구 및 장비들을 골고루 분배하여 수납시킨다.
이후, 도어(120)를 닫아 수납칸(110)을 차폐시킴으로써,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대한 오비탈 용접장치의 보관이 완료된다.
한편, 보관함에 수납된 장비들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가능함은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은 인출 가이드판 및 인출 트레이가 설치됨으로써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장비들에 대한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일련의 보관작업이 편리해져 맨아워가 감소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력소모가 줄어들어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따른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수납칸
120 : 도어 200 : 인출 가이드판
210 : 구속장치 211 : 걸쇠홈
220 : 이탈방지부재 300 : 인출트레이
310 : 롤러 320 : 롤러홈
P : 구획판 C : 칸막이
B : 상자 M : 이동박스

Claims (4)

  1. 복수의 수납칸과, 이 수납칸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칸은 구획판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공간이 구획되고,
    일측 또는 타측공간의 수납칸에는 지면을 향해 회동되면서, 수납칸에 수용된 장치를 보호하거나 수납칸으로의 장치 수납 및 수납칸으로부터 보관함 외부로의 장치 인출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제공하는 인출 가이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가이드판이 설치되지 않은 수납칸에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인출 트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가이드판의 하단부 양측은 수납칸에 축 결합되고,
    인출 가이드판의 상단부에는 인출 가이드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가이드판이 지면을 향해 펼쳐졌을 때 노출된 경사면의 양단부에는 경사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KR2020120002468U 2012-03-28 2012-03-28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KR201300058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68U KR20130005817U (ko) 2012-03-28 2012-03-28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68U KR20130005817U (ko) 2012-03-28 2012-03-28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17U true KR20130005817U (ko) 2013-10-08

Family

ID=5243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68U KR20130005817U (ko) 2012-03-28 2012-03-28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8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1523A (zh) * 2017-04-17 2017-06-23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电焊机保护箱
CN107433385A (zh) * 2017-04-17 2017-12-05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电焊机保护箱
CN107433386A (zh) * 2017-04-17 2017-12-05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焊机保护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1523A (zh) * 2017-04-17 2017-06-23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电焊机保护箱
CN107433385A (zh) * 2017-04-17 2017-12-05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电焊机保护箱
CN107433386A (zh) * 2017-04-17 2017-12-05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焊机保护箱
CN107433386B (zh) * 2017-04-17 2019-02-01 重庆双兵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新型电焊机保护箱
CN107433385B (zh) * 2017-04-17 2019-03-22 合肥福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改进型电焊机保护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6621B1 (de) Regalversorgungsfahrzeug
EP34665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ser or plasma cutting of pieces of laminar material wound in coil
JP2017510527A (ja) 倉庫及び倉庫のための回収台車
KR20130005817U (ko) 오비탈 용접장치 보관함
JP2016536236A5 (ko)
EP3204176B1 (de) Biegepresse mit werkzeugspeicher
DE202007016549U1 (de) Zuführeinrichtung
JP2020508944A5 (ko)
EP2256038A1 (de) Anlage zum Einladen von Gepäckstücken in Container
DE202012102447U1 (de) Zuführeinrichtung
CN104960834A (zh) 一种自动货柜
CA2964172C (en) Reservoir with handle
JP3136412U (ja) 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用安全ガード
CN209351651U (zh) 多轨式草莓存储装置
US10220478B2 (en) Machining center
CN204751209U (zh) 一种自动货柜
US2386894A (en) Method of and means for loading ammunition containers
CN110329691B (zh) 一种物流管理系统
DE3411117C2 (de) Maschine zum Ein- und Auspacken von Behältern
DE1001645B (de) Foerdervorrichtung zum Wegfuehren eines bestimmten Lastenstueckes aus einem Stapel
CN204252724U (zh) 一种出仓口机构
EP3941799A1 (de) Rollcontainer sowie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und lagern von gegenständen
CN106275706A (zh) 一种气瓶转运装置
CN104589341A (zh) 一种工作平台
DE102016205234A1 (de) Drehmas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