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777U -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777U
KR20130005777U KR2020120002405U KR20120002405U KR20130005777U KR 20130005777 U KR20130005777 U KR 20130005777U KR 2020120002405 U KR2020120002405 U KR 2020120002405U KR 20120002405 U KR20120002405 U KR 20120002405U KR 20130005777 U KR20130005777 U KR 20130005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conveyor
scaffold
intermediate conveyor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웅
곽태옥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777U/ko
Publication of KR20130005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판(10)의 강도 측정으로 양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판(10)을 인입컨베이어(22), 중간컨베이어(24), 배출컨베이어(26)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0); 상기 중간컨베이어(24)에 위치하는 합판(10)을 가압실린더(54)로 가압하는 가압수단(50); 및 상기 합판(10)의 처짐량을 변위센서(62)로 측정하여 제어기(68)에서 설정치와 비교 처리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속적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최소한의 인원을 투입한 상태에서 자동적 검사에 이어서 양부 판정에 따른 분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Strength inspection apparatus for plywood footstep}
본 고안은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LNGC 화물창 건조작업 중 고소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인력이나 물품을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가설하는 시스템 발판용 합판에 대한 안전도를 검사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 구조물은 물론 선박의 건조에 있어서도 고소에서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과 업무수행을 위한 발판 작업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이러한 발판은 공정의 진행에 따라 장소를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재사용되는 것이지만 주기적으로 강도를 검사하여 기준에 미달하는 것을 보수 또는 폐기해야 한다. 특히 발판의 소재가 합판인 경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하게 강도가 약화되기 때문에 고소 작업자에 불안감을 주거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선행특허의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0449909호는 합판의 저면 외측 둘레를 받쳐주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합판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휘어진 합판의 휨정도를 측정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LNG선의 발판 시스템에 사용되는 발판용 합판 부재를 손쉽게 내구성 및 강도를 측정할 수 있고, 합판에 대한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특허의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38899호는 시편의 시험위치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리니어스케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와; 상기 시편에 하중을 부가하는 수단이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슬라이더와; 상기 메인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되는 서브슬라이더와; 상기 서브슬라이더와 메인슬라이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메인슬라이더에 하중을 부가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검사를 단일의 평가시스템에 의해 일괄적으로 실행하여 능률적이고 경제적인 운영을 도모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발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검사하는 구성의 측면에서 미흡하기 때문에 검사대상 발판의 수량이 증가하는 경우 적체가 심화되어 공수의 증가를 초래한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0449909호 "발판 강도 테스트장치"(공개일자 : 2010. 8. 12.)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38899호 "유리판재의 정적 및 동적 강도 평가시스템"(공개일자 : 2000. 11. 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검사대상물의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연속적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최소한의 인원을 투입한 상태에서 자동적 검사에 이어서 양부 판정에 따른 분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판의 강도 측정으로 양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판을 인입컨베이어, 중간컨베이어, 배출컨베이어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중간컨베이어에 위치하는 합판을 가압실린더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합판의 처짐량을 변위센서로 측정하여 제어기에서 설정치와 비교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중간컨베이어의 위치에 합판의 폭에 대응하여 간격조절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중간컨베이어는 승강실린더를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은 합판의 인입 상태와 대기 상태를 검출하도록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의 변위센서는 리니어게이지, 레이저센서, 갭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은 합판의 시험일자, 합격/불합격을 표시하도록 스탬프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배출컨베이어의 위치에 체인벨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하여 불합격 합판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속적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최소한의 인원을 투입한 상태에서 자동적 검사에 이어서 양부 판정에 따른 분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선박 건조시 발판용 합판(10)의 강도 측정으로 양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여타 용도의 합판(10)의 양부도 검사할 수 있다. 선박 건조에 관련된 발판용 합판(10)의 규격은 675*2500㎜, 666*2500㎜, 625*2500㎜ 등으로서, 길이는 일정한 반면 폭은 다소 달라지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수단(20)이 상기 합판(10)을 인입컨베이어(22), 중간컨베이어(24), 배출컨베이어(26) 상으로 이송하는 구조이다. 인입컨베이어(22)는 롤러 방식으로서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하지 않아 합판(10)을 수동으로 이송한다. 중간컨베이어(24)와 배출컨베이어(26)는 롤러 방식이지만 별도의 구동원(도시 생략)을 구비하여 합판(10)을 자동으로 이송한다. 인입컨베이어(22), 중간컨베이어(24), 배출컨베이어(26)는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이격된 틈새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0)은 중간컨베이어(24)의 위치에 합판(10)의 폭에 대응하여 간격조절 가능한 지지프레임(42)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42)은 인입컨베이어(22)에서 이송된 합판(10)이 일시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으로서 합판(10)의 장변에 접촉하도록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일측과 타측에서 대향하는 지지프레임(42)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핸들(45)과 리드스크류(46)가 구비된다. 지지프레임(42)의 하류단에는 이송되는 합판(10)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스토퍼(43)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중간컨베이어(24)는 승강실린더(34)를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프레임(42)은 최소의 간격으로 조절되더라도 중간컨베이어(24)의 폭보다 넓게 유지된다. 중간컨베이어(24)가 승강실린더(34)에 의하여 상승되면 지지프레임(42)보다 높이가 높아져서 합판(10)에 접촉되며, 중간컨베이어(24)가 하강되면 지지프레임(42)보다 높이가 낮아져 합판(10)과 접촉이 해제된다. 승강실린더(34)는 유공압 실린더를 의미하지만 전기 엑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압수단(50)이 상기 중간컨베이어(24)에 위치하는 합판(10)을 가압실린더(54)로 가압한다. 가압수단(50)은 합판(10)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설정된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서, 작동력을 검출하기 위해 가압실린더(54)의 작동램 상에 하중센서(56)를 구비한다. 가압실린더(54)는 유공압 실린더를 의미하지만 전기 엑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어수단(60)이 상기 합판(10)의 처짐량을 변위센서(62)로 측정하여 제어기(68)에서 설정치와 비교 처리한다. 변위센서(62)는 가압실린더(54)의 하방향으로 설치되어 합판(10)의 처짐량을 측정한다. 제어기(68)는 내부적으로 마이콤, 메모리, 입출력부 외에 자체 디스플레이(64)를 구비한다. 제어기(68)의 입력부에는 하중센서(56), 변위센서(62), 후술하는 리미트스위치(61) 등이 연결된다. 제어기(68)의 출력부에는 중간컨베이어(24)의 구동부(도시 생략), 중간컨베이어(24)의 승강실린더(34), 스토퍼(43)의 구동부(도시 생략), 배출컨베이어(26)의 구동부(도시 생략), 가압실린더(54) 등이 연결된다.
본 고안의 상기 제어수단(60)은 합판(10)의 인입 상태와 대기 상태를 검출하도록 리미트스위치(61)를 구비한다. 인입컨베이어(22)의 하류단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61)는 합판(10)의 인입 상태를 검출하고, 중간컨베이어(24)의 하류단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61)는 합판(10)의 대기 상태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의 변위센서(62)는 리니어게이지, 레이저센서, 갭센서 중에서 선택된다. 변위센서(62)는 구성적으로 간편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장기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리니어게이지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60)은 합판(10)의 시험일자, 합격/불합격을 표시하도록 스탬프유니트(66)를 구비한다. 스탬프유니트(66)는 중간컨베이어(24)의 영역 내에서 하류측에 설치되고 제어기(68)에서 출력된 검사 관련 정보를 합판(10) 상에 잉크로 기재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이송수단(20)은 배출컨베이어(26)의 위치에 체인벨트(28)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하여 불합격 합판(10)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인벨트(28)는 배출컨베이어(26)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이격되면서 배출컨베이어(2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합판(10)을 보내도록 설치된다. 체인벨트(28)는 평상시 배출컨베이어(26)보다 낮게 위치하지만, 불합격된 합판(10)을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배출컨베이어(26)보다 높게 상승한다. 체인벨트(28)의 승하강을 위해 승강실린더(38)를 사용한다.
작동에 있어서, 작업자가 인입컨베이어(22) 상으로 합판(10)을 밀어 이송시키면, 합판(10)이 인입컨베이어(22)의 하류단에서 리미트스위치(61)에 접촉하고, 중간컨베이어(24)가 지지프레임(42)의 위로 상승하여 합판(10)을 이송하고, 합판(10)이 중간컨베이어(24)의 하류단에서 스토퍼(43)와 리미트스위치(61)에 접촉하고, 중간컨베이어(24)가 하강하면서 합판(10)이 지지프레임(42) 상에 안착되고, 가압실린더(54)가 하강하여 합판(10)을 가압하고, 이와 동시에 하중센서(56)로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고, 제어기(68)가 합판(10)의 저면에 위치한 변위센서(62)의 신호를 입력하여 합판(10)의 처짐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합판(10)의 처짐량 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64)에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기(68)가 스탬프유니트(66)를 가동하여 합판(10)의 합격/불합격을 표시하고, 중간컨베이어(24)를 상승시키면서 스토퍼(43)가 하강하여 합판(10)을 진행시키고, 합격으로 판단된 경우 체인벨트(28)의 승강실린더(38)를 구동하지 않고 합판(10)을 배출컨베이어(26) 상에서 직진시키고, 불합격으로 판단된 경우 체인벨트(28)를 배출컨베이어(26)보다 상승시켜 합판(10)을 배출컨베이어(26)의 측방향으로 보낸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합판 20: 이송수단
22: 인입컨베이어 24: 중간컨베이어
26: 배출컨베이어 28: 체인벨트
34, 38: 승강실린더 42: 지지프레임
43: 스토퍼 45: 핸들
50: 가압수단 52: 가압프레임
54: 가압실린더 56: 하중센서
60: 제어수단 61: 리미트스위치
62: 변위센서 64: 디스플레이
66: 스탬프유니트 68: 제어기

Claims (7)

  1. 합판(10)의 강도 측정으로 양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판(10)을 인입컨베이어(22), 중간컨베이어(24), 배출컨베이어(26)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0);
    상기 중간컨베이어(24)에 위치하는 합판(10)을 가압실린더(54)로 가압하는 가압수단(50); 및
    상기 합판(10)의 처짐량을 변위센서(62)로 측정하여 제어기(68)에서 설정치와 비교 처리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은 중간컨베이어(24)의 위치에 합판(10)의 폭에 대응하여 간격조절 가능한 지지프레임(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컨베이어(24)는 승강실린더(34)를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합판(10)의 인입 상태와 대기 상태를 검출하도록 리미트스위치(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의 변위센서(62)는 리니어게이지, 레이저센서, 갭센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합판(10)의 시험일자, 합격/불합격을 표시하도록 스탬프유니트(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은 배출컨베이어(26)의 위치에 체인벨트(28)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하여 불합격 합판(10)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KR2020120002405U 2012-03-27 2012-03-27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KR20130005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05U KR20130005777U (ko) 2012-03-27 2012-03-27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05U KR20130005777U (ko) 2012-03-27 2012-03-27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77U true KR20130005777U (ko) 2013-10-08

Family

ID=5243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05U KR20130005777U (ko) 2012-03-27 2012-03-27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7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26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 부재 최종강도 시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26B1 (ko) * 2018-07-31 2019-03-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 부재 최종강도 시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05B1 (ko) 프레스 성형물 검사장치
CN105035903A (zh) 一种电梯载荷测试装置及其试验方法
EP14998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tiffness of articles
KR20120065531A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높이 측정장치
KR20130005777U (ko) 발판용 합판의 강도검사 장치
KR101203613B1 (ko)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JPS60159608A (ja) 肉厚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1165516B1 (ko)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KR20110078589A (ko) 와이퍼모터 샤프트 검사장비의 샤프트 투입기
KR101339309B1 (ko) 실린더 헤드 검사장치
KR20100046742A (ko) 비접촉식 평탄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A242781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tiffness of articles
CN208872231U (zh) 一种钢板弹簧总成垂直、平行度快速预选检具
KR1015025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정렬장치
CN206919860U (zh) 一种道岔尖轨检验装置
KR100784027B1 (ko) 벨트 콘베이어 상의 철편검출기의 감도 테스트장치
JP5037202B2 (ja) 鋼板表裏面検定設備
KR200449909Y1 (ko) 발판 강도 테스트장치
KR101015990B1 (ko) 목재의 휨 탄성 계수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RU2209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измерения веса и отбраковки перемещаемой продукции на ленточных конвейерах
KR101609530B1 (ko)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의 라이닝 접착위치 및 라운드값 불량검사장치
CN107121104A (zh) 一种道岔尖轨检验装置
CN118089828A (zh) 扁棒的检测装置和方法
CN208721585U (zh) 一种铝箔印刷外观在线检品机验证装置
JP2553301Y2 (ja) 切断材重量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