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66U - 3d 안경 - Google Patents

3d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66U
KR20130005666U KR2020120002206U KR20120002206U KR20130005666U KR 20130005666 U KR20130005666 U KR 20130005666U KR 2020120002206 U KR2020120002206 U KR 2020120002206U KR 20120002206 U KR20120002206 U KR 20120002206U KR 20130005666 U KR20130005666 U KR 201300056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g
lens frame
len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열
Original Assignee
케이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666U/ko
Publication of KR20130005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D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안시차를 통해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렌즈 삽입홈과, 사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연결 프레임과, 안경 다리부가 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 돌기부와, 상기 안경 다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부가 구성된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과 결합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 몸체부와, 이 다리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이부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부; 및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안경 다리부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고정턱이 형성된 고정 돌기부와, 이 고정 돌기부와 접촉하며, 다리 몸체부에 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안경 다리부와 렌즈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D 안경{3D Glasses}
본 고안은 3D 안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3D 안경의 보관 및 포장이 용이하도록 일방향으로 접힘 구성이 이루어지게 구성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항상 깨끗한 3D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3D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및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의 주사방식은 크게 순차 주사(progressive scanning) 방식 혹은 비 비월 주사 방식 및 비월 주사(interlaced scanning) 방식으로 구분된다.
순차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한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비월 주사 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은 통상 두 장의 필드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은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이 있다. 3D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과,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 방식과,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액정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 셔터 안경 방식(또는 시분할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액정 셔터 안경은 좌, 우안 액정이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지지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3D 안경은 일반적인 안경의 구조와 동일한데 비해 액정 셔터 안경은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시청할 경우에만 착용되는 안경이므로 제품 포장이나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3D 영화 상영시 필수적으로 착용하는 3D 안경을 항상 소지할 수 없음에 따라 영화관에서 판매 또는 무료 제공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이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무료 제공시 이를 회수하기가 어려워 영화관 의자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관람하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각종 세균에 오염될 위험이 높아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방향으로 접힘 구성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3D 안경의 보관 및 포장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가 가능한 3D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안경 프레임 및 안경 다리부가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위생적인 3D 안경을 착용하여 편안하게 3차원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회전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다리 몸체부와, 상기 다리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는 안경 다리부; 및 렌즈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렌즈 삽입홈과, 사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연결 프레임과,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와 체결되는 힌지부와, 양측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전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돌기부로 구성되는 렌즈 프레임을 포함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안경 다리부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고정턱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원호부와, 자신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이 걸리도록 하여 자신의 회전을 차단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을 접히게 하는 접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렌즈 프레임이 접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 두 개의 회전기어; 및 상기 두 개의 회전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 몸체부와 상기 걸이부에 길이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방향으로 접힘 구성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3D 안경의 보관 및 포장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안경 프레임 및 안경 다리부가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위생적인 3D 안경을 착용하여 편안하게 3차원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3D 안경은 양쪽 눈이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통해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렌즈부(110)와, 이 렌즈부(110)를 수용 및 고정하는 렌즈 프레임(120), 렌즈 프레임(120)과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안경 다리부(130) 및 안경 다리부(130)를 렌즈 프레임(120)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부(11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3D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양쪽 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 방식,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화시킨 액정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 셔터 안경 방식(또는 시분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렌즈 프레임(120)은 전술한 렌즈부(110)가 양쪽 눈에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3D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렌즈부(110)를 통해 3D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렌즈부(110)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렌즈 프레임(120)은 렌즈부(1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렌즈 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이 렌즈 삽입홈(122)의 사이에 복수의 렌즈부(110)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도록 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124)이 구성되며, 양측으로 안경 다리부(130)가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수단(140)의 고정 돌기부(144)가 구성되며, 안경 다리부(130)의 회전 각도를 한정시키는 스토퍼(126)와, 결합수단(140)의 회전기어(1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128)가 형성된다.
스토퍼(126)는 사용자가 3D 안경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각도까지만 안경 다리부(1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렌즈 프레임(120)으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경 다리부(130)의 회전 각도를 한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토퍼(126)는 렌즈 프레임(12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 다리부(130)가 결합수단(140)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이 스토퍼(126)의 상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스토퍼(126)와 밀착되어 안경 다리부(130)의 회전이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3D 안경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각도 범위인 안경 다리부(130)가 렌즈 프레임(120)으로부터 최대 90도의 회전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안경 다리부(130)는 렌즈 프레임(120)의 양측에 결합수단(14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3D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경 다리부(130)는 결합수단(140)의 회전기어부(142)가 구성된 다리몸체부(132)와, 이 다리 몸체부(13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게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부(134)로 이루어진다.
결합수단(140)은 안경 다리부(130)가 렌즈 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개체로서, 렌즈 프레임(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부(144)와, 이 고정 돌기부(144)와 접촉되면서 안경 다리부(130)를 고정시키는 회전기어(142) 및 안경 다리부(130)와 렌즈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축(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돌기부(144)는 렌즈 프레임(120)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턱(242)이 형성되어 회전기어(142)의 기어치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기어(142)가 더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고안의 고정 돌기부(144)는 안경 다리부(130)의 회전 방향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기어(142)는 안경 다리부(130)의 다리 몸체부(132)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안경 다리부(130)가 렌즈 프레임(120)으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회전기어(142)는 원주를 따라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어 안경 다리부(130)가 회전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때, 고정 돌기부(144)에 형성된 고정턱(242)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원호부(243)와, 회전기어(142)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며, 안경 다리부(130)가 회전 불가능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때, 고정턱(242)이 걸려 회전기어(142)의 회전을 차단하는 걸림턱(24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20)측으로 접혀진 상태의 안경 다리부(130)를 렌즈 프레임(120)으로부터 수직하게 회전시키면, 안경 다리부(130)에 구성된 회전기어(142)의 원호부(243)를 따라 렌즈 프레임(120)에 구성된 고정 돌기부(144)의 고정턱(242)이 접촉된 상태만을 유지한 채, 회전이 이루어지며, 안경 다리부(130)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고정 돌기부(144)의 고정턱(242)이 회전기어(142)에 형성된 걸림턱(245)에 걸리게 되어 안경 다리부(130)가 다시 렌즈 프레임(120)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이 안경 다리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안경의 보관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렌즈 프레임(120)에 구성된 연결 프레임(124)측에 이 렌즈 프레임(120)을 접히게 하는 접이수단(310)을 구비함으로써, 3D 안경의 보관 및 포장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렌즈 프레임(120)에 구성된 연결 프레임(124)에는 이 렌즈 프레임(120)이 간편하게 접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312)가 구성되고, 두 개의 회전기어(314)가 구성되어 렌즈부(110)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두 개의 회전기어(314)가 구성됨에 따라 두 개의 회전기어(314)에 접촉하여 두 개의 회전기어(314)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턱(31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돌기부(31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310)은 결합수단(140)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안경 다리부(130) 역시 다리 몸체부(132)와 걸이부(134)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수단이 구성되어 3D 안경의 부피를 더욱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길이 조절수단은 다리 몸체부(132)의 내부에 걸이부(134)가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22)과, 이 가이드홈(3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이 완료되었을 때, 걸이부(134)를 다리 몸체부(132)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돌기(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일방향으로 접힘 구성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3D 안경의 보관 및 포장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안경 프레임 및 안경 다리부가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위생적인 3D 안경을 착용하여 편안하게 3차원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렌즈부 120: 렌즈 프레임
122: 렌즈 삽입홈 124: 연결 프레임
130: 안경 다리부 132: 다리 몸체부
134: 걸이부 140: 결합수단
142: 회전기어 144: 고정 돌기부
146: 연결축 242: 고정턱
243: 원호부 245: 걸림턱
310: 탄성부 322: 가이드홈
332: 가이드돌기

Claims (6)

  1. 회전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다리 몸체부와, 상기 다리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는 안경 다리부; 및
    렌즈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렌즈 삽입홈과, 사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연결 프레임과, 연결축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와 체결되는 힌지부와, 양측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전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돌기부로 구성되는 렌즈 프레임;
    을 포함하는 3D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안경 다리부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고정턱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원호부와, 자신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이 걸리도록 하여 자신의 회전을 차단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렌즈 프레임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접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렌즈 프레임이 접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
    두 개의 회전기어; 및
    상기 두 개의 회전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리 몸체부와 상기 걸이부에 길이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KR2020120002206U 2012-03-20 2012-03-20 3d 안경 KR201300056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06U KR20130005666U (ko) 2012-03-20 2012-03-20 3d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06U KR20130005666U (ko) 2012-03-20 2012-03-20 3d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66U true KR20130005666U (ko) 2013-09-30

Family

ID=5243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206U KR20130005666U (ko) 2012-03-20 2012-03-20 3d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66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0915A (zh) * 2018-11-08 2019-01-01 赵谦 一种影院用一次性环保3d眼镜
CN110275306A (zh) * 2019-06-21 2019-09-24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散热连接结构及智能眼镜
CN111665641A (zh) * 2020-06-19 2020-09-15 台州市黄岩智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镜片保护功能的折叠式眼镜
WO2021215743A1 (ko) * 2020-04-22 202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0915A (zh) * 2018-11-08 2019-01-01 赵谦 一种影院用一次性环保3d眼镜
CN110275306A (zh) * 2019-06-21 2019-09-24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散热连接结构及智能眼镜
CN110275306B (zh) * 2019-06-21 2021-06-2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散热连接结构及智能眼镜
WO2021215743A1 (ko) * 2020-04-22 202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CN111665641A (zh) * 2020-06-19 2020-09-15 台州市黄岩智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镜片保护功能的折叠式眼镜
CN111665641B (zh) * 2020-06-19 2021-10-22 台州市黄岩智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镜片保护功能的折叠式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8794A1 (en) Circular polarized contact lenses and methods thereof
CN204439937U (zh) 一种佩戴式显示器
TW201137398A (en) Stereo display systems
KR20130005666U (ko) 3d 안경
JPS6035049B2 (ja) 映画鑑賞等用立体眼鏡
KR100991285B1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101890621B1 (ko) 안경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CN101694549A (zh) 眼镜、望远眼镜及立体视像眼镜架组件
KR20120100577A (ko) 렌즈교체형 안경
EP2625561B1 (en) Glasses
KR101180990B1 (ko) 부착형 입체 영상용 안경
WO2015043142A1 (zh) 一种三维眼镜及一种三维显示系统
CN102608769A (zh) 立体眼镜
WO2012018409A1 (en) Tilt compensation for stereoscopic visual displays
CN206339796U (zh) 一种用于观看电影的新型3d眼镜
JP2012010217A (ja) 眼鏡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JP2009163049A (ja) 眼鏡ディスプレイ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KR20110053214A (ko) 입체영상용 안경
KR101753039B1 (ko) 헤드 마운트 영상제공 장치
KR102005576B1 (ko)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