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576B1 -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 - Google Patents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576B1
KR102005576B1 KR1020160046422A KR20160046422A KR102005576B1 KR 102005576 B1 KR102005576 B1 KR 102005576B1 KR 1020160046422 A KR1020160046422 A KR 1020160046422A KR 20160046422 A KR20160046422 A KR 20160046422A KR 102005576 B1 KR102005576 B1 KR 102005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ain body
pad
user
block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106A (ko
Inventor
최용희
Original Assignee
최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희 filed Critical 최용희
Publication of KR2017008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시야 범위 조절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범위 조절기는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차단패드;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패드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VISIBILITY RANGE CONTROLL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 및 작업 시에 주변 환경에 따라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야 범위를 조절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사물을 볼 때 시선방향 안에 있는 것은 뚜렷하게 보이고, 주변에 있는 것은 완전하지는 않지만 사물의 존재 또는 움직임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를 중심시야라고 하고, 후자를 주변시야라고 한다. 특히 집중을 요하는 학습 및 고도의 정밀 작업 시에는 중심시야 및 그 인접한 시야 범위만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고정시야는 위쪽 50˚, 아래쪽 70˚, 안쪽 60˚, 바깥쪽 100˚정도이므로, 환경에 따라 불필요한 주변시야에 방해물이 존재하거나 움직인다면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헌법상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러한 권리는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장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의 전국 공공도서관 1관 당 인구수는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치로서 아직 공공도서관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며, 그 또한 지역적 편중이 심각하다. 일부 학생들은 학습 시 주변시야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하여 학습 장소로서 칸막이가 있는 사설 독서실이나 공공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학생들이 경제적이나 지리적 여건이 충족되지 않아 양질의 교육 환경을 갖추지 못하는 실정이다.
만일 시야 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구가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학습 및 작업 환경을 구현해 낼 수 있으며, 비록 칸막이가 있는 사설 독서실이나 공공 도서관을 이용하지 못하더라도 손쉽게 양질의 교육 환경을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주변 부위의 시야를 차단하도록 하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464호에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차단부(1)와 측면 차단부(2), 주름부(3)를 이용하여 주변 시야를 차단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주변 시야 가리개는 안경 착용자만 이용가능하다는 측면이 있으며, 또한 단순히 안경에 탈부착하여 시야를 차단하는 데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다양한 환경에 따라 시야 범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157호로 개시된 “정신집중을 위한 눈 가림구”는 도 1b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들의 안면부위를 가릴 수 있는 넓이로서 소정 각도를 이루게 한 불투명 가림판을 구비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시야 범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데 부족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학습 및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부, 측면 시야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시야 범위를 이용자의 선호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는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차단패드;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패드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시야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차단부는 사용자의 전면의 시야를 차단하는 전면부 및 사용자의 측면의 시야를 차단하는 측면부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부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폭 조절 유도관; 및 상기 폭 조절 유도관에 인입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폭 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차단부는 상기 폭 조절바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차단부는 상기 폭 조절바와의 결합부분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은 경첩으로 결합되고, 상기 경첩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패드는 길이 방향의 양 단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패드 및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패드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패드는 복수의 차단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차단판과 또 다른 차단판이 연결되는 부위가 접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패드는 섬유, 종이 또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패드를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패드는 상기 차단패드의 일단에서 상기 차단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패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차단패드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머리띠부; 및 상기 본체와 사용자의 두부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는, 상부, 좌우 시야 범위를 이용자의 선호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주변 시야의 방해를 받지 않고 최대한의 학습 및 작업 능률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시야 차단 기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시야 범위 조절기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접히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가 본체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측면 차단부 및 폭 조절바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 결합판과 조절바 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바와 폭 조절 유도관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시야 범위 조절기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시야 범위 조절기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100)는 본체(110), 고정 프레임(120) 및 차단패드(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된다.
본체(110)는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되어 고정 프레임(120) 및 차단패드(13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고정 프레임(120)은 본체(110)와 연결되고 차단패드(130)를 고정한다.
차단패드(130)는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한다.
차단패드(130)는 사용자의 전면 즉, 전방 시각 방향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1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130)는 복수의 차단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13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고정 프레임(120) 및 차단패드(130)는 합성 섬유, 금속, 목재,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으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가 적당하고,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는 머리띠부(112) 및 완충부재(114)를 포함한다.
머리띠부(112)는 본체(110)를 두부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섬유, 고무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114)는 사용자의 두부와 본체(110)의 중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두부에 접촉하여 사이 착용감을 올려줄 수 있고, 피부의 부담을 완화하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14)는 본체(110)에 삽입될 수 있는 끼임 홈(116)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시야 범위 조절기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접히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130)는 복수의 차단판(130a 내지 130d)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차단판과 또 다른 차단판이 연결되는 부위가 접히는 접이식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판과 차단판을 연결하는 한가지 실시예는, 복수의 차단판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고, 직물,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구성되고 탄성이 있는 주머니에 차단판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차단되는 시야의 범위를 줄이려고 한다면, 도 4b와 같이, 차단패드(130)를 접어서 고정 프레임(12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차단판과 차단판을 연결하는 또 다른 실시예는 자력을 갖는 복수의 차단판을 사용하여, 차단판과 차단판이 자력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단판을 떼어 냄으로써 차단되는 시야를 줄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100)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시야 범위 조절기(100)는 본체(110), 고정 프레임(120), 차단패드(130) 및 측면 차단부(140a, 1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 고정 프레임(120) 및 차단패드(130)는 도 2에서 설명을 하였기에 여기에서는 측면 차단부(140a, 140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측면 차단부(140a, 140b)는 본체(110) 또는 고정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와 좌우 측면에서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좌우측 시야를 차단한다.
측면 차단부(140a, 140b)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차단부(140a, 140b)는 폭 조절 유도관(142) 및 폭 조절바(144a 및 144b)를 이용하여 본체(110) 또는 고정 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체(110) 또는 고정 프레임(120)은 내부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폭 조절 유도관(142) 및 폭 조절 유도관에 인입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폭 조절바(144a 및 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폭 조절바(144a 및 144b)는 래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 조절바(144a 및 144b)의 일단에 측면 차단부(140a, 140b)가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의 일부는 폭 조절 유도관(142)에 인입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폭 조절바(144a 및 144b)는 본체(110)와 고정 프레임(120)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폭 조절 유도관(142)은 본체(110) 또는 고정 프레임(120)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140a 및 140b) 중 왼쪽의 측면 차단부(140a)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140a)는 사용자의 전면의 시야를 차단하는 전면부(140a-f) 및 사용자의 측면의 시야를 차단하는 측면부(140a-s)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측면 차단부(140a)는 원칙적으로 측면부(140a-s)만 있으면 측면의 시야를 차단하는데 충분하다. 그러나 측면부(140a-s)만 있는 경우에는 측면 차단부(140a)와 고정 프레임(120)이 만나는 지점에 틈이 생길 수 있다.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측면 차단부(140a)는 측면부(140a-s)와 전면부(140a-f)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쪽의 측면 차단부(140b)도 측면부(140b-s)와 전면부(140b-f)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에 기초하여 다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140a, 140b)는 폭 조절바(144a 및 144b)를 폭 조절 유도관(142)으로부터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가장 넓은 측면 시야 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측면부(140a-s)에 전면부(140a-f)가 결합됨으로써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140a-f)는 폭 조절바(144a)가 폭 조절 유도관(142)에 삽입되어 인입하면서 상단 고정프레임(120)의 후면과 밀착된 상태로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가 본체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140a, 140b)는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되어 본체(110)와 결합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측면 차단부(140a, 140b)는 폭 조절바(144a 및 144b)와의 결합부분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되어 본체와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측면의 시야를 다시 보려면 측면 차단부(140a, 140b)를 분리하는 것도 괜찮겠지만, 분리하는 경우 분실이 될 수도 있기에, 도 6b와 같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하였듯이, 측면 차단부(140a, 140b)와 폭 조절바(144a 및 144b)가 도 6과 같이 결합되기에 도 6b와 같이 측면 차단부(140a, 140b)가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차단부(140a, 140b)가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폭 조절 유도관(142) 및 폭 조절바(144a 및 144b)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측면 차단부 및 폭 조절바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140a)와 폭 조절바(144a)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140a)에는 폭 조절바(144a)의 조절바 회전부(144a-1)와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바 회전부(144a-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져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의 원형 돌출부(140a-2)와 고정 돌출부(140a-3)가 조절바 회전부(144a-1) 내측으로 결합될 수 있을 정도로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의 원형 돌출부(140a-2)는 고정 돌출부(140a-3)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조절바 회전부(144a-1)는 중심 부근에 관통공(144a-2)을 지니고 있으며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과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벌어져 있다. 서로 마주보는 조절바 회전부(144a-1) 내측면에는 각각 십자가 형상의 회전부 고정홈(144a-6)이 소정의 깊이로 나 있으며, 회전부 고정벽(144a-4)이 내측면 하부 일단에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부 결합판과 조절바 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의 원형 돌출부(140a-2)와 고정 돌출부(140a-3)가 조절바 회전부(144a-1)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조절바 회전부(144a-1)의 관통공(144a-2)으로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의 원형 돌출부(140a-2)가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조절바 회전부(144a-1)의 십자가 형상의 회전부 고정홈(144a-6)에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의 고정 돌출부(140a-3)가 정확하게 부합되면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격이 없어진다.
도 8a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 결합판(140a-1)의 고정 돌출부(140a-3)가 조절바 회전부(144a-1)의 십자가 형상의 회전부 고정홈(144a-6)에 수직선 상으로 부합하게 되면 측면 차단부(140a)가 폭 조절바(144a)와 직각을 이루며 위치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폭 조절바(144a)를 폭 조절 유도관(142)으로부터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측면 차단부(140a)를 외측으로 90˚회전시켜 들어 올릴 수 있다. 수직선 상으로 위치 고정 결합하던 회전부 고정홈(144a-6)과 고정 돌출부(140a-3)는 회전하면서 부합하지 않게 되는데 이 때 근소한 이격이 발생하지만 고정 돌출부(140a-3)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원형 돌출부(140a-2)가 관통공(144a-2)에 여전히 삽입된 상태로 측면 차단부(140a)와 폭 조절바(144a)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측면 차단부(140a)를 외측으로 정확하게 90˚회전시키면 고정 돌출부(140a-3)가 회전부 고정홈(144a-6)과 수평선 상으로 위치 고정 결합하면서 회전 시 발생한 근소한 이격이 없어지고 측면 차단부(140a)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차단부(140a)는 외측으로 90˚회전 범위를 가지는데,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조절바 회전부(144a-1) 내측면 하부 일단에 각각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회전부 고정벽(144a-4)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바와 폭 조절 유도관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폭 조절바(144a)의 하부에는 다수의 홈들이 이간되어 골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돌기배열부(144a-3)와 폭 조절 유도관(142)에 삽입된 폭 조절바(144a)를 최대 길이로 연장하는 경우 폭 조절바(144a)가 폭 조절 유도관(142)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돌기(144a-5)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폭 조절바(144a)는 폭 조절 유도관(14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절바 회전부(144a-1)가 폭 조절 유도관(142) 일단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인입 가능할 수 있다. 폭 조절 유도관(142) 내측으로 삽입된 폭 조절바(144a)는 폭 조절 유도관(142) 하부의 조절바 유도공(142-2)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때에 폭 조절 유도관(142)의 내측 하부면에 튀어나오게 설치된 걸림돌기(142-1)가 돌기배열부(144a-3)에 형성된 홈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폭 조절 유도관(142) 내측 하부면에 설치된 걸림돌기(142-1)가 폭 조절바(144a) 하부의 돌기배열부(144a-3) 홈 사이를 이동하면서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폭 조절바(144a)는 폭 조절 유도관(142)을 중심으로 대칭적 구조를 이루며,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개별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양측으로 각각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범위 조절기는 본체(110) 및 고정 프레임(120)이 경첩(122)으로 결합되고, 경첩(122)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 프레임(120)은 본체(1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고정 프레임(120)이 폭 조절 유도관(142)과 경첩(122)으로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체(110)가 폭 조절 유도관(142)과 경첩으로 연결되거나, 본체(110)와 폭 조절 유도관(142)이 경첩으로 연결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시야 범위 조절기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차단패드(130)는 차단패드(130)의 일단에서 차단패드(130)를 관통하여 고정 프레임(120)의 고정공(132)에 삽입되어 고정 프레임(120)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샤프트(138) 및 샤프트(138)의 일단에 위치하여 차단패드(13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34)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차단패드(130)가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어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34)은 샤프트(138)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도 있고,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단패드(130)를 고정 프레임(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36)는 차단패드(130)가 고정 프레임(120)에 부착되어 있을 때, 스프링(134)의 탄력에 의하여 탈착이 되지 않도록 고정 프레임(120)에서 차단패드(130)가 결합되는 부위에 생성된 구멍인 고정부 삽입공(135)에 삽입되어 차단패드(13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가 시야 범위 조절기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패드(130)는 롤러(126) 및 회전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패드(130)는 섬유, 종이 또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126)는 차단패드(130)를 감아서 보관할 수 있고, 차단패드(130)를 감을 수 있을 정도의 두께면 충분하다.
회전부(124) 롤러(126)의 일단에 연결되어 롤러(126) 회전시킬 수 있는데,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도 있고, 전동장치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는 상부 및 측면 시야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데 국한되지 않고, 더 나아가 시야 범위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 및 작업 시에 최대한의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상부 및 측면 시야 범위를 이용자의 선호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불필요한 주변 시야의 방해를 받지 않고 동일한 학습 및 작업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최대한의 학습 및 작업 능률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시야 범위 조절기 110 : 본체
112 : 머리띠부 114 : 완충부재
120 : 고정 프레임 122 : 경첩
124 : 회전부 126 : 롤러
130 : 차단패드 130a 내지 130d : 차단판
132 : 고정공 134 : 스프링
138 : 샤프트 140a 및 140b : 측면 차단부
140a-f : 전면부 140a-s : 측면부
142 : 폭 조절 유도관 144a 및 144b : 폭 조절바

Claims (12)

  1.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차단패드;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패드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시야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부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태의 폭 조절 유도관; 및 상기 폭 조절 유도관에 인입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폭 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차단부는 상기 폭 조절바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되,
    상기 측면 차단부는 상기 폭 조절바와의 결합부분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할 수 있는 시야 범위 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드는
    상기 차단패드의 일단에서 상기 차단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차단패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차단패드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시야 범위 조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차단부는
    사용자의 전면의 시야를 차단하는 전면부 및 사용자의 측면의 시야를 차단하는 측면부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시야 범위 조절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드는 길이 방향의 양 단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패드 및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패드와 결합하는 시야 범위 조절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드는
    복수의 차단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차단판과 또 다른 차단판이 연결되는 부위가 접힐 수 있는 시야 범위 조절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드는 섬유, 종이 또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패드를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시야 범위 조절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은 경첩으로 결합되고, 상기 경첩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는 시야 범위 조절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머리띠부; 및
    상기 본체와 사용자의 두부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야 범위 조절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시야 범위 조절기.

KR1020160046422A 2016-01-05 2016-04-15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 KR102005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15 2016-01-05
KR20160000715 2016-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06A KR20170082106A (ko) 2017-07-13
KR102005576B1 true KR102005576B1 (ko) 2019-07-30

Family

ID=593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22A KR102005576B1 (ko) 2016-01-05 2016-04-15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272B1 (ko) * 2018-01-11 2019-10-02 주식회사 오딘아이웨어 렌즈 보호 기능을 가지는 안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880B2 (ja) * 1995-01-25 1998-09-21 東洙 金 蔭眼鏡
US20090307817A1 (en) * 2008-06-11 2009-12-17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Eye protectors
CN203619761U (zh) * 2013-12-20 2014-06-04 刘书锋 一种瞳距可调的眼部冷敷眼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859U (ko) * 2007-05-29 2008-12-03 박용태 햇빛가리개를 가지는 선글라스
KR101506273B1 (ko) * 2013-09-09 2015-03-27 주식회사 아이둘 모자 탈부착용 선글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880B2 (ja) * 1995-01-25 1998-09-21 東洙 金 蔭眼鏡
US20090307817A1 (en) * 2008-06-11 2009-12-17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Eye protectors
CN203619761U (zh) * 2013-12-20 2014-06-04 刘书锋 一种瞳距可调的眼部冷敷眼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06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CA2934987A1 (en) Stereoscopic viewing of an image on a body supported computer
CN109152456B (zh) 虚拟现实兼用手机套
US11294190B2 (en) Virtual reality cell phone
US8186828B2 (en) Prism glasses with movable lenses and detachable temples
KR102005576B1 (ko) 집중력 향상을 위한 시야 범위 조절기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CN105700170A (zh) 一种3d眼镜帽
KR101835874B1 (ko) 휴대용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KR101115062B1 (ko) 절첩 가능한 클립형 3d글라스
KR20130005666U (ko) 3d 안경
KR20120100577A (ko) 렌즈교체형 안경
KR20170123066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0945539B1 (ko) 안구운동 장치
US6948807B1 (en) Horizontally combinable eyewear assembly
TWI485465B (zh) 保眼裝置
CN110007463B (zh) 头戴显示装置
KR20170128165A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CN215006104U (zh) 一种防尘防护多功能光学眼镜
KR200462297Y1 (ko) 안경이 결합되는 모자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997318B1 (ko) 가상 현실 핸드폰
KR20240005482A (ko) 양안시(兩眼視)(binocular vision) 유지 장치
KR100686958B1 (ko) 2중 안경의 절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