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54A -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54A
KR20130005654A KR1020110067181A KR20110067181A KR20130005654A KR 20130005654 A KR20130005654 A KR 20130005654A KR 1020110067181 A KR1020110067181 A KR 1020110067181A KR 20110067181 A KR20110067181 A KR 20110067181A KR 20130005654 A KR20130005654 A KR 2013000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wild ginseng
minutes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최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호 filed Critical 최준호
Priority to KR102011006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654A/ko
Publication of KR2013000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를 미스트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캡을 수시로 개폐가 용이한 무압력, 순환식의 추출기에 4000cc의 청수를 붓고, 홍산삼 1.5g~3g을 투여하여 30분간 약재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불리는 단계; 20분간의 예열 후 청수가 100℃ 이상되면, 생약중 감초 5g, 맥문동 5g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하여 30분간 전탕하는 단계; 및 추출기에 동결건조된 산삼배양근 15~30g을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후 20분간 전탕하는 단계; 맑은 순도의 추출액을 위해 고압사출하지 않는 단계와 상층부의 추출액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EXTRACT WITH WILD GINSENG AND RED WILD GINSENG, EXTRACTING METHOD AND USE THEREOF TO BE USED MIST TYPE}
본 발명은 미스트 타입으로 사용을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삼과 홍산삼을 주 재료로 하여 탈모예방, 발모 및 피부개선에 효과적인 엑기스 및 그 추출방법과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대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화학 물질과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의학적인 질병으로서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환자 본인에게 있어서는 미적,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주고 있다. 탈모증은 경미한 머리카락의 가늘어짐부터 완전한 대머리까지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휴지기탈모(telogen effluvium), 약물 부작용, 의학적 질병의 증상, 머리백선증(두부백선, tinea capitis)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외상탈모증(traumatic alopecia), 유전성 대머리 또는 안드로겐성 탈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인체에 나는 털의 수는 500만 개 정도인데 그 중 머리에 나는 털은 약 10만 개이다. 털은 모수질(毛髓質), 모피질, 모소피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발은 일생동안 성장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기간 성장하면 자연히 빠지게 되는데, 두발의 경우 하루 약 70~80개가 빠진다. 모발의 성장 주기는 통상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나누는데 신체 부위에 따라 그 기간의 차이가 있다. 두발은 85%가 성장기에 있으며 5~7년간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퇴행기의 털은 2% 정도이며 2~3주간의 휴지기를 거쳐 빠지기 시작한다(Paus et al., J Invest Dermatol. 113,pp523-532, 1999).
이러한 과정 시작은 진피로 이루어진 모유두세포(hair papilla cell)가 모기질 세포를 자극하여 이루어진다. 모유두세포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밝혀진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nsulin like growth factor(IGF-1)), 간세포 성장 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HGF)), 혈관 성장 인자(vascular endotherial growth facter(VEGF))등의 성장인자와 성장기에 그 양이 증가하였다가 퇴행기에 감소함으로써 세포의 이동과 분화에 관여 하는 모유두세포외 기질 등이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원형탈모증에서 모유두세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보고에 의하면 형태와 핵이 변형되고, 세포질내에 색소성 과립이나 공포등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모장의 변화가 관찰되기 이전에 이미 발생하므로 이 질환은 모유두세포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Folia Pharmacol. Jpn. (Nippon Yakurigaku Zasshi) 119 (3), 167-174 (2002)).
이러한 모발에서의 변화로 인한, 모세혈관, 모낭, 및 표피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예방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두피의 곰팡이 감염을 억제하는 터비나핀(terbinafine) 또는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과 같은 경구용 약을 복용하거나, 황화 셀레늄(selenium sulfide) 또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이 함유된 샴푸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원형탈모증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안트랄린 크림(anthralin cream), 미녹시딜(minoxidil)등의 치료제가 있으나 자극이나 호르몬의 이상 등 다양한 부작용이 존재 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모근을 강화시키며 성장을 촉진하여 발모를 촉진시키며, 다른 화학 첨가제에 의한 자극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천연 제제는 실질적으로 없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치유력이 가장 높은 식물이라 할 수 있으며, 주요 성분은 아글리콘(aglycone) 비율에 따라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디올))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트리올))로 분류되는 적어도 13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사포닌), 파낙시놀(panaxynol)등의 증류오일, 유기산 및 에스테르, 스테롤, 질소화합물, 엽산 등의 비타민, 효소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중추신경조정 외에 매우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n Acad Med Singapore 2000 Jan;29(1):42-6, British HerbalCompendium 1992 vol 1. 115-118, Owen R.T. 1981. Drugs of Today, 8:343-35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709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자연의 여러 가지 천연물질들 중에서 진피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 대한 증식효과에 유효한 물질을 검색한 결과 인삼, 측백엽, 상백피, 구절초, 구기자, 석창포, 창이자, 감초, 박하 추출물이 이러한 효능이 지니고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의 경우나 인삼자체의 효능만으로 특성을 살리는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인삼 한뿌리에 진세노사이드 농도는 단 5%에 불과하고 그 중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메이져 진세노사이드는 5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산삼 및 배양근, 산양산삼의 유효 사포닌은 인삼 대비 수배에서 수십배에 이르는 사포닌 및 조사포닌의 함유와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88829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산삼은 깊은 산중에서 자생하는 야생인삼으로 천종, 지종, 인종, 장뇌로 분류된다. 천종, 지종, 인종은 야생의 인삼으로 조류가 종자를 먹고 배설하여 자연적으로 배양되며, 장뇌삼은 산삼종자를 산속에 뿌려 야생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한 것으로, 주로 그늘지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산삼은 약효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가이면서 희귀성 때문에 국내에서 재배 인삼과는 달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거의 없었다. 최근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파일럿 플랜트 시설에서 대량의 산삼 배양근이 생산되고 있으며 산삼 배양근을 식품 및 제약 산업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산삼의 효능을 열거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산삼 배양근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산삼의 효능을 추측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통상의 산삼 배양근의 생산과정은 천연산삼으로부터 조직을 분리하여 세포괴(callus)를 유도한 다음, 세포괴에서 뿌리가 자라나도록 부정 근을 유도하고, 뿌리 중에서 건실한 것을 선별하여 다양한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45일가량 배양하여 수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된 산삼 배양근은 천연 산삼과 성분에서 매우 유사하다. 대체로 인삼보다 사포닌 함량이 높고 인삼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약리성분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지금까지 산삼의 배양조건과 방법 등의 생산공정과 공정에 따른 성분변화, 효능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산삼 배양근의 알코올 발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압출성형공정을 통한 2차 가공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 없다. 또한, 산삼 배양근의 경우 미삼과 같이 작은 잔뿌리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홍삼가공공정인 증자, 숙성, 건조를 이용하여 홍삼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압출성형공정은 혼합, 분쇄, 가열, 성형, 건조와 같은 단위조작이 단시간에 일어나므로 다른 열처리 가공공정과 비교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정이다. 압출성형공정은 원료투입속도, 수분함량, 스크루 회전속도, 사출구의 구조, 스크루 배열에 따라 목적하는 제품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압출성형공정은 고분자 플라스틱, 식품, 사료, 생물 산업, 의약품 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압출성형은 전분의 수화, 팽윤, 호화, 무정형화 및 덱스트린화, 단백질의 변성, 분자간 결합 및 조직화, 효소의 불활성화, 미생물의 사멸 및 살균, 독성물질의 파괴, 냄새의 제거, 조직 팽창, 밀도조절 및 갈색화 반응 등이 단시간에 일어난다.
인삼의 압출성형에 대한 연구는 수삼의 홍삼화를 위한 건조공정의 연구, 홍삼화에 따른 압출성형 공정변수의 영향과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가공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인삼제품의 성분비교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압출성형 과정 중 발생하는 고온, 고압, 고전단력에 의해 수용성 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져 용해도가 증가한다. 상기 개시된 특허의 발명자들은 압출성형공정을 적용하여 사출구 온도 130℃와 수분함량 15%, 스크루 회전속도 250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의 추출수율은 원료 백삼과 비교하여 추출수율이 약 2배정도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압출성형공정은 고온, 고압에서의 가공공정이며 스크루 회전에 의한 전단력이 원료에 작용하여 세포벽의 파괴와 함께 전분의 호화가 일어나 추출속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지만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산삼 배양근을 홍삼화하기 위하여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침출특성과 같은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상기 개시된 특허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산삼 배양근을 압출성형하여 홍삼화함으로써 부가가치를 향상시킨 새로운 발효소재 또는 식품소재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산삼과 홍산삼을 및 기타 재료를 종래와는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된 재료를 미스트 타입으로 사용한 결과, 종래에 비해 탈모 및 발모효과가 뛰어나며, 피부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삼과 홍산삼 및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종래와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종래에 탈모 및 발모효과가 뛰어나며, 피부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된 엑기스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의 추출방법은
추출기에 약 4000cc의 청수를 붓고, 홍산삼 1.5g~3g을 투여하여 30분간 약재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불리는 단계;
20분간의 예열 후 청수가 100 ℃ 이상 되면, 생약중 감초5g, 맥문동 5g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하여 3분간 전탕하는 단계; 및
추출기에 동결건조된 산삼배양근 15~30g을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 후 15분간 전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탕된 상부의 추출액만 이용하도록 상기 추출기내의 추출액을 자동 이송방식으로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
이동 후 100℃ 이상에서 5분간 멸균시키는 단계;
이후 내열성이 강한 파우치에 약 50ml단위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및 홍산삼을 함유한 엑기스에 의하면, 홍산삼 및 산삼 기타 재료(맥문동, 감초등)가 혼합되어 엑기스 형태로 얻어진 재료를 파우치 밀봉후 이후 칼라가 함유된 용기에 담아 보관하고, 이 보관된 엑기스를 사용시에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해지고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데 있다.
또한 추출된 엑기스는 추출기 상부의 추출액만을 사용하였으므로 추출물의 농도가 높으면서도 순도가 맑아 피부에 불쾌감 또는 불필요한 향과 자극을 주지 않고 양질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스트 타입의 엑기스의 사용시 효과를 살펴보면, 한방병원내에서 조제 한의약품으로 사용시 반응 및 효과를 보면, 여드름의 경우 수시간에서 1~2일 경과후 효과가 있고, 소양증-수분에서 수십분이내 소양증 감소 및 소멸되며, 피부의 미용효과로서, 사용후 수일내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가 있고, 발모의 경우 2~3주후 발모 및 육모진행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타입으로 이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산삼 진세노사이드 미스트를 위한 제조방법
<원료 및 재료>
산삼배양근- 동결건조된 건채(수율 10%내외)
홍산삼- 장뇌삼을 3증 3폭하여 홍삼화한 산삼
감초, 당귀, 기타 생약.
<추출방식>
추출기는 내부가 옹기 또는 유리로 제작된 무압력 형식의 한약 또는 생약 추출기. 또는 내부가 유리로 제작된 순환식의 무압력 한약 추출기를 사용한다.
압력식을 사용할 경우 최종 성형사출시 압착으로 인한 불순물이 다량 포함된다. 또한, 압력식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생약투여가 불가능하다. 투여시간을 차별화하는 이유는 약재에 따라 경도 및 유효성분의 추출시간과 농도가 달라 유효적으로 추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금속용기에 의한 화학적 변성 방지를 위함이다.
한편, 무 압력의 경우 약재의 숙(찌는방식)의 방식이고 순환 무압력의 경우 전(다리는 방식)의 방식으로 유효성분을 고르게 추출할 수 있다.
<산삼 진세노사이드 추출방식>
먼저, 상기 추출기(용량 6L)에 4000cc의 청수를 붓고 홍산삼 1.5g~3g을 투여하여 30분간 약재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불린다.
이후 20분간의 예열 후 청수가 100℃가 넘어가면 생약중 감초5g, 맥문동5g 등을 베보자기에 싸서(전탕중 약재의 분리 및 이물질 박리방지)투여하여 전탕한다.
이후, 30분 전탕후 추출기의 뚜껑을 열고 산삼배양근 동결건조 15~30g를 역시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후 15분간 전탕한다.
<동결건조 사용이유>
만약 열풍건조된 산삼배양근 또는 생체, 일반 수분 함유가 높은 장뇌삼을 사용시 추출 후 산삼특유의 향이 강하고 점도 증가로 피부의 점성이 강해지므로 상쾌한 느낌이 감소된다.
제조시 증숙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한 산삼고유의 사포닌이 변화되어 RG1, Rb1등의 성분이 감소한다.
동결건조의 경우 가공시 산삼배양근의 고유 형태와 성분의 변화없이 수분만 제거 되므로 (수율10%) 산삼고유의 세포재생 진세노사이드 RE,RG2등의 변성을 억제할 수 있다.
전탕시간이 15분이 경과 하면 동결건조된 산삼의 스폰지 조직이 와해되면서 사포닌의 화학적 변화를 유발시킬수 있다.
모두 전탕후 고유의 한약 추출방식이 아닌 전탕된 약재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전탕된 상부의 추출액만 사용한다.
만일 압력을 가하게 되면 조직이 연화된 약재의 이물질이 베보자기 조직으로 밀려 나와 추출물의 순도를 약화시킨다.
추출물을 모터를 구동한 수압형식의 자동 이동 방식으로 스텐딩 파우치 포장기로 이동시킨다.
이동후 100℃ 이상에서 5분간 멸균후 내열성이 강한 파우치에 약 50ml단위로 포장한다.
만약 스프레이 용기에 직접 봉입시 열로 인한 용기의 변성, 또는 융해로 화학물질이 혼합되므로 사용을 금한다.
파우치 밀봉 후 최소 12시간 냉각 후 용기에 담는다.
<용기에 밀봉방법>
꼭 칼라가 함유된 유리재질의 용기(25~50mm)를 사용한다.
직사광선으로 인한 변성을 방지한다.
25mm의 용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1일 사용량이 20mm가 권장되고, 완전 무방부제 첨가로 시간경과에 따른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파우치의 밀봉도 50mm에 국한함은 개봉 후 변성과 부패방지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사용방법>
먼저, 유리용기 25mm에 봉입한 추출물을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1일 수회~십여회 이상 수시로 원하는 부위에 20~30cm 거리에서 흐르지 않을 정도로 분사한다 (1일 사용량 20mm 이상).
분사후 1분 이내에 증발하므로 손이나 수지의 접촉없이 분사후 자연건조 시킨다.
두피 분사시- 적당한 모발을 소유한자의 경우 두피 분사시 추출액이 두피까지 도달하지 않으므로 분사각도가 적고 사출압이 강한 스프레이를 선택하고, 탈모의 진행이 심하여 두피가 현저히 노출된자의 경우 분사각도가 넓고 고운 입자의 스프레이 분사 캡을 사용한다.
피부분사시 역시 고운 입자의 분무량이 풍부하고 분사각이 넓은 스프레이 캡을 사용한다.
<상기 추출방식의 특징과 사용방식의 특징>
용기의 소형화로 휴대가 간편하다.
분사하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다.
무방부제의 사용으로 피부 친화적이며 화학성분이 0%에 가깝다.
리필용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향(ex.아로마,향수,스킨등)을 첨가하여 본인의 취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용기의 재사용으로 경제적이며 가격을 대중화시킬 수 있다.
산삼 고유의 고농도 진세노사이드 함유로 (유효성분) 임상적 효과가 신속히 나타난다(추출액 3000cc 당 배양근 15g, 홍산삼 3g 사용 추출).
<한방병원내의 조제의약품으로 사용시 반응 및 효과>
여드름의 경우 수시간에서 1~2일 경과후 효과가 있다.
소양증-수분에서 수십분이내 소양증 감소 및 소멸효과가 있다.
피부의 미용효과 -수일내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가 있다.
발모의 경우 2~3주후 발모 및 육모진행 효과가 있다.
<적응증>
상기 엑기스는 아래 열거된 증상에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용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먼저, 피부염 및 여드름에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모낭충의 사멸로 인한 피부모공의 축소에 효과가 있다.
지루성 피부의 중성화에 효과가 있고, 또한, 건성 피부의 중성화에 효과가 있으며, 주름개선 및 기미완화에 효과가 있다. 또한 두피염 및 두피모낭충 제거로 지루화 방지에 효과가 있고, 모근의 영양공급에 효과가 있고, 지루방지 및 영양공급으로 발모촉진에 효과가 있으며, 발모 이후의 육모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및 홍산삼 엑기스의 조성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홍산삼, 산삼, 감초, 맥문동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청수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또는 피부개선제용 조성물이다. 청수(혹은 증류수)의 용량은 본 발명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나, 추출기의 용량에 80% 수준으로 주입된다.
상기 홍산삼은 생약제 추출물의 추출에 사용되는 생약재 전체 중량에 6%이고, 감초, 맥문동은 각각19%, 동결 건조 산삼은 56%이다. 기타 발모에 효과적인 생약은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발모효과가 보고된 약제의 가감으로 추출해본 결과 약재들 특유의 향과 점성으로 미스트타입의 분사형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미스트로서 갖추어야할 상쾌함과 점도로 인해 분무형으로 수시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가장 무색 무취의 약재를 선별하여 본 조성물을 구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삼 및 홍산삼 엑기스 미스트의 특징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발모 및 탈모예방 유사 상품이 크림, 내복 ,샴푸 타입인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산삼(배양근, 장뇌삼) 추출액을 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작된 제품은 전세계에 최초의 제품이라는 데 특징이 있다.
소형 용기에 미스트 타입으로 항상 본인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므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두피의 개선 및 발모, 탈모 예방 이외에도 피부질환 및 피부미용의 개선 효과가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추출액의 특징이 기타 산삼 배양근 첨가제품보다 월등히 많은 비율(90%이상)과 양을 사용하고 또한 고농도 라는 점과, 이로인해, 치료 및 개선 효과가 신속하고 다양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기타 생약 및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산삼을 위주로 추출하여 향후 기타 원료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화학 성분의 방부제 무 첨가로 피부 및 두피등 인체 친화적이라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리필용으로 제작되어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적이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향을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핸드 메이드의 즐거움을 선사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Claims (5)

  1. 추출기에 4000cc의 청수를 붓고, 홍산삼 1.5g~3g을 투여하여 30분간 약재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불리는 단계;
    20분간의 예열 후 청수가 100℃ 이상되면, 생약중 감초5g, 맥문동 5g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하여 3분간 전탕하는 단계; 및
    추출기에 동결건조된 산삼배양근 15~30g을 베보자기에 싸서 투여후 15분간 전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의 추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탕된 상부의 추출액만 이용하도록 상기 추출기내의 추출액을 자동 이송방식으로 포장기로 이송하는 단계;
    이동 후 100 ℃에서 5분간 멸균시키는 단계;
    이후 내열성이 강한 파우치에 50ml단위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추출물의 추출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파우치 밀봉 후 최소 12시간 냉각 후 용기에 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추출물의 추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칼라가 함유된 유리재질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추출물의 추출방법.
  5. 상기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엑기스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1일 수회~십여회 두피에 흐르지 않을 정도로 분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기스의 용도.
KR1020110067181A 2011-07-07 2011-07-07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KR20130005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81A KR20130005654A (ko) 2011-07-07 2011-07-07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81A KR20130005654A (ko) 2011-07-07 2011-07-07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54A true KR20130005654A (ko) 2013-01-16

Family

ID=4783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181A KR20130005654A (ko) 2011-07-07 2011-07-07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3799B2 (en) 2015-10-15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se and material layer details of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3799B2 (en) 2015-10-15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se and material layer details of the same
USRE49451E1 (en) 2015-10-15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se and material layer details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101871343B1 (ko) 탈모 방지 비누의 제조방법
CN103340817B (zh) 一种葛根美白面膜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CN103750328A (zh) 一种冷冻干燥复方浆果超微粉及其生产方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6977233B2 (ja) 頭部用組成物
CN107847401A (zh) 防脱发及生发组合物
CN108096091A (zh) 含冬虫夏草提取物的防脱发生发乌发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455197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296279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31452B (zh) 一种生发乌发的生物活性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464961B (zh) 一种天然植物洗发液及其制备方法
TW201615203A (zh) 用於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包含傘形花序蒿萃取之組合物
KR20130005654A (ko) 미스트 타입을 사용하기 위한 산삼 및 홍산삼이 포함된 엑기스, 그 추출방법 및 그 용도
TW201618803A (zh) 用於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包含高山黃芩萃取之組合物
KR20090049390A (ko) 탈모예방 및 발모성장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5044788A (ja) ショウブ抽出液を含む表皮幹細胞性維持剤
CN106860188A (zh) 美容润肤纳米乳霜
KR101941691B1 (ko)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359906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688636A (zh) 一种大鲵防冻裂化妆品
KR20200093833A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강화 조성물
JP2004091411A (ja) 育毛素材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