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39U - 기름받이 접시 - Google Patents

기름받이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39U
KR20130005639U KR2020120002151U KR20120002151U KR20130005639U KR 20130005639 U KR20130005639 U KR 20130005639U KR 2020120002151 U KR2020120002151 U KR 2020120002151U KR 20120002151 U KR20120002151 U KR 20120002151U KR 20130005639 U KR20130005639 U KR 20130005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ood
dish
bottom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016Y1 (ko
Inventor
민상규
Original Assignee
민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상규 filed Critical 민상규
Priority to KR2020120002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1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기름진 음식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하기 위한 기름받이 접시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부가 형성된 접시본체, 및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바닥부 상에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는 실질적으로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정의하고, 음식물로부터의 기름은 바닥부로 직접 떨어지거나, 기름제거돌기 및 바닥부를 따라 외곽부로 흘러내린다.

Description

기름받이 접시{PLATE FOR RECEIVING OIL}
본 고안은 접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음식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할 수 있는 기름받이 접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시라 함은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을 의미하며, 각종 음식을 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 접시는 단순히 평평한 안바닥 상에 음식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음식물과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삼겹살 및 생선 등과 같이 기름이 배출되는 음식물을 접시에 담게 되면,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접시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고인 기름이 다시 음식물에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음식물을 담는 접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식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는 접시에 대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음식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할 수 있는 기름받이 접시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은 음식물이 담아질 수 있는 지지면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며,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음식물과 분리할 수 있는 기름받이 접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름진 음식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하기 위한 기름받이 접시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부가 형성된 접시본체, 및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바닥부 상에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는 실질적으로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정의하고, 음식물로부터의 기름은 바닥부로 직접 떨어지거나, 기름제거돌기 및 바닥부를 따라 외곽부로 흘러내린다.
접시본체의 크기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시본체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그릇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시본체가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닥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부는 볼록한 구면(spherical surface), 곡면, 원추면 및 각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부가 전술한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바닥부가 구면 및 경사면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름제거돌기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접시본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는 상호 협조적으로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지지면을 형성하는 바, 여기서, 지지면이라 함은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어, 기름과 분리된 상태로 음식물이 담아질 수 있는 위치 또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의 높이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는 상호 협조적으로 바닥부와 이격된 평평한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가 평평한 지지면을 제공한다 함은,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가 점진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되,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의 상단은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가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바닥부와 이격된 오목한 지지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시본체에는 바닥부의 최외곽에 인접하게 외곽돌기가 제공될 수 있ㅇ으며, 외곽돌기는 지지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접시본체에는 바닥부를 타고 흘러내린 기름이 수용되기 위한 기름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시본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기름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름수용홈이 접시본체의 가장자리 일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음식물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를 이용하여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지지면을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담아질 수 있는 지지면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며,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음식물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볼록한 구면 방식의 바닥부 구조에서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가질 경우, 접시 가장자리 부위에 기름이 고이게 되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기름제거돌기 역시 기름에 잠기게 되어 지지면을 제공할 수 없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가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접시 가장자리 부위에 음식물이 기름과 분리된 상태로 담아질 수 있는 지지면 영역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접시본체의 가장자리 영역에 기름이 일부 고이더라도 음식물은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음식물이 접시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을 담기 위한 본연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음식물에 재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의 제 맛을 살리기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름받이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름받이 접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기름받이 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름받이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름받이 접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기름받이 접시(100)는 기름이 배출되는 음식물을 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시본체(110) 및 기름제거돌기(1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음식물이라 함은 기름받이 접시(100)에 담아질 수 있는 대상물을 의미하며, 음식물의 종류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기름받이 접시(100)에는 삼겹살 및 생선 등과 같이 기름이 배출되는 음식물이 담아질 수 있다.
상기 접시본체(110)는 낮은 운두를 갖는 납작한 그릇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시본체(110)의 크기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시본체(11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그릇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접시본체가 타원형 또는 다각형 및 여타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접시본체(110)는 통상의 유리, 도자기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시본체(110)의 재질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접시본체(110)의 안쪽에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12)의 경사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닥부(112)는 볼록한 구면(spherical surface), 곡면, 원추면 및 각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닥부(112)가 구면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름제거돌기(12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바닥부(112) 상에 제공된다. 상기 기름제거돌기(120)는 접시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접시본체와 기름제거돌기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접시본체에 기름제거돌기를 부착 또는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기름제거돌기(120)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접시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는 접시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는 상호 협조적으로 바닥부(112)로부터 이격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면이라 함은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어, 기름과 분리된 상태로 음식물이 담아질 수 있는 위치 또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는 상호 협조적으로 바닥부(112)와 이격된 평평한 지지면(1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가 평평한 지지면을 제공한다 함은,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가 점진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되,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의 상단은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시본체(110)에는 바닥부(112)의 최외곽에 인접하게 외곽돌기(1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곽돌기(122)는 전술한 지지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전술한 기름제거돌기(120)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기름제거돌기(120)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곽돌기(122)는 기름제거돌기(120)에 의해 정의되는 지지면의 최외곽에 제공되어, 지지면 영역의 외측으로 음식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접시본체(110)에는 바닥부(112)를 타고 흘러내린 기름이 수용되기 위한 기름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시본체(11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기름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름수용홈이 접시본체의 가장자리 일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름제거돌기(120)에 의해 정의되는 지지면에 음식물이 담아질 경우, 음식물로부터 배출된 기름은 바닥부(112)에 직접 떨어지거나, 기름제거돌기(120)를 타고 바닥부(112)로 흘러내릴 수 있으며, 기름제거돌기(120)를 타고 흘러내린 기름은 바닥부(112)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려 접시본체(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기름수용홈(114)에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기름제거돌기(120)가 접시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음식물이 기름과 분리된 상태로 담아질 수 있는 지지면 영역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접시본체(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기름이 일부 고이더라도 음식물은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시본체(110)의 둘레 내면(운두 내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이격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돌기(116)는 음식물이 접시본체(110)의 둘레 내면에 밀착되게 담아질 시 음식물과 내면 사이에 기름이 흘러내려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기름받이 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접시본체의 바닥부가 볼록한 구면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부가 평면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름제거 접시(100')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부(112')가 형성된 접시본체(110'), 및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바닥부(112') 상에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를 포함하되, 바닥부(112')는 접시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경사면(112a',11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닥부(112')가 대략 사각 평면 형태를 갖는 제1경사면(112a') 및 제2경사면(112b')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부가 3개 이상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기름제거돌기가 평평한 지지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기름제거돌기가 여타 다른 형태의 지지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름제거 접시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부(112)가 형성된 접시본체(110), 및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바닥부(112) 상에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120")는 상호 협조적으로 바닥부(112)와 이격된 오목한 지지면(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접시 110 : 접시본체
112 : 바닥부 114 : 기름수용홈
120 : 기름제거돌기 122 : 외곽돌기

Claims (7)

  1. 기름진 음식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하기 위한 기름받이 접시에 있어서,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부가 형성된 접시본체; 및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 상에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정의하고, 상기 음식물로부터의 기름은 상기 바닥부로 직접 떨어지거나, 상기 기름제거돌기 및 상기 바닥부를 따라 상기 외곽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의 높이는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복수개의 기름제거돌기는 평평하거나 오목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최외곽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외곽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곽돌기는 상기 지지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본체에는 상기 바닥부를 타고 흘러내린 기름이 수용되기 위한 기름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볼록한 구면(spherical surface), 곡면, 원추면 및 각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외곽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본체의 둘레 내면에는 복수개의 이격돌기가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받이 접시.
KR2020120002151U 2012-03-19 2012-03-19 기름받이 접시 KR200471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51U KR200471016Y1 (ko) 2012-03-19 2012-03-19 기름받이 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51U KR200471016Y1 (ko) 2012-03-19 2012-03-19 기름받이 접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9U true KR20130005639U (ko) 2013-09-27
KR200471016Y1 KR200471016Y1 (ko) 2014-01-24

Family

ID=5141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51U KR200471016Y1 (ko) 2012-03-19 2012-03-19 기름받이 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06Y1 (ko) * 2022-04-18 2023-01-27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2157A (zh) * 2015-03-03 2015-05-20 史清元 一种食物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372U (ko) * 1981-06-03 1982-12-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06Y1 (ko) * 2022-04-18 2023-01-27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16Y1 (ko) 201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81651A (en) Tray
US4291616A (en) Roaster tray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US8474610B1 (en) Produce container with insert
US9301643B2 (en) Lid for a cooking vessel
BR102017015174B1 (pt) Recipiente de filtro
US8690133B1 (en) Perforated cutting board and tray
US1948778A (en) Service device
KR200471016Y1 (ko) 기름받이 접시
US6439110B1 (en) Frying pan
US11649103B2 (en) Tray with removable insert
CN102961005A (zh) 中式汤匙
US2755644A (en) Dripless cup and saucer
EP2735256A2 (en) Standard bottle drying stand
US9220369B1 (en) Deep fryer apparatus
US20180110244A1 (en) Egg poacher
US20170007073A1 (en) Bbq grill insert and bbq grill assembly using the same
JP4494507B1 (ja) 調理器具用蓋
JP2011000190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378076B1 (ko) 구이판
KR20120000142U (ko) 기름 접시
JP2019196231A (ja) トレイ容器
KR200414163Y1 (ko)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KR200496406Y1 (ko)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RU2380998C1 (ru) Смен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