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299A - 사용자 장비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299A
KR20130005299A KR1020127029004A KR20127029004A KR20130005299A KR 20130005299 A KR20130005299 A KR 20130005299A KR 1020127029004 A KR1020127029004 A KR 1020127029004A KR 20127029004 A KR20127029004 A KR 20127029004A KR 20130005299 A KR20130005299 A KR 2013000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carriers
supported
band
nod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646B1 (ko
Inventor
단루 장
아지즈 골미흐
샤라드 디파크 삼브와니
희춘 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들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들이 제공되며, 여기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은,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방법은 또한, 각각의 대역에 대해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및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이 출원은 "UE CAPABILITY SIGNALING IN 4C-HSDPA"라는 제목으로 2010년 4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1/321,048호; 및 "UE CAPABILITY SIGNALING IN 4C-HSDPA"라는 제목으로 2010년 5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1/330,793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상기 언급된 출원들의 전부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물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 그리고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장비(UE)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 통신(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그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하여 지원되는 제3 세대(3G) 이동 전화 기술이다. UMTS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로서 지칭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대한 정의를 포함한다. 세계 무선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술들에 대한 계승자인 UMTS는 현재 광대역-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및 시분할-동기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air)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이동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이동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이동 통신들을 이용하는 사용자 경험을 진보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UMTS 기술들을 진보시키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된다. 예를 들어,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달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HSPA는 2개의 이동 전화 통신 프로토콜들,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의 융합(amalgamation)이며, 이는 이동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고속 데이터 전달을 위한 현존하는 WCDMA 프로토콜들의 성능을 확장시키고 향상시킨다. 듀얼-셀(DC) HSDPA로서 공지된 버전에서, UE는 최대 (up to) 2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검출할 수 있다. 4C-HSDPA에서, UE는 최대 4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최대 4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C-HSUPA에서, UE는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2개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가 다양한 캐리어들 및 대역들에 걸쳐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을 위한 UE의 능력들을 기지국에 시그널링하도록 허용하는 메커니즘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사용자 장비(UE)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나타낸다. 이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적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추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발명의 혁신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들과 관련되며, 여기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은,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 B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은, 각각의 대역에 대한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및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HSDPA를 위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함 ― ; 및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특정 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UE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HSDPA를 위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함 ― ; 및 UE에 의하여 지원될 캐리어들의 구성을 NodeB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HSPA에 따른 다수의 캐리어들 상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HSPA에 따른 다수의 캐리어들 상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들의 허용되는 조합을 NodeB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송신기는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및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세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서 수신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것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그리고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세트를 송신하를 것을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안테나; HSDPA를 위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안테나에 커플링되는 수신기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함 ― ; 및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특정 개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UE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안테나; HSDPA를 위하여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안테나에 커플링되는 송신기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함 ― ; 및 UE에 의하여 지원될 캐리어들의 구성을 NodeB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송신기는 UE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들의 허용되는 조합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송신기는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세트의 플래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 및 UE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들의 허용되는 조합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 및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세트의 플래그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며; 그리고 UE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들의 허용되는 조합을 시그널링하는 것; 및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세트의 플래그들을 시그널링하는 것을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안테나; 및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안테나를 통해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송신기는 UE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안테나; 및 사용자 장비(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들의 허용되는 조합을 안테나를 통해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송신기는 주파수 대역들 사이의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세트의 플래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이하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되는 피쳐들을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특정 예시적 양상들을 상세히 진술한다. 그러나 이들 양상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 만을 표시하며, 설명되는 양상들은 모든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진술된 개시물의 상기 언급된 피쳐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에서 간략히 요약된, 양상들에 대한 더 특정한 설명이 인용에 의해 취해질 수 있으며, 양상들 중 몇몇은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다. 그러나 설명이 다른 동등하게 효과적인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물의 단지 특정한 통상적 양상들만을 예시하고,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다.
도 1a는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 따른 단일 대역 지원을 위한 UE 시그널링을 수반하는 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b는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 따른 듀얼 대역 지원을 위한 UE 시그널링을 수반하는 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c는 개시물의 일 양상에 따른 NodeB를 수반하는 사용자 장비(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d는 개시물의 일 양상에 따른 UE를 수반하는 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진술된 시스템에 대한 무선 노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진술된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UE의 동작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UE 능력들 시그널링 접근법들이 구현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된 컴포넌트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통신 네트워크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진술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UE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진술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송신기 구조 및/또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들과 함께 하기에 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실시예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 "예시적인"은 "예, 사례, 또는 예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선호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실행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몇몇 사례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신규사항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4C-HSDPA에서, UE는 하나 또는 두개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3 또는 4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상의 데이터 수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들을 적절히 구성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는 UE의 대역폭 능력들에 관한 특정 정보에 액세스해야 한다.
먼저, 네트워크는 2개의 대역들에 걸친 특정 UE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캐리어들의 전체 수를 알아야 한다. 캐리어들의 전체 수는 수 개의 인자들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UE 기저대 프로세싱 능력은 지원되는 캐리어들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UE 능력들 시그널링의 일 양상에서, UE는 UE가 속하는 UE 카테고리의 송신을 통해 UE의 능력을 네트워크에 통지할 수 있다.
둘째로, 네트워크는 각각의 대역 상의 UE 대역폭 능력을 알아야 하며, 상기 UE 대역폭 능력은 또한 단일-대역 동작들을 위해 각각의 대역에서 UE가 지원할 수 있는 캐리어들의 최대 수이다. UE가 그러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시그널링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커니즘들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다.
세번째로, 네트워크는 UE가 듀얼-대역 동작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각각의 대역의 캐리어들의 개수를 알아야 한다. 그러한 조합들 모두가 테스트되었을 수는 없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대역폭 능력을 갖는 UE가 그러한 대역폭에 걸쳐 동시에 모든 가능한 캐리어 조합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캐리어들을 지원하고 각각의 대역에서 20 MHz 대역폭 능력을 갖는 UE는 (1,3), (3,1), (2,2), (1,2), (2,1) 등의 캐리어 조합들로 네트워크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정렬된 쌍의 첫번째 수는 UE가 앵커 대역(anchor band)에 대해 지원할 수 있는 캐리어들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반면, 각각의 정렬된 쌍의 두번째 수는 UE가 넌-앵커 또는 "2차" 대역 상에서 지원할 수 있는 캐리어들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그러한 캐리어 조합들의 서브세트만이 UE에 의하여 테스트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UE는 실제 시스템 동작 동안에 그것이 지원할 수 있는 캐리어 조합들의 선호되는 서브세트를 네트워크로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이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은 이하에 추가로 설명된다.
네번째로, UE가 일반적으로 DC-HSUPA를 지원할 수 있을 때, 네트워크는 여전히 UE가 대역들에 걸쳐 각각의 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 조합에 대하여 DC-HSUPA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 필요가 있다.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상에서 구성되는 더 많은 캐리어들과 함께 업링크 대 다운링크 주파수 분리는 감소되고, 따라서 DC-HSUPA를 지원하는 UE의 능력은 다운링크 상에서 구성되는 캐리어들의 수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UE는 (2,1) 다운링크 캐리어 조합을 갖는 제1 대역의 DC-HSUPA를 지원할 수 있으나, 동일한 UE가 (2,2) 조합을 갖는 DC-HSUPA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이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멀티-캐리어 HSPA가 Rel.8에서 시작되는 DC-HSDPA로서 도입된다. Rel.9에서, DC-HSDPA는 MIMO, DB-DC-(dual-band dual-carrier) HSDPA 및 DC-HSUPA를 통합하기 위하여 확장된다. UE가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캐리어들의 수는 Rel.8 및 Rel.9에서 이용가능한 메커니즘들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바와 같이 항상 UE 카테고리들에 의하여 표시된다.
UE는 Rel.99 이후로 명시된 정보 요소(IE) "UE radio access capability extension"에서 그것이 지원하는 모든 대역들을 시그널링한다. 이 유지력(supportability)은 단일-대역 동작에 기반한다. Rel.8에서, UE는 그것이 지원하는 임의의 대역에서 듀얼-캐리어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지원되는 대역 조합은 IE "UE radio access capability"에서 시그널링된다. 25.101 Rel.9의 하기의 테이블은 여태까지 DB-DC-HSDPA에서 허용되는 모든 대역 조합들을 리스팅한다.
DB-DC-HSDPA 구성 UL 대역 DL 대역들
1 Ⅰ 또는 Ⅷ Ⅰ 및 Ⅷ
2 Ⅱ 또는 Ⅳ Ⅱ 및 Ⅳ
3 Ⅰ 또는 Ⅴ Ⅰ 및 Ⅴ
표 1 - DB-DC-HSDPA 구성들
여기서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 동작 대역들은 Rel. 9로부터 하기의 테이블에 의하여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전체 2 초과의 캐리어들이 UE에 의하여 지원가능할 때, 네트워크는 구성되는 모든 캐리어들이 그 대역에 있다면 지원되는 각각의 그리고 모든 대역에 대하여 UE가 지원하는 캐리어들의 수에 대한 특정 정보를 필요로 한다. 2개의 인접한, 3개의 인접한 또는 4개의 인접한 캐리어들과 같은 단일 대역의 다수의 캐리어 구성들에 대해, 다음의 예시적 시그널링 메커니즘이 채택될 수 있다. 먼저, UMTS의 대역-당 지원을 위한 현존하는 RRC 시그널링이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다. 두번째로,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각각의 대역에 대해, UE는 부가적으로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고, DC-HSUPA가 UE에 의하여 추가로 지원될 최대 대역폭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1a는 블록(1102)에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MTS의 대역-당 지원이 시그널링되는 단일 대역의 UE 능력들 시그널링을 위한 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1100)를 예시한다.
블록(1104)에서,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이 NodeB로 시그널링된다. 일 예로, 제1 세트의 비트들은 4개의 값들, 예를 들어, 5, 10, 15 또는 20 MHz 중 하나를 명시하는 2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트의 비트들에 의하여 표시되는 대역폭은 단일 대역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1106)에서, UE가 DC-HSUPA를 추가로 수용할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이 NodeB로 시그널링된다. 예를 계속하여, 제2 세트의 비트들은 3개의 값들, 예를 들어, 10, 15 또는 20 MHz 중 하나를 명시하는 2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트의 비트들에 의하여 표시되는 대역폭은 명시되는 대역폭이 다운링크 상에서 구성될 때 UE가 DC-HSUPA를 지원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그것이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대역 A에서 4개의 인접 캐리어들의 최대 채널 대역폭(20MHz)을 지원하지만, 단지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그 대역에서 다운링크 구성된 캐리어들의 최대 15 MHz를 갖는 DC-HSUPA를 지원함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예에서, UE가 다운링크 상에서 4개의 인접 캐리어들로 구성된다면, 이것은 듀얼 업링크들로 구성될 수 없지만, 만약 UE가 다운링크 상에서 2 또는 3개의 인접 캐리어들로 구성된다면, 이것은 DC-HSUPA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한 구분(differentiation)에 대한 필요성은 특정 대역들에서 제2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의 간섭으로 인한 것임이 인지될 것이다.
듀얼-대역 동작을 위해, 2개의 대역들에 구성되는 최대 3개 또는 4개 캐리어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다음의 예시적인 시그널링 메커니즘이 채택될 수 있다.
먼저, 현존하는 Rel-9 대역 조합 테이블(위의 테이블 1 참조)이 계속해서 시그널링을 위해 채택될 수 있다. 테이블은 단지 그것이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관점에서 상이할 때에만 새로운 엔트리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대역에서 지원되는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를 추가로 이 테이블에서 구분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대역 조합 테이블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하여 확장 테이블이 도입될 수 있다. 이 확장 테이블은 대역들에 걸친 다수의 특정 다운링크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지 여부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제1 세트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대역들에 걸친 다수의 특정 다운링크 캐리어 할당들 각각에 대하여 UE가 DC-HSUPA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제2 세트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블록(1202)에서,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들의 허용되는 조합이 NodeB로 시그널링되는, 듀얼 대역에서 UE 능력들 시그널링을 위한 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1200)를 예시한다.
블록(1204)에서,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이 시그널링된다. 일 예에서, 확장 테이블의 제1 세트의 비트들은 하기의 특정 다운링크 캐리어 할당들 각각의 지원을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6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1,1), (2,1), (1,2), (3,1), (1,3), 및 (2,2). 예를 들어, 111000의 6-비트 시퀀스는 캐리어 할당들 (1,1), (2,1), (1,2)가 지원되지만, 캐리어 할당들 (3,1), (1,3) 및 (2,2)는 지원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정보가 이전에 존재하는 단일-대역 시그널링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음에 따라, 할당들 (3,0), (0,3), (4,0), (0,4)의 지원은 확장 테이블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없음을 유념하라.
블록(1206)에서,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 다수의 캐리어 할당들 각각에 대해 DC-HSUPA의 지원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이 시그널링된다. 이 예를 계속하여, DC-HSUPA 가능 UE에 대하여, 확장 테이블의 제2 세트의 비트들은 다음의 다운링크 캐리어 할당들 각각에 대하여 DC-HSUPA의 지원을 시그널링 하기 위해 6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2,1), (1,2), (3,1), (1,3) 및 (2,2). 하나의 비트가 2개의 대역들 각각에서 DC-HSUPA의 지원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을 것이므로, 그들 6개 비트들 중 2개가 (2,2) 캐리어 할당을 위해 예비되어야 함을 유념한다. 나머지 4개의 캐리어 할당들에 대해, 1 캐리어가 대역들 중 하나에서 지원되기 때문에, DC-HSUPA 지원이 자동적으로 다른 대역에 적용된다. 게다가, (1,3) 및 (3,1) 캐리어 할당들에 대해, DC-HSUPA의 지원은 3개의 캐리어들 중 임의의 인접한 2개가 DC-HSUPA에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E는 이것이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2개의 대역들에 대해 캐리어 조합(2,2)을 지원하지만, 단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다른 대역에서 구성된다면 단지 제1 대역에서 DC-HSUPA를 지원함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UE가 2개의 대역들 상의 (2,2)로 구성된다면, 이것은 듀얼 업링크들로 구성될 수 없으나, 이것이 2개의 대역들 상의 (2,1)로 구성된다면, 이것은 제1 대역에서 DC-HSUPA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그러한 구분에 대한 필요성은 특정 대역들의 제2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의 간섭으로 인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확장 테이블들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UE에 의한 DC-HSUPA 유지력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운반함이 인지될 것이다. 게다가, 피드백의 테이블 사이즈 또는 길이의 확장성(scalability)에는 문제가 없다.
대안적인 접근법에서, UE는 테이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대역 및 캐리어 조합들의 그것의 지원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특히, UE는 테이블 2에 도시되는 특정 "시나리오"의 그것의 지원을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나리오는 각각의 대역에서 지원되는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의 수와 함께, 대역 조합(즉, 대역 A 및 대역 B 대역 넘버들의 조합)을 명시한다. 특정 시나리오는 예를 들어,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시나리오
대역 A 대역 B
대역 넘버 DL 인접 캐리어들의 수 대역 넘버 DL 인접 캐리어들의 수
2 3 N/A N/A
3 3 1
5 2 1
8 2 2
9 2 1
11 2 2
12 2 1
13 1 2
표 2. UE에 의한 대안적인 시그널링
상기 테이블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도시되며, 가능한 시나리오들의 임의의 특정 리스트로 본 개시물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대안적인 대역 및 캐리어 조합들 및 지원가능한 캐리어들이 테이블 형태로 용이하게 캡슐화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진술되는 개시내용에 따라 대안적인 대역 및 캐리어 조합들 및 지원가능한 캐리어들에 시그널링을 위해 식별자들이 할당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상기 테이블의 "시나리오들"의 시그널링에 기반한 시그널링 메커니즘의 하나의 제한은 테이블에 대한 미래의 확장(expansion)들에 대해, NodeB로 UE가 시그널링해야 하는 엔트리들의 수뿐 아니라 각각의 새로운 대역 조합을 명시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엔트리들의 수가 신속하게 증대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4C-가능 UE에 대해, 잠재적으로 5개 입력들이 각각의 대역 조합에 대하여 필요하다: (2,1), (1,2), (3,1), (1,3) 및 (2,2). UE가 주어진 대역 조합에 대한 이들 캐리어 조합들 전부를 지원할 수 있다면, UE는 각각의 대역 조합에 대해 NodeB로 그것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완전히 전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5개의 개별적 코드워드들을 사용함으로써 5개 입력들을 개별적으로 시그널링해야 한다. 게다가, 그것의 캐리어 조합 능력들에 관하여 UE가 NodeB로 시그널링하도록 허용되는 엔트리들의 전체 수에 대한 상한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의 버전은 UE가 NodeB로 테이블의 최대 16개 입력들만을 시그널링할 수 있음을 명시할 수 있다. 따라서 UE가 그것의 능력들을 NodeB로 완전히 시그널링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간략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UE 능력들 시그널링의 일 양상에서, UE가 그것의 능력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시그널링해야 하는 개별 엔트리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암시된(implied) 유지력을 위한 특정 규칙들이 시그널링 메커니즘에 도입될 수 있다. 대역 조합 대역 A 및 대역 B에 대한 것과 같은, 예를 들어, 더 높은(예를 들어, (3, 1)) 캐리어 조합을 위한 UE에 의한 지원의 시그널링이 UE가 대역 A 및 대역 B의 더 낮은(예를 들어, (2, 1)) 캐리어 조합을 또한 지원함을 암시하기 위하여 취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모든 캐리어 조합이 NodeB로 개별적으로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UE에 의하여 사용되는 테이블은 발생할 적절한 시그널링을 위해 NodeB에 의하여 사용되는 테이블과 동기화되어야함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UE는 (3,1)의 그것의 지원을 시그널링하고, 그에 의해 또한 (2,1)의 그것의 지원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NodeB가 UE로부터 테이블의 상이한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NodeB는 (2, 1) 뿐 아니라 (3, 1)의 지원을 시그널링하려는 UE의 의도를 적절히 인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NodeB는 UE의 신호를 잘못 해석하거나 또는 UE의 신호를 전혀 인지하지 않을 수 있다.
UE 능력들 시그널링의 일 양상에서, UE 및 NodeB 테이블들이 동기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테이블이 확장될 때마다 순차적인 버전 넘버가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에, NodeB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서 테이블 버전 넘버로서 그것의 테이블 버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UE는 이 브로드캐스팅된 테이블 버전 넘버를 청취(linten to)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의하여 브로드캐스팅되는 테이블 버전 넘버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는 테이블의 네트워크 버전에서 또한 존재하는 그러한 엔트리들만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odeB에서 저장되는 테이블이 버전 넘버 1에 의하여 식별되고, 예를 들어, 20개 대역들에 대한 캐리어 조합들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반면에, UE는 25개 대역들에 대한 캐리어 조합들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버전 넘버 2에 의하여 식별되는 더 새로운 테이블 뿐 아니라, 테이블 버전 넘버 1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NodeB는 버전 넘버 1로서 그것의 테이블 버전을 브로드캐스팅한다. 이 브로드캐스트를 청취함으로써, UE는 브로드캐스팅 NodeB와 통신할 때 테이블 버전 넘버 2가 아니라 테이블 버전 넘버 1을 사용하는 것을 알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UE와 NodeB 테이블들 사이의 통신들은 동기화된다.
도 1c는 개시된 접근법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되는 NodeB에 대한 UE 능력들 시그널링 프로세스(1300)를 예시하며, 블록(1302)에서, NodeB는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수신한다.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제1 세트의 비트들은 UE가 제1 대역에 대한 제1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고, 제2 대역에 대한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함을 표시한다.
블록(1304)에서, NodeB는 제1 세트의 비트들로부터 UE가 제1 대역에 대하여 제3 다수의 캐리어들을 추가로 지원함을 암시한다. 제3 다수의 캐리어들의 수는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의 수 미만이다.
블록(1306)에서, NodeB는 제1 대역에 대하여 제3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도록 UE를 구성한다. 제3 다수의 캐리어들의 수는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의 수 미만이다.
블록(1308)에서, NodeB는 지원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 및 캐리어 조합에 제1 세트의 비트들을 할당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테이블의 버전을 표시하는 7버전 넘버를 UE로 송신한다.
도 1d는 개시물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되는 UE에 대한 UE 시그널링 프로세스(1400)를 예시하며, 블록(1402)에서, 방법은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제1 세트의 비트들은 UE가 제1 대역에 대한 제1 다수의 캐리어들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함을 표시한다.
블록(1404)에서, 방법은 지원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 및 캐리어 조합에 제1 세트의 비트들을 할당하기 위해 NodeB에 의하여 사용되는 테이블의 버전을 표시하는 버전 넘버를 NodeB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1406)에서, UE는 NodeB로부터 수신되는 버전 넘버에 의하여 명시되는 테이블의 버전에 따라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한다.
도 2는 본 개시물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200)를 예시한다. 장치(200)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원리들에 따라 동작하는 NodeB 또는 UE일 수 있다. 도 2에서, 장치(200)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TX) 및 수신(RX)하기 위해 안테나(230)에 커플링된다.
Node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200)는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장치(200)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명시된 개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UE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220)를 추가로 포함한다.
UE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200)는 HSDPA를 위해 UE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220)를 포함하고,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UE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한다. 장치(200)는 UE에 의하여 지원될 캐리어들의 구성을 NodeB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2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는 UMTS에 따라 동작하는 라디오 네트워크의 일 예가 도 3-6을 참조로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된다. NodeB들(110, 111, 114) 및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141-144)은 "라디오 네트워크", "RN", "액세스 네트워크(AN)"로 불리는 네트워크의 일부분들이다. 라디오 네트워크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일 수 있다.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는 UMTS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를 이루는, 그것이 포함하는 NodeB들(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RNC))에 대한 제어 장비 및 NodeB들(또는 기지국들)에 대한 공통의 용어이다. 이것은 실시간 회로 스위칭 및 IP-기반 패킷-스위칭 트래픽 타입들 양자 모두를 반송(carry)할 수 있는 3G 통신 네트워크이다. UTRAN은 사용자 장비(UE)(123-127)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UTRAN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와 UE(사용자 장비) 사이에 접속이 제공된다. 라디오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123-127) 사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UTRAN은 4개의 인터페이스들(Iu, Uu, Iub 및 Iur)에 의하여 다른 기능적 엔티티들로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접속된다. UTRAN은 Iu로 불리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GSM 코어 네트워크(121)에 부착된다. (도 3에 그 중 141, 142가 도시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141-144)(도 4에 도시됨)는 이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또한, RNC들(141-144)은 Iub로 라벨링되는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NodeB들로 불리는 기지국들의 세트를 관리한다. Iur 인터페이스는 2개의 RNC들(141 - 142)을 서로와 접속시킨다. UTRAN은 RNC들(141-144)이 Iur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상호접속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121)로부터 충분히(largely) 자율적이다. 도 3은 RNC, NodeB들, 및 Iu 및 Uu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Uu는 또한 외부적이고, NodeB들(110, 111, 114)을 UE(123-127)와 접속시키는 반면, Iub는 RNC(142-144)를 NodeB들(110, 111, 114)과 접속시키는 내부 인터페이스이다.
라디오 네트워크는 기업 인트라넷, 인터넷, 또는 상기 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외부의 부가적인 네트워크들에 추가로 접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123-127)와 그러한 외부 네트워크들 사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NodeB들(또는 기지국들 또는 무선 트랜시버 기지국들)(110, 111, 및 114)에 커플링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또는 기지국 제어기들(BSC))(141-144)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의 선택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NodeB들(110, 111, 114)은 대응하는 무선 접속부들(155, 167, 182, 192, 193, 194)을 통해 사용자 장비(또는 원격국들)(123-127)과 통신한다. 통신 채널은 NodeB(110, 111, 114)로부터 사용자 장비(UE)(123-127)로의 송신들을 위한 순방향 링크(FL)(또한 다운링크로서 공지됨) 및 UE(123-127)로부터 NodeB(110, 111, 114)로의 송신들을 위한 역방향 링크(RL)(또한 업링크로서 공지됨)를 포함한다. RNC들(141-14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odeB들을 위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141-144)은 이동 전화 교환국들(MSC)(151, 152)을 통해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148)에 커플링된다. 다른 예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141-144)은 패킷 데이터 서버 노드(PDSN)(미도시)를 통해 패킷 교환 네트워크(PSN)(미도시)에 커플링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141-144)과 패킷 데이터 서버 노드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은 임의의 개수의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비동기식 전송 모드(ATM) 프로토콜, Tl, El, 프레임 지연, 또는 다른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RNC는 다수의 역할들을 할 수 있다. 먼저, RNC는 NodeB를 사용하도록 시도하는 새로운 모바일(mobile)들 또는 서비스들의 용인(admission)을 제어할 수 있다. 둘째로, NodeB 또는 기지국의 관점에서, RNC는 제어 RNC이다. 제어 용인은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해지는 최대한의 것에 달하는 라디오 리소스들(대역폭 및 신호/잡음 비)이 모바일들에 할당되도록 보장한다. RNC는 NodeB의 Iub 인터페이스가 종료되는 곳에 있다. UE 또는 모바일의 관점에서, RNC는 이것이 모바일의 링크 계층 통신들을 종료시키는 서빙 RNC의 역할을 한다. 코어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서빙 RNC는 UE에 대해 Iu를 종료시킨다. 서빙 RNC는 또한 이것의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시도하는 새로운 모바일들 또는 서비스들의 용인을 제어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위해, UMTS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또는 W-CDMA)로서 알려진 광대역 확산-스펙트럼 모바일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W-CDMA는 사용자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직접 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시그널링 방법(또는 CDMA)을 사용한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이동 통신들을 위한 제3 세대 표준이다. W-CDMA는 제한된 데이터 능력을 이용한 음성 통신들에 맞춰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 제2 세대 표준으로부터 진화되었다. W-CDMA의 제1 상업적 사용(deployment)들은 W-CDMA 릴리즈 99로 불리는 표준들의 버전에 기반한다.
릴리즈 9 사양은 업링크 패킷 데이터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2개의 기법들을 정의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은 전용 채널(DCH)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중 하나를 사용하여 지원된다. 그러나 DCH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의 지원을 위한 1차 채널이다. 각각의 원격국(123-127)은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코드를 사용한다. OVSF 코드는 개별적인 통신 채널들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직교 코드이다. 또한, 마이크로 다이버시티(diversity)는 소프트 핸드오버를 사용하여 지원되고, 폐루프 전력 제어는 DCH와 함께 이용된다.
의사난수 잡음(PN) 시퀀스들은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들을 포함하는, 송신된 데이터를 확산시키기 위하여 CDMA 시스템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N 시퀀스의 단일 값을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칩(chip)으로서 공지되고, 칩들이 변화하는 레이트는 칩 레이트로서 공지된다. 직접 시퀀스 CDMA 시스템들의 설계에 있어서, NodeB(110, 111, 114)의 것들에 대해 그것의 PN 시퀀스들을 정렬시키는 수신기가 내재된다. W-CDMA 표준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들과 같은 몇몇 시스템들은 1차 스크램블링 코드로서 공지되는, 각각에 대해 고유한 PN 코드를 사용하는 기지국들(110, 111, 114)을 구분한다. W-CDMA 표준은 인-페이wm(in-phase) 컴포넌트(I)에 대한 하나와 쿼드러쳐(quadrature)(Q)에 대한 다른 하나의, 다운링크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2개 골드 코드 시퀀스들을 정의한다. I 및 Q PN 시퀀스들은 함께 데이터 변조 없이 셀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된다. 이 브로드캐스트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로서 지칭된다. 생성되는 PN 시퀀스들은 38,400 칩들의 길이로 절두(truncate)된다. 38,400 칩들의 기간은 라디오 프레임으로서 지칭된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슬롯들로서 지칭되는 15개 동일한 섹션들로 분할된다. W-CDMA NodeB들(110, 111, 114)은 서로에 관해 비동기식으로 작동하여, 하나의 기지국(110, 111, 114)의 프레임 타이밍에 대한 지식은 임의의 다른 NodeB(110, 111, 114)의 프레임 타이밍에 대한 지식으로 번역되지 않는다. 이 지식을 획득하기 위하여, W-CDMA 시스템들은 동기화 채널들 및 셀 탐색 기법을 사용한다.
3 GPP 릴리즈 5 및 추후 버전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를 지원한다. 3 GPP 릴리즈 6 및 추후 버전은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를 지원한다. HSDPA 및 HSUPA는 각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의 고속 패킷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채널들 및 프로시져들의 세트들이다. 릴리즈 7 HSPA+는 데이터 레이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3개의 향상들을 사용한다. 첫째로, 이것은 다운링크 상에 2x2 MIMO에 대한 지원을 도입하였다. MIMO로, 다운링크상에 지원되는 피크 데이터 레이트는 28 Mbps이다. 두번째로, 더 높은 차수의 변조가 다운링크 상에 도입된다. 다운링크 상의 64 QAM의 사용은 21 Mbps의 피크 데이터 레이트들을 허용한다. 세번째로, 업링크 상에 더 높은 차수의 변조가 도입된다. 업링크 상의 16 QAM의 사용은 11 Mbps의 피크 데이터 레이트들을 허용한다.
HSUPA에서, NodeB(110, 111, 114)는 수 개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123-127)이 동시에 특정 전력 레벨에서 송신하도록 허용한다. 이들 승인들은 단기간 기반으로(매 수십 ms 마다)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빠른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에 의하여 할당된다. HSUPA의 신속한 스케줄링은 패킷 데이터의 버스티 성질에 적절하다. 높은 활동의 기간들 동안,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의 더 큰 퍼센티지를 얻을 수 있는 반면, 낮은 활동의 기간들 동안에는 적은 대역폭을 얻거나 또는 전혀 얻지 않을 수 있다.
3GPP 릴리즈 5 HSDPA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트랜시버 기지국(110, 111, 114)은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상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123-127)에 다운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상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와 연관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256개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또는 왈쉬) 코드들이 존재한다. HSDPA 시스템에서, 이들 코드들은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하여 사용되는 HSDPA 코드들 및 셀룰러 전화 통신(음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릴리즈 1999(레거시(legacy) 시스템) 코드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송신 시간 인터벌(TTI)에 대해, HSDPA-인에이블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123-127)로 전송되는 전용 제어 정보는 코드 공간 내에 어느 코드들이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지를, 그리고 다운링크 페이로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하여 사용될 변조를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HSDPA 동작으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123-127)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은 15개의 이용가능한 HSDPA OVSF 코드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송신 시간 인터벌들에 대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주어진 TTI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123-127)은 TTI 동안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대역폭에 따라 15개의 HSDPA 코드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사용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로부터의 N(송신기 안테나들의 수) 곱하기 M(수신기 안테나들의 수) 개의 신호 경로들이 존재하고, 이들 경로들 상의 신호들은 동일하지 않다. MIMO는 다수의 데이터 송신 파이프들을 생성한다. 파이프들은 공간-시간 도메인에서 직교한다. 파이프들의 수는 시스템의 랭크와 동일하다. 이들 파이프들은 시간-공간 도메인에서 직교하기 때문에, 이들 파이프들은 서로와의 적은 간섭을 생성한다. 데이터 파이프들은 NxM 경로들 상에서 신호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적절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송신 파이프는 안테나 송신 체인 또는 임의의 하나의 특정 송신 경로에 대응하지 않음을 유념한다.
통신 시스템들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또는 다중 캐리어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는 상이한 수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통합할 수 있다. 게다가, 액세스 단말(123-127)은 예를 들어, 광섬유 또는 동축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유선 채널을 통해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임의의 데이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3-127)은 PC 카드, 컴팩트 플래시,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전화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다수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3-127)은 또한 사용자 장비(UE), 원격국, 이동국, 또는 가입자 국으로서 공지된다. 또한, UE(123-127)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odeB들(110, 111, 114)과의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설정한 사용자 장비(123-127)는 활성 사용자 장비(123-127)로 불리고, 트래픽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야기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odeB들(110, 111, 114)과의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에 있는 사용자 장비(123-127)는 접속 셋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야기된다. 사용자 장비(123-127)가 NodeB(110, 111, 114)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로 불린다. NodeB(110, 111, 114)가 사용자 장비(123-127)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로 불린다.
도 5는 하기에서 상술되며, 여기서 특히, NodeB(110, 111, 114) 및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141-144)은 패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6)와 인터페이싱한다. (도 5에서, NodeB들(110, 111, 114) 중 단 하나 및 RNC들(141-144) 중 단 하나만이 간략성을 위해 도시됨을 유념한다.) NodeB(110, 111, 114) 및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odeB들(110, 111, 114) 및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를 둘러싸는 점선으로서 도 3에 그리고 도 5에 도시되는, 라디오 네트워크 서버(RNS)(66)의 일부분일 수 있다. 송신될 연관된 데이터의 수량이 NodeB(110, 111, 114)의 데이터 큐(172)로부터 리트리브(retrieve)되고, 데이터 큐(172)와 연관되는 사용자 장비(123-127)로의 송신을 위해 채널 엘리먼트(168)에 제공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는 이동 전화 교환국(151, 152)을 통해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148)와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는 통신 시스템(100)의 NodeB들(110, 111, 114)(간략성을 위해, 도 4에 단 하나의 NodeB(110, 111, 114)만이 도시된다)과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는 패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6)와 인터페이싱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는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123-127)와 패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6) 및 PSTN(148)에 접속되는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통신을 조정한다. PSTN(148)은 표준 전화 네트워크(도 5에 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들과 인터페이싱한다.
간략성을 위해 도 5에 단 하나만 도시되나,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41-144)는 다수의 선택기 엘리먼트들(136)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odeB들(110, 111, 114)과 하나의 원격국(123-127)(미도시)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선택기 엘리먼트(136)가 할당된다. 선택기 엘리먼트(136)가 주어진 사용자 장비(123-127)에 할당되지 않았다면, 호출 제어 프로세서(140)에는 사용자 장비(123-127)를 페이징(page)하기 위한 욕구가 통지된다. 호출 제어 프로세서(140)는 그 후 사용자 장비(123-127)를 페이징하도록 NodeB(110, 111, 114)에 지시한다.
데이터 소스(122)는 주어진 사용자 장비(123-127)에 송신될 다량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소스(122)는 패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6)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패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6)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선택기 엘리먼트(136)로 라우팅한다. 선택기 엘리먼트(136)는 그 후 타겟 사용자 장비(123-127)와의 통신에서 NodeB(110, 111, 114)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일 예에서, 각각의 NodeB(110, 111, 114)는 사용자 장비(123-127)로 송신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큐(172)를 유지시킨다.
각각의 데이터 패킷에 대해, 채널 엘리먼트(168)는 필요한 제어 필드들을 삽입한다. 일 예에서, 채널 엘리먼트(168)는 데이터 패킷 및 제어 필드들의 순환 리던던시 체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인코딩을 수행하고, 코드 테일 비트들의 세트를 삽입한다. 데이터 패킷, 제어 필드들, CRC 패리티 비트들, 및 코드 테일 비트들은 포맷팅된 패킷을 포함한다. 채널 엘리먼트(168)는 그 후 포맷팅된 패킷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패킷 내에 심볼들을 인터리빙(또는 재정렬)한다. 인터리빙된 패킷은 왈쉬 코드로 커버되고, 짧은 PNI 및 PNQ 코드들로 스프레드된다. 스프레드 데이터가 신호를 쿼드러쳐 변조, 필터링 및 증폭시키는 RF 유닛(170)으로 제공된다. 다운링크 신호는 무선으로(over the air) 안테나를 통해 다운링크로 송신된다.
사용자 장비(123-127)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되고, 수신기에 의하여 라우팅된다. 수신기는 신호를 필터링, 증폭, 쿼드러쳐 복조 및 양자화시킨다. 디지털화된 신호는 복조기(DEMOD)로 제공되고, 복조기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는 짧은 PNI 및 PNQ 코드들로 디스프레드되고, 왈쉬 커버로 디커버링된다. 복조된 데이터는 디코더로 제공되고, 디코더는 NodeB(110, 111, 114)에서 수행되는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의 역(inverse), 특히, 디-인터리빙, 디코딩 및 CRC 체크 기능들을 수행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로 제공된다.
도 6은 사용자 장비(UE)(123-127)의 일 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UE(123-127)는 (PA(108)를 포함하는)송신 회로(164), 수신 회로(109), 전력 제어기(107), 디코드 프로세서(158), 신호들의 프로세싱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103) 및 메모리(116)를 포함한다. 송신 회로(164) 및 수신 회로(109)는 UE(123-127)와 원격 위치 사이에 음성 통신들과 같은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송신 회로(164) 및 수신 회로(109)는 안테나(118)에 커플링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03)은 UE(123-127)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유닛(103)은 또한 CPU로서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116)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프로세싱 유닛(103)에 제공한다. 메모리(11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UE(123-127)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130)에 의하여 함께 커플링되고, 상기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30)으로서 도 6에 예시된다.
논의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deB(110, 111, 114)의 메모리(161)에 위치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43)의 형태로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들 명령들은 도 5의 NodeB(110, 111, 114)의 제어 유닛(16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논의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UE(123-127)의 메모리(116)에 위치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42)의 형태로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들 명령들은 도 6의 UE(123-127)의 프로세싱 유닛(103)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23-127)에서 구현될 수 있는 송신기 구조 및/또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7에 도시되는 기능들 및 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기능들은 도 5에 도시되는 기능들 대신에 또는 상기 기능들에 더하여 도 5에 부가될 수 있다.
도 7에서, 데이터 소스(200)는 데이터(d(t) 또는 200a)를 FQI/인코더(202)에 제공한다. FQI/인코더(202)는 순환 리던던시 체크(CRC)와 같은 프레임 품질 표시자(FQI)를데이터(d(t))에 첨부할 수 있다. FQI/인코더(202)는 인코딩된 심볼들(202a)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코딩 방식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및 FQI를 추가로 인코딩할 수 있다. 각각의 코딩 방식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입들의 코딩, 예를 들어,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딩, 터보 코딩, 블록 코딩, 반복 코딩, 다른 타입들의 코딩을 포함하거나, 또는 또는 코딩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코딩 방식들은 자동 반복 요청(ARQ), 하이브리드 ARQ(H-ARQ) 및 증분 리던던시 반복 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타입들의 데이터는 상이한 코딩 방식들로 인코딩될 수 있다.
인터리버(204)는 페이딩(fad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 맞춰(in time) 인코딩된 데이터 심볼들(202a)을 인터리빙하고, 심볼들(204a)을 생성한다. 신호(204a)의 인터리빙된 심볼들은 프레임 포맷 블록(205)에 의하여 사전-규정된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될 수 있어, 프레임(205a)을 생성한다. 일 예에서, 프레임 포맷은 다수의 서브-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을 명시할 수 있다. 서브-세그먼트들은 주어진 디멘전(dimension),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디멘젼을 따르는 프레임의 임의의 연속적 부분들일 수 있다. 프레임은 고정된 다수의 그러한 서브-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세그먼트는 프레임에 할당되는 심볼들의 전체 수의 일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W-CDMA 표준에 따라, 서브-세그먼트는 슬롯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cdma2000 표준에 따라, 서브-세그먼트는 전력 제어 그룹(PCG)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터리빙된 심볼들(204a)은 프레임(205a)을 구성하는 다수의 S개의 서브-세그먼트들로 나눠진다.
프레임 포맷은 인터리빙된 심볼들(204a)과 함께 예를 들어, 제어 심볼들(미도시)의 포함을 추가로 명시할 수 있다. 그러한 제어 심볼들은 예를 들어, 전력 제어 심볼들, 프레임 포맷 정보 심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206)는 변조된 데이터(206a)를 생성하기 위하여 프레임(205a)을 변조시킨다. 변조 기법들의 예들은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및 쿼드러쳐 위상 시프트 키잉(QPSK)을 포함한다. 변조기(206)는 또한 변조된 데이터의 시퀀스를 반복할 수 있다.
기저대-대-라디오-주파수(RF) 변환 블록(208)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odeB 스테이션 수신기들로 신호(210a)로서 안테나(210)를 통한 송신을 위해 변조된 신호(206a)를 RF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설명된 기능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물 및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ROM(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한 장소에서 또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디스크(disk 및 disc)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내용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전의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임의의 당업자가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방법들 및 장치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청구항들 또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는 예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에 따를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한 장소에서 또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디스크(disk 및 disc)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유형(tangible)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시물은 하기의 청구항들에 따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34)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단계(1402)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및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상기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단계(1406)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들의 제1 세트는 상기 UE(123)가 제1 대역에 대한 제1 다수의 캐리어들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함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캐리어 조합에 할당되고, 지원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는 테이블에 따르며, 상기 방법은 NodeB(110)로부터 상기 NodeB(110)에 의하여 사용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을 표시하는 버전 넘버를 수신하는 단계(1404)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E(123)는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전 넘버에 의하여 명시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HSDPA를 위하여 UE(123)에 의해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1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220)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UE(123)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함 ― ; 및
    상기 UE(123)에 의하여 지원될 캐리어들의 구성을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210)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상기 UE(123)가 제1 대역에 대한 제1 다수의 캐리어들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함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캐리어 조합에 할당되고, 지원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는 테이블에 따르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NodeB(110)에 의하여 사용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을 표시하는 버전 넘버를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220)는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전 넘버에 의하여 명시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대역에 대한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220) ― 상기 정보는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및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상기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220)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상기 UE(123)가 제1 대역에 대한 제1 다수의 캐리어들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함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캐리어 조합에 할당되고, 지원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는 테이블에 따르고, 상기 장치는 상기 NodeB(110)에 의하여 사용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을 표시하는 버전 넘버를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220)은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전 넘버에 의하여 명시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220)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머신-판독가능 매체(116)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머신-판독가능 매체(116)는,
    각각의 대역에 대한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지원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고(1104) ― 상기 정보는 그 대역에 대하여 지원되는 최대 채널 대역폭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함 ― ; 그리고
    다수의 업링크들이 지원될 상기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1106)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상기 UE(123)가 제1 대역에 대한 제1 다수의 캐리어들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2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함을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캐리어 조합에 할당되고, 지원가능한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는 테이블에 따르며, 상기 머신-판독가능 매체(116)는 상기 NodeB(110)에 의하여 사용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을 표시하는 버전 넘버를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E(123)는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전 넘버에 의하여 명시되는 상기 테이블의 버전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송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안테나(230);
    상기 안테나(230)에 커플링되고, HSDPA를 위해 UE(123)에 의하여 지원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NodeB(1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220) ―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 상기 UE(123)에 의하여 지원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인접 캐리어들을 추가로 명시함 ― ; 및
    상기 UE(123)에 의하여 지원될 캐리어들의 구성을 상기 NodeB(11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210)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UE(123)에 의하여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는 단계(1104); 및
    상기 UE(123)가 추가로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는 단계(1106)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5, 10, 15 또는 20 MHz의 4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비트들은 10, 15 또는 20 MHz의 3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MTS의 대역 당 지원을 시그널링하는 단계(1102)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2.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UE(123)에 의하여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220)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UE(123)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5, 10, 15 또는 20 MHz의 4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비트들은 10, 15 또는 20 MHz의 3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220)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MTS의 대역 당 지원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UE(123)에 의하여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UE(123)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5, 10, 15 또는 20 MHz의 4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비트들은 10, 15 또는 20 MHz의 3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MTS의 대역 당 지원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머신-판독가능 매체(116)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머신-판독가능 매체(116)는,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UE(123)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며(1104); 그리고
    상기 UE(123)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1106)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비트들은 5, 10, 15 또는 20 MHz의 4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비트들은 10, 15 또는 20 MHz의 3개의 가능한 대역폭들 중 하나를 명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판독가능 매체(116)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MTS의 대역 당 지원을 시그널링하도록(1102)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4.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안테나(230); 및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하여 UE(123)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을 표시하는 제1 세트의 비트들을 상기 안테나(230)를 통해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220)
    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220)는 상기 UE(123)가 멀티캐리어 업링크 송신들을 추가로 수용할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의 최대 구성을 표시하는 제2 세트의 비트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27029004A 2010-04-05 2011-04-05 사용자 장비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95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104810P 2010-04-05 2010-04-05
US61/321,048 2010-04-05
US33079310P 2010-05-03 2010-05-03
US61/330,793 2010-05-03
US13/079,549 2011-04-04
US13/079,549 US9001750B2 (en) 2010-04-05 2011-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PCT/US2011/031303 WO2011127094A1 (en) 2010-04-05 2011-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99A true KR20130005299A (ko) 2013-01-15
KR101495646B1 KR101495646B1 (ko) 2015-02-25

Family

ID=4470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004A KR101495646B1 (ko) 2010-04-05 2011-04-05 사용자 장비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01750B2 (ko)
EP (2) EP3358873B1 (ko)
JP (1) JP5571240B2 (ko)
KR (1) KR101495646B1 (ko)
CN (1) CN102948180B (ko)
ES (1) ES2822057T3 (ko)
HU (1) HUE050087T2 (ko)
WO (1) WO2011127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92B1 (ko) 2010-02-09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US9001750B2 (en) 2010-04-05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US8606257B2 (en) * 2010-06-25 2013-12-10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obile capability signaling
EP2673986B1 (en) * 2011-02-08 2016-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for legacy terminal operation in harmonized bands
US9277398B2 (en) * 2011-08-22 2016-03-01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capability signaling
US9338695B2 (en) 2011-12-01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supported carrier bandwidths for carrier aggregation
JP5953079B2 (ja) * 2012-03-16 2016-07-1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WO2013147680A2 (en) * 2012-03-26 2013-10-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band combinations with reduced performance in carrier aggregation
WO2014003436A1 (en) * 2012-06-27 2014-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94119B1 (ko) * 2014-05-09 2022-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성능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5592567A (zh) * 2014-10-24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07615794B (zh) * 2015-05-22 2021-04-20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
WO2017180751A1 (en) * 2016-04-12 2017-10-19 Marvell Semiconductor, Inc. Reporting bandwidth capability of a bandwidth-limited communication device
US10477552B2 (en) * 2017-02-13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handling wide bandwidth communications
US10555310B2 (en) * 2017-05-01 2020-02-04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compatibility in new radio systems
CN109587799B (zh) 2017-09-29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WO2019062415A1 (zh) * 2017-09-29 2019-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WO2019090647A1 (zh) * 2017-11-09 2019-05-16 南通朗恒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19152564A1 (en) 2018-01-31 2019-08-08 Marvell World Trade Ltd. Operation with bandwidth-limited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10945100B2 (en) * 2018-02-02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capability signaling with regard to multiple carrier numerologies
JP7324779B2 (ja) 2018-05-10 2023-08-1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ャネル化および帯域幅パート(bwp)
CN110958603B (zh) * 2018-09-27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能力上报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501A (en) 1995-10-24 1998-06-30 Halpern, Deceased; Peter H. High speed multilevel symbol telemetry system for cardiac pacemakers
US6922501B2 (en) 2002-04-11 2005-07-26 Nortel Networks Limited Fast optical switch
JP4527067B2 (ja) 2005-03-31 2010-08-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7961700B2 (en) * 2005-04-28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operation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CN100431374C (zh) 2005-06-28 2008-11-05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业务用户终端在多载波小区的工作方法
WO2007040201A1 (ja) 2005-10-04 2007-04-12 Sharp Kabushiki Kaish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の使用周波数帯域マッピング方法、位置管理装置、移動局装置の位置登録方法、ページング方法、及びこれら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00007B2 (ja) 2007-04-12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中継局、帯域割当方法
CN101345988A (zh) 2007-07-13 2009-01-1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载波系统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US8711785B2 (en) 2008-03-25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Fast carrier alloc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EP2262333B1 (en) 2008-03-28 2018-05-16 NTT DoCoMo, Inc. Mobile station, base station, basic frequency block specifying method, and band control method
JP2012521150A (ja) 2009-03-17 2012-09-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マルチキャリア上りリンク送信のための電力バックオフ
EP2242300B1 (en) 2009-04-15 2012-08-22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measurement capability and related communication network
EP2265068B1 (en) 2009-06-17 2016-12-14 IDTP Holdings, Inc. Scheduling data transmissions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component carriers
IN2012DN00268A (ko) 2009-06-17 2015-05-08 Ericsson Telefon Ab L M
US20100329200A1 (en) 2009-06-24 2010-12-30 Industrial Te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8964536B2 (en) 2009-10-0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load balancing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22192B1 (en) 2010-01-08 2018-07-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a multi-carrier/multi-cell operation
US20110205976A1 (en) * 2010-02-19 2011-08-25 Nokia Siemens Networks Oy UE Specific Signaling Carrier Indicator For Carrier Aggregation
US9001750B2 (en) 2010-04-05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US8750807B2 (en) 2011-01-10 2014-06-10 Mediatek Inc.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carrier aggregation
US8331261B2 (en) 2011-01-10 2012-12-11 Renesas Mobile Corporation Test method for type 3I receiver in multicarrier configuration
US20120183095A1 (en) 2011-01-18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ling carrier combination capabilities for a multi-carrier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22057T3 (es) 2021-04-28
CN102948180B (zh) 2016-04-20
EP3358873A1 (en) 2018-08-08
US20110243083A1 (en) 2011-10-06
EP3358873B1 (en) 2020-07-01
WO2011127094A1 (en) 2011-10-13
KR101495646B1 (ko) 2015-02-25
EP2556686A1 (en) 2013-02-13
CN102948180A (zh) 2013-02-27
US9001750B2 (en) 2015-04-07
JP5571240B2 (ja) 2014-08-13
JP2013524689A (ja) 2013-06-17
HUE050087T2 (hu)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46B1 (ko) 사용자 장비 능력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869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JP5844743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使用する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送信電力制御シグナリング
KR101354565B1 (ko) 듀얼 캐리어 hsupa에서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크기 선택
US9084261B2 (en) Discontinuous uplink transmission operation and interference avoidance for a multi-carrier system
CN112368966A (zh) 时隙内pusch小时隙的灵活重复
US8345617B2 (en) Sending an uplink order to active set base stations
KR100971159B1 (ko) 다중 캐리어 무선 통신 접근 단말 및 데이터 전송방법
JP5351058B2 (ja) 無線通信方法、サブスクライバーステーション及びベースステーション
US9059819B2 (en) Flexible up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US8599771B2 (en) Control of radio links in a multiple carrier system
TW200803568A (en) A method of implementing superposition coding for a forward link in a wireless commnication system
TW201218678A (en) HARQ ACK/NACK signaling for multi-carrier HSDPA
JP2022516738A (ja) 通信デバイス、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US201200760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ownlink control signall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8477672B2 (en) 4C-HSDPA acknowledgment signaling
KR101618728B1 (ko) 멀티 셀 hsdp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인식자 전송용 물리제어채널의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8861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