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27U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27U
KR20130005127U KR2020120008209U KR20120008209U KR20130005127U KR 20130005127 U KR20130005127 U KR 20130005127U KR 2020120008209 U KR2020120008209 U KR 2020120008209U KR 20120008209 U KR20120008209 U KR 20120008209U KR 20130005127 U KR20130005127 U KR 201300051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ies
pipe
connec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수
Original Assignee
김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수 filed Critical 김오수
Publication of KR20130005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내측면이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몸체와, 복수의 몸체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복수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적어도 두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몸체 및 연결 부재를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클램프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고안은 반도체 제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응 가스가 이송되는 배관들을 연결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는 산화성, 인화성, 유독성 등의 성질을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반응 가스를 공정 챔버 내부로 공급하여 웨이퍼 상에 박막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가스 공급원과 공정 챔버 사이에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관이 마련된다. 이러한 반응 가스는 매우 미량이 누설되더라도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힌다.
반응 가스가 이송되는 배관은 연결 부위가 없이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 누설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실제로는 여러 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배관 연결부는 반응 가스의 누설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며, 이 배관 연결부를 밀착하여 결합하기 위해 클램프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704785호에 두 개의 몸체로 배관 연결부를 감싸는 클램프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특허의 클램프는 직경이 50㎜ 이하의 소형 배관에 적합하지만, 구조 등의 특성에 따라 직경 60㎜ 이상의 큰 배관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직경 60㎜ 이상의 큰 배관의 연결부를 결합할 때 이용되는 종래의 클램프의 사진이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램프는 배관 연결부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몸체와, 몸체를 연결하는 얇은 판 형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연결 부재에 의해 복수의 몸체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종래의 클램프는 선택된 두 몸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에 삽입되도록 볼트를 손 또는 공구로 강하게 조여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배관을 완벽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강하게 조여야 하는데, 종래의 클램프는 얇은 판 형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력이 약하거나 장시간 사용 시 연결 부재가 늘어나는 등 변형이 발생되어 체결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배관과 클램프 외측에 히터를 설치하여 배관 및 배관 연결부를 히팅하는 경우 클램프와 배관 연결부가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히터의 열을 클램프를 통해 배관 연결부에 전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배관 연결부의 온도가 배관의 온도보다 낮게 되고, 그에 따라 배관 연결부에 반응 가스의 파우더가 침적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가스의 파우더는 공정 챔버에 유입되어 파우더의 원인이 되고 그에 따라 공정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배관 연결부에 파우더가 침적되면 배관의 내경이 축소되고 그에 따라 공정 챔버의 압력을 제어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배관 연결부를 주기적으로 클리닝하는데, 클리닝을 위해 매월 1∼2회 정도 배관 연결부의 해체 및 조립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클램프의 해체 및 조립의 반복 과정에서 볼트가 조여지는 나사홈이 형성된 몸체가 손상되며, 그때마다 해당 몸체를 교체하거나 전체를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나사홈이 손상되면 볼트가 나사홈에 체결된 상태로 빠지지 않게 되고, 적절한 조치가 어려워 장시간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관 연결부의 클리닝 동안 반도체 제조 장치의 전체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장시간 사용 시에도 변형되지 않고 강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배관 연결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히터의 열을 배관 연결부에 잘 전달할 수 있어 배관 연결부에 반응 가스의 파우더가 침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배관 연결부에 파우더가 침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해체 및 조립의 반복 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손상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두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클램프로서, 적어도 내측면이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몸체; 상기 복수의 몸체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복수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적어도 두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적어도 복수의 몸체를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조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배관 연결부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에 상기 몸체의 일부가 제거되어 마련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인접한 두 몸체의 연결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의 홀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바 형상을 갖거나, 적어도 내측면이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홀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 부재는 일 측이 상기 고정 핀에 의해 일 몸체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타 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에 삽입되어 너트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두 몸체에는 조임 부재가 관통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일 몸체의 체결부를 통해 상기 일 몸체 및 타 몸체의 삽입 홈을 통해 삽입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부분의 말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적어도 내측면이 배관 연결부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몸체 사이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볼트 결합 또는 너트 결합을 이용하여 몸체를 배관 연결부에 밀착 고정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클램프는 배관 연결부와 몸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클램프 외측의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배관 연결부에 잘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연결부의 온도를 배관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반응 가스의 파우더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우더 생성이 억제되므로 배관 또는 배관 연결부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램프의 해체 및 조립 주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잦은 해체 및 조립에 따른 클램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클램프의 교체 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배관 연결부의 클리닝 주기가 증가하므로 반도체 제조 장치의 가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클램프는 몸체가 배관 연결부의 형상을 따라 소정 폭을 갖도록 제작되고, 몸체 사이를 연결 부재가 마련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해도 몸체 또는 연결 부재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부분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클램프의 결합 부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클램프의 결합 수단이 분리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클램프가 배관의 연결 부위에 마련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관의 연결 부위를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서로 이격되어 배관 연결부(20)를 감싸는 복수의 몸체(100)와, 몸체(100) 사이에 마련되어 몸체(1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200)와, 적어도 두 몸체(100) 사이에 마련되어 몸체(100) 및 연결 부재(200)를 배관 연결부(20)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조임 부재(300)을 포함한다.
복수의 몸체(100a, 100b, 100c, 100d; 100)는 배관 연결부(20)를 감싸서 밀착 결합시킨다. 이러한 몸체(100)는 배관 연결부(20)에 밀착되어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관 연결부(20) 둘레의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배관 연결부(20)의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 복수의 몸체(100)도 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몸체(100) 각각이 배관 연결부(20) 둘레의 소정의 두 지점에 의해 한정된 원호(圓弧) 형상으로 제작되어 복수의 몸체(100)가 원형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몸체(100)는 배관 연결부(20)와 접촉되는 내측면이 배관 연결부(20)의 형상과 동일 형상을 가지고 외관은 배관 연결부(20)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몸체(100) 각각은 사각형의 바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측면이 배관 연결부(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배관 연결부(20)가 원통형 이외의 다각형이면 그에 따라 몸체(100)도 이와 동일한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네개의 몸체(100)가 결합되어 복수의 몸체(100)가 원형을 이루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몸체(100)는 배관 연결부(20) 측으로 상부 및 하부에 돌출부(110)가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110)는 배관 연결부(2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촉되어 몸체(100)와 배관 연결부(20)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부(110)가 형성됨으로써 몸체(100)의 두께는 배관 연결부(20)의 두께보다 두껍다. 즉, 몸체(100)는 배관 연결부(20)와 접촉되는 부분의 두께와 돌출부(110)의 두께의 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연결부(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몸체(100)의 길이, 배관 연결부(20)의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배관 연결부(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몸체(100)의 높이, 그리고 배관 연결부(20)의 폭 방향을 따라 몸체(100)의 두께라 정의한다. 그리고, 복수의 몸체(100)는 다른 몸체(100)와 인접한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일부 제거된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몸체(100)의 내측으로 소정 폭으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0)에는 후술할 연결 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연결부(120)를 노출시키는 홀(130)이 형성된다. 홀(130)에는 고정 핀(210)이 삽입되어 연결 부재(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홀(130)은 고정 핀(210)의 상부가 삽입되는 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210)은 상부 및 하부 둘레에 홈이 형성되고 홈에 스냅링(211)이 마련되므로 스냅링(211)이 걸치는 부분을 마련하기 위해 홀(130)은 상부 및 하부의 폭이 나머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임 부재(300)이 마련되는 어느 하나의 몸체(100d)는 일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고 조임 부재(300)가 자리할 수 있는 체결부(140)가 마련된다. 즉, 몸체(100d)는 외측면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조임 부재(300)의 볼트(310) 일부 및 너트(320)가 자리할 수 있는 체결부(140)가 마련된다. 체결부(140)는 일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 부재(300)의 너트(320)가 위치되는 체결부(140)의 일 영역은 너트(320)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몸체(100)는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200)는 인접한 두 몸체(100) 사이의 연결부(130) 내에 마련되어 인접한 두 몸체(100)를 연결한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부재(200)에 의해 복수의 몸체(100)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된다. 물론, 연결 부재(200)는 조임 부재(300)이 마련되는 두 몸체(100c, 100d) 사이에는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 부재(200)는 바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적어도 내측면이 배관 연결부(20)의 둘레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 부재(200) 각각이 배관 연결부(20) 둘레의 소정의 두 지점에 의해 한정된 원호(圓弧)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 부재(200)가 바 형상으로 제작되면 배관 연결부(20)에 접촉되지 않고, 연결 부재(200)가 원호 형상으로 제작되면 복수의 몸체(100)와 그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연결 부재(200)가 배관 연결부(20)의 둘레를 따라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200)가 원호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클램프와 배관 연결부(20)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열 전달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연결 부재(200)는 몸체(100)의 홀(130)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 핀(210)에 의해 고정된다. 즉, 연결 부재(200)의 가장자리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몸체(100)의 예를 들어 상측의 홀(130)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 핀(210)이 연결 부재(20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측의 홀(130)로 삽입된다. 여기서, 핀(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둘레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홈에 스냅링(211)이 체결되어 고정 핀(210)은 스냅링(211)에 의해 홀(130) 내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200)는 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연결 부재(20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몸체(100)는 외측 및 내측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연결 부재(200)는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조임 부재(300)는 인접한 두 몸체(100c, 100d)의 연결 부위의 길이를 조절하여 복수의 몸체(100)와 배관 연결부(20)를 밀착시키고 그에 따라 클램프를 배관 연결부(20)에 고정한다. 이때, 조임 부재(300)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연결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볼트(310)와 너트(320)의 조합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볼트(310)는 일 단부에 소정의 홀(311)이 형성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그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사산(312)이 형성된다. 또한, 볼트(310)는 몸체(100c)의 연결부(120)에 위치하여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핀(210)에 의해 고정된다. 즉, 핀(210)이 몸체(100)의 예를 들어 상측의 홀(130)로부터 볼트(310)의 홀(311)을 통해 몸체(100)의 하측의 홀(130)로 삽입된다. 이러한 볼트(310)는 몸체(100c)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고 몸체(100d)의 체결부(140)에 위치하여 너트(320)에 의해 조여지게 된다. 또한, 볼트(310)가 손상될 경우 스냅링(211)을 제거하고 핀(210)을 빼면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볼트(310) 및 너트(320)는 수명이 오래가도록 스테인레스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관(10)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부(20)를 복수의 몸체(100)가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0c)에 마련된 조임 부재(300)의 볼트(31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d)에 마련된 체결부(140)로 위치시킨 후 너트(320)를 조이는 너트 체결 방식으로 몸체(100)가 배관 연결부(20)의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배관 연결부(2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클램프 외측의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배관 연결부(20)에 잘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연결부(20)의 온도를 배관(10)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배관 연결부(20)에서 반응 가스의 파우더 생성이 억제된다. 또한, 반응 가스의 파우더 생성이 억제되므로 배관(10) 및 배관 연결부(20)의 클리닝 주기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클램프의 해체 및 조립 주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의 잦은 해체 및 조립에 의한 클램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클램프의 고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몸체(100)가 배관 연결부(20)의 형상을 따라 소정 폭을 갖도록 제작되고, 몸체(100) 사이를 연결 부재(200)가 마련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해도 몸체(100) 또는 연결 부재(200)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몸체(100)가 네개 이외의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조임 부재(300)을 변형하여 다양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복수의 몸체(100)와, 인접한 두 몸체(100)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연결 부재(200)와, 적어도 두 몸체(100) 사이에 마련된 조임 부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00)가 8개로 구성되고, 각 몸체(100) 사이에 고정 핀(210)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부재(200)가 마련되어 몸체(100)가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조임 부재(300)가 서로 인접한 두 몸체(100)에 관통 삽입되어 클램프를 배관 연결부(2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는 네개의 몸체(100)로 구성되어 몸체(100)의 상하 유격 공간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몸체(100)에 볼트가 삽입 결합되는 볼트 결합이 어려워 몸체(100) 외측에서 조임 부재(300)을 이용하여 너트 결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몸체(100)가 8개로 구성되어 몸체(100)의 상하 유격 공간이 적어 몸체(100)에 볼트가 삽입 결합되는 볼트 결합이 용이하다. 따라서, 조임 부재(300)는 나사산(312)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임 부재(300)에 체결되는 일 몸체(10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부(140)가 형성되고, 타 몸체(10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조임 부재(300)의 일 단부에는 나사산(312)이 형성되지 않고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부분부터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단부에 의해 타 몸체(100)의 삽입 홀에 인도되기 때문에 조임 부재(300)와 삽입 홈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200 : 연결 부재
300 : 조임 부재

Claims (10)

  1. 두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클램프로서,
    적어도 내측면이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몸체;
    상기 복수의 몸체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복수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적어도 두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적어도 복수의 몸체를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배관 연결부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에 상기 몸체의 일부가 제거되어 마련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하는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인접한 두 몸체의 연결부 사이에 마련되는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바 형상을 갖거나, 적어도 내측면이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클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의 홀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 홀이 형성된 클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홀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 핀을 더 포함하는 클램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는 일 측이 상기 고정 핀에 의해 일 몸체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타 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에 삽입되어 너트 결합되는 클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몸체에는 조임 부재가 관통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일 몸체의 체결부를 통해 상기 일 몸체 및 타 몸체의 삽입 홈을 통해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는 클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부분의 말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
KR2020120008209U 2012-02-20 2012-09-14 클램프 KR2013000512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268 2012-02-20
KR20120001268 2012-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27U true KR20130005127U (ko) 2013-08-28

Family

ID=5243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09U KR20130005127U (ko) 2012-02-20 2012-09-14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1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783B1 (ko) * 2019-05-20 2020-09-29 신기산업 주식회사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2586506B1 (ko) * 2023-03-24 2023-10-10 (주)엔씨테크 알루미늄 히팅 체인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783B1 (ko) * 2019-05-20 2020-09-29 신기산업 주식회사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2586506B1 (ko) * 2023-03-24 2023-10-10 (주)엔씨테크 알루미늄 히팅 체인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920B1 (ko) 캐소드 전극판용 부시 조립체
KR101514397B1 (ko) 캐소드 전극판용 부시 조립체
KR101484719B1 (ko) 배관 지지장치
JP6224290B2 (ja) グリッド・ノズル組立体、グリッド・ノズル組立体を含む流動層反応器、及びグリッド・ノズル組立体を使用する方法
DK2644960T3 (en) Combination of two tubes and a pipeline connector with compensator
KR101867364B1 (ko) 배치 타입 반도체 장치
KR20090017887A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공정 챔버의 연결 장치
KR20130005127U (ko) 클램프
EP2341287B1 (en) Method for maintenance of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plant
KR101509173B1 (ko) 솔라셀 가공용 캐리어
TWI436448B (zh) 夾盤結構與半導體製程設備
KR20230094042A (ko) 기판 거치 장치
JP5411453B2 (ja) ガスコックの取付構造
US200900601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utting off an orifice of a bundle wrapper of a steam generator of a pressurized-water nuclear reactor
KR20100079218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가스공급라인 연결장치
KR20110049988A (ko) 기판처리장치
KR101471004B1 (ko) 인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JP2022523879A (ja) 給水スパージャーノズル補修アセンブリ、炉心スプレイ系配管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補修方法
KR20070071505A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웨이퍼 보트
KR20080045958A (ko) 반도체 제조 설비용 배관연결 유니트
KR101680338B1 (ko) 히터 고정용 나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 기상 증착 장치
US20110260412A1 (en) Sealing apparatus using wire gasket
KR101282873B1 (ko) 기판 지지 유닛
KR102334186B1 (ko) 슛 불로워 파일롯 밸브 분해용 지그
KR101204002B1 (ko)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