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55U -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 Google Patents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55U
KR20130004955U KR2020120001014U KR20120001014U KR20130004955U KR 20130004955 U KR20130004955 U KR 20130004955U KR 2020120001014 U KR2020120001014 U KR 2020120001014U KR 20120001014 U KR20120001014 U KR 20120001014U KR 20130004955 U KR20130004955 U KR 20130004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peed
motor
rotational speed
proper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059Y1 (ko
Inventor
김종부
김지태
오제욱
김보군
장명규
이준영
Original Assignee
김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filed Critical 김지태
Priority to KR2020120001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5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클러치(13)와 연동클러치가 맞물려 회전하는 믹서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믹서날의 회전속도가 작동환경에 적합하도록 실시간 자동으로 조절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크게 자석과 자력감지센 및 PCB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믹서날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PCB에 의해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모터의 출력 힘이 낮아져 믹서날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고, 믹서날이 저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PCB에 의해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증대되어, 모터의 출력 힘이 높아져 믹서날의 회전속도가 증대됨으로써, 작동상황에 실시간 자동으로 조율되며, 모터가 가진 고출력만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닌 작동상황에 맞는 출력으로 구동됨으로써, 소음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클러치에 자석이 일체화됨으로써, 구동클러치와 연동클러치의 결합에 의해서 구동되는 믹서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Blender of rotational speed control}
본 고안은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클러치와 연동클러치가 맞물려 회전하는 믹서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믹서날의 회전속도가 작동환경에 적합하도록 실시간 자동으로 조절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믹서기는 모터가 설치되어 그 모터를 제어하는 본체와 그 모터의 구비된 모터의 샤프트 끝단에 구동클러치가 설치되고, 그 본체 상부로 용기가 체결되되, 그 용기의 하부면에는 믹서날이 설치되고, 그 믹서날은 용기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클러치에 연결되어 믹서날이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클러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믹서기는 최고 속도로만 믹서날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채소, 밀가루, 곡물 등의 다양한 재료에 적합하지 못한 상태의 고출력으로만 작동됨으로써, 발열에 의해서 영양소가 파괴되고, 소음이 심하며, 항상 고출력으로 작동됨에 따라 모터의 수명이 단축되고, 전력의 낭비가 이루어졌다.
즉, 부하가 낮은 연질의 토마토와 포도 등의 재료에서는 고출력으로 구동하지 않고도 믹서기 본연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재료의 가공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부하가 줄어들어 낮은 출력으로도 원활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고출력을 고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설정된 모터의 출력 이상의 부하가 걸릴 경우에는 믹서날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직접 믹서기의 작동을 멈추어 부하를 낮추었다가 다시 재가동하거나 믹서기 자체를 흔들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문헌 1에서는 상기 부하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회전수검출수단에 의해서 믹서날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회전수가 정상적인 초당(또는 분당) 회전수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회전방향으로 모터정/역구동수단에 의해 모터의 회전을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로에 의해서 모터가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문헌 2에서는 상기 고출력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믹서날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모터의 초당(또는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조절수단(문헌 2의 명세서 기재 명은 '다이얼버튼' 이다)에 의해서 재료에 적합한 믹서날의 회전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문헌 3에서는 믹서날의 회전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모터와 연동하는 믹서날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회전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검출장치는 모터의 회전축과 믹서날의 회전축에 타이밍벨트를 설치하고, 그 타이밍벨트의 일측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 타이밍벨트의 이동선상에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소자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문헌 3은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서 모터의 회전축과 믹서날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에 그 타이밍벨트에 설치된 자석이 자력감지소자를 지나게 됨으로써, 믹서날의 회전수가 정확하게 측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문헌 4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값을 감지하는 회전속도 감지부와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기준 회전속도 값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저장부, 키 입력으로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기준 회전속도로 모터를 구동시키며, 회전속도 값과 기준 회전속도 값을 대비하여 공회전시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미이크로 프로세서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구동/정지신호를 인가받아 모터를 구동/정지시키는 모터 구동부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997-0014663호(공개일 1997.04.28.)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공고 제20-0187991호(공고일 2000.07.15.)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공고 제20-0188069호(공고일 2000.07.15.) 문헌 4.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998-047123호(공개일 1998.09.15.)
상기 배경기술의 종래기술 문헌 1은 항상 고 회전으로 작동하는바, 내구성 저하 및 소음이 여전히 존재하고, 문헌 2는 믹서기가 작동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꾸준히 지켜보면서 회전조절수단을 조절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문헌 3은 구동클러치와 연통클러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믹서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문헌 4는 설정된 회전 값 이상의 고 회전일 때에는 구동을 멈춘 후, 다시 고 회전이 반복됨으로써, 고 회전에 따른 소음과 내구성 저하 및 전력낭비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구동클러치와 연동클러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믹서기에 적합하되, 작동환경에 가장 적합한 적정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재료 및 작동환경에 적합한 회전속도로 작동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를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샤프트 끝단에 구동클러치가 구성되고, 용기에 설치된 믹서날의 연동클러치가 구동클러치와 결합하여 믹서날이 회전되는 믹서기에 있어서, 샤프트에 설치되어 자력을 방출하는 자석과; 그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자석의 자력을 검출하여 샤프트의 회전수를 PCB회로에 제공하는 자력감지센서와; 상기 자력감지센서에서 제공받은 회전수를 저장된 적정회전수(311)와 대비한 후, 모터에 제공되는 전력 양을 위상제어로 조절하여 모터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적정회전수(311)와 동일한 회전수로 동작하도록 하는 PCB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클러치는 샤프트에 끼움되는 끼움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끼움돌출부에 자석이 일체로 설치되되, 끼움돌출부의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그 끼움돌출부의 끝단의 표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자석은 그 끼움돌출부에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되, 안쪽 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설치되어 자석을 구동클러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PCB회로는 적정회전수(311)가 설정된 메모리와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위상제어를 통해 제어에 따라서 적정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공급하는 트라이악 및 자력감지센서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트라이악을 제어하는 CPU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믹서날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PCB에 의해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모터의 출력 힘이 낮아져 믹서날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고, 믹서날이 저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PCB에 의해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증대되어, 모터의 출력 힘이 높아져 믹서날의 회전속도가 증대됨으로써, 작동상황에 실시간 자동으로 조율되며, 모터가 가진 고출력만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닌 작동상황에 맞는 출력으로 구동됨으로써, 소음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클러치에 자석이 일체화됨으로써, 구동클러치와 연동클러치의 결합에 의해서 구동되는 믹서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구동클러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CPU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PU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구동클러치(13)와 연동클러치(22)가 맞물려 회전하는 믹서날(21)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믹서날(21)의 회전속도가 작동환경에 적합하도록 실시간 자동으로 조절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자석(100)과 자력감지센서(200) 및 PCB회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자석(100)은 통상 자력을 방출하는 것으로, 모터(11)의 샤프트(12)에 끼움 결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2극 자석으로, 이하 설명될 자력감지센서(200)에 의해서 샤프트(12)의 회전수가 검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자석(100)은 샤프트(12)가 360°로 회전할 경우에, N극이 S극이 자력감지센서(200)를 지나감으로써, 샤프트(12)의 1회전 시에 극의 변경이 감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자석(100)을 구동클러치(13)와 연동클러치(22)의 상호 연동으로 작동하는 본 고안의 믹서기에 적합하도록, 통상의 구동클러치(13)의 하부에는 샤프트(12)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출부(13a)가 형성되고, 그 끼움돌출부(13a)의 표면에 자석(100)을 끼워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구동클러치(13)가 샤프트(12)에 설치됨과 동시에 자석(100)이 설치 완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클러치(13)의 고속회전으로부터 자석(100)이 구동클러치(13)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하고, 구동클러치(13)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끼움돌출부(13a)의 한쪽 측면에는 걸림돌기(13b)가 돌출되도록 형하고, 그 끼움돌출부(13a)의 끝단의 표면에는 링 형상의 고정홈(13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100)의 안쪽 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3b)와 대응하는 걸림홈(110)을 형성하여, 끼움돌출부(13a)에 삽입됨으로써 걸림돌기(13b)에 걸림홈(110)이 체결되어 구동클러치(13)와 회전의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홈(13c)과 일치하는 일반적인 스냅링(SNAP RING)인 고정수단(400)을 상기 자석(100) 하부로 돌출된 끼움돌출부(13a)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홈(13c)에 설치하여 자석(100)이 구동클러치(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자력감지센서(200)는 자력을 검출하는 통상의 홀센서(Hall Sensor)로 상기 자석(10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의 샤프트(12) 한쪽에 위치하여, 모터(11)가 내장되는 본체(10) 내부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자력감지센서(200)는 회전하는 샤프트(12)에 설치된 자석(100)의 극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극이 최초 N극일 경우, 샤프트(12)가 회전되어 S극이 검출되면 초기화 되고, 다시 N극이 검출될 때 횟수 으로 인정하여 그 횟수를 이하 설명할 PCB회로(300)에 제공한다.
나아가 이하 설명될 PCB회로(300)에 의해서 1초당 자력검출 횟수를 통하여 초당 회전속도를 연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PCB회로(300)는 초당 적정회전수(311)와 연산정보가 저장된 일반적인 메모리(310)와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위상제어를 통해 CPU(330)의 제어에 따라서 적정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11)에 공급하는 일반적인 트라이악(320) 및 자력감지센서(200) 및 메모리(310)와 연결되어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CPU(330)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PCB회로(300)는 CPU(330)가 현재 작동중인 믹서기의 회전수를 통하여 초당 회전 수를 연산한 후, 적정회전수(311) 이하 또는 이상일 때에 모터(11)에 공급하는 전력 양을 조절하여, 모터(11)의 출력에 의해서 적정회전수(311)와 근접하게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CPU(330)는 자력감지센서(200)에서 검출된 자력의 검출횟수를 초당 분할하여 초당 회전수로 연산(회전속도)하는 제1단계(S1)를 진행한 후, 메모리(310)에 저장된 초당 적정회전수(311)와 대비하여, 적정회전수(311) 이상일 경우에는,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낮추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고, 적정회전수(311) 이하일 경우에는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높이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는 제2단계(S2)가 반복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상의 믹서기가 구동되는 회전속도는 13000 ~ 15000rpm 이지만, 본 고안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PCB회로(300)의 메모리(310)에는 샤프트(12) 즉, 믹서날(21)이 초당 10회전(600rm)이 적정회전수(311)로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초당 적정회전수(311)가 1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토마토를 가공할 경우, 자석(100)에 의해서 샤프트(또는 믹서날)의 자력이 자력감지센서(200)에 감지되고, 이 감지된 자력의 검출 횟수가 제1단계(S1)에 의해서 PCB회로(300)에 전달되어 CPU(330)에 의해서 초당 회전수(회전속도)로 연산 된다.
이때, 초기 가공시에는 가공물에 의한 부하로 인하여 회전 속도가 저하됨으로써, 초당 회전수가 7이라고 가정할 경우에는 제2단계(S2)에 의해서 CPU(330)는 그 초당 회전수와 메모리(310)에 저장된 적정회전수(311) 10과 대비하여 현재 회전수가 적정회전수(311)보다 낮은 상태임을 판단하여,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이 서서히 증대되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고, 그 트라이악(320)에 의해서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이 서서히 증대되어 모터(11)의 출력이 향상되어 회전속도가 증대됨으로써, 적정회전수(311)에 서서히 근접하게 된다,
그 후, 초당 회전수가 적정회전수(311)와 동일하게 될 경우, CPU는 현재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 양이 유지되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적정회전수(311)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서서히 증대시키는 것으로, 급작스런 출력향상에 의한 소음 및 내구력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가공이 진행되어 중기 또는 후기 가공시에는 가공물이 분쇄됨으로써 부하가 매우 낮아지게 되어 초당 회전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부하가 낮아진 경우와 반대로 작동하여 모터(11)의 출력을 낮추어 적정회전수(311)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은 가공물의 상태 등의 작동환경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설정된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조율됨으로써, 고속회전에 의한 소음 및 내구성 저하를 실시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CPU(330)를 자력감지센서(200)에서 검출된 회전수를 제공받아 작동회전속도로 연산한 후, 메모리(310)에 저장된 적정회전속도와 작동회전속도를 대비하여 회전속도가 동일할 경우에는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이 유지되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작동회전속도와 적정회전속도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적정회전속도를 100%로 하여 작동회전속도와의 차이 값(%)을 연산한 후, 작동회전속도가 적정회전속도 이상인와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이상일 경우에는 차이 값(%) 만큼 모터(11)에 제공되는 전력 양을 감소시키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이하일 경우에는 차이 값(%) 만큼 모터(11)에 제공되는 전력 양을 증대시키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무방하다.
즉, 필요한 전력 양만을 산출하여 모터(11)에 공급함으로써, 적정회전속도 이상의 회전속도를 배제하여 소음 및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메모리(310)에는 초당 안전회전수(312)와 안전시간(313)이 더 저장되고, CPU(330)는 상기 제1단계(S1)와 제2단계(S2) 사이에 메모리(310)에 저장된 안전회전수(312)와 현재 초당 회전수와 대비하여 현재 초당 회전수가 안전회전수(312) 이상일 경우에는 적정회전수(311)와 현재 초당 회전수와 대비하는 제3단계(S3)와, 상기 현재 초당 회전수가 안전회전수(312) 이하일 경우에는 그 안전회전수(312) 이하로 회전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는 제4단계(S4) 및 그 측정된 시간을 메모리(310)에 저장된 안전시간(313)과 대비하여, 안전시간(313)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실시 예에서의 제2단계(S2)에 의해서 전력양이 증대되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고, 안전시간(313)을 초과하는 순간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트라이악(330)을 제어하는 제5단계(S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현재 회전 수가 안전회전수(312)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실시 예에서의 제3단계(S3)가 진행된다.
상기 메모리(310)와 CPU(330)에 대하여 실시 예를 통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310)에는 적정회전수(311) 값이 10(회전), 안전회전수(312) 값이 3(회전), 안전시간(313) 값이 5(초)로 저장된 상태에서, 현재 믹서날(21)이 초당 2회전될 경우, 자석(100)에 의해서 샤프트(또는 믹서날)의 자력이 자력감지센서(200)에 감지되고, 이 감지된 자력의 검출 횟수가 PCB회로(300)에 전달되어 CPU(330)의 제1단계(S1)에 의해서 초당 회전수(회전속도) 2로 연산 된다.
이때, CPU(330)는 제3단계(S3)에 의해서 그 초당 회전수와 메모리(310)에 저장된 안전회전수(312)와 현재 초당 회전수를 대비하여 현재 회전수가 안전회전수(312)보다 이하인 상태임을 판단되어, 제4단계(S4)에 의해서 안전회전수(312)보다 낮은 상태로 회전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되고, 그 후, 제5단계(S5)에 의해서 메모리(310)에 저장된 안전시간(313)과 대비된 후, 안전시간(313)을 초과하는 순간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트라이악(330)을 제어되어, 모터(11)의 작동이 중단된다.
한편, 안전시간(313) 이하일 경우에는 제2단계(S2)에 의해서 메모리에 저장된 정정회전수(311)와 현재 회전수가 대비되어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증대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모터(11)를 과부하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증대시킴에도 불구하고 회전속도가 상승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모터
12 : 샤프트 13 : 구동클러치
13a : 끼움돌출부 13b : 걸림돌기
13c : 고정홈 21 : 믹서날
22 : 연동클러치 100 : 자석
110 : 고정홈 200 : 자력감지센서
300 : PCB회로 310 : 메모리
311 : 적정회전수 312 : 안전회전수
313 : 안전시간 320 : 트라이악
330 : CPU 400 : 고정수단

Claims (7)

  1.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샤프트(12) 끝단에 구동클러치(13)가 구성되고, 용기(20)에 설치된 믹서날(21)의 연동클러치(22)가 구동클러치(13)와 결합하여 믹서날(21)이 회전되는 믹서기에 있어서,
    샤프트(12)에 설치되어 자력을 방출하는 자석(100)과;
    그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자석의 자력을 검출하여 샤프트의 회전수를 PCB회로(300)에 제공하는 자력감지센서(200)와;
    상기 자력감지센서(200)에서 제공받은 회전수를 저장된 적정회전수(311)와 대비한 후, 모터(11)에 제공되는 전력 양을 위상제어로 조절하여 모터(11)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적정회전수(311)와 동일한 회전수로 동작하도록 하는 PCB회로(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클러치(13)는 샤프트(12)에 끼움되는 끼움돌출부(13a)가 형성되고, 그 끼움돌출부(13a)에 자석(100)이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3. 제 2항에 있어서,
    끼움돌출부(13a)의 측면에는 걸림돌기(13b)가 형성되고, 그 끼움돌출부(13a)의 끝단의 표면에는 고정홈(13c)이 형성되며,
    자석(100)은 그 끼움돌출부(13a)에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되, 안쪽 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3b)와 대응하는 걸림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3c)에 설치되어 자석(100)을 구동클러치(13)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4. 제 1항에 있어서,
    PCB회로(300)는 적정회전수(311)가 설정된 메모리(310)와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위상제어를 통한 제어에 따라서 적정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11)에 공급하는 트라이악(320) 및 자력감지센서(200) 및 메모리(310)와 연결되어, 적정회전수(311)와 동일하게 작동되도록 모터(11)에 전력을 공급하는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는 CPU(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5. 제 4항에 있어서,
    CPU(330)는 자력감지센서(200)에서 검출된 회전수를 초당 회전수로 연산하는 제1단계(S1)와, 그 제1단계(S1)를 거친 후, 메모리(310)에 설정된 적정회전수(311)와 대비하여, 적정회전수(311) 이상 또는 이하로 회전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적정회전수(311)로 회전되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여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조절하는 제2단계(S2)를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6. 제 1항에 있어서,
    PCB회로(300)는 적정회전수(311)와 안전회전수(312) 및 안전시간(313)이 저장된 메모리(310)와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위상제어를 통한 제어에 따라서 적정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11)에 공급하는 트라이악(320) 및 자력감지센서(200) 및 메모리(310)와 연결되어 적정회전수(311)와 동일하게 작동되도록 모터(11)에 전력을 공급하는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되, 안전회전수(312) 이하로 작동되는 시간이 안전시간(313)을 초과할 경우 작동이 멈추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는 CPU(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7. 제 6항에 있어서,
    CPU(330)는 자력감지센서(200)에서 검출된 회전수를 초당 회전수로 연산하는 제1단계(S1);
    그 제1단계(S1)를 거친 후, 메모리(310)에 저장된 안전회전수(312)와 현재 초당 회전수와 대비하여 현재 초당 회전수가 안전회전수(312) 이상일 경우에는 적정회전수(311)와 현재 초당 회전수와 대비하는 제3단계(S3);
    그 제3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현재 초당 회전수가 안전회전수(312) 이하일 경우에는 그 안전회전수(312) 이하로 회전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는 제4단계(S4);
    그 제4단계(S4)를 거친 후, 측정된 시간을 메모리(310)에 저장된 안전시간(313)과 대비하여, 안전시간(313)을 초과하는 순간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트라이악(330)을 제어하고, 안전시간(313) 이하일 경우에는 제2단계(S2)로 진입하는 제5단계(S5);
    안전시간(313) 이하일 경우, 메모리(310)에 설정된 적정회전수(311)와 대비하여, 적정회전수(311) 이상 또는 이하로 회전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적정회전수(311)로 회전되도록 트라이악(320)을 제어하여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조절하는 제2단계(S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KR2020120001014U 2012-02-10 2012-02-10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KR200470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14U KR200470059Y1 (ko) 2012-02-10 2012-02-10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14U KR200470059Y1 (ko) 2012-02-10 2012-02-10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420U Division KR200478377Y1 (ko) 2013-07-03 2013-07-03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55U true KR20130004955U (ko) 2013-08-20
KR200470059Y1 KR200470059Y1 (ko) 2013-11-25

Family

ID=5074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14U KR200470059Y1 (ko) 2012-02-10 2012-02-10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455A (ko) * 2014-12-01 2016-06-09 최승민 전기믹서기의 작동 모드 전환 시스템
CN113854873A (zh) * 2020-06-30 2021-12-31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成本低的低转速高扭矩输出料理机
KR20230011502A (ko) * 2016-07-20 2023-01-20 블릭스 리미티드 일회용 식품 준비 용기 어셈블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173A (ko) 2018-03-20 2019-09-30 유순기 분쇄기 또는 착즙기와 같은 가전제품을 위한 two-speed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675Y1 (ko) * 1998-12-16 2001-05-02 조광호 믹서유니트
KR200188069Y1 (ko) 2000-01-28 2000-07-15 김현태 믹서기의 회전검출장치
KR20030029322A (ko) * 2001-10-06 2003-04-14 임재열 자력을 이용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한 믹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455A (ko) * 2014-12-01 2016-06-09 최승민 전기믹서기의 작동 모드 전환 시스템
KR20230011502A (ko) * 2016-07-20 2023-01-20 블릭스 리미티드 일회용 식품 준비 용기 어셈블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854873A (zh) * 2020-06-30 2021-12-31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成本低的低转速高扭矩输出料理机
CN113854873B (zh) * 2020-06-30 2023-08-18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成本低的低转速高扭矩输出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059Y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4981U (ko)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KR200470059Y1 (ko) 회전속도 조절 믹서기
CN213616506U (zh) 电动工具
US9866153B2 (en) Motor-driven appliance
CN110281121B (zh) 电动工具
US20130049643A1 (en) Electric power tool
US20150042254A1 (en) Motor- driven appliance
US7417389B2 (en) Speed control for an electric motor
ES2313125T3 (es) Aparato electrodomestico de preparacion de alimentos previsto para estar en modo de espera y reactivo.
US20130068491A1 (en) Electric power tool
JP4916374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5957897B2 (ja) チェンソー
JP4828851B2 (ja) 空気圧縮機
US10130085B2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WO2016042696A1 (ja) 天井扇風機
JP6837842B2 (ja) 半導体スイッチ制御装置
JP4925359B2 (ja) マッサージ機
US20200130127A1 (en) Electric tool
DK1560319T3 (da) Kollektorlös jævnströmsmotor
JP2011020205A (ja) 携帯用切断機
WO200900804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61821B2 (ja) タップ切換器用電動操作装置およびタップ切換方法
US11527971B2 (en)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DC brush motor
KR20130031728A (ko) Bldc 모터의 센서리스 제어방법
US20230137643A1 (en) Shears with a mechanical end s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