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24U -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24U
KR20130004924U KR2020120000974U KR20120000974U KR20130004924U KR 20130004924 U KR20130004924 U KR 20130004924U KR 2020120000974 U KR2020120000974 U KR 2020120000974U KR 20120000974 U KR20120000974 U KR 20120000974U KR 20130004924 U KR20130004924 U KR 201300049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ase
electromagnetic wave
presen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717Y1 (ko
Inventor
이준갑
김성미
이다혜
이창윤
Original Assignee
이준갑
김성미
이다혜
이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갑, 김성미, 이다혜, 이창윤 filed Critical 이준갑
Priority to KR2020120000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1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및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주머니 속에 들어가는 크기의 장치로서 모바일 기기, 휴대용 기기,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등으로 통용되고 있는 모바일 장치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모바일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한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케이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면에 안치홈을 형성하고 전자파 차단재를 안치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전자파 차단재가 안치되는 안치홈 안쪽으로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케이스 바깥쪽으로 돌출부를 형성함으로 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 처리하여 모바일 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The electromagnetic waves interception case which has a mobile system shocking relaxation func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및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주머니 속에 들어가는 크기의 장치 또는 디지털 교과서(Digital Textbook)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휴대용 기기,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등으로 통용되고 있는 모바일 장치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모바일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한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주머니에 쏙 들어갈 만한 크기의 컴퓨터 장치인 스마트폰 및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mobile 裝置)는 3G 통신기술의 발달로 날로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모바일 장치들의 경우 가벼우면서도 얇고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고가의 제품들이어서 소비자들은 이들 모바일 장치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코자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예로는 주머니형,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한 케이스형 등이다.
특히 연질 합성수지 케이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452677호(2011.03.14.)의 '휴대단말기 케이스'로서 휴대단말기와의 탈착 편리성을 개선한 제품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452680호(2011.03.14.)의 '휴대기기 케이스'와 같이 휴대기기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 20-2011-0004307호(2011.05.02.)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같이 휴대폰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한 커버를 적용한 구성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바일 장치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는 단순히 모바일 장치를 감싸는 극히 단순한 기능성 외에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때 다량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연구결과 등이 여러 매체를 통해서 보고되고 있으나, 모바일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의 차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큰 성과를 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0452677 Y1 2011.03.14. KR 200452680 Y1 2011.03.14. KR 2020110004307 U 2011.05.02.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가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모바일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모바일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한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의 내면에 안치홈을 형성하고 전자파 차단재를 안치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자파 차단재가 안치되는 안치홈 안쪽으로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케이스 바깥쪽으로 돌출부를 형성함으로 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 처리하여 모바일 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에 의하면 모바일 장치의 외관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성과 아울러 내장되어 있는 전자파 차단재로 모바일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상당히 차단하여 인체로의 전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와 모바일 장치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을 완충공간에서 충분히 완충하여 모바일 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 이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손으로 파지시 손바닥 쪽에 돌출부가 접지되어 파지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고, 손가락 위에 모바일 기기를 올려서 사용할 때 손가락이 돌출부에 걸리는 상태가 되므로 안정감 있는 안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의 측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1)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넷북(Net book), 디지털 교과서(Digital Textbook)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100)에 결합하여 이들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케이스(1)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모바일 장치(100)의 측면(101)을 감싸는 측벽(3)에는 모바일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102)들이 노출되도록 조작 구멍(3a)을 형성하며, 케이스(1)의 바닥판(2)에는 모바일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103)가 노출되도록 렌즈용 구멍(2a)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1)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연질 합성수지(우레탄 등)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상의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1)의 구성을 개량 고안하여 모바일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최소화 하는 것을 첫 번째 과제로 하고,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모바일 장치(100)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두 번째 과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 과제인 전자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1)의 바닥판(2)과 모바일 장치(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트상의 전자파 차단제(4)를 삽입토록 한다.
전자파 차단제(4)는 얇은 박판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토록 하며, 바람직한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10297호(1997.01.24.공개)호에서 제공하는 "유해전자파 차폐 및 흡수안감" 등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기타 알려진 다양한 재질의 전자파 차단제를 시트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서는 전자파 차단제(4)의 삽입을 위해서 케이스(1)의 바닥판(2)에 안치홈(5)을 형성하여 전자파 차단제(4)가 돌출 없이 내입상태로 안전하게 안치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전자파 차단제(4)에는 바닥판(2)에 밀착 상태로 둘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전자파 차단제(4)의 이면에 접착층(6)을 두어 바닥판(2)에 부착시켜 안정된 고정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자파 차단제(4)를 삽입할 경우 모바일 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전화통화나 문서작업 등을 행할 때 모바일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신체(손)로 전달되는 것을 전자파 차단제(4)가 상당량 차단하게 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자파 차단제(4)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안치홈(5)의 내측으로 완충공간(7)을 형성한다.
상기 완충공간(7)을 형성할 때 케이스(1)의 바닥판(2)이 얇아지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바닥판(2)의 배면으로 돌출부(8)를 형성한다. 돌출부(8)의 돌출 정도에 따라 완충공간(7)이 폭이 결정되며, 개략 2~3mm 정도로 형성하여 손가락에 돌출부(8)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완충공간(7)을 형성할 경우 외부 충격이 있을 때 밀폐된 완충공간(7)이 에어챔버와 같은 완충 역할을 하여 외부충격을 흡수 처리하므로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모바일 장치(1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완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돌출부(8)를 형성할 경우 모바일 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할 경우 돌출부(8)가 손바닥에 걸리게 되므로 파지 안전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손가락 위에 모바일 장치(100)를 올려 사용하는 경우 돌출부(8)가 손가락에 걸리게 되므로 안정된 안치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한 모바일 장치(100)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완충공간(7)에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9) 등을 내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적용된 모바일 장치(100)를 주머니 등에 보관할 때 케이스(1)의 바닥판(2)이 신체 쪽으로 위치되도록 보관함으로 해서 보관중 걸려오는 전화 등으로 인해 전자파가 발생하더라도 전자파가 직접적으로 인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케이스 2:바닥판
2a:렌즈용 구멍 3:측벽
3a:조작 구멍 4:전자파 차단제
5:안치홈 6:접착층
7:완충공간 8:돌출부
9: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100:모바일 창치
101:측면 102:단자
103:카메라 렌즈

Claims (2)

  1. 모바일 장치(100)의 배면 쪽에서 끼워지도록 전방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한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와 모바일 장치(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트상의 전자파 차단제(4)를 삽입하되,
    상기 전자파 차단제(4)는 케이스(1)의 바닥판(2)에 형성된 안치홈(5)에 안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제(4)가 안치되는 안치홈(5)의 내측으로 완충공간(7)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바닥판(2) 배면으로 완충공간(7)에 부합하는 돌출부(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KR2020120000974U 2012-02-08 2012-02-08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KR200468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74U KR200468717Y1 (ko) 2012-02-08 2012-02-08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74U KR200468717Y1 (ko) 2012-02-08 2012-02-08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24U true KR20130004924U (ko) 2013-08-19
KR200468717Y1 KR200468717Y1 (ko) 2013-08-29

Family

ID=5139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974U KR200468717Y1 (ko) 2012-02-08 2012-02-08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552A (en) * 2017-04-11 2018-10-24 Little Linda Mobile mobil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28B1 (ko) * 2009-03-11 2009-11-27 성민정 전자파 차단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58135Y1 (ko) * 2011-01-14 2012-01-20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통신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552A (en) * 2017-04-11 2018-10-24 Little Linda Mobile mo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17Y1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3629B2 (en) Protective imple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001752B1 (ko) 스마트폰용 보호장치
KR20140035620A (ko)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TW201444444A (zh) 具減震功能的可攜帶型電子裝置保護殼
CN205232283U (zh) 电子产品的防摔外壳
NO20010308L (no) Displaybeskyttelse
KR101693120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200464242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263014B1 (ko) 에어 쿠션이 장착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68717Y1 (ko)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KR200465844Y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70119118A1 (en) Convertible Lanyard Case for Personal Electronics
CN208241726U (zh) 一种通讯设备的防摔保护装置
CN206212097U (zh) 电子设备保护装置及手机
CN204355483U (zh) 具有冲击缓冲保护结构的可携式电子装置
KR101570528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CN209643120U (zh) 一种防水抗震的通讯配件保护外壳
KR101433009B1 (ko)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60085502A (ko)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의 모서리 케이스
CN204560071U (zh) 电子产品屏幕保护装置
CN108174006A (zh) 防止手机摔坏的保护装置
GB2493014A (en) Protection Corner For Portable Device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KR10179447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220079046A (ko) 휴대하기 편하도록 부피를 최소화시킨 범퍼와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