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42Y1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42Y1
KR200464242Y1 KR2020100008345U KR20100008345U KR200464242Y1 KR 200464242 Y1 KR200464242 Y1 KR 200464242Y1 KR 2020100008345 U KR2020100008345 U KR 2020100008345U KR 20100008345 U KR20100008345 U KR 20100008345U KR 200464242 Y1 KR200464242 Y1 KR 200464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in body
case
side wall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165U (ko
Inventor
송주일
Original Assignee
송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일 filed Critical 송주일
Priority to KR2020100008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4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BAR) 타입의 단순 형태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덧씌워지는 보호용 케이스로서, 쉽게 탈착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 단말기와 케이스 사이에 간극을 두어 외관을 확실히 보호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형의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을 보다 탁월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소프트한 재질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과 보조 케이스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한 휴대 단말기 외관의 파손 및 흠집 발생을 차단하고, 외부 충격이 휴대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ASE OF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BAR) 타입의 단순 형태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덧씌워지는 보호용 케이스로서, 쉽게 탈착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 단말기와 케이스 사이에 간극을 두어 외관을 확실히 보호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점차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전자 부품들이 집적화, 소형화되어 개인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휴대 단말 장치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더형 휴대폰, 바형 휴대폰, 슬라이드형 휴대폰, MP3플레이어, CD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휴대용 소형 TV, 휴대용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내비게이션, GPS수신기 등의 휴대 단말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단말 장치들은 가격이 고가이고, 외관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외관 디자인에 흠집, 스크래치, 벗겨짐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이 단말 장치들은 내부에 첨단의 정밀 부품들이 사용되고 있어, 소형화된 단말 장치를 자칫 떨어뜨리거나 하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쉽게 고장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말기는 디자인, 휴대 편의성 측면에서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약한 재질의 하우징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대부분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외부 충격에 약하고 흠집이 쉽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말기 하우징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관을 적절히 꾸미기 위해 단말기 하우징의 외부에 견고한 별도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와 외부의 하우징을 보호하고, 독특한 개성과 미감을 유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본체 및 디스플레이어의 결합, 개폐방식에 따라 폴더형(FOLDER TYPE), 플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스윙형(SWING TYPE), 복합형 또는 바형(BAR TYPE)으로 그 형상을 분류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의 출시와 함께, 바형(BAR TYPE) 단말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바형의 휴대 단말기도 편리한 휴대를 모도하며, 외관의 긁힘과 외부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케이스를 필요로 하는데, 그 형상적 특성상 휴대 단말기에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방법이 쉽지 않다.
이에 실용신안 등록 제437885호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고안하여, 바형의 휴대 단말기에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스는 측벽 사이에 있는 텐션용 절개홈을 사용하여, 단순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바형의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다소 미흡하고, 단말기와 케이스 사이에 낀 이물질에 의한 흠집 발생에 대한 대비가 없어, 보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형의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보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프트한 재질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 지지되는 부분에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과 보조 케이스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한 휴대 단말기 외관의 파손 및 흠집 발생을 차단하고, 외부 충격이 휴대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바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 및 탄성에 의한 가역적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측벽의 단부에는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방 또는 전방을 감싸며 접촉되면서,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홈에는: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절개홈을 채우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 또는 상기 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홀은 테두리를 따라,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홀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홀테두리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 또는 외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측방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홈, 및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홈이 합쳐져, 상기 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안쪽으로 모아지는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홈에는: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절개홈을 채우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완충부는 같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바형의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을 보다 탁월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소프트한 재질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과 보조 케이스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한 휴대 단말기 외관의 파손 및 흠집 발생을 차단하고, 외부 충격이 휴대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바형의 휴대 단말기와 본 고안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외관을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측벽 절개홈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완충부가 절개홈에 구비되는 형상 및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테두리부가 측벽에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 구성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바형의 휴대 단말기와 본 고안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는 곡면 외관을 갖는 직사각형의 바형, 막대형의 단순한 외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후면측에 부착되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케이스(100)는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하고 있다.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0)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본체(110)를 구비하고, 본체(110)의 사방 단면에는 곡면으로 절곡되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10)및 측벽(120)은 견고하고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측벽(120)이 형성하는 외곽의 모서리 부분에는 절개홈(180)이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절개홈(180)은 측벽(120) 중 좌우측벽과 상하측벽이 상호 만나는 부분에 일부가 절개되는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모서리에는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절개홈(180)은 측벽(120)이 내외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10)가 측벽(120)을 외측으로 밀면서, 본체(110) 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종래에는 측벽(120)의 단부에 걸림턱을 두어 휴대 단말기(10)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깥에서 잡아주게 하였는데, 본 고안에서는 걸림턱 대신에, 측벽(120)과는 다른 재질로 된 테두리부(130)를 일체화하여 구성한다.
측벽(120)의 단부 측에는 전체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부(130)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테두리부(13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이 쿠션감이 있고, 물렁거리는 연질, 탄성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테두리부(130)는 다양한 공지의 사출, 접착 방법을 통해 측벽(120)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며, 안쪽으로 내입되도록 단부측으로 연장될수록 휘어지게 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10)의 전면까지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절개홈(180)에는 상기한 테두리부(130)와 같이 쿠션감이 있고, 물렁거리는 탄성의 소재를 사용하여 채워 넣어, 양측의 측벽(120)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완충부(140)를 구성한다. 완충부(140)는 절개홈(180)으로 인해 보다 유동적인 측벽(120)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측과, 케이스(100) 바깥측에 대해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 등을 한다.
케이스(100)에는 본체(110) 측에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홀(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120)측에도 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60)(170)에도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이 쿠션감 있고, 물렁거리는 연질, 탄성의 재질을 테두리에 구비하는 홀테두리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외관을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상하, 좌우는 일방으로 휘어져 연장되어 측벽(120)을 형성하고, 측벽(120)의 단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부(130)가 형성된다.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3개의 절개홈(180)에는 각각 완충부(140)가 채워져 결합되어 있고, 완충부(140)는 테두리부(130)와 일체로 연결되어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 측에도 휴대 단말기(10)의 사양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를 위한 홀(160)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20)에도 조작 버튼을 위한 홀(170)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120) 측에 형성되는 홀(170)은 측벽(12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측벽(120)과 테두리부(130)가 만나면서 형성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완충부(140)는 본체(110)가 위치하는 저면에 까지도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케이스(100)를 수평하게 놓았을 때, 완충부(140)가 본체(110)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되며 본체(110)를 이격시켜, 본체(1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부(130) 역시 측벽(120)의 단부측을 둘러 형성됨으로써, 케이스(100)를 엎어 놓았을 때, 테두리부(130)가 휴대 단말기(10) 보다 먼저 바닥에 닿게 되면서, 휴대 단말기(10)를 보호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B로 표시된 본 고안의 측벽 절개홈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측벽(120)의 모서리 부분에는 절개홈(180)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홈(180)은 측벽(120)에 형성되어 본체(110)에 까지 연장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110) 부분에 까지도 일정 부분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만나는 측벽(120)이 붙어 있으면, 측벽(120)의 탄성적 움직임이 쉽지 않으나, 이러한 절개홈(180)으로 인해 측벽(120)의 움직임이 비교적 자유롭게 된다. 본체(110) 및 측벽(120)은 플라스틱, 아크릴과 같이 딱딱하고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b)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홈(180) 내에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과 같은 쿠션감 있고 소프트한 탄력성 재질로 완충부(140)를 채워 넣고, 측벽(120)의 상부에는 테두리부(130)를 형성한다. 완충부(140)는 양측의 측벽(120)을 서로 탄력있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외측으로 돌출되며, 지지하는 역할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완충부가 절개홈에 구비되는 형상 및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절개홈(180)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b)는 완충부(140)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c)는 휴대 단말기(10)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a)와 같은 절개홈(180)에, (b)와 같이 완충부(140)가 구비되되, 완충부(140)는 절개홈(180)의 내부를 채우는 채움부(142)가 절개홈(180)을 채우면서, 측벽(120)의 사이 공간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채움부(142)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144)를 구비하여 측벽(120) 및 본체(110)보다 더 내입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채움부(142)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외측 돌출부(146)를 구비하여 측벽(120) 및 본체(110)보다 더 돌출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c)와 같이 완충부(140)는 내측으로 h1 높이만큼 더 돌출되거나, 외측으로 h2 높이만큼 더 돌출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100)에 끼워지는 휴대 단말기(10)는 내측 돌출부(144)에 먼저 접촉, 지지되고, 본체(110)와는 h1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이 본체(110) 자체가 휴대 단말기(10)의 외면에 흠집을 발생시키거나, 본체(110)와 휴대 단말기(10) 사이에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상호간의 마찰과 압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100)를 떨어뜨려 본체(11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완충부(140)를 통해 완충되어 전달되므로, 휴대 단말기(10)의 파손,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측 돌출부(146)는 케이스(100)를 바닥에 놓았을 때, 본체(110)가 직접 바닥에 닿지 않도록 h2 만큼의 간격을 발생시키며, 외부 진동이나, 떨어뜨렸을 때의 충격이 휴대 단말기(10)에 도달하는 것을 감소시켜 준다.
도 7은 도 1의 A-A선 기준 단면으로, 본 고안의 테두리부가 측벽에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테두리부(130)는 측벽부(120)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데, 측벽부(120)에 결합되는 연장부(132)와 상부측으로 올 수록 안쪽으로 굽어지게 내입 형성되는 내입부(134)를 구비한다.
테두리부(130)가 고무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이 있고, 말랑말랑하며, 쿠션감 있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는 테두리부(130)에 의해 케이스(100) 내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테두리부(130)는 삽입된 휴대 단말기(10)의 테두리 부분을 견고하게 잡아주되, 내입부(134)가 휴대 단말기(10)의 전면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가 하측을 향하도록 바닥에 내려놓더라도, 테두리부(130)의 내입부(134)가 휴대 단말기(10)가 바닥에 직접 닿지 않도록 그 사이를 지지하게 된다.
(b)를 참조하면, 측벽(120)에 형성된 측벽홈(122)과 테두리부(130)에 형성된 테두리홈(136)이 서로 만나서 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바형 휴대 단말기 100 : 케이스
110 : 본체 120 : 측벽
130 : 테두리부 140 : 완충부
150 : 홀테두리부 160 : 홀
170 : 홀 180 : 절개홈

Claims (10)

  1. 바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 및
    탄성에 의한 가역적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의 단부에는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방 또는 전방의 일부을 감싸며 접촉되면서,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2. 삭제
  3. 바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 및
    탄성에 의한 가역적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홈에는: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절개홈을 채우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공간의 외측으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7. 바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측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 및
    탄성에 의한 가역적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 또는 상기 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홀은 테두리를 따라,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홀테두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홀테두리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벽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 또는 외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방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홈, 및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홈이 합쳐져, 상기 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안쪽으로 모아지는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에는:
    쿠션감이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절개홈을 채우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완충부는 같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20100008345U 2010-08-11 2010-08-11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4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45U KR200464242Y1 (ko) 2010-08-11 2010-08-11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45U KR200464242Y1 (ko) 2010-08-11 2010-08-11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65U KR20120001165U (ko) 2012-02-21
KR200464242Y1 true KR200464242Y1 (ko) 2012-12-18

Family

ID=4593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345U KR200464242Y1 (ko) 2010-08-11 2010-08-11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278A (ko) * 2015-11-30 2017-06-08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41223U (zh) * 2012-07-30 2013-03-27 李青明 一种手机保护套
KR101394288B1 (ko) * 2013-08-16 2014-05-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충격 보호 홀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80083200A (ko) * 2017-01-12 2018-07-20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95788Y1 (ko) * 2021-05-04 2022-08-18 주식회사 코집테크 슬라이딩 방식 카드 수납형 휴대폰 케이스
KR102423199B1 (ko) 2022-04-19 2022-07-21 주식회사 이디즌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885Y1 (ko) * 2007-08-08 2008-01-04 송태성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885Y1 (ko) * 2007-08-08 2008-01-04 송태성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278A (ko) * 2015-11-30 2017-06-08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KR101878982B1 (ko) * 2015-11-30 2018-07-16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65U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242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8770402B2 (en)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TWM520781U (zh) 保護殼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US9634712B1 (en) Mobile phone cover
KR20120003703U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229079B1 (ko)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CN102045969B (zh) 电子装置
CN203073377U (zh) 一种手机保护套
KR20120004714U (ko)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KR102273503B1 (ko)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KR200464126Y1 (ko) 분리형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US20140204506A1 (en) Bounc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bounc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20130003893U (ko) 휴대폰 케이스
JP3172683U (ja) 携帯用電子機器の保護カバー
KR1014032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KR20180001459U (ko)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CN203419418U (zh) 电子产品包装结构
KR200468717Y1 (ko) 모바일 장치용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단 케이스
KR101168008B1 (ko) 휴대단말기용 메탈범퍼케이스
TWI445480B (zh) 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