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714U -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714U
KR20120004714U KR2020100013210U KR20100013210U KR20120004714U KR 20120004714 U KR20120004714 U KR 20120004714U KR 2020100013210 U KR2020100013210 U KR 2020100013210U KR 20100013210 U KR20100013210 U KR 20100013210U KR 20120004714 U KR20120004714 U KR 201200047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junction
hard
sof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일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송주일
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일, 임창수 filed Critical 송주일
Priority to KR2020100013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714U/ko
Publication of KR20120004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BAR) 타입의 단순 형태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덧씌워지는 보호용 케이스로서, 쉽게 탈착이 가능한 동시에 견고한 외관을 갖도록 경질과 연질의 이종 재질을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구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을 보다 탁월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소프트한 재질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모두 갖춰지고,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두께를 조절하며 접합형성되도록 하여, 두께가 균일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CASE OF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BAR) 타입의 단순 형태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덧씌워지는 보호용 케이스로서, 쉽게 탈착이 가능한 동시에 견고한 외관을 갖도록 경질과 연질의 이종 재질을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구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점차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전자 부품들이 집적화, 소형화되어 개인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휴대 단말 장치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더형 휴대폰, 바형 휴대폰, 슬라이드형 휴대폰, MP3플레이어, CD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스마트폰, 휴대용 소형 TV, 휴대용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내비게이션, GPS수신기 등의 휴대 단말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단말 장치들은 가격이 고가이고, 외관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외관 디자인에 흠집, 스크래치, 벗겨짐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이 단말 장치들은 내부에 첨단의 정밀 부품들이 사용되고 있어, 소형화된 단말 장치를 자칫 떨어뜨리거나 하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쉽게 고장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말기는 디자인, 휴대 편의성 측면에서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 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약한 재질의 하우징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대부분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외부 충격에 약하고 흠집이 쉽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말기 하우징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관을 적절히 꾸미기 위해 단말기 하우징의 외부에 견고한 별도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와 외부의 하우징을 보호하고, 독특한 개성과 미감을 유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본체 및 디스플레이어의 결합, 개폐방식에 따라 폴더형(FOLDER TYPE), 플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스윙형(SWING TYPE), 복합형 또는 바형(BAR TYPE)으로 그 형상을 분류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의 출시와 함께, 바형(BAR TYPE) 단말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바형의 휴대 단말기도 편리한 휴대를 모도하며, 외관의 긁힘과 외부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케이스를 필요로 하는데, 그 형상적 특성상 휴대 단말기에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방법이 쉽지 않다.
이에 실용신안 등록 제437885호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고안하여, 바형의 휴대 단말기에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스는 측벽 사이에 있는 텐션용 절개홈을 사용하여, 단순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탄성을 갖는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었으므로, 경질 재료의 특성상 단말기의 외관에 긁힌 자국을 내거나, 흠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연질의 재료를 단말기 외측에 씌우는 방식이 출시되고 있으나, 연질 재료의 특성상 단말기의 외관에 강하게 밀착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이 약하여, 쉽게 벗겨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질 재료의 강한 고정력 및 견고성과, 연질 재료의 외관 보호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보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모두 갖춰지고,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두께를 조절하며 접합형성되도록 하여, 두께가 균일하고 외관이 미려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경질부 및 연질부의 접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질부는 본체부, 경질접합본체부 및 경질접합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질부는 측벽부, 연질접합측벽부 및 연질접합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 경질접합본체부 및 연질접합본체부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 연질접합측벽부 및 경질접합측벽부는 휴대 단말기의 상하좌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경질접합본체부 및 상기 연질접합본체부는 상호 마주보며 접합되고, 상기 경질접합측벽부 및 상기 연질접합측벽부는 상호 마주보며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부 및 상기 연질부는 이중 사출공법에 의해 접합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측방으로 상기 경질접합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경질접합본체부의 외측에는 각도를 이루거나 곡면형으로 굽어진 경질접합측벽부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방으로는 상기 연질접합측벽부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질접합측벽부의 하측에는 연질접착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경질접합본체부와 상기 연질접합본체부가 겹쳐지며 접합된 두께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하고, 상기 경질접합측벽부와 상기 연질접합측벽부가 겹쳐지며 접합된 두께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정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본체부; 및 휴대 단말기의 상하좌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종의 제1재질부 및 제2재질부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접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 접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상기 측벽부의 일측 각각에서 접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상기 측벽부의 일측 각각에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재질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재질부는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본체부측에 구비되는 본체접합부이거나, 상기 측벽부측에 구비되는 측벽접합부이거나, 또는 상기 본체접합부와 상기 측벽접합부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제1측벽부 및 제2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재질부는 상기 제1본체부, 상기 제1측벽부 및 상기 제1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재질부는 상기 제2본체부,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2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상호 접합되며,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재질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2재질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얇게 형성된 부분끼리 상호 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는 이중 사출공법에 의해 접합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에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을 보다 탁월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소프트한 재질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모두 갖춰지고,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두께를 조절하며 접합형성되도록 하여, 두께가 균일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와 본 고안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스를 재질별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 기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 기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4와 같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케이스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케이스를 평면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 구성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와 본 고안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S)는 곡면 외관을 갖는 직사각형(직육면체)의 바형, 막대형의 단순한 외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후면측에 부착되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케이스는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하고 있다.
케이스는 단말기(S)의 후방으로부터 감싸며 단말기(S)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방측으로부터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케이스는 2가지의 이종재질로 형성이 되는데, 플라스틱 소재와 같이 단단하면서도 탄성을 갖는 경질부(100)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물렁거리며 탄성을 갖는 동시에 움직임이 유동적인 연질부(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종의 재질은, 경질부, 연질부가 될 수 있으며, 제1재질, 제2재질로 청구항과 같이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2종류의 경질부(100)와 연질부(200)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하나의 케이스 외관을 구성하게 되는데, 그 형상은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스를 재질별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질부(100)는 단말기(S)의 후방 정면에 위치되는 경질본체부(110)를 구비하고, 그 측방으로는 접합부가 형성되는데, 자세하게는 접합본체부(120)와 접합본체부(120)의 외측으로는 꺾인 형태로 접합측벽부(130)가 형성된다.
이중 사출시 접합부에서 경질부(100)는 연질부(200)가 하나로 접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접합부는 접합되지 않는 다른 부분과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경질부(100)의 접합부의 두께를 줄이고, 연질부(200)의 접합부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두 부분이 합쳐진 두께가 접합되지 않는 부분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한다.
접합부는 본체부(110)측에 인접하여, 본체부(100)와 동일 평면 또는 거의 같은 평면 상에 위치되는 접합본체부(120)를 구비하거나, 측방측, 즉 본체부(100)와 수직되거나, 또는 경사지거나, 또는 라운드지거나, 또는 곡면으로 기울어져 단말기(S)의 측방측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측에 형성되는 접합측벽부(130)를 포함한다.
연질부(200)는 그 중심은 뚫려 있는 통공부(210)의 형상이 될 것이고, 사각 테두리를 따라 측벽부(240), 접합측벽부(230), 접합본체부(220)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접합측벽부(230)는 측벽측에, 접합본체부(220)는 수평한 형상으로 접합본체부(120)와 마주보는 평면 위치로 형성이 된다.
경질부(100)의 접합본체부(120)와 접합측벽부(130)는 각각 연질부(200)의 접합본체부(220)와 접합측벽부(230)와 마주보며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부(110)는 연질부(200)와는 겹쳐지지 않고, 측벽부(240)도 경질부(100)와는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질부(100)는 연질부(200)와 접합본체부(120, 220)에서 마주보며 일체로 상호 지지하고, 접합측벽부(130, 230)에서 마주보며 일체로 상호 지지하므로, 견고하게 고정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 접합본체부(120, 220) 없이, 접합측벽부(130, 230)만으로 상호 고정이 되거나, 접합측벽부(130, 230) 없이, 접합본체부(120, 220)만으로 상호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접합된 상태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도 3은 도 1의 B-B 기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A 기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경질부(100)의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연질부(200)가 위치되지 않고, 그 테두리 측에만 접합본체부(220)가 위치된다.
또한 측벽은 이중의 구조로, 내측에는 접합측벽부(230)가 위치되고, 외측에는 접합측벽부(130)가 위치되어 일체화 되어 있다. 다만 모든 외곽을 접합부로 구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3의 하측과 같이 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체를 연질의 측벽부(24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본체부(120, 220)의 일체화된 두께가 본체부(100)의 두께과 동일하거나 거의 같도록 하고, 접합측벽부(130, 230)의 일체화된 두께가 측벽부(24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거의 같도록 한다. 측벽부(240)의 상단에는 내입된 형상의 걸림부(242)가 구비되어, 단말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를 케이스에 끼울 때에, 경질부(100)가 끝나는 C-C 부분을 기준으로 화살표와 같이 유동되면서 측벽부(240)가 좌우로 벌어졌다가, 단말기가 안착되면 다시 내측으로 회복되면서 단말기를 감싸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경질부(100)의 본체부(110)의 외측, 접합본체부(120)가 시작되는 부분과, 접합본체부(120) 및 접합측벽부(130)가 만나는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의 움직임은 가능하겠으나, 연질재료의 특성상, 대부분 C-C 부분 및 그 윗부분의 움직임에 의해 단말기의 삽입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4와 같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합본체부(120, 220)와 접합측벽부(130, 230)의 배치 위치를 바꾸어, 바깥쪽이 경질부(100), 내측이 연질부(200)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연질부가 본체부(310), 접합본체부(320), 접합측벽부(330)를 구성하고, 경질부가 접합본체부(420), 접합측벽부(430), 측벽부(440)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케이스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케이스를 평면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경질부 및 연질부를 중심부와 테두리부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 외에, 상하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측에 제1재질부(500)로 경질부를 구비하고, 하측에 제2재질부(600)로 연질부를 구비할 수 있다(그 반대의 배치도 가능). 즉, 경질의 제1재질부(500)는 제1본체부(510)와 제1측벽부(540)를 갖고, 또한 각각 제1접합본체부(520)와 제1접합측벽부(530)를 구비하도록 하고, 연질의 제2재질부(600)는 제2본체부(610)와 제2측벽부(640)를 갖고, 또한 각각 제2접합본체부(620)와 제2접합측벽부(630)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 경우 하측의 제2재질부(600)는 유동성이 있으므로, 제1재질부(500) 측에 단말기(S)를 고정하고, 연질의 제2재질부(600) 부분을 변형시켜 감싸며 씌우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S : 단말기 100 : 경질부
110 : (경질)본체부 120 : 접합본체부
130 : 접합측벽부 200 : 연질부
210 : 통공 220 : 접합본체부
230 : 접합측벽부 240 : (연질)측벽부
242 : 걸림부 310 : (연질)본체부
320 : 접합본체부 330 : 접합측벽부
420 : 접합본체부 430 : 접합측벽부
440 : 측벽부 500 : 제1재질부
510 : 제1본체부 520 : 제1접합본체부
530 : 제1접합측벽부 540 : 제1측벽부
600 : 제2재질부 610 : 제2본체부
620 : 제2접합본체부 630 : 제2접합측벽부
640 : 제2측벽부

Claims (11)

  1.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경질부 및 연질부의 접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질부는 본체부, 경질접합본체부 및 경질접합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질부는 측벽부, 연질접합측벽부 및 연질접합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 경질접합본체부 및 연질접합본체부는 휴대 단말기의 정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 연질접합측벽부 및 경질접합측벽부는 휴대 단말기의 상하좌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접합본체부 및 상기 연질접합본체부는 상호 마주보며 접합되고,
    상기 경질접합측벽부 및 상기 연질접합측벽부는 상호 마주보며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 및 상기 연질부는 이중 사출공법에 의해 접합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방으로 상기 경질접합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경질접합본체부의 외측에는 각도를 이루거나 곡면형으로 굽어진 경질접합측벽부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방으로는 상기 연질접합측벽부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질접합측벽부의 하측에는 연질접착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경질접합본체부와 상기 연질접합본체부가 겹쳐지며 접합된 두께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하고,
    상기 경질접합측벽부와 상기 연질접합측벽부가 겹쳐지며 접합된 두께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5.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정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본체부; 및
    휴대 단말기의 상하좌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종의 제1재질부 및 제2재질부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접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 접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상기 측벽부의 일측 각각에서 접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상기 측벽부의 일측 각각에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질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재질부는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본체부측에 구비되는 본체접합부이거나,
    상기 측벽부측에 구비되는 측벽접합부이거나, 또는
    상기 본체접합부와 상기 측벽접합부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제1측벽부 및 제2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재질부는 상기 제1본체부, 상기 제1측벽부 및 상기 제1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재질부는 상기 제2본체부,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2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상호 접합되며,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재질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2재질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얇게 형성된 부분끼리 상호 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질부 및 상기 제2재질부는 이중 사출공법에 의해 접합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KR2020100013210U 2010-12-21 2010-12-21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KR201200047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10U KR20120004714U (ko) 2010-12-21 2010-12-21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10U KR20120004714U (ko) 2010-12-21 2010-12-21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14U true KR20120004714U (ko) 2012-06-29

Family

ID=4685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10U KR20120004714U (ko) 2010-12-21 2010-12-21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7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94B1 (ko) *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587232B1 (ko) *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94B1 (ko) *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587232B1 (ko) *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64235A1 (en) Cell phone protection case structure
US9507382B2 (en) Cover including glas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242481A1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TWM514711U (zh) 保護套
US9621696B2 (en) Casing and protective shell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45201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US20130058026A1 (en) Expansion device
KR20120001165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KR20120004714U (ko)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CN105530772A (zh) 保护套
KR101229079B1 (ko)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CN202818418U (zh) 手机趣味护角套
CN102045969B (zh) 电子装置
KR101059568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방수 케이스 조립 구조체
KR20047608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110006372U (ko) 휴대폰용 콤비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