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560U - 키높이 수납함 - Google Patents

키높이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560U
KR20130004560U KR2020120000375U KR20120000375U KR20130004560U KR 20130004560 U KR20130004560 U KR 20130004560U KR 2020120000375 U KR2020120000375 U KR 2020120000375U KR 20120000375 U KR20120000375 U KR 20120000375U KR 20130004560 U KR20130004560 U KR 201300045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torage box
main body
zi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도환
Original Assignee
삼광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글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광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0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560U/ko
Publication of KR20130004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made of a rigid frame with walls or door-leaves of texti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높이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납함에 수용되는 물품의 양에 따라 수납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공간의 공백을 최소화하여 물품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 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본체(10)와; 상기 수납함 본체의 상부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부 틀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1)에 복수 개의 축관(22)이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 본체의 측면(12)을 지지하도록 형상화된 측면프레임의 양측 절곡 단부가 상기 축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납함 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될 때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프레임부(20)와; 상기 측면(12)이 본체 상부(10a)와 본체 하부(10b)로 분리되고, 본체 상부와 본체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면(34)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 상부 및 본체 하부의 각 단부가 체결 또는 분리됨에 의해 측면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신축수단(30);으로 이루어진 키높이 수납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키높이 수납함{STORAGE BOX WITH HEIGHT CONTROL MEANS}
본 고안은 키높이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납함에 수용되는 물품의 양에 따라 수납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공간의 공백을 최소화하여 물품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 가능하게 한 키높이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함은 일상 생활에서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사용도에 따라서 이삿짐을 옮기는 곳에 사용하거나,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여 가정에서 물건을 정리할 경우에 사용하거나, 산업현장 또는 농업현장 등에서 생산물품 등을 수납할 경우에 사용하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은 수납함의 편리함과 다양한 활용도에 기인하여 종이재질, 목재, 플라스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 박스 형태의 수납함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외형이 딱딱한 고체로 이루어지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납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수납함에 물품을 수납하지 않을 경우), 수납함 자체를 별도로 보관할 때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어렵고, 특히 목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수납함의 경우에는 나사나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분해하여 보관하고 추후 다시 조립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분해나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수회를 접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얇게 접은 후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강도가 약하여 무거운 물품을 보관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의 수납함은 상부가 개방된 수납함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단순하게 덮는 구조로 이는 손쉽게 본체에서 이탈됨으로써 뚜껑의 손실이 잦고 먼지가 쉽게 내부로 침투되며 운반시 뚜껑이 위로 향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 내지 4와 같은 접이식 수납함이 제안되었다.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의 접이식 수납함은, 상부가 개방되고 타면은 막힌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본체의 바닥틀을 유지하는 바닥판이 개재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 테두리 내주연으로는 본체의 상측틀을 유지하는 프레임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부착되어 상기 노출된 프레임에 삽입공이 형성된 회동관이 고정되며, 양단부의 삽입부위가 내측으로 절곡된 ㄷ자 형상의 회동지지대가 상기 삽입공에 접이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뚜껑은 본체 일측의 상단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들은 수납함의 내부 수납공간이 일률적이고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수납함을 확장시켰을 때 수납공간을 더 넓게 형성할 수 없으므로 더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를 고려하여 수납함 높이를 높게 제조하는 경우 그 수납공간보다 적은 양의 물품만 보관하게 되면 물품이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수납 물품이 유동하여 흐트러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복수 개의 수납함을 여러 단으로 적층하면 빈 공간때문에 수납함 자체가 찌그러지거나 내려앉게 되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 보관이 비효율적이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43837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44554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2011-000754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4.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2011-000793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본 고안은 상기 특허문헌들이 내포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벼우면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납함을 접어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납함을 펼쳐서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납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키높이 수납함을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일측 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본체와; 상기 수납함 본체의 상부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부 틀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에 복수 개의 축관이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상화된 측면프레임의 양측 절곡 단부가 상기 축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납함 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될 때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프레임부와; 상기 측면이 본체 상부와 본체 하부로 분리되고, 본체 상부와 본체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면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 상부 및 본체 하부의 각 단부가 체결 또는 분리됨에 의해 측면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신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납함을 축소시키거나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함의 보관성과 운반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수납함을 확장시켜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 수납함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품 수납시 수납공간 내에 물품이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좀 더 많은 양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물품 양에 따라 수납함의 높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 개의 수납함을 적층하는 경우에도 수납함이 주저앉거나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프레임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을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배면 관측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신축 수단 작동 상태를 순서대로 보인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프레임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을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은 본체(10)와, 프레임부(20) 및 신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적어도 일측 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유연성을 가진 직물 소재로 제조되어 도 1과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쳐질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수납함 본체(10) 크기가 축소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지퍼(zipper)일 수 있으며, 수납함 본체(10)의 상면(11) 중에서 일부분에 구획된 개폐도어(111)를 개폐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폐도어(111)는 일부분이 상기 상면(11)과 직접 연결되며 나머지 부분은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110)을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면(11)과 체결/분리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개폐수단(110)의 체결을 해제하면 개폐도어(111)를 열어서 상면(11)이 개방된다.
또한, 수납함 본체(10) 내의 보관 물품 중 내부에 있는 것을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개폐수단을 수납함 본체(10)의 측면(12)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함 본체(10)의 측면(12) 중 일부분에 개폐도어(121)를 구획하고, 상기 개폐도어(121)의 일부분을 상기 측면(12)과 직접 연결하며 나머지 부분은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120)을 통해 측면(12)과 체결/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면 측면의 개폐수단(120)을 해제하여 개폐도어(121)를 열면 측면(12)이 개방된다.
상기 수납함 본체(10)를 들어 올리거나 운반할 때 용이성을 위해 수납함 본체(10)의 양쪽 측면에 손잡이(1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본체(10)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납함 본체(10)의 측면(12)에 투시창(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투시창(14)은 수납함 본체(10)의 상면(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납함 본체(10)가 유연성을 가진 직물 소재임을 고려하여 상기 투시창(14)도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20)는 상부프레임(21), 축관(22), 측면프레임(23)을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보조프레임(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1)은 수납함 본체(10)의 상부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부가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상부 틀을 형성하고, 상기 축관(22)은 원형 관 형태로 되어 복수 개가 상기 상부프레임(21)에 고정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3)은 대략 'ㄷ'자로 형상화되고, 한 쌍이 수납함 본체(10)의 마주보는 대향 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함 본체(10)의 양쪽 측면(12)을 지지한다. 상기 측면프레임(23)의 양측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절된 절곡 단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 단부(231)가 상기 축관(22)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수납함 본체(10)의 다른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측면프레임(23)과 동일한 구조로 보조프레임(24)이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보조프레임(24)의 양측 절곡 단부(241)가 축관(2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2와 같이 측면프레임(23)과 보조프레임(24)이 상부프레임(21)과 직각을 이룰 때 측면프레임(23)과 보조프레임(24)의 하단부가 수납함 본체(10)의 바닥면을 지지하게 되어 도 1과 같이 수납함 본체(10)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도 2에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측면프레임(23)과 보조프레임(24)을 회전시켜서 상부프레임(21)과 평행하게 하면 도 3과 같이 수납함 본체(10)를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배면 관측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신축 수단 작동 상태를 순서대로 보인 배면도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수단(30)은 수납함 본체(10)의 측면(12) 둘레에 마련되어 측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체 상부(10a)와 본체 하부(10b) 사이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납함 본체(10)의 측면(12)은 본체 상부(10a)와 본체 하부(10b)로 분리되어 있고, 본체 상부(10a)의 하단 둘레에 상부 지퍼(31)가 고정되고, 본체 하부(10b)의 상단 둘레에 하부 지퍼(32)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를 상호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의 전 구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더(33)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 내측에는 본체 상부(10a)와 본체 하부(10b)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면(34)이 구비되며, 상기 신축면(34)은 일정 폭으로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 지퍼(31)의 일측 단부(31a)와 하부 지퍼(32)의 일측 단부(32b)는 각각 본체 상부(10a)의 하단과 본체 하부(10b)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의 각 타측 단부는 상기 신축면(34)에 마련된 고정단부(3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5와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슬라이더(33)를 이동시켜서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를 점진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슬라이더(33)를 고정단부(35)까지 이동시키면 상부 지퍼(31)와 하부 지퍼(32)의 전 구간이 분리되는 동시에 본체 상부(10a)와 본체 하부(10b)는 신축면(34)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신축면(34)은 일정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폭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측면(12)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수납함 본체(10) 내부에 더 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 수납함의 배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신축수단(30)은 수납함 본체(10)의 측면에서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신축수단(30)의 슬라이더(33)를 이동시킴에 따라 수납함 본체(10)의 높이를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수납함 본체 10a... 본체 상부
10b... 본체 하부
11... 상면 110... 개폐수단
111... 개폐도어
12... 측면 120... 개폐수단
121... 개폐도어
13... 손잡이 14... 투시창
20... 프레임부 21... 상부프레임
22... 축관 23... 측면프레임
231... 절곡 단부 24... 보조프레임
241... 절곡 단부
30... 신축수단 31... 상부지퍼
31a... 일측단부 32... 하부지퍼
32b... 일측단부 33... 슬라이더
34... 신축면 35... 고정단부

Claims (7)

  1. 적어도 일측 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본체(10)와;
    상기 수납함 본체의 상부 내주연에 결합되어 상부 틀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1)에 복수 개의 축관(22)이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 본체의 측면(12)을 지지하도록 형상화된 측면프레임의 양측 절곡 단부가 상기 축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납함 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될 때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프레임부(20)와;
    상기 측면(12)이 본체 상부(10a)와 본체 하부(10b)로 분리되고, 본체 상부와 본체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면(34)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 상부 및 본체 하부의 각 단부가 체결 또는 분리됨에 의해 측면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신축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30)은, 상기 본체 상부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지퍼(31)와, 상기 본체 하부의 상단에 고정된 하부지퍼(32)와,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지퍼와 하부지퍼를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33)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지퍼의 일측 단부(31a) 및 하부지퍼의 일측 단부(32b)는 각각 본체 상부 하단 및 본체 하부 상단에 연결되고, 상부지퍼의 타측 단부 및 하부지퍼의 타측 단부는 신축면에 마련된 고정단부(35)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수납함 본체의 측면에서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지퍼로서 수납함 본체의 상면(11) 또는 측면(12) 중 일부분에 구획된 개폐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는 'ㄷ'자 형태의 측면 프레임(23) 또는 'ㄷ'자 형태의 보조프레임(24)이 수납함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본체(10)는 유연성을 가진 직물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본체(10)의 적어도 일측 면에 유연성을 가진 투명 소재의 투시창(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함.
KR2020120000375U 2012-01-16 2012-01-16 키높이 수납함 KR201300045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75U KR20130004560U (ko) 2012-01-16 2012-01-16 키높이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75U KR20130004560U (ko) 2012-01-16 2012-01-16 키높이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60U true KR20130004560U (ko) 2013-07-24

Family

ID=5135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375U KR20130004560U (ko) 2012-01-16 2012-01-16 키높이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56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9960A (zh) * 2018-07-03 2018-11-20 成都远大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养猪原料保存系统
KR20190044924A (ko) * 2017-10-23 2019-05-02 이재용 개인용 택배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924A (ko) * 2017-10-23 2019-05-02 이재용 개인용 택배함 장치
CN108839960A (zh) * 2018-07-03 2018-11-20 成都远大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养猪原料保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91233U (zh) 一种工具包
US10226108B2 (en) Collapsible containers
US20070257034A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compartments
US9301603B1 (en) Collapsible storage cabinet
US20060151583A1 (en) Folding collapsible rectangular storage box
AU2015203783A1 (en) Case
US9545137B2 (en) Foldable frame
CN205162201U (zh) 可压缩式行李箱
US6938789B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9585521B2 (en) Bread keeper
WO2017024287A1 (en) Multipurpose crate with legs
KR20130004560U (ko) 키높이 수납함
US20210347555A1 (en) Decorative tree storage container
CA2959825A1 (en) Nestable hamper with multi-segmented lid
US20190166967A1 (en) Luggage article frame structure
US20180266047A1 (en) Totable container with enhanced capacity lid
CN205624911U (zh) 可变大的行李箱
US20040251795A1 (en) Collapsible mobile cabinet for wardrobe
US20090289069A1 (en) Collapsible covered storage container
US20210361064A1 (en) Collapsible Closet Assembly
KR200471488Y1 (ko) 다기능 체결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수납함 및 이를 구비한 거치대
CN203646670U (zh) 一种工具箱
US20120222983A1 (en) Stackable containers
KR20120079311A (ko) 수납박스
US20140326718A1 (en) Foldable storag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