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305A -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 Google Patents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305A
KR20130004305A KR1020127024708A KR20127024708A KR20130004305A KR 20130004305 A KR20130004305 A KR 20130004305A KR 1020127024708 A KR1020127024708 A KR 1020127024708A KR 20127024708 A KR20127024708 A KR 20127024708A KR 20130004305 A KR20130004305 A KR 2013000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eactor
primary
pressure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꼴라 또베롱
파브리스 벤티보글리오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Publication of KR2013000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1/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 F02C1/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the working fluid being heated indirectly
    • F02C1/05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the working fluid being heated indirect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ource of heat, e.g. using nuclear or solar energ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02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 G21C1/028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cooled by a pressurised coolan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8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Additions to the reactor coolants, e.g. against moderator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12) 를 거쳐, 제 1 열 교환기 (14) 를 거쳐, 그리고 블로어 (16') 를 거쳐 통과하는 가스를 함유하는 1 차 회로 (10) 를 포함하는 전력 생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응축 불가능한 가스를 함유하는 2 차 회로 (17') 는 제 1 열 교환기 (14) 를 거쳐, 그리고 동일한 샤프트 (24') 상에 피팅된 터빈 (18) 과 압축기 (22) 를 거쳐 통과한다. 블로어는 이 샤프트에 의해 구동된다. 1 차 및 2 차 회로 내의 가스들은 동일한 성질이고, 2 차 회로 내의 압력은 1 차 회로 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된다.

Description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FACILITY FOR PRODUCING ENERGY USING A GAS-COOLED FAST REACTOR}
본 발명은 4 세대 원자로, 특히 가스 냉각 고속로 (Gas-cooled Fast Reactor) 를 의미하는 GFR 로서 지칭된 것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사고 상황에서 그러한 반응로의 냉각에 관한 것이다.
"고속" 로가 의미하는 것은, 핵반응에 의해 방출된 중성자들의 속도를 늦추지 않고 감속재 (moderator) 를 포함하지 않는 냉각수를 사용하는 반응로이다.
도 1 은 ICAPP '09, Tokyo, Japan, 10-14 May 2009, P 9378, "CATHARE SIMULATION OF TRANSIENTS FOR THE 2400 MW GAS FAST REACTOR CONCEPT" 의 회의 자료들에서 제시된 글에서 연구된 유형의 결합형 간접 사이클 GFR 로부터의 전력 생산 장치를 나타낸다. 냉각수로서 순 (pure) 헬륨을 갖는 1 차 회로 (10) 는 원자로 (12) 의 코어 및 열 교환기 (14) 를 거쳐 통과한다. 열 교환기 (14) 의 출구와 반응로 (12) 의 입구 사이의 회로에 배치된 전기적으로 공급된 블로어 (blower)(16) 에 의해 헬륨은 계속 순환된다. 헬륨은 약 70 bar 의 압력에 있다.
이 유형의 간접 사이클 반응로는, 1 차 회로가 터빈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직접 사이클 반응로와 다르다. 1 차 회로는 단순히 반응로 (12) 의 코어로부터 열 교환기 (14) 로 열을 전달하는 목적으로 기능하고, 이는 반응로 및 1 차 회로 컴포넌트들의 컨파인먼트 (confinement) 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터빈 날개 및 물 유입구의 손실들에서 비롯되는 미사일 (missiles) 의 활성화의 위험들을 제한한다.
냉각수 기재 (base) 로서 헬륨 및 질소의 혼합물을 갖는 2 차 회로 (17) 는 열 교환기 (14), 가스 터빈 (18), 2 차 열 교환기 (20), 및 압축기 (22) 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터빈 (18) 및 압축기 (22) 는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샤프트 (24) 상에서 피팅 (fit) 되며, 이 샤프트는 또한 교류 발전기 (26) 를 구동시킨다.
헬륨 및 질소의 혼합물은 50 내지 70 % 체적비의 헬륨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질소이다. 혼합물의 압력은 터빈 (18) 의 유입구 상에서 약 65 bar 이고 터빈 (18) 의 유출구 상에서 약 40 bar 이다.
그 기재가 증기상 및 액체상의 물인 3 차 회로 (28) 는 열 교환기 (20), 스팀 터빈 (30) 및 펌프 (32) 를 연속적으로 거쳐 통과한다. 스팀 터빈은 교류 발전기 (36) 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교류 발전기 (26) 의 전기 생산을 완료한다. 이 이중의 (twofold) 전기 생산 소스는 결합형 간접 사이클의 명칭을 정당화한다.
교류 발전기 (26 및 36) 의 레벨에서 생성된 전력들의 분배는 각각 약 1/3 및 2/3 이다.
이 장치에는 긴급 냉각 시스템 (38) 이 제공된다. 헬륨 기반의 긴급 1 차 회로 (40) 는 반응로 (12), 열 교환기 (42), 및 블로어 (44) 를 거쳐 통과한다. 통상의 동작에서, 이 긴급 1 차 회로는 밸브 (46) 에 의해 차단되고, 블로어 (44) 는 셧 다운된다. 물 기반의 긴급 2 차 회로 (48) 는 열 교환기 (42) 를 거쳐 그리고 물로 (50) 로 채워진 탱크 내에서 통과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여분의 (redundant) 긴급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반응로 (12) 및 1 차 회로들 (10 및 40) 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외측 컨테인먼트 (containment) 내에 배치된 내측 컨테인먼트 (52) 자체 내에 배치된다. 내측 컨테인먼트는 약 5 bar 내지 10 bar 의, 브리치 (breach) 후의 반응로의 충분한 대비 압력 (fall-back pressure) 을 보장하도록 설계되고, 외측 컨테인먼트는 반응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엘리먼트들의 외부로의 임의의 누설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반응로 1 차 회로에 영향을 주는 사고의 경우에서, 예를 들어 반응로의 유입구에서 배관의 브리치 오프닝 (opening) 의 경우에서, 내측 컨테인먼트의 압력 및 1 차 회로의 압력은 같아진다. 내측 컨테인먼트에서의 압력 증가가 검출되어, 제어 로드의 그 코어로의 삽입에 의해 반응로가 셧다운되게 한다. 메인 회로들의 전기 회로 모두는 그것이 고 전력을 사용할 때 셧 다운되므로 전기 전력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는 반면에, 긴급 냉각 시스템 (38) 은 그 일부에 있어서 저 전력이므로 독립형 전력 공급기들 (전기 생성 세트들 또는 배터리들) 에 의해 백업 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어 로드들은 즉시 핵반응을 정지시키지만, 반응로에서 잔여 열이 계속해서 생산되고 이는 제거되어야 한다. 긴급 냉각 시스템 밸브 (46) 가 개방되고, 블로어 (44) 는 스위치온 된다. 따라서, 반응로의 잔여 열은 헬륨 회로 (38), 열 교환기 (42), 및 물 회로 (48) 에 의해 물 탱크 (50) 로 제거된다.
따라서, 이 유형의 장치는 사고의 경우에서 구현되는 소정 수의 동작들을 필요로 한다. 이들 동작들은 자연스럽게 자동화될 수 있지만, 이들은 수반된 다수의 동작들 및 엘리먼트들보다 모두 큰 오작동의 위험을 나타낼 수 있다.
오작동의 위험은, 통상의 상황에서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있는 긴급 냉각 디바이스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의해 증가된다. 이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냉각 디바이스의 규칙적인 체킹 및 유지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고, 이에 의해 운전비가 증가한다.
긴급 냉각 시스템은 그 신뢰성을 불리하게 하지 않고 약간의 유지를 필요로하면서 가스 냉각 반응로에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원자로를 거쳐, 제 1 열 교환기를 거쳐, 그리고 블로어를 거쳐 통과하는 가스를 함유하는 1 차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생산 장치가 제공된다. 응축 불가능한 가스를 함유하는 2 차 회로는 제 1 열 교환기를 거쳐, 그리고 동일한 샤프트 상에 피팅된 터빈 및 압축기를 거쳐 통과한다. 블로어는 이 샤프트에 의해 구동된다. 1 차 회로 및 2 차 회로에서의 가스들은 동일한 성질이고, 2 차 회로에서의 압력은 1 차 회로에서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된다.
다른 이점들 및 특성들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시를 위해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나타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보다 뚜렷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앞서 설명된 결합형 간접 사이클 GFR 원자로를 갖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는 자동 긴급 냉각 능력을 갖는 GFR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도 2 의 장치에 영향을 주는 사고의 경우 파라미터들의 변동들의 각종 플롯들을 나타낸다.
자동 및 수동 긴급 냉각 능력을 갖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 2 에서,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표시된 도 1 에서와 같은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자동 냉각 능력" 이 의미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고 다음에 반응로의 셧다운 및 교류 발전기들의 접속해제 (disconnection) 이외에 제어기의 또는 오퍼레이터의 특정 개입 없이, 장치가 셧다운된 반응로로부터 잔여 열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행하기 위해, 장치의 통상의 동작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목적의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들이 반응로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의 장치에 대하여 차이점은, 도 2 에서 참조 부호 16' 을 갖는, 1 차 회로 (10) 의 블로어가 2 차 회로 (17') 의 압축기 (22) 및 터빈 (18) 을 연결시키는 것과 동일한 샤프트 (24') 에 의해 구동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블로어 (16') 는 항상, 특히 사고의 경우에서 반응로가 셧 다운될 때 2 차 회로의 터빈 (18) 에 커플링된다.
블로어 (16') 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개의 모터에 대한 필요성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한 장치의 단순화 이외에, 이 구성은 도 1 의 종래의 장치의 긴급 냉각 시스템 (38) 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는 것이 이하에서 나타난다. 통상의 동작에서 사용된 컴포넌트들은 긴급 냉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컴포넌트들은 언제나 동작적이라는 것을 확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이례적인 환경 하에서만 동작하도록 계획된 시스템들의 체킹 및 유지 동작들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피한다.
바람직하게, 도 1 의 장치와 달리, 2 차 회로에서의 가스는 1 차 회로에서와 동일하고 (순 헬륨), 동일한 압력 (예를 들어, 70 bar) 이다. 이 선택으로, 실 (seal) 의 견고함 제약들이 완화되고, 그 설계가 더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사고 상황을 포함하는 모든 환경들 하에서 사실상 0 인 차압 (pressure differential) 을 받는 실을 위해, 2 차 회로 압력은 1 차 회로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 서보-제어는 예를 들어 1 차 및 2 차 회로들을 접속하는 단순한 밸브에 의해 수행된다. 통상의 컨디션들 하에서, 밸브는 닫힌다. 1 차 회로 (52) 가 감압되는 유형의 사고 컨디션에서, 이 밸브의 각 사이드에서의 압력 차이는 밸브의 기계적 조절 압력보다 크므로, 밸브의 개방을 초래한다. 다른 버전에서, 보다 복잡한 밸브들의 세트는 2 차 회로의 파이프 (17') 로부터 컨파인먼트 (52) 로 과잉 체적을 배출함으로써 회로 (17') 의 압력을 회로 (10) 의 압력으로 서보 (servo) 할 것이다.
더욱이 임의의 미리 계획되지 않은 위험에 대처할 수 있기 위해서, 여분의 긴급 냉각 시스템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 의 범위 내에서, 1 차 및 2 차 회로들의 여러 커플들, 예를 들어 3 개의 커플들이 바람직하게 어느 하나의 반응로 (12) 주변에 계획된다. 여분의 1 차 회로들 (10b 및 10c) 의 2 개의 유출구들은 기호화되어 있다. 1 차 회로들 (10, 10b 및 10c) 은 반응로에서 서로 통신한다. 실행 가능성의 이유들로, 이들 3 개의 1 차 회로들은 반응로에서 서로 절연되지 않으며, 이는 다른 2 개의 시스템들에 반드시 영향을 주는 시스템들 중 하나에서의 브리치 (breach) 를 초래한다.
각각의 여분의 2 차 회로에는 연관된 여분의 1 차 회로의 블로어 (16') 를 구동시키는 샤프트 (24') 에 커플링된, 그 자체의 터빈 (18), 압축기 (22) 및 교류 발전기 (26) 가 제공된다. 3 차 회로 (28) 는 그 일부에 있어서 여분으로 있을 필요가 없다. 이것은 모든 여분의 2 차 회로들에 의해 공유된 열 교환기 (20) 를 통과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여분의 2 차 회로와 연관되는 여러 열 교환기들 (20) 각각을 통과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사고들 중 하나는 1 차 회로 (10) 의 "차가운 (cold)" 레그에서의, 즉 열 교환기 (14) 로부터 반응로 (12) 로의 리턴 섹션에서의 25 cm 브리치의 오프닝 (opening) 이다. 뜨거운 레그에 대응하는 파이핑은 일반적으로 열적 최적화 이유들로 인해 차가운 레그의 파이핑 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뜨거운 (hot)" 레그에서의 브리치는 예상되지 않는다. 브리치의 직경은 1 차 회로의 메인 파이프에 접속된 파이프들의 최대 직경에 대응한다.
도 3a 내지 도 3d 는 여분의 1 차 및 2 차 회로들의 3 개의 커플들을 포함하는 장치의 예에서 전술된 유형의 사고에 뒤따르는 여러 파라미터들의 시간 t 에서의 변동들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들은 CATHARE2 V25_2 열 수력 사고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시뮬레이션들에 의해 획득되었다.
도 3a 는 1 차 회로들 중 하나에서 브리치의 오프닝에 뒤따르는 내측 컨파인먼트에서의 압력 (p52) 및 1 차 회로들의 압력 (p10) 의 변동들을 나타낸다. 도 3b 는 반응로 전력의 변동들을 나타낸다. 도 3c 는 샤프트 (24') 의 회전 속도의 변동을 나타낸다. 도 3d 는 반응로 코어에서의 연료 피복의 최대 온도 (Th), 반응로 유출구 상의 헬륨 온도 (To), 및 반응로 유입구 상의 헬륨 온도 (Ti) 의 변동들을 나타낸다.
장치는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다음의 파라미터들로 동작한다:
● 1 차 및 2 차 회로들: 70 bar 에서의 순 헬륨;
● 반응로 전력: 2400 MW;
● 각 샤프트 (24') 의 통상의 회전 속도: 5900 rpm;
● 샤프트들 (24') 상에서 생성된 (총) 전력: 134 MW;
● 온도 (℃):
o 반응로 유출구: 780 ℃
o 반응로 유입구: 400 ℃
o 터빈 (18) 유입구: 750 ℃
o 압축기 (22) 유입구: 232 ℃
● 1 차 유동율 (총): 1216 kg/s;
● 2 차 유동율 (총): 1122 kg/s.
이들 파라미터들로, CEA CYCLOP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45.6 % 의 효율성이 획득된다.
도 3a 에서, t=0 으로부터 시작하여, 1 차 회로 (10) 에서의 누설은 압력 (p10) 의 빠른 감소를 야기한다. 이 누설은 컨파인먼트 (52) 내에 한정되고, 이것의 압력 (p52) 은 80 초 후에 압력 (p10) 과 동등해지도록 증가하기 시작한다. 2 차 회로들의 압력은 1 차 회로들의 압력으로 서보되고 있고, 2 차 회로들의 압력은 압력 (p10) 의 변동들을 뒤따른다.
이 압력은, 제어 로드들을 반응로 코어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반응로를 정지시키는 제어기에 의해 즉시 검출된다. 반응로 전력은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전력의 몇 퍼센트의 잔여 전력으로 몇 초 내에 하락한다. 그러나, 이 잔여 전력은 제거되어야 한다.
1 차 회로 하락들의 가스의 질량 유동률은 압력 감소에 비례해서 하락한다. 가스의 발열량 (heating power) 은 상관적으로 감소한다. 반응로의 전력 감소와 결합된 발열량은 2 차 회로로 송신된 전력의 감소를 초래하고,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18) 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스의 발열량이 반응로 전력보다 더 천천히 하락하기 때문에, 열 교환이 여전히 좋으므로 반응로의 온도는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80 초 후에, 1 차 회로에서의 가스의 압력이 그것의 최하위 값에 도달할 때, 터빈 (18) 의 회전 속도는 또한 그 최하위 레벨에 있다. 반응로로부터의 열 제거 컨디션들은 좋지 않고, 반응로 온도들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터빈 (18) 의 회전 속도는 그 통상의 값에 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교류 발전기 (26) 는 전력 그리드 상의 전력을 소모하는 모터로서 동작하기 시작하고, 이는 금지되는 이벤트로서 제어기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기는 전력 그리드로부터 교류 발전기를 접속해제한다. 이 순간으로부터, 터빈은 교류 발전기로 송신하기 위한 전력을 더 이상 갖지 않고, 터빈이 여전히 생산하는 전력 모두는 압축기 (22) 및 블로어 (16') 로 송신된다. 손상된 1 차 회로가 반응로로부터 2 차 회로로 전달하는 적은 전력은 터빈 및 이에 따른 블로어 (16') 의 회전 속도를 높이고, 2 차 회로의 반응로의 1 차 회로에 의한 열 전달을 재개하기에 충분하다.
터빈의 회전 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반응로의 온도들 (도 3d) 은 최대값을 거쳐 통과하고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터빈의 회전 속도가 통상의 값에 가까운 안정한 값에 도달하는 순간에 안정한 하위 값에 도달한다. 이 포인트로부터, 장치는 반응로의 잔여 열에 의해 유지된 부분적인 동작 컨디션들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이 사건 페이즈 동안 반응로 코어에서 도달된 최대 온도는 통상의 동작에서 코어의 통상의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관측된다. 따라서, 사고 페이즈 동안 언제라도 위험한 컨디션들에 접근되지 않는다.
사고를 관리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들이 또한 제한된다. 수행되도록 유지되는 동작은 단지 제어 로드들을 삽입함으로써 반응로를 셧 다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력 그리드로부터 교류 발전기들을 접속해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은 전력 그리드 상의 전력 수요 변동들에 장치를 적응시키기 위한 통상의 동작으로 어쨌든 계획되는 동작이다.
1970 년 4 월, Gas-Cooled Reactor Information Meeting,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GAS TURBINE POWER CONVERSION SYSTEMS FOR HELIUM COOLED BREEDER REACTORS" 의 문헌 기록들은, 액체 및 증기 페이즈들인 이산화탄소를 갖는 2 차 회로 및 헬륨을 갖는 1 차 회로를 포함한 반응로 장치를 설명한다. 이 장치에서, 2 차 회로의 전용 터빈은 1 차 회로의 블로어를 구동시킨다. 교류 발전기 및 압축기는 블로어에 전용된 터빈으로부터 독립적인 2 차 터빈에 의해 구동된다.
이 유형의 장치는 자동 긴급 냉각 능력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된다. 사고에 뒤따라 반응로 전력 감소가 발생할 때, 2 차 회로로 송신된 열은 사실상 증기 페이즈로 이산화탄소를 유지하기에 불충분해진다. 터빈들, 특히 블로어에 전용인 터빈이 드로우닝되고 (drown), 블로어는 정지되므로 1 차 회로는 더 이상 반응로로부터 잔여 열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 의 장치의 2 차 회로에서 사용된 가스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헬륨인 응축 불가능한 가스이다.
도 2 로 다시 되돌아가, 샤프트 (24') 가 2 차 회로 (17') 에서 1 차 회로 (10) 로 통과하여 블로어 (16') 를 구동시키는 것이 관측될 수 있다. 이 샤프트에는 보통, 1 차 회로 및 2 차 회로를 서로 절연시키는 회전 실이 제공될 것이다. 전술된 예의 범위 내에서 블로어 (16') 는 약 17 MW 의 전력을 소모한다. 샤프트 (24') 는 결과의 직경을 갖고, 그 회전은 비교적 빠르며 (약 6000 rpm), 고온 (400 ℃) 을 견뎌야 한다. 종래 장치 (도 1) 의 1 차 및 2 차 회로에서 사용된 압력들로, 실은 5 bar 의 압력 차이를 더욱 견뎌야할 것이다. 그러한 실의 설계는 어렵다.
도 1 의 헬륨/질소 혼합물 대신에 2 차 회로에서 순 헬륨이 사용되고, 2 차 회로의 압력이 1 차 회로의 압력과 동일하다는 사실 때문에, 머신의 크기 및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2 차 회로와 3 차 회로 사이에서는 도 1 과 상이한 전력 분배가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전력의 20 %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5 % 가 2 차 회로에서 생산되고, 나머지는 3 차 회로에서 생산된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다수의 변형들 및 변경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헬륨이 냉각수 가스로서 설명되었으나, 원하는 요건을 만족하는 임의의 다른 가스, 특히 2 차 회로에서 응축 불가능한 가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전력 생산 장치로서,
    - 원자로 (12), 제 1 열 교환기 (14), 및 블로어 (16') 을 거쳐 통과하는 가스를 함유하는 1 차 회로 (10); 및
    - 상기 제 1 열 교환기 (14), 및 동일한 샤프트 (24') 상에 피팅된 터빈 (18) 과 압축기 (22) 를 거쳐 통과하는 응축 불가능한 가스를 함유하는 2 차 회로 (17')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어는 상기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생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차 회로 및 상기 2 차 회로 내의 상기 가스들은 동일한 성질이고 동일한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생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차 회로 내의 압력은 상기 1 차 회로 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생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2 차 회로 (17') 에 배치된 제 2 열 교환기 (20); 및
    - 상기 제 2 열 교환기, 및 터빈 (30) 과 펌프 (32) 를 거쳐 통과하는 응축 가능한 유체를 함유하는 3 차 회로 (28) 를 포함하고,
    상기 2 차 회로 및 상기 3 차 회로의 엘리먼트들은, 상기 3 차 회로의 상기 터빈의 샤프트 상에서 생산된 에너지가 생산된 총 전력의 80 % 보다 크도록 치수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생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차 회로 및 상기 2 차 회로의 가스는 약 70 bar 의 압력의 헬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생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차 회로 및 상기 2 차 회로의 여러 여분의 커플들을 포함하고,
    상기 여분의 커플들의 상기 1 차 회로들 (10, 10b, 10c) 은 동일한 반응로 (12) 에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생산 장치.
KR1020127024708A 2010-02-24 2011-02-23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KR20130004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0749A FR2956773B1 (fr) 2010-02-24 2010-02-24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nergie a partir d'un reacteur nucleaire rapide a gaz
FR1000749 2010-02-24
PCT/FR2011/000108 WO2011104446A1 (fr) 2010-02-24 2011-02-23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nergie a partir d'un reacteur nucleaire rapide a ga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305A true KR20130004305A (ko) 2013-01-09

Family

ID=4273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708A KR20130004305A (ko) 2010-02-24 2011-02-23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314830A1 (ko)
EP (1) EP2539901B1 (ko)
JP (1) JP5833033B2 (ko)
KR (1) KR20130004305A (ko)
CN (1) CN102870165B (ko)
CA (1) CA2789172A1 (ko)
FR (1) FR2956773B1 (ko)
PL (1) PL2539901T3 (ko)
RU (1) RU2550504C2 (ko)
WO (1) WO2011104446A1 (ko)
ZA (1) ZA2012060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65B1 (ko) * 2017-05-24 2019-06-1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용기 내 냉각 및 발전 시스템
CN109630212A (zh) * 2018-12-19 2019-04-1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三研究所 高温气冷堆氦气透平发电系统
CN112392597A (zh) * 2020-11-17 2021-02-23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核动力发动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513A (en) * 1973-04-18 1975-11-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tection system for a nuclear reactor
DE3139785A1 (de) * 1980-11-25 1982-07-15 BBC Aktiengesellschaft Brown, Boveri & Cie., 5401 Baden, Aargau "gasturbinenanlage zur erzeugung von hochtemperatur-prozesswaerme"
US4576783A (en) * 1981-01-12 1986-03-18 Ga Technologies Inc. Heat pump augmentation of nuclear process heat
CH682357A5 (ko) * 1991-09-05 1993-08-31 Asea Brown Boveri
JPH05164888A (ja) * 1991-12-13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JPH08338892A (ja) * 1995-06-14 1996-12-24 Japan Atom Energy Res Inst ヘリウム冷却高温ガス炉
DE69721817D1 (de) * 1996-12-03 2003-06-12 Elliott Energy Systems Inc Elektrische anordnung für turbine/alternator auf gemeinsamer achse
RU2160839C1 (ru) * 1999-09-30 2000-12-20 Военный инженерно-кос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Ф. Можайского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с газоохлаждаемым реактором
CN1123893C (zh) * 2000-04-24 2003-10-08 清华大学 高温气冷堆换热装置
FR2838555B1 (fr) * 2002-04-12 2006-01-06 Framatome Anp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electricite a partir de la chaleur produite dans le coeur d'au moins un reacteur nucleaire a haute temperature
JP2004044533A (ja) * 2002-07-15 2004-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設備
US20080298534A1 (en) * 2006-02-09 2008-12-04 Holger Gerhard Clemens Finken Nuclear Plant with a Pebble Bed Nuclear Reactor
JP4774028B2 (ja) * 2007-10-12 2011-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ーズドサイクルプラ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206013B (en) 2013-05-29
FR2956773B1 (fr) 2012-03-23
PL2539901T3 (pl) 2015-05-29
JP5833033B2 (ja) 2015-12-16
RU2012140437A (ru) 2014-03-27
RU2550504C2 (ru) 2015-05-10
FR2956773A1 (fr) 2011-08-26
CN102870165A (zh) 2013-01-09
EP2539901A1 (fr) 2013-01-02
EP2539901B1 (fr) 2014-11-26
JP2013520671A (ja) 2013-06-06
CN102870165B (zh) 2015-08-26
US20120314830A1 (en) 2012-12-13
CA2789172A1 (en) 2011-09-01
WO2011104446A1 (fr)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4851A1 (en) Backup nuclear reactor auxiliary power using decay heat
US10726961B2 (en) PWR decay heat removal system in which steam from the pressurizer drives a turbine which drives a pump to inject water into the reactor pressure vessel
KR101973996B1 (ko) 원자로용기 외벽 냉각 및 발전 시스템
JP2016515191A (ja) モジュール型の可搬式原子力発電機
KR101988265B1 (ko) 원자로용기 내 냉각 및 발전 시스템
US20170098483A1 (en) Heat exchange system and nuclear reactor system
CN112814747A (zh) 一种高温气冷堆二氧化碳发电的系统和方法
US20100232561A1 (en) Nuclear power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KR20130004305A (ko) 가스 냉각 고속로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CN112160809A (zh) 一种高温气冷堆发电的系统和方法
CN109801722B (zh) 核电厂seu系统板式换热器的换热试验方法及系统
Nikiforova et al. Lead-cooled flexible conversion ratio fast reactor
US3666623A (en) Gas turbine installation for nuclear power plant
Golovko et al. Features of adapting gas turbine cycle and heat exchangers for HTGRs
Barbier et al. Main operation procedures for ASTRID gas power conversion system
JP2014010113A (ja) 原子力プラントの非常用炉心冷却設備
Vasyaev et al. Substantiation of the parameters and layout solutions for an energy conversion unit with a gas-turbine cycle in a nuclear power plant with HTGR
Dragunov et al. Prospects for development of VVER-type pressurized light-water reactor installations
KR20150101240A (ko)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 붕괴열 제거계통
CN215988120U (zh) 安全壳冷却水冷却装置及非能动安全壳冷却系统
Staudt Design study of an MGR direct Brayton-cycle power plant
CN220895201U (zh) 小型铅冷海洋池式自然循环反应堆非能动余热排出系统
Kodochigov et al. Turbomachine design choice for the gas-turbine cycle of NPP with HTGR
CN109166637B (zh) 一种基于orc的压水堆核电站核安全系统及方法
EA046510B1 (ru) Атомная тепл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с генерированием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в режиме следования за нагруз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