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298U -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298U
KR20130004298U KR2020120000027U KR20120000027U KR20130004298U KR 20130004298 U KR20130004298 U KR 20130004298U KR 2020120000027 U KR2020120000027 U KR 2020120000027U KR 20120000027 U KR20120000027 U KR 20120000027U KR 20130004298 U KR20130004298 U KR 20130004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upport bar
contact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941Y1 (ko
Inventor
김양규
김규식
임재웅
곽진열
배치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20000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4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촉 플레이트; 접촉 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바아;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위치된 마감 플레이트;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접촉 플레이트와 마감 플레이트 사이의 지지 바아 상에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 및 접촉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지지 바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은 벽체의 표면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SUPPORT PIN AND DRYWALL INSU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열재와 마감재를 함께 조립하여 벽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온실가스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고, 예를 들어,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경제적 관점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 단열재에 비하여 성능이 10배 이상 우수한 진공 단열재가 개발되었다.
또한, 진공 단열재는 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되어 시공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의 외측면에는 C형 스터드에 결합된 마감재나 추가적인 단열재가 설치된다.
하지만 진공 단열재는 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되어 시공된다. 이때, 접착제의 도포량이 부족하거나 하절기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때, 진공 단열재는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의 시공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들이 콘크리트 벽면에 평면을 형성하면서 시공되나, 진공 단열재들 사이의 틈으로 인한 열교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에너지 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진공 단열재는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그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진공 단열재, 무기섬유 단열재 및 마감재를 일체화시켜 벽면에 시공가능하게 하는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 현상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접촉 플레이트; 접촉 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바아;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위치된 마감 플레이트;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접촉 플레이트와 마감 플레이트 사이의 지지 바아 상에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 및 접촉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지지 바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을 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촉 플레이트; 접촉 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바아;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위치된 마감 플레이트(마감 플레이트는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한 한 쌍의 플레이트 몸체부들, 및 플레이트 몸체부들을 연결하고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접촉 플레이트와 마감 플레이트 사이의 지지 바아 상에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 및 접촉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지지 바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을 개시한다.
또한, 마감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몸체부로부터 접촉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을 개시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는 지지 바아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을 개시한다.
또한,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는 지지 바아의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고, 마감 플레이트가 걸림홈에 끼워져 지지 바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을 개시한다.
또한, 접촉 플레이트 및 마감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을 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 1 접촉 플레이트, 제 1 접촉 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지지 바아, 제 1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 1 마감 플레이트,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제 1 마감 플레이트 사이의 제 1 지지 바아 상에 결합된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제 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 1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제 1 지지 바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 1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핀;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제 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진공 단열재(진공 단열재의 종단면은 제 1 수직 플레이트에 접촉된다);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제 1 마감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제 1 지지 바아가 관통하는 무기섬유단열재; 및 제 1 마감 플레이트 상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 7 항에 따른 복수 개의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들; 및 제 2 접촉 플레이트, 제 2 접촉 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지지 바아, 제 2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제 2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 2 마감 플레이트(제 2 마감 플레이트는 제 2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제 2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한 한 쌍의 플레이트 몸체부들, 플레이트 몸체부들을 연결하고 제 2 지지 바아의 종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플레이트 몸체부로부터 접촉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제 2 접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제 2 접촉 플레이트와 제 2 마감 플레이트 사이의 제 2 지지 바아 상에 결합된 제 2 지지 플레이트; 및 제 2 접촉 플레이트와 제 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 2 지지 바아를 사이에 두고 제 2 지지 바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 2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단열 구조물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핀을 포함하되, 한 쌍의 진공 단열재들은 제 2 접촉 플레이트와 제 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고, 진공단열재들의 종단면은 제 2 수직 플레이트에 접촉되며, 한 쌍의 무기섬유 단열재들은 제 2 지지 플레이트와 제 2 마감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돌기는 무기섬유 단열재의 표면에 삽입되며, 한 쌍의 마감재들은 각각 플레이트 몸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고안에 따른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은 제 1 지지핀들, 진공 단열재, 무기섬유 단열재, 마감재 및 제 2 지지핀들을 포함한다. 제 1 지지핀들은 진공 단열재, 무기섬유 단열재 및 마감재를 일체화시키고, 제 2 지지핀들은 제 1 지지핀들을 이용하여 일체화된 구조물을 상호 연결시킨다. 이때, 제 1 지지핀들 및 제 2 지지핀들이 벽면에 부착됨에 따라,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은 진공 단열재, 무기섬유 단열재 및 마감재를 용이하게 벽면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고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은 제 1 지지핀들 및 제 2 지지핀들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들, 무기섬유 단열재들 및 마감재들을 일체화시킨 구성이다. 이로 인해, 벽면에 설치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의 열관류율이 감소된다. 이는 단열성능의 향상을 의미한다. 또한, 진공 단열재 및 무기섬유 단열재는 그 자체가 향상된 단열 성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은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에 이용되는 제 1 지지핀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에 이용되는 제 2 지지핀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에 이용되는 제 1 지지핀(100)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에 이용되는 제 2 지지핀(200)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은 제 1 지지핀(100)들,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마감재(130) 및 제 2 지지핀(200)들을 포함하고, 벽면(1)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제 1 지지핀(100)들은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를 일체화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제 1 지지핀(100)은 제 1 접촉 플레이트(101), 제 1 지지 바아(102),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제 1 지지 플레이트(104) 및 제 1 수직 플레이트(105)를 포함한다.
제 1 접촉 플레이트(101)는 벽면(1) 상에 부착된다. 이때, 접착제가 이용된다. 또한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에는 복수 개의 개구(101a)들이 형성된다. 이때, 개구(101a)들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접촉 플레이트(101)가 벽면(1) 상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1 지지 바아(102)는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 1 지지 바아(102)의 종단부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된다. 걸림홈(121)은 제 1 지지 바아(102)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다.
제 1 마감 플레이트(103)는 제 1 지지 바아(102)의 종단부에 결합된다. 이는 걸림홈(121)에 제 1 마감 플레이트(103)가 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마감 플레이트(103)는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제 1 마감 플레이트(103)는 제 1 지지 바아(102)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또한, 제 1 마감 플레이트(103)에는 복수 개의 개구(103a)들이 형성된다. 이때, 개구(103a)들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마감 플레이트(103)가 마감재(130)와 용이하게 부착되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1 지지 플레이트(104)는 접촉 플레이트(101)와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사이의 제 1 지지 바아(102) 상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지지 플레이트(104)도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다. 또한, 제 1 지지 플레이트(104)가 제 1 지지 바아(102) 상에 결합될 때,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 1 지지 플레이트(104)와 제 1 접촉 플레이트(101) 사이의 간격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04)와 제 1 마감 플레이트(103)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 플레이트(104)는 제 1 지지 바아(102)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제 1 수직 플레이트(105)들은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제 1 지지 플레이트(104) 사이에서 제 1 지지 바아(102)를 사이에 두고 제 1 지지 바아(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진공 단열재(110)는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제 1 지지 플레이트(10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진공 단열재(110)의 종단면은 제 1 수직 플레이트(105)와 접촉되고, 제 1 수직 플레이트(105)에 지지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110)는 다공심재(多孔芯材)의 외부에 복수 개의 얇은 막을 둘러싸고, 그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켜 밀봉처리하여 제작되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공 단열재(110)는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무기섬유 단열재(1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지지 플레이트(104)와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제 1 지지 바아(102)는 무기섬유 단열재(120)를 관통한다. 또한, 무기섬유 단열재(120)는 예를 들어, 글라스 울 등으로 이루어진다.
마감재(1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마감 플레이트(103)에 부착된다. 이때, 마감재(130)는 제 1 지지핀(100)들, 진공 단열재(110) 및 무기섬유 단열재(120)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 1 지지핀(100)들에 의해 일체화된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가 벽면(1)에 부착된 경우, 마감재(130)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마감재(120)는 일반적으로 석고보드나 다른 형태의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제 2 지지핀(200)들은 제 1 지지핀(100)들에 의해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를 일체화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상호 간에 결합시킨다. 즉, 제 2 지지핀(200)들은 보다 큰 형태의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제 2 지지핀(200)은 제 2 접촉 플레이트(201), 제 2 지지 바아(202), 제 2 마감 플레이트(203), 제 2 지지 플레이트(204) 및 제 2 수직 플레이트(205)를 포함한다.
제 2 접촉 플레이트(101)는 벽면(1) 상에 부착된다. 이때, 접착제가 이용된다. 또한 제 2 접촉 플레이트(101)에는 복수 개의 개구(201a)들이 형성된다. 이때, 개구(201a)들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접촉 플레이트(201)가 벽면(1) 상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지지 바아(202)는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 2 지지 바아(102)의 종단부에는 걸림홈(221)이 형성된다. 걸림홈(221)은 제 2 지지 바아(202)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다.
제 2 마감 플레이트(203)는 제 2 지지 바아(202)의 종단부에 결합된다. 이는 걸림홈(221)에 제 2 마감 플레이트(203)가 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 마감 플레이트(203)는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 2 지지 바아(202)로부터 분리가능하다.또한, 제 2 마감 플레이트(203)는 플레이트 몸체부(231)들, 결합부(233) 및 고정 돌기(235)들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몸체부(231)들은 제 2 지지 바아(202)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간에 이격되고, 각각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하다. 또한, 플레이트 몸체부(231)에는 복수 개의 개구(231a)들이 형성된다. 이때, 개구(231a)들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 몸체부(231)가 마감재(130)와 용이하게 부착되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부(233)는 플레이트 몸체부(231)들을 연결하고, 제 2 지지 바아(202)의 종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233)는 걸림홈(221)에 끼워진다.
고정 돌기(235)들은 각각 플레이트 몸체부(231)로부터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을 향햐여 돌출형성된다.
제 2 지지 플레이트(204)는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제 2 마감 플레이트(204) 사이의 제 2 지지 바아(202) 상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지지 플레이트(204)도 제 2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다. 또한, 제 2 지지 플레이트(204)가 제 2 지지 바아(202) 상에 결합될 때,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 2 지지 플레이트(204)와 제 2 접촉 플레이트(201) 사이의 간격과 제 2 지지 플레이트(204)와 제 2 마감 플레이트(203)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 플레이트(204)는 제 2 지지 바아(202)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제 2 수직 플레이트(205)들은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 사이에서 제 2 지지 바아(202)를 사이에 두고 제 2 지지 바아(20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 2 지지핀(200)은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 사이에 위치되된다. 이때, 한 쌍의 진공 단열재(110)들은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진공 단열재(110)의 종단면은 제 2 수직 플레이트(205)와 접촉되고, 제 2 수직 플레이트(205)에 지지된다.
또한, 한 쌍의 무기섬유 단열재(120)들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와 제 2 마감 플레이트(203)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제 2 지지 바아(202)는 무기섬유 단열재(120)들 사이에 위치되거나, 무기섬유 단열재(12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다. 또한, 고정 돌기(235)들이 각각 무기섬유 단열재(120)의 표면에 삽입된다. 이때, 무기섬유 단열재(120)들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와 제 2 마감 플레이트(203) 사이에 고정된다.
한 쌍의 마감재(130)들은 각각 제 2 마감 플레이트(203)의 플레이트 몸체부(231)에 부착된다. 이때, 마감재(130)들만이 노출된 상태에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은 연결된다.
여기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은 상호 간에 연결될 때, 제 2 지지핀(200)들을 대신하여 제 1 지지핀(100)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은 제 1 지지핀(100)들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를 일체화된 구성이고, 제 2 지지핀(200)들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핀(100)의 제 1 접촉 플레이트(101) 및 제 2 지지핀(200)의 제 2 접촉 플레이트(201)가 벽면(1)에 부착됨으로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은 벽면(1)에 시공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는 용이하게 벽면(1)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핀(100)들과 제 2 지지핀(200)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를 일체화시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의 단열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의 열관류율 시뮬레이션이 실시되었다. 실시예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지지핀(100)들과 제 2 지지핀(200)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를 일체화시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이었고, 비교예는 종래와 같이 진공 단열재를 벽체의 표면에 부착시킨 후에 마감재 처리를 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단열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예시의 열관류율이 측정되었다. 여기서, 열관류는 열이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공기층에서 공기층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하고, 열관류율은 단위시간에 1㎡의 단면적을 1K의 온도차로 있을 때 흐르는 열량을 의미한다. 열관류율 시뮬레이션에 따른 결과는 표 1과 같다.
열관류율(W/㎡K)
실시예 0.13
비교예 0.16
표 1에 의하면, 비교예는 0.16 W/㎡K의 열관류율을 갖는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0.13 W/㎡K의 열관류율을 갖는다. 열관류율에 대한 값이 작다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은 제 1 지지핀(100)들과 제 2 지지핀(200)들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10),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마감재(130)를 일체화시키는 구성을 갖기에, 고온측의 열에너지가 저온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향상시킨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은 향상된 단열 성능을 제공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100: 제 1 지지핀
101: 제 1 접촉 플레이트 102: 제 1 지지 바아
103: 제 1 마감 플레이트 104: 제 1 지지 플레이트
105: 제 1 수직 플레이트 110: 진공 단열재
120: 무기섬유 단열재 130: 마감재
200: 제 2 지지핀
201: 제 2 접촉 플레이트 202: 제 2 지지 바아
203: 제 2 마감 플레이트 204: 제 2 지지 플레이트
205: 제 2 수직 플레이트 231: 플레이트 몸체부
233: 결합부 235: 고정 돌기

Claims (8)

  1. 접촉 플레이트(101);
    접촉 플레이트(10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바아(102);
    지지 바아(102)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게 위치된 마감 플레이트(103);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게 접촉 플레이트(101)와 마감 플레이트(103) 사이의 지지 바아(102) 상에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104); 및
    접촉 플레이트(101)와 지지 플레이트(104) 사이에서 지지 바아(102)를 사이에 두고 지지 바아(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수직 플레이트(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2. 접촉 플레이트(201);
    접촉 플레이트(20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바아(202);
    지지 바아(202)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하게 위치된 마감 플레이트(203)(마감 플레이트(203)는 지지 바아(202)를 사이에 두고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한 한 쌍의 플레이트 몸체부(231)들, 및 플레이트 몸체부(231)들을 연결하고 지지 바아(202)의 종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33)를 포함한다);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하게 접촉 플레이트(201)와 마감 플레이트(203) 사이의 지지 바아(203) 상에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204); 및
    접촉 플레이트(201)와 지지 플레이트(204) 사이에서 지지 바아(202)를 사이에 두고 지지 바아(20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수직 플레이트(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3. 제 2 항에 있어서, 마감 플레이트(203)는,
    플레이트 몸체부(231)로부터 접촉 플레이트(20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2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104, 204)는 지지 바아(102, 202)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바아(102, 202)의 종단부에는 지지 바아(102, 202)의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121, 221)이 함몰 형성되고,
    마감 플레이트(103, 203)가 걸림홈(121, 221)에 끼워져 지지 바아(102, 20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촉 플레이트(101, 201) 및 마감 플레이트(103, 20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01a, 103a, 201a, 23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핀.
  7. 제 1 접촉 플레이트(101),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1 지지 바아(102), 제 1 지지 바아(102)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평행하게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사이의 제 1 지지 바아(102) 상에 결합된 제 1 지지 플레이트(104), 및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제 1 지지 플레이트(104) 사이에서 제 1 지지 바아(102)를 사이에 두고 제 1 지지 바아(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 1 수직 플레이트(105)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핀(100);
    제 1 접촉 플레이트(101)와 제 1 지지 플레이트(104) 사이에 삽입되는 진공 단열재(110)(진공 단열재(110)의 종단면은 제 1 수직 플레이트(105)에 접촉된다);
    제 1 지지 플레이트(104)와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사이에 위치되고, 제 1 지지 바아(102)가 관통하는 무기섬유 단열재(120); 및
    제 1 마감 플레이트(103) 상에 부착되는 마감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8. 제 7 항에 따른 복수 개의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 및
    제 2 접촉 플레이트(201);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지지 바아(202); 제 2 지지 바아(202)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 2 마감 플레이트(203)(제 2 마감 플레이트(203)는 제 2 지지 바아(202)를 사이에 두고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한 한 쌍의 플레이트 몸체부(231)들, 플레이트 몸체부(231)들을 연결하고 지지 바아(202)의 종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33) 및 및 제 2 플레이트 몸체부(231)로부터 제 2 접촉 플레이트(20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235)를 포함한다),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평행하게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제 2 마감 플레이트(203) 사이의 제 2 지지 바아(203) 상에 결합된 제 2 지지 플레이트(204), 및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 사이에서 제 2 지지 바아(202)를 사이에 두고 제 2 지지 바아(20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 2 수직 플레이트(205)를 포함하고,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 사이에 위치되어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10)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핀(200)을 포함하되,
    한 쌍의 진공 단열재(110)들은 제 2 접촉 플레이트(201)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 사이에 삽입되고, 진공 단열재(110)들의 종단면은 제 2 수직 플레이트(205)에 접촉되며,
    한 쌍의 무기섬유 단열재(120)들은 제 2 지지 플레이트(204)와 제 2 마감 플레이트(203)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 돌기(235)는 무기섬유 단열재(120)의 표면에 삽입되며,
    한 쌍의 마감재(130)들은 각각 플레이트 몸체부(23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20120000027U 2012-01-02 2012-01-02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0471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27U KR200471941Y1 (ko) 2012-01-02 2012-01-02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27U KR200471941Y1 (ko) 2012-01-02 2012-01-02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98U true KR20130004298U (ko) 2013-07-10
KR200471941Y1 KR200471941Y1 (ko) 2014-03-25

Family

ID=5371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027U KR200471941Y1 (ko) 2012-01-02 2012-01-02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599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KR102222938B1 (ko) * 2020-06-11 2021-03-03 황병선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599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KR102222938B1 (ko) * 2020-06-11 2021-03-03 황병선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WO2021251657A1 (ko) * 2020-06-11 2021-12-16 황병선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941Y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3656A1 (zh) 一种拼装建筑结构
US20200063430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200471941Y1 (ko)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140000599U (ko)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101511525B1 (ko) 도어
KR200469519Y1 (ko) 조이너와 클립,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101546921B1 (ko) 투습방수지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단열구조
CN103835458B (zh) 阳角装饰板的安装组件
KR101246118B1 (ko)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 벽체 시스템 및 건식 벽체 시공방법
CN103857860A (zh) 外部隔热盖板
KR200480225Y1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패널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 결합구조
CN205063103U (zh) 隔断墙体
KR200469785Y1 (ko)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101394359B1 (ko) 벽체용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구조
CN110872876B (zh) 内置天地龙骨连接件及其墙体
KR101761450B1 (ko)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KR200454464Y1 (ko) 단열재 고정구
CN107401244B (zh) 一种建筑pc保温石墙防水连接结构
KR20190115851A (ko) 난방을 위한 온수관용 바닥판넬
CN108222366A (zh) 带有竹材双板构件的组装墙体结构和房屋及其建造方法
CN208996232U (zh) 一种具有冷却效果的外墙板材
KR20140047278A (ko) 단열 스터드
CN212715424U (zh) 一种高平整度eps保温板复合墙体结构
CN205742829U (zh) 一种建筑保温板固定卡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