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38B1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938B1 KR102222938B1 KR1020200070714A KR20200070714A KR102222938B1 KR 102222938 B1 KR102222938 B1 KR 102222938B1 KR 1020200070714 A KR1020200070714 A KR 1020200070714A KR 20200070714 A KR20200070714 A KR 20200070714A KR 102222938 B1 KR102222938 B1 KR 102222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ing
- bracket
- mounting pin
-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257 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벽 등에 진공단열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진공단열재나 벽면의 구조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브라켓의 외측에 외부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렘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렘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벽 등에 진공단열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진공단열재나 벽면의 구조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브라켓의 외측에 외부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건축물은 에너지절감과 보온단열을 위하여 단여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단열재로서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단열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재질의 단열재는 건축물시공규정을 준수하기 위하여 두꺼운 단열재가 필요하였으며 화재에도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진공단열재가 건축물의 단열재로 매우 관심을 받고 있다.
진공단열재는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심재를 외피재 속에 충진한 후에 내부를 감압 밀봉한 단열재로서 열을 전달하는 매질인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심재로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유기심재 또는 유리섬유와 같은 문기심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일반적인 단열재가 0.031~0.040W/mk의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반면, 진공단열재는 0.0002~0.015W/mk의 우수한 단열성능을 발휘한다.
이처럼 진공단열재는 단열성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피재가 파손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단열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진공단열재를 시공할 때는 못이나 앙카볼트(anchor bolt)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기 어려우며 시공이나 설치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849호와 같은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블록형태의 진공단열재를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벽체에 시공하는 방식이며, 진공단열재가 장착된 후에는 상기 진공단열재로부터 이격된 플레이트에 나사못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연속적으로 성형된 압출물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직선인 바(bar) 형상이기 때문에 벽면이 균일한 곳에서는 활용하기가 용이하지만 그렇지 못한 곳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진공단열재는 고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금속으로 압출가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마감재를 설치할 때 상기 어셈블리의 플레이트에 드릴작업을 한 후에 나사못으로 외부마감재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외부마감재를 설치할 때 내측에 각목을 먼저 장착한 후에 상기 각목에 외부마감재를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 어셈블리는 금속에 외부마감재를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과 설치가 까다롭고 번거러우며 비용도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단열재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 없이 각각의 진공단열재를 개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브라켓의 외측에 각목 등 외부마감재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고정부재를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부마감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프레임과 부재장착부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렘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브라켓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체결공을 통하여 브라켓체결구가 관통하면서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브라켓체결공의 주변에는 최소한 상기 브라켓체결구의 머리보다는 높은 보호턱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체결공에 상기 브라켓체결구를 장착한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를 장착하면 상기 브라켓체결구의 머리가 상기 진공단열제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프레임장착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프레임장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는 핀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장착홀에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폭 방향의 일측면에는 프레임고정홈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두께와 대응하거나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핀장착홀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장착핀을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고정홈에 억지끼움으로 삽입시켜저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프레임장착핀은 끝단의 일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경사부가 시작되는 지점의 양 측면은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본체보다 넓게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부재장착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엔드브라켓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타측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프레임장착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으로 상기 프레임장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는 핀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장착홀에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면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폭 방향의 일측면에는 프레임고정홈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핀장착홀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장착핀을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고정홈에 억지끼움으로 삽입시켜저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의하면 진공단열재를 개별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진공단열재의 크기나 형상에 상관 없이 각각의 진공단열재를 원하는 다양한 위치에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두께의 진공단열재에 맞추어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을 다품종소량생산(또는 대량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의 외측에 외부마감재를 설치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고정부재인 각목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부마감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진공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과 부재장착부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는 물론 철거 및 잘못 시공된 부분을 재설치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는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진공단열재 및 외부마감재를 시공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엔드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는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진공단열재 및 외부마감재를 시공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엔드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끝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각각 최소한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은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나 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두께가 1m이내인 철판을 판금이나 프레스성형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단열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부마감재(30)를 장착하기 위한 각목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휘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일정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도록 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와 같은 규격이나 재질은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제 설치용 브라켓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대략적인 형상과 사이즈, 가공방법 및 재질의 특성을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과 규격 및 재질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공방법 등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지지프레임(110)의 일측방향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브라켓체결공(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보호턱(155)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체결공(150)은 나사나 앙카볼트 등과 같은 브라켓체결구가 관통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과 설치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베이스프레임(100)이 지지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타측은 절개되어 있고 일측에 브라켓체결공(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다양한 형상과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프레임(100)의 형상이나 브라켓체결공(150)의 위치가 반드시 도면처럼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보호턱(155)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장자리 양측이 상부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나란히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돌출되는 높이는 최소한 브라켓체결공(150)에 장착되는 볼트나 나사못 등과 같은 브라켓체결구의 머리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턱(155) 위에 진공단열재(10)가 얹혀지면서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진공단열재(10)의 외피재가 브라켓체결구의 머리에 닿지 않도록 하거나 닿더라도 지나치게 압착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턱(155)의 날카로운부분이 진공단열재(1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턱(155)의 가장자리를 다시 베이스프레임(100)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보호턱(155)의 상부로서 상기 진공단열재(10)와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턱(155)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주지한바와 같이 진공단열재(10)는 외피재의 내부에 심재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심재부(미도시)가 구비된 내측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단열재를 말한다. 따라서 외피재가 손상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 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외피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외피재는 어느 정도의 외부충격이나 자극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자체로도 내구성이 강한 재질이 사용되지만 진공수축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계열이 주로 적용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부분에 닿지 않도록 세심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내측보다 높은 보호턱(155)을 구비하여 상기 진공단열재(10)를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진공단열재(10)의 하부가 보호턱(155) 위에 얹혀지는 구조가 되어 브라켓체결구의 머리가 진공단열재(10)의 외피재에 최대한 닿지 않도록 하여 상기 외피재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한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호턱(15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이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호턱(155)은 브라켓체결공(150)의 주변에서 최소한 상기 브라켓체결공(150)에 장착되는 브라켓체결구의 머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기만 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체결공(150) 및 그 주변의 일부 영역을 낮게 하고 나머지 부분을 모두 브라켓체결구의 머리보다 높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아니라 내측에(또는 양측과 내측에 함께) 상기 브라켓체결공(150)을 피해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호턱(155)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호턱(155)은 본 발명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넓을수록 좋을 것이다. 그리고 보호턱(155)의 형상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하부가 개방된 삼각형 구조가 아니라 사각형이나 둥근모양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프레임(11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의 중간 쯤에 폭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의 높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진공단열재(1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브라켓은 철판을 프레스와 판금가공을 통하여 브라켓으로 제작한 형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 및 가공방법은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진공단열재(10)에 대응하는 브라켓을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형상 및 가공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일 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가공방법이나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복수개의 프레임장착핀(170)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3개의 프레임장착핀(170)이 구비된다.프레임장착핀(170)은 지지프레임(110)의 일부가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의 폭 방향의 일측면에는 프레임고정홈(173)이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고정홈(173)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30)이 삽입되면서 장착된다. 따라서 프레임고정홈(173)은 프레임장착핀(170)과 고정프레임의 연결부에서 고정프레임(130)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두께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30)을 프레임고정홈(173)에 삽입하면 억지끼움이 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장착핀(170)은 고정프레임(130)이 장착된 후에도 일정길이 이상 상기 고정프레임(130)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의 끝단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경사부가 시작되는 지점의 양 측면은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의 본체보다 넓게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고정프레임(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의 화살표모양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프레임장착핀(170)이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30)은 지지프레임(110)의 끝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전술하여 설명한 프레임장착핀(17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이 삽입되는 핀장착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프레임(130)은 지지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양쪽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라직하기 때문에 핀장착홀(13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30)의 가운데부분에서 폭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진공단열재(10)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진공단열재(10)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브라켓의 고정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체결공(150)에 앙카볼트 등을 관통시켜서 벽면에 고정한다.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한 후에 상기 브라켓의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30) 사이에 진공단열재(10)의 일측을 삽입한다. 그런 후에 진공단열재(10) 타측에 또 다른 브라켓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상기 진공단열재(10) 양측이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도 4참조). 이때 진공단열재(10)의 타측을 고정하는 브라켓은 진공단열재(10)를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3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벽면에 장착되는 것이 작업상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체결공(150)이 진공단열재(10) 외측방향이 되도록 결합한다. 이는 브라켓체결공(150)이 진공단열재(10) 방향이 되는 경우에 상기 브라켓체결공(150)이 진공단열재(10)에 가려져서 앙카볼트 등으로 체결하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상은 지지프레임(110)에 고정프레임(13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진공단열재(10)를 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느 것이다. 본원 발명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30)이 지지프레임(110)에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좀 더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즉, 고정프레임(13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베이스프레임(100)을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한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진공단열재(10)을 얹혀두고, 상기 진공단열재(10)가 얹혀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프레임장착핀(170)에 고정프레임(130)을 장착하여 진공단열재(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프레임(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진공단열재(10)가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30) 사이에 삽입되어 어느 정도 지지되는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진공단열재(10)를 장착한 후에 고정프레임(130)으로 고정하는 방식은 베이스프레임(100)을 벽면에 고정하기 유리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해 두지 않고 진공단열재(10)를 위치시킨 후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고 쉽게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두 방식은 일정한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편의에 따라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고정프레임(130)이 탈부착 가능한 경우에 잘못 시공된 단열재를 철거하거나 새로 교체하기가 매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프레임(130)은 전부나 일부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00) 사이에 진공단열재(10)를 장착할 때 상기 진공단열재(1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00)은 진공단열재(10)의 외피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날카롭거나 뾰족한 부분이 없도록 가공된다. 그러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작업자의 부주의나 잘못된 사용방법으로 인한 외피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130)에는 연질이나 매끄러운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부나 일부에도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코팅층이 일부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진공단열재(10)가 삽입되는 끝단이나 모서리부분이 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진공단열재(10)의 양 측면이나 둘레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단열재(10)를 벽면 등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최소한 2군데 이상의 지점을 지지함으로써 진공단열재(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의하여 진공단열재(10)가 균일하게 설치된 후에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외부마감재(30)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재(각목)를 장착한다. 종래에 진공단열재를 사용하지 않는 시공방법에서 일정한 크기의 각목을 벽면에 고정한 후에 상기 각목에 외부마감재(30)를 장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는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철거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진공단열재(10)는 외피재가 손상되면 단열성능 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외부마감재(3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을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외부마감재(30)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프레임을 진공단열재(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였다. 그리하여 외부마감재(30)를 설치할 때 나사못 등이 진공단열재(10) 외피재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외부마감재(30)를 벽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이 대부분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외부마감재(3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라켓에 드릴작업을 한 후에 나사못으로 외부마감재(30)를 장착하거나 상기 브라켓을 파고들 수 있는 고가의 볼트를 이용하여 외부마감재(30)를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외부마감재(30)와 진공단열재(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체결구의 길이를 잘못 사용하면 내측의 진공단열재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재질을 나사못 등이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는 재질로 할 수도 있는데, 이를 경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이처럼 브라켓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진공단열재(10)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열이 전달되면서 단열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브라켓은 브라켓 자체에 단열블록을 삽입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브라켓을 제조하는 단가를 현저히 높이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에 고정프레임(130)이 장착되면 프레임장착핀(170)이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은 화살표모양으로 구성되어 각목에 박혀서 고정되기 용이한 구조다.
따라서 진공단열재를 벽면에 설치한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각목(고정부재)을 프레임장착핀(170)의 상부에 올려놓고 망치로 두드리면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이 각목에 박히면서 고정부재가 벽면에 결합된다. 그런 후에 고정부재에 외부마감재(30)를 다시 못이나 앙카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종래에 작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자를 특별히 재교육 시키거나 작업효율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브라켓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도 줄어들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고정부재를 못이나 앙카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벽면(구체적으로는 브라켓의 고정프레임 상부)에 이미 구비된 프레임장착핀(170)에 고정부재를 두드려서 박아 넣기 때문에 진공단열재(10)가 손상될 염려가 적다. 더구나 고정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두드리더라도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프레임(130)에 맏닿으면 더이상 진공단열재(10) 방향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진공단열재(10)를 보호하면서 고정부재를 설치하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고정부재로 주로 사용되는 각목의 두께를 조절하여 진공단열재와 외부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의 체결구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고정부재를 프레임장착핀(170)에 박히도록 하여 벽면에 고정한 후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외부마감재(30)를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진공단열재 및 외부마감재를 시공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고정프레임(130)의 상부에 부재장착부(135)가 더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재장착부(135)는 프레임장착핀(170)의 양측에 각각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고정프레임(13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하여 프레임장착핀(170)의 양측에 구비된 부재장착부(135)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이 되도록 한다. 이때 양 측에 구비된 부재장착부(135) 사이의 거리는 고정부재로 사용될 각목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장착부(135) 사이에 고정부재(각목)를 삽입한 후에 망치 등으로 두드려서 상기 부재장착부(135)에 삽입된 고정부재가 상기 부재장착부(135)의 내측에 구비된 프레임고정핀(170)에 박히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고정프레임(130)의 일부를 절개하여 수직으로 절곡한 형태의 부재장착부(135)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도면과 같은 가공방법이나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부재장착부(135)와 고정프레임(130)은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내측에 핀장착홀(133)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압출가공에 의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는 양측의 부재장착부(135)가 대칭되는 구조가 될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재장착부(135)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각목의 삽입은 용이하지만 쉽게 빠지지는 않도록 하는 구조의 돌기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부재장착부(135)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는 하부(고정프레임방향)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각목의 삽입은 용이하지만 상기 각목이 빠지려고 할 때는 반대쪽(하부방향)으로 걸리도록 하여 고정부재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부재장착부(135)의 측면에 고정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부재장착부(135)에 고정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에 나사못이나 앙카볼트 등을 체결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은 부재장착부(135)를 제외하고는 기능적인 면에서 도 1 및 2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고정프레임(130)에 부재장착부(135)를 구비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재장착부(135)에 고정부재(각목)를 결합한 후에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외부마감재(30)를 고정한다. 외부마감재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재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철거나 교체도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엔드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설치용 엔드브라켓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에서 지지프레임(110)의 타측 방향의 구성이 생략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우측)과 함께 사용된다. 엔드브라켓은 벽면의 모서리 등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벽면의 내측에서는 브라켓을 중심으로 양측에 모두 진공단열재(10)가 장착되지만 모서리부분에서는 지지프레임(110)의 타측방향에는 진공단열재(10)가 설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타측이 오히려 브라켓을 모서리부분에 설치하는데 방해가 된다. 따라서 엔드브라켓은 지지프레임(110)의 타측방향이 생략된 형태로 사용된다.
엔드브라켓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끝단에 지지프레임(110)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프레임장착핀(17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장착핀(170)에 일측에 핀장착홀(133)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130)이 결합된다. 프레임장착핀(170)과 핀장착홀(133)의 구성 및 결합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구조 및 원리와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엔드브라켓은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벽면의 모서리 등에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엔드브라켓은 고정프레임(130)이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좁은 모서리 공간에 진공단열재(10)를 고정하기 매우 유용하다. 즉, 모서리부분에 고정프레임(130)이 분리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00)을 고정한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진공단열재의 끝단을 얹혀두고 프레임장착핀(170)에 고정프레임(130)을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베이스프레임
110: 지지프레임
130: 고정프레임
133: 핀장착홀
135: 부재장착부
150: 브라켓체결공
155: 보호턱
170: 프레임장착핀
173: 프레임고정홈
110: 지지프레임
130: 고정프레임
133: 핀장착홀
135: 부재장착부
150: 브라켓체결공
155: 보호턱
170: 프레임장착핀
173: 프레임고정홈
Claims (8)
-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의 프레임장착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프레임장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는 핀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장착홀에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장착핀은 끝단의 일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고정부재에 박히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외부마감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폭 방향의 일측면에는 프레임고정홈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두께와 대응하거나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핀장착홀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장착핀을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고정홈에 억지끼움으로 삽입시켜저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장착핀은 경사부가 시작되는 지점의 양 측면이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본체보다 넓게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부재장착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부재장착부 사이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서 타측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공단열재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의 프레임장착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으로 상기 프레임장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는 핀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장착홀에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삽입되면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장착핀은 끝단의 일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장착핀이 고정부재에 박히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외부마감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장착핀의 폭 방향의 일측면에는 프레임고정홈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핀장착홀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장착핀을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고정홈에 억지끼움으로 삽입시켜저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714A KR102222938B1 (ko) | 2020-06-11 | 2020-06-11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PCT/KR2021/006557 WO2021251657A1 (ko) | 2020-06-11 | 2021-05-26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714A KR102222938B1 (ko) | 2020-06-11 | 2020-06-11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2938B1 true KR102222938B1 (ko) | 2021-03-03 |
Family
ID=7515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0714A KR102222938B1 (ko) | 2020-06-11 | 2020-06-11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938B1 (ko) |
WO (1) | WO2021251657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51657A1 (ko) * | 2020-06-11 | 2021-12-16 | 황병선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KR102430194B1 (ko) | 2021-12-02 | 2022-08-08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KR102450494B1 (ko) | 2021-11-04 | 2022-10-06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진공을 이용한 단열재 어셈블리 |
KR20230000248A (ko) | 2021-06-24 | 2023-01-02 | 황병선 | 단열기능이 강화된 탈부착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KR102501274B1 (ko) | 2022-04-27 | 2023-02-17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KR102501266B1 (ko) | 2022-04-27 | 2023-02-17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KR102501260B1 (ko) | 2021-10-21 | 2023-02-17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626603A (en) * | 2023-01-30 | 2024-07-31 | Themedge Ltd | Insulation fix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289A (ja) * | 1992-09-17 | 1994-04-12 | Nippon Steel Corp | 外壁用断熱材の支持方法および支持装置 |
KR20130004298U (ko) * | 2012-01-02 | 2013-07-10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
KR20160113808A (ko) | 2015-03-23 | 2016-10-04 |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 진공단열재의 고정장치 |
KR20200033599A (ko) * | 2018-09-20 | 2020-03-30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2938B1 (ko) * | 2020-06-11 | 2021-03-03 | 황병선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
2020
- 2020-06-11 KR KR1020200070714A patent/KR1022229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5-26 WO PCT/KR2021/006557 patent/WO20212516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289A (ja) * | 1992-09-17 | 1994-04-12 | Nippon Steel Corp | 外壁用断熱材の支持方法および支持装置 |
KR20130004298U (ko) * | 2012-01-02 | 2013-07-10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
KR20160113808A (ko) | 2015-03-23 | 2016-10-04 |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 진공단열재의 고정장치 |
KR20200033599A (ko) * | 2018-09-20 | 2020-03-30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51657A1 (ko) * | 2020-06-11 | 2021-12-16 | 황병선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KR20230000248A (ko) | 2021-06-24 | 2023-01-02 | 황병선 | 단열기능이 강화된 탈부착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KR102501260B1 (ko) | 2021-10-21 | 2023-02-17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KR102450494B1 (ko) | 2021-11-04 | 2022-10-06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진공을 이용한 단열재 어셈블리 |
KR102430194B1 (ko) | 2021-12-02 | 2022-08-08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KR102501274B1 (ko) | 2022-04-27 | 2023-02-17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KR102501266B1 (ko) | 2022-04-27 | 2023-02-17 |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51657A1 (ko) | 2021-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2938B1 (ko) |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
US63247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surfaces | |
KR101543455B1 (ko) | 조립식 커튼월 단열보강구조체 | |
US20190234066A1 (en) | Thermal insulator modul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structure using sam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US3932974A (en) | Glazing system | |
KR102133944B1 (ko) |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JP4472545B2 (ja) | タイル取付け構造 | |
KR20200048657A (ko) | 진공단열재 조립체 | |
KR101795986B1 (ko) |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2465338B1 (ko) |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
KR102454416B1 (ko) | 외부마감재 장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 |
RU2755056C2 (ru) | Узел рамы дл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 |
KR102294075B1 (ko) | 벽면 모서리용 진공단열재 설치 브라켓 | |
KR20230107025A (ko) | 단열 및 내진 성능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의 결합공법 | |
WO2007075054A1 (en) | Hanger for ceiling closing | |
KR20200088693A (ko) | 심재가 내장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 |
WO2009064120A1 (en) | Interior panel | |
JP2010185235A (ja) | 既設ドアの改修方法、ドアおよ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気密パッキン | |
JP2005090137A (ja) | パネルの取付構造 | |
KR20180137668A (ko) | 개보수 창틀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 |
JPH0860756A (ja) | 外壁パネル用ガスケット及びその取付施工方法 | |
CN221321412U (zh) | 一种扣板连接结构 | |
JPH0518092A (ja) | 硬質壁材の取付構造 | |
CN219569295U (zh) | 一种玻璃幕墙安装结构 | |
KR102227724B1 (ko) | 단열 브라켓, 이를 이용한 하지틀 구조 및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