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266B1 -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266B1
KR102501266B1 KR1020220052340A KR20220052340A KR102501266B1 KR 102501266 B1 KR102501266 B1 KR 102501266B1 KR 1020220052340 A KR1020220052340 A KR 1020220052340A KR 20220052340 A KR20220052340 A KR 20220052340A KR 102501266 B1 KR102501266 B1 KR 102501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using
thermal bridge
hook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Priority to KR102022005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4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1 편과, 실내측에 배치되어 제1 편과 평행한 제2 편과, 제1 편과 제2 편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편과, 제1 편과 제2 편 각각의 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4 편을 포함하며, 제1 편 내지 제4 편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진공단열재가 채워진 양단 관통의 제1 하우징; 및 실외측과 실내측 상호간의 열교현상(熱橋現狀) 방지를 위하여, 제3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제3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1 차단 절개부와, 제4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제4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2 차단 절개부를 포함하는 열교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VACUUM INSULATION MATERIAL ASSEMBLY WITH THERMAL BRIDGE PROT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와 실외측의 열유입과 유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로 외부마감재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는 건축물 시공시 에너지 절감 및 보온 단열을 위하여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 중에서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종래의 단열재는 건축물시공규정을 준수하기 위하여 그 두께가 매우 두꺼워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들 단열재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화재에도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에는 진공단열재가 건축물의 단열재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진공 단열재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유기 심재 또는 유리섬유나 실리카와 같은 무기심재를 외피재 속에 삽입한 후에 내부를 감압하여 밀봉한 단열재이다.
진공단열재는 열이나 소리를 전달하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공기가 없거나 매우 적기 때문에 단열성능이나 방음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재 또는 방음재 등으로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진공단열재는 종래의 단열재와는 달리 외피재가 기밀성을 유지하여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여야만 단열성과 방음성이 유지가 되며, 외피재가 파손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단열성능 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시공이나 설치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진공단열재를 시공할 때는 못이나 앙카볼트(anchor bolt)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기 어려우며 시공이나 설치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2222938호의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진공단열재(10)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브라켓의 고정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체결공(150)에 앙카볼트 등을 관통시켜서 벽면에 고정한다.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한 후에 상기 브라켓의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30) 사이에 진공단열재(10)의 일측을 삽입한다.
그런 후에 진공단열재(10) 타측에 또 다른 브라켓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상기 진공단열재(10) 양측이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진공단열재(10)의 타측을 고정하는 브라켓은 진공단열재(10)를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3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벽면에 장착되는 것이 작업상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체결공(150)이 진공단열재(10) 외측방향이 되도록 결합한다.
이는 브라켓체결공(150)이 진공단열재(10) 방향이 되는 경우에 상기 브라켓체결공(150)이 진공단열재(10)에 가려져서 앙카볼트 등으로 체결하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행기술은 진공단열재(10)를 벽체에 시공한 후 다시 각목을 설치하고, 설치된 각목에 별도의 외부마감재(3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은 벽체를 따라 복수의 진공단열재(10)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진공단열재(10) 각각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00)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2229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실내와 실외측의 열유입과 유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로 외부마감재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1 편과, 실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편과 평행한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 각각의 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4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 내지 상기 제4 편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진공단열재가 채워진 양단 관통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상호간의 열교현상(熱橋現狀)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3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3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1 차단 절개부와, 상기 제4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4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2 차단 절개부를 포함하는 열교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편과 상기 제3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2 하우징의 제2 편을 지지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4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3 하우징의 제1 편을 지지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제4 편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3 편에 형성되는 제1 맞물림 수단과,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편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4 편에 형성되는 제2 맞물림 수단과,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4 편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 수단과, 상기 제2 맞물림 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편측과 연결되는 제2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2 편과 상기 제3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상기 제2 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연장 리브와, 상기 제1 연장 리브의 말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편과 마주보는 설치 대상면에 접촉하는 고정 리브와, 상기 고정 리브의 말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고정 리브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연장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4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편과 접촉하는 지지 리브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3 편과 상기 제1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상기 제1 편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2 하우징의 제2 브라켓이 안착되는 안착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3 편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상기 제1 브라켓중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편과 평행한 지지 리브와 마주보는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단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닿으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3 편과 평행한 제1 함몰면을 포함하는 제1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맞물림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상기 제2 브라켓중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편과 평행한 지지 리브와 마주보는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단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닿으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4 편과 평행한 제2 함몰면을 포함하는 제2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함몰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수단은 상기 제2 함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연결 레일과 맞물리는 제1 연결 리브 또는,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연결 리브와 맞물리는 제1 연결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4 편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연결 리브와 맞물리는 제2 연결 레일 또는,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연결 레일과 맞물리는 제2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편측으로 절곡된 제1 상향 절곡 후크 또는,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편측으로 절곡된 제1 하향 절곡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편측으로 절곡된 제2 하향 절곡 후크 또는,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편측으로 절곡된 제2 상향 절곡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상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하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하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상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하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상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상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하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분할함으로써, 실내측과 실외측 상호간의 열유입과 유출, 즉 열교현상을 차단하여 진공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더욱더 향상시킴은 물론, 더 나아가 건축물의 냉난방 부하를 경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웃한 하우징들과의 맞물림 및 연결을 위한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설치 대상면을 따라 복수로 시공 설치되는 복수의 하우징들이 견고하게 맞물린 상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할된 하우징의 분할 상태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양단 관통인 하우징의 개방된 양단부 면을 각각 하우징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제작한 마감편과 스페이서 구조로 이격시킴으로써, 열교현상의 확실한 차단을 도모하여 그린에너지 건축물의 구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벽체에 대하여 석판이나 대리석판 등과 같은 외부마감재는 물론 진공단열재 또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설치 대상면과 평행하게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는 하우징 각각의 양측에 설치용 브라켓 자체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설치 및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용성이 높은 발명인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어셈블리는, 진공단열재가 수용된 하우징에 부주의로 앵커볼트나 고정구를 관통 고정시키는 실수를 할 필요없이, 진공단열재가 수용된 하우징 양측의 브라켓 중 일측의 브라켓을 고정시키면 되므로, 벽체를 포함한 설치 대상면에 진공단열재를 설치할 때 앵커나 체결구가 진공단열재를 관통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파손 및 사용불가 상태에 직면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행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번거로운 추가 작업, 예를 들면 벽체나 설치 대상물에 대한 추가 고정 설치 등이 필요없이 작업 공수를 줄이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어셈블리는 그 자체로 외부마감재로서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원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열교 방지부중 마감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평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가 설치 대상면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6은 종래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의 전체적인 시공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므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열교 방지부(700)중 마감편(710)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평단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가 설치 대상면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0)에 열교 방지부(70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1 편(101)과, 실내측에 배치되어 제1 편(101)과 평행한 제2 편(102)과, 제1 편(101)과 제2 편(102)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편(103)과, 제1 편(101)과 제2 편(102) 각각의 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4 편(104)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0)은, 제1 편(101) 내지 제4 편(104)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진공단열재(500)가 채워진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열교 방지부(700)는 실외측과 실내측 상호간의 열교현상(熱橋現狀) 방지를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열교 방지부(700)는 제3 편(103)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제3 편(103)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1 차단 절개부(이하 미도시)와, 제4 편(104)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제4 편(104)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2 차단 절개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우선,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 브라켓(110, 120)과 제1, 2 맞물림 수단(130, 140) 및 제1, 2 연결 수단(170, 180)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 하우징(100)과 이웃한 제2, 3 하우징(200, 300)의 맞물림 시공이 도 5와 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브라켓(110)은 제2 편(102)과 제3 편(103)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제1 하우징(100)과 이웃한 제2 하우징(200)의 제2 편(202)을 지지하는 것이다.
제2 브라켓(120)은 제1 편(101)과 제4 편(104)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제1 하우징(100)과 이웃한 제3 하우징(300)의 제1 편(301)을 지지하는 것이다.
제1 맞물림 수단(130)은 제2 하우징(200)의 제4 편(204)과 맞물리도록 제1 하우징(100)의 제3 편(103)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2 맞물림 수단(140)은 제3 하우징(300)의 제3 편(303)과 맞물리도록 제1 하우징(100)의 제4 편(104)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1 연결 수단(170)은 제1 하우징(100)은 제1 맞물림 수단(130)에 형성되어 제2 하우징(200)의 제4 편(204)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2 연결 수단(180)은 제1 하우징(100)은 제2 맞물림 수단(140)에 형성되어 제3 하우징(300)의 제3 편(303)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어셈블리는 도 4와 같이 제1 하우징(100)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하우징(100)의 제3 편(103)과 제2 하우징(200)의 제4 편(204)이 마주봄과 동시에, 제1 하우징(100)의 제4 편(104)과 제3 하우징(300)의 제3 편(303)이 마주보는 패턴이 일직선상에 반복 형성되고, 도 5와 같이 맞물려 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11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 리브(111)와 고정 리브(112)와 제2 연장 리브(113)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연장 리브(111)는 제2 편(102)과 제3 편(103)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 리브(112)는 제1 연장 리브(111)의 말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편(101) 및 제2 편(102)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2 편(102)과 마주보는 설치 대상면(400, 이하 도 5 참조)에 접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연장 리브(113)는 고정 리브(112)의 말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브라켓(11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연장 리브(111)의 선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하우징(100)의 제2 편(102)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보강 리브(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고정 리브(112)의 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리브(112)를 관통하여 설치 대상면(400)에 고정되는 고정 체결구(600)에 구비된 헤드(610)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리브(112)의 폭이 헤드(610)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제작되면, 고정 체결구(600)를 고정 리브(112)에 관통시켜 설치 대상면(400)에 고정시킬 때 원활한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 리브(112)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 체결구(600)가 관통 삽입될 체결공을 복수로 천공해 두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이때, 연장 리브(113)와 고정 리브(112) 및 제1 연장 리브(111)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홈(115)의 깊이는, 고정 리브(112)를 관통하여 설치 대상면(400)에 고정되는 고정 체결구(600)에 구비된 헤드(610)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홈(115)의 깊이가 헤드(610)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게 제작되면, 고정 체결구(600)의 헤드(610)가 고정 리브(112)에 완전히 접촉 고정되었을 때, 이웃한 제2 하우징(200)의 제2 편(202)이 접촉되어 제2 하우징(200)의 제4 편(204)측이 제1 하우징(100)의 제1 단턱(131)에 거침없이 원활하게 안내되어 맞물릴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2 브라켓(12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편(101)과 제4 편(104)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제1 편(101) 및 제2 편(102)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3 하우징(300)의 제1 편(301)과 접촉하는 지지 리브(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20)은, 제1 하우징(100)의 제3 편(103)과 제1 편(101)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제1 편(101)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어 제1 하우징(100)과 이웃한 제2 하우징(200)의 제2 브라켓(220)이 안착되는 안착 단턱(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브라켓(12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지지 리브(121)의 선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하우징(100)의 제1 편(101)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2 보강 리브(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맞물림 수단(130)은, 다시 도 2와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단차면(131a)과 제1 함몰면(131b)을 포함하는 제1 단턱(131)과, 제2 단차면(141a)과 제2 함몰면(141b)을 포함하는 제2 단턱(141)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단턱(131)을 구성하는 제1 단차면(131a)은 제1 하우징(100)의 제3 편(103)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제1 브라켓(110)중 제1 하우징(100)의 제1 편(101)과 평행한 제1 지지 리브(114)와 마주보게 형성된 것이다.
제1 단턱(131)을 구성하는 제1 함몰면(131b)은 제1 단차면(13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닿으며 제1 하우징(100)의 제3 편(103)과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제2 맞물림 수단(140)은, 제2 단차면(141a)과 제2 함몰면(141b)을 포함하는 제2 단턱(141)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단턱(141)을 구성하는 제2 단차면(141a)은 제1 하우징(100)의 제4 편(104)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제2 브라켓(120)중 제1 하우징(100)의 제2 편(102)과 평행한 제2 지지 리브(121)와 마주보게 형성된 것이다.
제2 단턱(141)을 구성하는 제2 함몰면(141b)은 제2 단차면(14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닿으며 제1 하우징(100)의 제4 편(104)과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후술할 제1 연결 수단(170)은 제1 함몰면(131b)에 형성되며, 제2 연결 수단(180)은 제2 함몰면(141b)에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 수단(170)은, 도 2(a) 및 도 4(a)를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리브(171) 또는 제1 연결 레일(이하 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연결 리브(171)는 제1 맞물림 수단(130)중 제3 편(103)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131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하우징(200)의 제1 연결 레일(281)과 맞물리는 것이다.
제1 연결 레일은 제1 맞물림 수단(130)중 제3 편(103)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131b)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제2 하우징(200)의 제1 연결 리브(이하 미도시)와 맞물리는 것이다.
또한, 제2 연결 수단(180)은 제2 연결 레일(181) 또는 제2 연결 리브(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연결 레일(181)은 제4 편(104)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제3 하우징(300)의 제1 연결 리브(371)와 맞물리는 것이다.
제2 연결 리브는 제4 편(104)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3 하우징(300)의 제1 연결 레일(이하 미도시)과 맞물리는 것이다.
한편, 제1 연결 수단(170)은, 도 2(b) 및 도 4(b)를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상향 절곡 후크(172) 또는 제1 하향 절곡 후크(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상향 절곡 후크(172)는 제1 맞물림 수단(130)중 제3 편(103)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131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편(101)측으로 절곡된 것이다.
제1 하향 절곡 후크는 제1 맞물림 수단(130)중 제3 편(103)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131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편(102)측으로 절곡된 것이다.
또한, 제2 연결 수단(180)은 제2 하향 절곡 후크(182) 또는 제2 상향 절곡 후크(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하향 절곡 후크(182)는 제4 편(104)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편(102)측으로 절곡된 것이다.
제2 상향 절곡 후크는 제4 편(104)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편(101)측으로 절곡된 것이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0)의 제1 상향 절곡 후크(172)가 제2 하우징(200)의 제2 하향 절곡 후크(282)와 맞물리거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하우징(100)의 제1 하향 절곡 후크가 제2 하우징(200)의 제2 상향 절곡 후크(이하 미도시)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의 제2 하향 절곡 후크(182)가 제3 하우징(300)의 제1 상향 절곡 후크(372)와 맞물리거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하우징(100)의 제2 상향 절곡 후크가 제3 하우징(300)의 제1 하향 절곡 후크(이하 미도시)와 맞물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열교 방지부(700)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하우징(100)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1 하우징(100)의 개방된 양단부 면을 각각 마감하는 마감편(710)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열교 방지부(700)는, 도 3(a)와 같이 스페이서(712)를 구비한 구조를 적용하거나, 도 3(b)와 같이 스페이서(712)와 함께 끼움 돌출편(711)이 포함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끼움 돌출편(711)은 마감편(710)으로부터 제1 하우징(100)의 개방된 양단부 면 각각의 내측 가장자리 형상과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제1 하우징(100)의 양단부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마감편(7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712)는 마감편(7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끼움 돌출편(7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제1 차단 절개부(701) 및 제2 차단 절개부(702) 각각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마감편(710) 및 끼움 돌출편(7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편(710)의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복수의 체결홀(713)이 관통되어 끼움 돌출편(711)의 외측에 배치되고, 마감편(710)을 제1 하우징(100)의 양단부에 고정시키는 체결구(800, 이하 도 1 및 도 5 참조)가 관통 고정된다.
이때,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의 체결홀(713)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하우징(100)과 일체로 내부 체결 리브(150)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체결 리브(150)는 체결홀(713)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연결홀(151)을 중심에 구비하고 연결홀(151)에 복수의 체결구(800)들이 각각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측의 열유입과 유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로 외부마감재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하우징
101...제1 편
102...제2 편
103...제3 편
104...제4 편
110...제1 브라켓
111...제1 연장 리브
112...고정 리브
113...제2 연장 리브
120...제2 브라켓
121...지지 리브
122...안착 단턱
130...제1 맞물림 수단
131...제1 단턱
131a...제1 단차면
131b...제1 함몰면
140...제2 맞물림 수단
141...제2 단턱
141a...제2 단차면
141b...제2 함몰면
150...내부 체결 리브
151...연결홀
170...제1 연결 수단
171...제1 연결 리브
172...제1 상향 절곡 후크
180...제2 연결 수단
181...제2 연결 레일
182...제2 하향 절곡 후크
200...제2 하우징
202...제2 하우징(200)의 제2 편
204...제2 하우징(200)의 제4 편
220...제2 하우징(200)의 제2 브라켓
281...제2 하우징(200)의 제1 연결 레일
282...제2 하우징(200)의 제2 하향 절곡 후크
300...제3 하우징
301...제3 하우징(300)의 제1 편
303...제3 하우징(300)의 제3 편
371...제3 하우징(300)의 제1 연결 리브
372...제3 하우징(300)의 제1 상향 절곡 후크
400...설치 대상면
500...진공단열재
600...고정 체결구
610...헤드
700...열교 방지부
701...제1 차단 절개부
702...제2 차단 절개부
710...마감편
711...끼움 돌출편
712...스페이서
713...체결홀

Claims (7)

  1.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1 편과, 실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편과 평행한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 각각의 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4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 내지 상기 제4 편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진공단열재가 채워진 양단 관통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상호간의 열교현상(熱橋現狀)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3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3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1 차단 절개부와, 상기 제4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4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2 차단 절개부를 포함하는 열교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편과 상기 제3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2 하우징의 제2 편을 지지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4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3 하우징의 제1 편을 지지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제4 편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3 편에 형성되는 제1 맞물림 수단과,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편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4 편에 형성되는 제2 맞물림 수단과,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4 편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 수단과,
    상기 제2 맞물림 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편측과 연결되는 제2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연결 레일과 맞물리는 제1 연결 리브 또는,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연결 리브와 맞물리는 제1 연결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4 편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연결 리브와 맞물리는 제2 연결 레일 또는,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연결 레일과 맞물리는 제2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2.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1 편과, 실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편과 평행한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 각각의 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4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 내지 상기 제4 편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진공단열재가 채워진 양단 관통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상호간의 열교현상(熱橋現狀)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3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3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1 차단 절개부와, 상기 제4 편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4 편을 분할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2 차단 절개부를 포함하는 열교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편과 상기 제3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2 하우징의 제2 편을 지지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4 편이 만나는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한 제3 하우징의 제1 편을 지지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제4 편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3 편에 형성되는 제1 맞물림 수단과,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편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4 편에 형성되는 제2 맞물림 수단과,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제4 편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 수단과,
    상기 제2 맞물림 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제3 편측과 연결되는 제2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편측으로 절곡된 제1 상향 절곡 후크 또는, 상기 제1 맞물림 수단중 상기 제3 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함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편측으로 절곡된 제1 하향 절곡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편측으로 절곡된 제2 하향 절곡 후크 또는, 상기 제4 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편측으로 절곡된 제2 상향 절곡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상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하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하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상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하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상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2 상향 절곡 후크가 상기 제3 하우징의 제1 하향 절곡 후크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52340A 2022-04-27 2022-04-27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102501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40A KR102501266B1 (ko) 2022-04-27 2022-04-27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40A KR102501266B1 (ko) 2022-04-27 2022-04-27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266B1 true KR102501266B1 (ko) 2023-02-17

Family

ID=8532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340A KR102501266B1 (ko) 2022-04-27 2022-04-27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2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13A (ja) * 2009-08-25 2011-03-10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KR20110004758U (ko) * 2009-11-06 2011-05-13 윤용각 복합단열패널
KR101325301B1 (ko) * 2012-12-28 2013-11-04 김승진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JP2017535702A (ja) * 2014-11-28 2017-11-30 サン−ゴバン イゾベール 断熱システム及びキ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KR20180118987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조은데코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2222938B1 (ko) 2020-06-11 2021-03-03 황병선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13A (ja) * 2009-08-25 2011-03-10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KR20110004758U (ko) * 2009-11-06 2011-05-13 윤용각 복합단열패널
KR101325301B1 (ko) * 2012-12-28 2013-11-04 김승진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JP2017535702A (ja) * 2014-11-28 2017-11-30 サン−ゴバン イゾベール 断熱システム及びキ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KR20180118987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조은데코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2222938B1 (ko) 2020-06-11 2021-03-03 황병선 고정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739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고단열 커튼월 창호
KR101970309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20170048130A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KR101865154B1 (ko) 엠보싱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534320B1 (ko)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외단열 시공방법
KR102430194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2501266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802838B1 (ko) 단열형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102501260B1 (ko)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20230105918A (ko) 틸팅 및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KR20100114250A (ko) 건축물의 벽체단열 시공방법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2501274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20100114258A (ko) 건축물용 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1743980B1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450494B1 (ko) 진공을 이용한 단열재 어셈블리
KR101379279B1 (ko) 외단열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2165673B1 (ko) 냉동냉장창고용 단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