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89A -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4089A KR20130004089A KR20120065167A KR20120065167A KR20130004089A KR 20130004089 A KR20130004089 A KR 20130004089A KR 20120065167 A KR20120065167 A KR 20120065167A KR 20120065167 A KR20120065167 A KR 20120065167A KR 20130004089 A KR20130004089 A KR 20130004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encoding
- pixel data
- direct
- enco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04N1/41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for the transmission or storage or reproduction of two-tone pictures, e.g. black and white pictures
- H04N1/413—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 H04N1/417—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using predictive or differential encod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6—Availability of hardware or computational resources, e.g. encoding based on power-saving criteri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발명은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필요한 지정 범위의 화상 데이터를 블럭 단위로 래스터 형태로 변환하여 1화소 단위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1라인 분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도중에 구동 펄스의 출력을 일시정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부호화 데이터의 여러 개의 비트를 1워드로 하여 라인마다 또는 페이지마다 워드 패킹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화상 처리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화상의 형식을 변환하는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화상의 부호화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이 알려져 있다. 이 DPCM에 의한 부호화 방식은, 가까이에 있는 화소끼리는 비교적 가까운 화소치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DPCM을 사용하여 부호화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화면 좌단에 상당하는 화소 데이터부터 순서대로 부호화된다.
그러나 DPCM을 사용할 경우, 화면 좌단에 상당하는 화소 데이터의 부호화에서는 해당 화소 데이터가 직접 부호화되는데, 화면 좌단에 상당하는 화소 데이터 이외의 화소 데이터의 부호화에서는, 해당 화소 데이터와 그 직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가 부호화된다. 이 경우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화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화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하는 직접 부호화부와, 화소 데이터와 상기 화소 데이터보다 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하는 차분 부호화부와, 상기 직접 부호화부 또는 상기 차분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각 라인에서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여러 개의 화소 데이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분치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화소에 대해 직접 부호화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접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분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직접 부호화를 행하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분치에 대한 부호화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각 라인에서 선두의 화소 데이터 및 각각이 소정 간격을 가진 화소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다른 화소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차분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정 간격마다 반드시 직접 부호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출력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분 부호화부는, 상기 화소 데이터와 상기 화소 데이터의 직전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직전의 화소 데이터를 기억해두면 되기 때문에 회로 규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하는 단계와, 화소 데이터와 상기 화소 데이터보다 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직접 부호화 또는 상기 차분치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로서, 각 라인에서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여러 개의 화소 데이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분치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화소에 대해 직접 부호화를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접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에 의하면, 부호화 데이터의 기록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화하지 않아도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의해 입력 데이터열에 대해 DPCM 부호화를 수행한 경우의 데이터 어드레스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경우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호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경우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호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비교예로서의 노이즈 저감 회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비교예에서의 노이즈 저감 회로는, 라인 메모리의 입력 측에 DPCM 부호화기를 배치하고, 라인 메모리의 출력 측에 DPCM 복호기를 배치한다. 이로써 DPCM 형식에 의해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라인 메모리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경우 DPCM 부호화기는, 라인 선두의 화소 데이터(이하, 「화소치」라고도 한다)에 대해서만 직접 부호화를 하고, 그 후의 화소 데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화소 데이터와 그 직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한다.
이와 같은 처리는, 라인 메모리와 조합하여 전체 화면을 하나하나 처리해 나가는 파이프 라인 처리에는 적합하지만, 화면 일부의 화상 데이터를 잘라내고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확대/축소하는 처리(예를 들면, 트리밍 리사이저 처리)와의 조합에는 적합하지 않다. 화면 좌단에 상당하는 화소 데이터 이외의 화소 데이터는 직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한 데이터이므로, 예를 들면 화면 일부의 화상 데이터만 필요한 경우에도 화면 좌단에 상당하는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비교예에서의 노이즈 저감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라인 메모리를 사용한 화면 전체에 대한 처리로 한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10)에 의해 입력 데이터 열에 대해 DPCM 부호화를 한 경우의 데이터 어드레스 제어를 도시한다. 특히, 도 1은 입력 데이터 열의 각각이 12bit의 화소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부호화 데이터 열의 각각이 6bit의 화소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기입 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10)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화소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각 입력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부호화 장치(10)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취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록 매체로부터 취득되어도 좋고, 부호화 장치(10)의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우선, 부호화 장치(10)는 각 라인의 입력 데이터 중 선두의 화소 데이터(D0)에 대해 2 클락(clock)(2 데이터)으로 나누어 직접 부호화하고, 부호화한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부호화 장치(10)는 다음 화소 데이터(D1)와 그 직전의 화소 데이터(D0)와의 차분치를 6bit로 DPCM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C1)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부호화 장치(10)는 다음 화소 데이터(D2)와 그 직전의 화소 데이터(D1)과의 차분치를 6bit로 DPCM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C2)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부호화 장치(10)는 이후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부호화 장치(10)는 라인을 구성하는 선두 이외의 다른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을 8로 한 경우, 부호화 장치(10)는 화소 데이터(D8)을 직접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부호화 장치(10)는 화소 데이터(D9)과 그 직전의 화소 데이터(D8)과의 차분을 6bit로 DPCM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C9)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DPCM 부호화를 한 경우에는 하나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1어드레스(6bit)를 사용하지만 직접 부호화를 한 경우에는 2어드레스(12bit)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부호화를 할 때마다 어드레스가 하나 늘어 엇갈리게 된다. 아울러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 입력 데이터의 사이즈는 12bit, 각 부호화 데이터의 사이즈는 6bit로 하는데, 각 입력 데이터의 사이즈 및 부호화 데이터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독출 시>
복호 장치(20)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을 구획으로 하여 화면 도중에 화상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복호 장치(20)는 독출 데이터의 어드레스로부터 도 1의 식(1)에 의해 직전의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산출하고, 그 어드레스부터 독출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복호 장치(20)는 화소 데이터(D11)을 독출하고자 할 경우 식(1)에서 「M=3」, 「Adrs_input=11」로서 「9×1=9」가 되고, 독출 개시 번지는 「9」, 즉, 직접 부호화 데이터(D8)부터 독출하여 복호하면 된다.
<인터벌의 트레이드 오프>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을 작게 하는 편이, 불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면 도중의 데이터 독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2번째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64인 경우에는 64번째 어드레스의 직접 부호화 데이터부터 읽어야 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까지 60clock 대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8인 경우에는 120번째의 직접 부호화 데이터부터 독출하기만 하면 되므로 4clock 대기하는 것만으로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까지의 대기 시간은 6.7%까지 단축할 수 있다. 또 불필요한 데이터의 독출 및 DPCM 복호를 하지 않는 만큼 소비전력의 억제로도 이어진다. 그러나 직접 부호화는 DPCM 부호 2개분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을 작게 하면 압축 효율이 떨어져 메모리 사이즈가 증대된다.
<효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10)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경우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부호화 장치(10)에 의해 수평 방향 2048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12bit에서 6bit로 DPCM 부호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12bit에서 6bit로의 DPCM 부호화에서는, 메모리 사이즈는 이론적으로는 최고 50% 삭감된다.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64인 경우에는 전부를 직접 부호화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한 메모리 사이즈는 49.3% 삭감되어 50%에 가까운 반면,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8인 경우에는 삭감 폭이 약간 감소되지만, 전부를 직접 부호화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한 메모리 사이즈는 43.8% 삭감되고 있어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8인 부호화 장치(10)라도 사용 가치는 충분히 높다고 볼 수 있다.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호화 장치(10) 및 복호 장치(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12bit의 입력 신호를 DPCM 부호화에 의해 6bit로 압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데이터 중 선두의 화소 데이터는 직접 부호화되어야 하므로 선두의 화소 데이터 12bit는 2clock으로 나뉘어 6bit×2로서 후단에 보내진다. 화소 데이터에 대한 직접 부호화는 직접 부호화부(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의 화소 데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화소 데이터와 직전에 부호화된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가 DPCM 부호화부(120)에 의해 12bit에서 6bit로 부호화된다. DPCM 부호화부(120)는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비교적 작은 차분치는 세밀하게, 비교적 큰 차분치는 띄엄띄엄 부호를 할당한다.
여기에서 직접 부호화가 이루어질 때마다 DPCM 부호화시의 오차가 캔슬되기 때문에,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비교적 빈번하게 오차가 캔슬된다고 상정된다. 그러나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오차가 축적되기 쉽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부호화 장치(10)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 6bit에서 12bit로 복호하고, 재생된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DPCM 부호화해도 좋다. 이로써 DPCM 부호화시의 오차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W1(130)에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파라미터로서 입력되고, SW1(130)은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에 따라 직접 부호화와 DPCM 부호화를 전환한 후에 부호화 데이터를 메모리(Memory)(140)에 기입한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SW1(130) 및 SW2(180)에 외부에서 주어지는데,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은,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10) 및 복호 장치(20) 각각이 구비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Memory(140)로부터의 독출은, 우선 독출 데이터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다. 사용자에 의한 지정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대해 부여하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어드레스 연산부(150)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을 파라미터로 하여 독출 개시 어드레스를 도 1의 식(1)에 의해 산출한다. Memory(140)에 기입된 부호화 데이터는 직접 복호부(160) 또는 DPCM 복호부(170)에 의해 복호화된다. 독출의 최초는 반드시 직접 부호화된 화소 데이터이므로 직접 복호부(160)가 해당 데이터를 직접 복호 및 재생한다. 그리고 다음 데이터에서는 DPCM 복호부(170)가 해당 데이터를 DPCM 복호화하여 얻어지는 차분치에 대해 직전의 재생치를 가산하여 데이터를 얻는다.
SW2(180)에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이 파라미터로서 입력되고, SW2(180)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에 따라 직접 복호 데이터와 DPCM 복호 데이터를 전환하여 후단에 넘긴다. 트리밍 리사이저(190)는 SW2(180)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트리밍 및 리사이즈를 수행한다.
<동작>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화 장치(10)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 부호화부(110)는 선두의 화소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11), 취득한 선두의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한다(단계 S12). 직접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Memory(140)에 출력한다(단계 S13). Memory(140)는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축적한다.
직접 부호화부(110)는 다음 화소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21), 다음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한다(단계 S22). 또 DPCM 부호화부(120)는 해당 화소 데이터와 해당 화소 데이터의 직전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한다(단계 S23). SW1(130)은 직접 부호화부(110)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와 DPCM 부호화부(120)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24).
예를 들면 SW1(130)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직접 부호화부(110)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DPCM 부호화부(120)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예에서는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에 상당한다. 즉, SW1(130)은 소정 간격마다 직접 부호화부(110)에 의한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사이에는 DPCM 부호화부(120)에 의한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SW1(130)은 선택한 부호화 데이터를 Memory(140)에 출력한다(단계 S25). Memory(140)는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축적한다. 부호화 종료가 아니면(단계 S26에서 「아니오」), 단계 S21로 되돌아오고, 부호화 종료이면(단계 S26에서 「예」), 부호화를 종료한다. 부호화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전체의 부호화가 종료된 경우에,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복호 장치(20)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 복호부(160)는 선두의 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31), 취득한 선두의 부호화 데이터를 직접 복호화한다(단계 S32). 직접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소 데이터를 트리밍 리사이저(190)에 출력한다(단계 S33). 아울러 여기에서 선두의 부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독출 데이터의 어드레스로부터 도 1의 식(1)에 의해 산출된 독출 개시 어드레스의 부호화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복호 장치(20)는 화면 좌단의 화소 데이터부터 복호하지 않고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직접 복호부(160)는 다음의 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41), 다음의 부호화 데이터를 직접 복호한다(단계 S42). 또 DPCM 복호부(170)는 해당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어지는 차분치를 해당 부호화 데이터의 직전 화소 데이터에 가산한다(단계 S43). SW2(180)는 직접 복호부(160)에 의한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소 데이터와 DPCM 복호부(170)에 의한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소 데이터 중에서 화소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44). 상기와 같이 SW2(180)는, 예를 들면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에 따라 화소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SW2(180)는 선택한 화소 데이터를 트리밍 리사이저(190)에 출력한다(단계S45). 트리밍 리사이저(190)는 출력된 화소 데이터에 대해 트리밍 처리나 리사이즈를 수행한다. 복호 종료가 아니면(단계 S46에서 「아니오」), 단계 S41로 되돌아오고, 복호 종료이면(단계 S46에서 「예」), 복호를 종료한다. 복호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전체의 복호가 종료된 경우에,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의 노이즈 저감 회로에 의하면 시각적인 화질 열화를 억제하면서 라인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2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에서의 노이즈 저감 회로를 사용한 경우에는 화면의 도중에 화상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기 때문에 이 회로를 응용할 수 있는 장면이 전체 화면의 파이프 라인 처리와의 조합으로 한정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면의 도중에도 화상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밍 리사이즈라는, 보다 넓은 화상 처리와도 조합하여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비교예에서의 노이즈 저감 회로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열화 없이 복호할 수 있는 것은 좌단의 화소 데이터뿐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중에서 소정 간격으로 직접 부호화를 행하기 때문에 화질 열화가 소정 화소에서 반드시 캔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다 안정된 화질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12bit의 화소 데이터를 6bit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0bit의 화소 데이터를 5bit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해도 좋고, 14bit의 화소 데이터를 7bit의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해도 좋다.
또 압축 방식으로서 DPCM을 사용하였으나, 압축 형식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회로 규모를 작게 실장할 수 있고, 등장(等長) 부호화이고, 화질 열화가 적은 방식이면 된다. 또한 직접 부호화 데이터의 삽입 인터벌은 2의 거듭제곱으로 하는 것이 제어하기 쉽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DPCM 부호화시에 DPCM 부호화부(120)는 부호화 대상의 화소 데이터와 그 직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어떤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DPCM 부호화부(120)는 부호화 대상의 화소 데이터와 그 N만큼 전(N은 2 이상의 정수)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DPCM 복호부(170)에서의 복호화시에도 N만큼 전의 화소 데이터에 차분치를 가산하면 된다. 또 부호화 장치(10)는 선두의 화소 데이터에서 N번째까지는 직접 부호화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부호화 장치(10)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가 Memory(140)에 출력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부호화 데이터의 출력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emory(140) 이외의 장치(기억 기능 이외의 기능을 가진 장치)에 대해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호화 장치(10)는 소정의 간격마다 직접 부호화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직접 부호화는 소정의 간격마다 행해지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10)는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직접 부호화를 할지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중 부호화의 오차가 축적되는 것을 막고 싶은 영역에 대해서는 직접 부호화를 하면 되고, 화상 데이터에 얼굴이 비치는 것으로 해석된 경우에 그 얼굴 영역에 대해 직접 부호화를 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DPCM 부호화부(120)는 차분 부호화부로도 기능할 수 있다. 또 SW1(130)은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DPCM 복호부(170)는 차분 복호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SW2(180)는 복호 데이터 선택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선행 기술문헌으로서 상기 문헌에 기재된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술과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일본특허공개 제2009-15963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화상을 블럭(Block)으로 잘라내어 제1 처리를 한 후 래스터로 변환하여 제2 처리를 하는 것이다. 해당 기술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축 부호화가 사용되지 않아 해당 기술에서는 사용되는 라인 메모리의 삭감의 효과가 없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15712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센서와 DRAM을 제어하여 라인 메모리 없이 DRAM 액세스를 행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축 부호화가 사용되지 않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로의 입출력 제어 변경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 해당 기술과 다르다.
일본특허공개 평07-11554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가변장 부호화와의 조합으로 16bit마다 패킹하기 위해 리던던시 bit를 부가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서는 등장 부호화를 전제로 하고 있어 해당 기술과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는 라인 메모리와는 조합이 어렵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0 부호화 장치
20 복호 장치
110 직접 부호화부
120 DPCM 부호화부(차분 부호화부)
140 메모리
150 어드레스 연산부
160 직접 복호부
170 DPCM 복호부(차분 복호부)
190 트리밍 리사이저
20 복호 장치
110 직접 부호화부
120 DPCM 부호화부(차분 부호화부)
140 메모리
150 어드레스 연산부
160 직접 복호부
170 DPCM 복호부(차분 복호부)
190 트리밍 리사이저
Claims (6)
-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하는 직접 부호화부;
화소 데이터와 상기 화소 데이터보다 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하는 차분 부호화부;
상기 직접 부호화부 또는 상기 차분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각 라인에서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여러 개의 화소 데이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일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분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각 라인에서 선두의 화소 데이터, 및 각각이 소정 간격을 가진 화소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다른 화소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차분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출력하는 부호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부호화부는,
상기 화소 데이터와 상기 화소 데이터의 직전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 화소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하는 단계;
화소 데이터와 상기 화소 데이터보다 전의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치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직접 부호화 또는 상기 차분치의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단계는, 각 라인에서 상기 직접 부호화부에 의해 얻어진 여러 개의 화소 데이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146120A JP5872804B2 (ja) | 2011-06-30 | 2011-06-30 | 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
JPJP-P-2011-146120 | 2011-06-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4089A true KR20130004089A (ko) | 2013-01-09 |
KR101736469B1 KR101736469B1 (ko) | 2017-05-29 |
Family
ID=4768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5167A KR101736469B1 (ko) | 2011-06-30 | 2012-06-18 |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872804B2 (ko) |
KR (1) | KR10173646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96771A (ja) * | 1989-12-26 | 1991-08-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2次元予測dpcm符号化方法 |
JPH0457419A (ja) * | 1990-06-27 | 1992-02-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予測符号化方法と予測符号の復号方法 |
JP4013716B2 (ja) * | 2002-09-19 | 2007-11-2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JP2005086792A (ja) * | 2003-09-11 | 2005-03-31 | Victor Co Of Japan Ltd | Dpcm符号化方法及びdpcm符号化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2011
- 2011-06-30 JP JP2011146120A patent/JP5872804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6-18 KR KR1020120065167A patent/KR10173646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6469B1 (ko) | 2017-05-29 |
JP2013016880A (ja) | 2013-01-24 |
JP5872804B2 (ja) | 2016-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08982B2 (en) | Image encoding device and image encoding method | |
JP4612716B2 (ja) |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復号化システム | |
JP4782181B2 (ja) | エントロピー復号化回路、エントロピー復号化方法、およびパイプライン方式を利用したエントロピー復号化方法 | |
JP5188033B2 (ja) | 記録再生装置、送出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 | |
JP5073004B2 (ja) |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並びに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 |
KR20070037248A (ko) | 영상 부호화장치 및 방법, 영상 복호화장치 및 방법과 이를채용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방법 | |
KR102238058B1 (ko) | 인코더, 디코더 및 방법 | |
JP2007097145A (ja) |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 |
KR20220031636A (ko) | 범위 비대칭 숫자 시스템 인코딩 및 디코딩의 피쳐 | |
JP5894605B2 (ja) | 方法及び装置 | |
JP2008271039A (ja) |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 |
JP2010050697A (ja) | 画像圧縮伸張装置および画像圧縮伸張方法 | |
JP6145965B2 (ja) |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 |
KR20130004089A (ko) |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방법 | |
WO20071045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wise image compression | |
JP4584115B2 (ja) |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4952685B2 (ja) | 映像信号符号化装置 | |
JP4514666B2 (ja) | 動画像符号化装置 | |
JP2014143655A (ja) |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 |
US9066105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having computer perform image processing based on sub-block coding unit | |
JP5582019B2 (ja) |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 |
JP2009239852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JP5131150B2 (ja) | 符号化装置、復号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 |
JP4941254B2 (ja) | 画像圧縮装置、プリンタ、及び複合機 | |
JP5075136B2 (ja) | 復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