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723U - 채소 재배기 - Google Patents

채소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723U
KR20130003723U KR2020110011114U KR20110011114U KR20130003723U KR 20130003723 U KR20130003723 U KR 20130003723U KR 2020110011114 U KR2020110011114 U KR 2020110011114U KR 20110011114 U KR20110011114 U KR 20110011114U KR 20130003723 U KR20130003723 U KR 201300037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getables
planting box
planting
ligh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캬라반지에스
권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캬라반지에스, 권혁종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캬라반지에스
Priority to KR2020110011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723U/ko
Publication of KR20130003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7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등에서 간단하게 설치하여 다양한 채소를 직접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상,하 수직으로 직립되는 프레임의 전방에 다수의 식재함을 다단으로 적층 구성하여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보조 식재함을 구비하여 다양한 품종을 선택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다단으로 적층 구성되는 식재함의 하단에 조명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채소 재배기{The equipment for cultivation to vegetables}
본 고안은 가정에서 채소를 직접 재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등에서 간단하게 설치하여 다양한 채소를 직접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채소류를 식용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베란다나 다용도실 등에서 재배상자를 이용하여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 대부분 이러한 재배상자를 베란다나 다용도실의 바닥에 깔아서 재배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재배공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이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생활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선반을 계단식으로 설치하여 재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소를 재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재배가 실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변 건물이나 장애물에 의하여 일조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품질 좋은 채소를 재배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채소 재배기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많은 양의 채소를 가정에서 간편하고 쉽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다양한 품종의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조명수단에 의하여 실내에서도 채소의 생육에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채소의 품질향상은 물론, 재배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이러한 조명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광량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 수직으로 직립되는 프레임의 전방에 다수의 식재함을 다단으로 적층 구성하여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프레임과 식재함의 결합구조가 수직, 수평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되도록 서로 맞물리게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보조 식재함을 형성함으로써 고추나 토마토와 같은 등반식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품종을 선택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식재함의 하단부에는 상측으로 내입부를 형성하여 그 내입부에 조명수단을 내장함으로써 식재함 자체가 조명수단의 전등갓이 되면서 하부측으로만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채소의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채소 재배기의 조립이 용이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함에 채소를 심거나 별도로 보관하거나 세척하는 등의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양의 채소를 재배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식재함에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심어 재배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 영양공급을 골고루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식재함에 필요에 따라 화초 등을 식재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채소 또는 화초를 식재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것이고, 각각의 식재함에 장착된 조명수단에 의하여 야간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채소를 비추게 됨으로 채소의 일조량을 확보하여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일몰 후에는 조명수단에 의하여 실내에 간접조명을 제공하여 장식효과를 제공하면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효과까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식재함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식재함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 개략도
이하 일 실시 예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으로 직립되는 프레임(10)의 전방에 다수의 식재함(20)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채소를 다층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전면과 식재함(20)의 후면에 각각 슬라이딩바(11,21)를 형성하여 식재함을 수직, 수평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바(11)는 프레임(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장착면(11a)과 그 장착면(11a)의 상부로 절곡부(11b)와 이격면(11c)을 형성하면서 장착면(11a)에는 복수의 타공홀(12)을 형성하여 프레임(10)에 나사조립하고, 상기 식재함(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바(21)는 '∩'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프레임(10)의 슬라이딩바(1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재함(20)을 수직으로 끼우거나 수평으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식재함(20)이 프레임(10)의 전면에 자유롭게 탈착되면서 재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각각의 식재함(20)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주방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보관수단에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식재함(20)의 하부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내입되게 내입부(22)를 형성하고, 그 내입부(22)에 조명수단(30)을 내장하면 직하방으로 빛이 조사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다층으로 식재함(20)이 적층된 상태에서 조명수단(30)에 의하여 하부의 식재함(20)에 빛을 공급하여 채소에게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내입부(22)가 형성된 식재함(20) 자체가 조명수단(30)의 전등갓 역할을 하게 되어 하부로만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조명수단(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이 공간차지를 적게 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입부(22)의 일단으로는 내입부(2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내입되어진 전원연결홈(23)을 형성함으로써 내입부(2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명수단(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등을 전원연결홈(23)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입부(22)의 내면에 반사면을 형성하면 조명수단(30)으로부터 발광되어진 빛이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며, 조명수단(30)의 상부측으로 발산된 빛이 반사면을 통하여 하부측으로 반사되어 빛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명수단(30)에 의하여 채소의 생육에 필요한 빛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조명수단(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명수단(30)이 채소에 비추어져 간접 조명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식재함(20)에 식재되어 있는 채소, 화초가 식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초를 비추어주면서 외부로 조명효과를 극대화시켜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인테리어 장식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에는 상,하로 길게 장방형으로 형성된 보조 식재함(20a)을 장착하면 고추나 토마토와 같은 등반식 채소를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프레임(10)과 보조식재함(20a)의 결합구조는 식재함(20)의 결합구조와 유사하게 슬라이딩 결합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립나사 등을 이용한 고정수단으로 간단하게 탈부착시키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채소의 등반을 위해서는 지주대를 장착하여 채소가 지주대를 타고 등반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지주대는 보조식재함(20a)에 별도의 지주대를 끼워 등반이 가능토록 하거나, 또는 프레임(10) 자체에 탈착가능한 지주대를 설치하여 등반 유도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식재함(20) 및 보조식재함(20a)에 의하여 상추와 같이 성장높이가 낮은 채소 이외에도 등반식물이나 성장높이가 높은 채소를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가정에서 다양한 먹거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형성하면 채소재배기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주방 또는 거실이나 베란다 등 필요에 따라 재배장소를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프레임 11: 슬라이딩바
11a: 장착면 11b: 절곡부
11c: 이격면
20: 식재함 20a: 보조식재함
21: 슬라이딩바 22: 내입부
23: 전원연결홈
30: 조명수단
40: 손잡이

Claims (4)

  1. 상,하 수직으로 직립되는 프레임(10)의 전방에 다수의 식재함(20)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면과 식재함(20)의 후면에 각각 슬라이딩바(11,21)가 형성되어 식재함을 수직, 수평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되는 채소 재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바(11)는 프레임(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장착면(11a)과 그 장착면(11a)의 상부로 절곡부(11b)와 이격면(11c)이 형성되면서 장착면(11a)에는 복수의 타공홀(12)이 형성되어 프레임(10)에 나사조립되고, 상기 식재함(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바(21)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10)의 슬라이딩바(11)에 맞물리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재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에는 상,하로 길게 장방형으로 형성된 보조 식재함(20a)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재배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함(20)의 하부면에는 상측으로 내입되게 내입부(22)가 형성되고, 그 내입부(22)의 일측으로 전원연결홈(23)이 형성되어 조명수단(30)이 식재함(20)의 하부에 내장되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식재함(20)의 상측으로부터 조명수단의 빛이 조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재배기.
KR2020110011114U 2011-12-14 2011-12-14 채소 재배기 KR201300037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14U KR20130003723U (ko) 2011-12-14 2011-12-14 채소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14U KR20130003723U (ko) 2011-12-14 2011-12-14 채소 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23U true KR20130003723U (ko) 2013-06-24

Family

ID=5242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114U KR20130003723U (ko) 2011-12-14 2011-12-14 채소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72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83B1 (ko) * 2015-07-22 2016-02-12 (주)에스디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활용하여 시공된 친환경 건축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83B1 (ko) * 2015-07-22 2016-02-12 (주)에스디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활용하여 시공된 친환경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JP2022523126A (ja) 作物を栽培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式ユニッ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栽培カラム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100861233B1 (ko) 다단형 화분
KR200476518Y1 (ko)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JP2013162749A (ja) 収納構造、水耕栽培箱、キッチンセット、及び戸棚
JP2013162750A (ja) 収納構造、水耕栽培箱、キッチンセット、及び戸棚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CN203575200U (zh)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130003723U (ko) 채소 재배기
KR20140131145A (ko)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20120111872A (ko) 식물 재배장치
KR200436029Y1 (ko) 조명스탠드 겸용 실내 분재식물 생장관리 화분세트 및 그 형상구조
KR101256044B1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101260430B1 (ko) 실내용 식물재배장치
KR101052415B1 (ko) 엘이디 식물재배기
JP7000832B2 (ja) つる植物の登攀材及びこれを備える緑化装置
JP2011188788A (ja) 植物栽培方法
KR20160025820A (ko) 선반 일체형 식물재배기
KR20150091640A (ko) 실내 텃밭
KR101168931B1 (ko) 주방용 광 재배장치
KR20120067516A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130025464A (ko) 미니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