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53U -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53U
KR20130003353U KR2020110010583U KR20110010583U KR20130003353U KR 20130003353 U KR20130003353 U KR 20130003353U KR 2020110010583 U KR2020110010583 U KR 2020110010583U KR 20110010583 U KR20110010583 U KR 20110010583U KR 20130003353 U KR20130003353 U KR 20130003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lm
main body
bead portion
bead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선우
권서현
Original Assignee
남선우
권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선우, 권서현 filed Critical 남선우
Priority to KR2020110010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53U/ko
Publication of KR20130003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는, 테두리부가 구비된 본체와, 테두리부와 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테두리부의 일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커버필름의 일단에는 끼움돌기와 끼움결합되어 본체의 닫힘상태가 반복해서 유지되도록 하는 비드부가 구비되며, 본체의 테두리부의 타단에는 상기 커버필름이 부분개봉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필름이 부분개봉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끼움돌기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필름의 비드부는 커버필름이 부분적으로 융기(隆起)되어 내강(內腔)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측면하단에는 상기 커버필름의 비드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필름의 타단에는 상기 비드부와 역상(逆像)으로서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비드부와도 결합될 수 있는 역비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끼움돌기 및 커버필름의 비드부는 그 상단이 측방향으로 굴곡된 걸쇠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에 의하면 커버필름의 부분개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개봉된 커버필름을 다시 닫아서 비교적 안정된 닫힘 상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 섭취시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남은 내용물의 보관도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동성식품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food}
본 고안은 유동성식품을 유통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고형물 상태의 유산균 발효유나, 액체와 고형물이 혼합된 것과 같은 이른바 유동성식품은 스푼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떠먹는 형태로 섭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성식품을 유통하기 위한 포장용기는 단순한 액상식품 내지는 고형물식품을 유통하기 위한 포장 용기과는 다른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의 유동성식품 포장용기(10)는, 대부분 플라스틱 소재의 컵형태의 본체(12)와, 본체(12)의 개방된 상면을 봉하는 알루미늄 소재의 커버필름(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필름(14)을 벗겨내고 본체(12)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하는 방식으로 소비자가 사용하게 된다.
즉,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는 본체(12)가 식품의 유통에 필요한 포장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식품을 먹을 때 사용하는 그릇으로서의 역할도 하게 되며, 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스푼을 이용하여 떠먹는 형태로 그 내용물을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를 개봉하여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커버필름(14)을 본체(12)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바, 커버필름(14)은 본체(12)와 초음파 접착 등의 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본체(12)로부터 분리되는 정도, 즉 개봉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일부만 섭취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필름(14)을 본체(12)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커버필름(14)의 일부분만이 본체(12)로부터 분리되도록 부분개봉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한 다음, 다시 커버필름(14)을 덮어서 내용물을 보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커버필름(14)을 부분개봉하여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필름(14)의 원래의 위치로 내려오려는 성질 때문에 스푼과 간섭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초래되는데, 특히 내용물이 유산균발효유와 같이 점성이 높은 성질의 것인 때에는 커버필름(14)의 내면에도 내용물이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무게로 인하여 이러한 불편함이 더욱 심화된다.
그리고, 내용물을 일부 섭취한 후에 커버필름(14)을 덮어서 남겨진 내용물을 다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필름(14)의 본체(12)와 분리된 부분이 원래대로 본체(12)에 부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소재의 특성상 커버필름(14)이 탄성 복귀하여 들쳐지는 형태가 되려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닫힘상태를 이루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필름의 부분개봉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봉된 커버필름이 재차 본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는, 상단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와 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의 일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필름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결합되어 본체의 닫힘상태가 반복해서 유지되도록 하는 비드(bead)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의 타단에는 상기 커버필름이 부분개봉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필름이 부분개봉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끼움돌기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필름의 비드부는 커버필름이 부분적으로 융기(隆起)되어 내강(內腔)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측면하단에는 상기 커버필름의 비드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에 의하면 커버필름의 부분개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개봉된 커버필름을 다시 닫아서 비교적 안정된 닫힘 상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 섭취시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남은 내용물의 보관도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의 개봉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의 개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의 다른 개봉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 9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의 개봉상태를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 부터 도 9b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20)는 상단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221)가 구비된 본체(22)와, 상기 본체(22)의 테두리부(221)와 접합되는 커버필름(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22)의 테두리부(221)의 일단에는 끼움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필름(24)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돌기(222)와 끼움결합되는 비드(bead)부(24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22)의 테두리부(221)의 타단에는 상기 비드부(241)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2)의 끼움돌기(222)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상방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그 상단이 측방향으로 굴곡된 걸쇠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필름(24)의 타단에는 상기 본체(22)의 끼움홀(22a)이 막히지 않도록 관통홀(24a)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는 커버필름(24)의 재질(알루미늄) 및 형태(박판) 특성상 커버필름(24)이 부분적으로 융기(隆起)되어 내강(內腔)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222)는 이러한 비드부(241)의 내강에 삽입되어 비드부(241)와 형합된다.
상기 본체(22)의 측면하단에는 상기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부(223)가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홈부(223)는 본체(22)의 벽면이 내부측으로 함몰된 형태로서 역시 비드부(241)의 형태와 동일하여 비드부(241)가 형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용기가 대략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 및 이에 대응되는 본체(22)의 끼움돌기(222)는 테두리부(221)의 일측 모서리부분에 위치되고, 본체(22)의 끼움홀(22a) 및 끼움홈부(223)는 이와 대칭되는 타측 모서리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동성식품 포장용기(20)를 개봉함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측 일단을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커버필름(24)의 일부분이 본체(22)의 테두리부(2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데, 이때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 역시 본체(22)의 끼움돌기(222)로부터 이탈된다.
여기서, 커버필름(24)의 일부분만 개봉하는 경우에는 커버필름(24)을 들어올린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하여 비드부(241)가 테두리부(221) 타단에 있는 끼움홀(22a)에 끼워지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비드부(241)가 끼움홀(22a)에 끼워지게 되면, 별도의 외력이 없는 한 비드부(241)가 끼움홀(22a)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필름(24)의 뒤로 젖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더불어,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커버필름(24)을 더욱 뒤로 젖혀서 비드부(241)가 본체(22)의 측면하단에 형성된 끼움홈부(223)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개봉정도를 더욱 크게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필름(24)이 개봉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는커버필름(24)과 스푼이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용물을 스푼으로 떠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내용물을 섭취한 다음, 남겨진 내용물을 그대로 보관코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필름(24)을 원상태로 되돌려서 비드부(241)의 내강에 끼움돌기(222)가 다시 끼워지도록 하게 되는데, 비드부(241)와 끼움돌기(222)가 결합되면 커버필름(24)이 비교적 견고하게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2 참조)
도 7와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22)의 테두리부(221)의 일단에 끼움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필름(24)의 일단에 상기 끼움돌기(222)와 끼움결합되는 비드부(241)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커버필름(24)의 타단에 상기 비드부(241)와 역상(逆像)의 형태를 갖는 역비드부(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2)에는 상기 끼움홈부(223)의 반대위치에 상기 역비드부(242)와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출부(224)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가 형성된 선단 또는 역비드부(242)가 형성된 선단을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개봉할 수 있다.
즉, 도 9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커버필름(24)의 비드부(241)측 선단을 들어올려서 개봉하는 경우에는 들어올려진 선단을 반대쪽으로 젖혀서 비드부(241)가 역비드부(242)의 내강에 아래방향으로 삽입되어 비드부(241)와 역비드부(242)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필름(24)을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도 9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커버필름(24)의 역비드부(242)측 선단을 들어올려서 개봉하는 경우에는 그 선단을 반대쪽으로 젖혀서 역비드부(242)의 내강에 비드부(241)가 윗방향으로 삽입되어 역비드부(242)와 비드부(241)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필름(24)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끼움홈부(223)와 더불어 끼움돌출부(224)가 형성되는 특성상 커버필름(24)의 개봉정도를 크게 하는 경우에도 커버필름(24)의 개봉되는 선단의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22: 본체 22a: 끼움홀
221: 테두리부 222: 끼움돌기
223: 끼움홈부 24: 커버필름
241: 비드부 242: 역비드부

Claims (5)

  1. 상단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와 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의 일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필름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결합되어 본체의 닫힘상태가 반복해서 유지되도록 하는 비드(bead)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의 타단에는 상기 커버필름이 부분개봉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필름이 부분개봉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끼움돌기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필름의 비드부는 커버필름이 부분적으로 융기(隆起)되어 내강(內腔)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비드부의 내강에 삽입되어 비드부와 형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하단에는 상기 커버필름의 비드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의 타단에는 상기 비드부와 역상(逆像)으로서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비드부와도 결합될 수 있는 역비드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끼움돌기 및 커버필름의 비드부는 그 상단이 측방향으로 굴곡된 걸쇠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KR2020110010583U 2011-11-29 2011-11-29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KR20130003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83U KR20130003353U (ko) 2011-11-29 2011-11-29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83U KR20130003353U (ko) 2011-11-29 2011-11-29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53U true KR20130003353U (ko) 2013-06-07

Family

ID=5242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583U KR20130003353U (ko) 2011-11-29 2011-11-29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489A (ko) * 2018-11-06 2020-05-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20210027027A (ko) * 2019-09-02 2021-03-10 정성현 개량형 용기의 뚜껑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489A (ko) * 2018-11-06 2020-05-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20210027027A (ko) * 2019-09-02 2021-03-10 정성현 개량형 용기의 뚜껑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394B2 (en) Lid for a beverage cup including a snack storage reservoir
US8590732B2 (en) Package for food product taken out with a measuring device
RU2687768C2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ый черпачок
US9505534B2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US20150210444A1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US20070227919A1 (en) Two-piece nested inverted dome cup
US20080197153A1 (en) Squeezable Container for Dairy Products
EP2527265A1 (en) Container with additional compartment
US8251241B2 (en) Container lid with cutting mechanism for allowing easy-open access to products in sealed containers and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container lid
US9969516B2 (en) Packaging including pouch for container
US20110290814A1 (en)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MX2009000258A (es) Producto alimenticio envasado.
US20190276199A1 (en) Lid for a container
US10589905B2 (en) Airtight container
KR20130003353U (ko)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US20160090210A1 (en) Storage Container Having Collapsible Bottom
JP4951031B2 (ja) 詰め替え保存用容器
US10486871B2 (en) Hanging container lid assembly
US11465821B1 (en)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CN210437743U (zh) 饮品容器
KR20120008760U (ko) 식품 포장 용기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JP5539847B2 (ja) 包装用容器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JP2001171640A (ja) 飲料用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