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201A -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201A
KR20130003201A KR1020110064340A KR20110064340A KR20130003201A KR 20130003201 A KR20130003201 A KR 20130003201A KR 1020110064340 A KR1020110064340 A KR 1020110064340A KR 20110064340 A KR20110064340 A KR 20110064340A KR 20130003201 A KR20130003201 A KR 20130003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discharged
set tim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078B1 (ko
Inventor
이병필
안규섭
이수윤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오염 특히, 수질 오염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고, 대신에 수돗물을 별도의 수처리기를 통하여 정수한 후 음료하거나 과일, 야채의 세척에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처리기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통상의 수처리기와, 알칼리 이온수의 제공이 가능한 이온수처리기, 탄산수나 산소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수처리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처리기는 통상적으로 공급된 원수(또는 수돗물)를 필터부재로 여과시키고 여과된 정수를 추출부 예를 들어, 추출코크를 통하여 추출하게 되며, 다량의 정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정수탱크를 구비하기도 한다.
또한, 수처리기는 정수탱크등과 같은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제공장치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수처리기에 사용되는 수제공장치는 정수를 제공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폭넓게는 다양한 종류의 물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제공장치들은 사용자가 출수를 제어하여야만 정량의 물을 추출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은 사용자에게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다.
,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다.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
상기 제어부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순서로 수위가 높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제3 설정시간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및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은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순서로 수위가 높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출수 과정은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없거나,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제1 시간 간격 이전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한다.
제3 출수 과정은 제4 설정시간 도과후 제3 설정시간 도과전에는 제2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3 설정시간 이후에는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한다.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에 따르면, 저장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나 저장된 물의 양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 출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제1 수위 및 제2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측정 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는 크게 제1 수위 및 제2 수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수위 및 제2 수위에 따라서 출수부(120)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출수부(120)는 저장부(110) 측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출수부(120)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배출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출수부(120)는 제1 수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수위 및 출수부(120)의 높이 사이의 물의 총량이 정량 추출될 물의 양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출수부(120)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을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즉, 제1 수위와 제2 수위에 따라서 배출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한 바 수위에 따라서 출수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위에 따른 출수시간의 차이가 극심한 것은 아닌 바 수제공장치(100)는 수위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 제1 출수부(121) 및 제2 출수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제1 수위, 제2 수위 및 제3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측정 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는 크게 제1 수위, 제2 수위 및 제3 수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수위 및 제3 수위에 따라서 출수부(120)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출수부(121) 및 제2 출수부(123)는 저장부(110) 측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수부(121) 및 제2 출수부(123)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배출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출수부(121)는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제2 출수부(123)는 제2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추출되는 물을 담는 용기가 높이가 높은 경우 등을 위해서 제2 출수부(123)의 높이를 더 높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출수부(121)는 제1 수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출수부(123)는 제2 수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위 및 제2 출수부(123)의 높이 사이의 물의 총량이 정량 추출될 물의 양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제2 출수부(123)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을 제2 출수부(123)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즉, 제2 수위와 제3 수위에 따라서 배출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한 바 수위에 따라서 출수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위에 따른 출수시간의 차이가 극심한 것은 아닌 바 수제공장치(100)는 수위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정량의 물 배출 기능은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을 배출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부(120) 또는 제2 출수부(123)를 통해서 정량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입수부(130)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입수부(130) 앞단에 배치되는 구성에 따라서 바뀔 수 있는 바, 출수 시에 입수부(130)를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경우 출수되는 물의 속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즉, 입수부(130)를 통해서 입수되는 물의 양이 출수부(120)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양보다 많은 경우 출수중임에도 불구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높아져서 정량 추출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추출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입수부(130)를 통한 물 보충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추출, 수동추출에 의해서 저장된 물의 양이 줄어든 경우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저장부(1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 추출 가능 여부, 테스트 모드 수행 여부 등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동추출 및 정량추출과 관련된 조작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제공장치(100)의 수위 제어는 저수위 센서, 만수위 센서, 물넘침 감지 센서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전원 인가 후, 약 3초 동안 센서 안정화 시간을 가지며, 이때 입력되는 신호는 무시한다. 저수위 센서 및 만수위 센서 감지는 약3초간 동일한 값이 입력될 시 정상적인 값으로 인정하고 출력할 수 있다. 물넘침 센서는 물넘침이 약20초간 지속되거나 물넘침 해제가 약 3초간 지속될 때 정상적인 센싱으로 인정하고 출력할 수 있다.
수제공장치(100)의 물보충 제어는 저수위 상태나 중수위 상태가 감지되면 즉시 입수부(130) 밸브를 열어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단, 만수위 상태에서 중수위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약15분의 시간 지연 후 입수부(130) 밸브를 열어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만수위 상태가 감지되면 입수부(130) 밸브를 닫아서 물보충을 중지할 수 있다. 단, 중수위 상태에서 만수위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약 3초의 시간 지연 후 입수부(130) 밸브를 닫는다.
또한, 수제공장치(100)가 수처리기에 적용되는 경우 수처리기로 원수를 공급하는 노스(NOS) 밸브는 물넘침 감지 센서에서 물넘침 감지가 출력되면 닫히고, 저수위 센서에서 저수위 감지가 출력되면 열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는 수제공방법을 통해서 저장 수위 및 입수압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저장된 물을 정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을 수 있고, 제2 수위가 제1 수위보다 높은 것을 가정한다.
제1 출수 과정에서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출수부(120)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물보충을 통해서 수위가 충분히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에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출수부(120)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전의 추출 행위등으로 저장 수위가 낮으므로, 긴 제2 설정 시간 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
제3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120)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2 수위가 유지되는 경우에도 수위가 충분히 높은 상황이므로,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입수압에 의한 정량 추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부(110)에 물을 보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량 추출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배출 시간을 정해야 하지만, 이는 장비 구성의 비용에 비해서 달성할 수 있는 정량의 정확도의 이점이 크지 않다. 따라서, 수위를 크게 2~3단계로 나누어서 해당 수위별 또는 수위간의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범위 내의 정량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저장부(110)에 제3 설정시간 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물보충 과정은 이전에 수행될 출수 과정에 따라서 물 보충 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수 과정 또는 제3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보다는 제2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에 수위가 더 낮으므로 더 오랜 시간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제1 수위 및 제2 수위의 예로는 제1 수위는 저수위, 제2 수위는 만수위에 준하는 수위가 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는 수제공방법을 통해서 저장 수위 및 입수압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저장된 물을 정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을 수 있고, 상기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순서로 수위가 높은 것을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의 물을 제2 출수부(123)를 통해서 출수할 수 있다.
제1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123)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물보충을 통해서 수위가 충분히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에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123)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없거나,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제1 시간 간격 이전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전의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 수보충 등을 종합 고려해서, 저장 수위가 낮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긴 제2 설정 시간 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고, 저장 수위가 높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
제3 출수 과정에서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123)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수위의 감지 후 제4 설정 시간이 도과되지 않으면 물 배출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출수 과정에서는 제4 설정시간 도과후 제3 설정시간 도과전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3 설정시간 이후에는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전의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 수보충 등을 종합 고려해서, 저장 수위가 낮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긴 제2 설정 시간 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고, 저장 수위가 높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입수압에 의한 정량 추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부(110)에 물을 보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량 추출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배출 시간을 정해야 하지만, 이는 장비 구성의 비용에 비해서 달성할 수 있는 정량의 정확도의 이점이 크지 않다. 따라서, 수위를 크게 2~3단계로 나누어서 해당 수위별 또는 수위간의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범위 내의 정량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저장부(110)에 제3 설정시간 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물보충 과정은 이전에 수행될 출수 과정에 따라서 물 보충 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수 과정 또는 제3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보다는 제2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에 수위가 더 낮으므로 더 오랜 시간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예로는 제1 수위는 저수위, 제2 수위는 중수위, 제3 수위는 만수위에 준하는 수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의 물 배출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수동 물 배출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수위는 저수위, 제2 수위는 중수위, 제3 수위는 만수위이며, 제1 설정시간은 약 53초, 제2 설정시간은 63초 이다. 또한, 제1 시간 간격은 25분이며, 제3 설정 시간은 14분, 제4 설정 시간은 3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방법의 일 예는 사용자가 추출 버튼 입력 시 제2 출수부(123) 밸브를 열어 약1,000cc 정량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추출 버튼 입력 시 표시부를 통해 선택/완료 시 각각 부저음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정량 추출 기능은 저수위 감지가 출력되면, 제4 설정 시간인 3분 뒤부터 활성화 될 수 있다. 정량 추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표시부의 LED를 이용해 추출 가능 상태를 알려준다. 저수위 미검지 상태에서 추출 버튼을 누르면 추출 불가능 알림 부저음(딩딩~~)이 표시부에서 출력될 수 있다. 추출 중에는 표시창 LED가 1초 주기로 점멸하여 추출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단, 추출 종료 3초 전부터는 표시부의 LED가 400ms 주기로 점멸하여 추출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게 알려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라서 이전 상태, 현재 상태, 조건 1, 2의 만족 여부를 따져서 대응하는 추출 시간으로 출수부(120) 밸브를 열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추출을 위한 제1 추출부와 높이가 높은 용기를 위한 제2 추출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높이가 다른 제1 추출부 및 제2 추출부를 이용해 물컵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물병에도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제2 추출부를 통해서는 대용량 물병에 정량인 대용량의 물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요리를 하거나, 가습기 물을 교체하는 등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장시간 수동으로 추출부를 조작하지 않고도 물을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특정한 색을 가지는 LED를 적절한 점멸 패턴을 주어 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특정한 색을 가지는 LED를 적절한 점멸 패턴을 주어 각 수제공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고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6)

  1.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수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은 수제공장치.
  5.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상지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제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수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상기 제2 수위보다 높은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상기 제2 수위보다 낮은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수제공장치.
  9.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제3 설정시간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2.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및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은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상기 제2 수위보다 높은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상기 제2 수위보다 낮은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 과정은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없거나,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제1 시간 간격 이전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3 출수 과정은
    제4 설정시간 도과후 제3 설정시간 도과전에는 제2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3 설정시간 이후에는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6. 제1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KR1020110064340A 2011-06-30 2011-06-30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KR10184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40A KR101849078B1 (ko) 2011-06-30 2011-06-30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40A KR101849078B1 (ko) 2011-06-30 2011-06-30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01A true KR20130003201A (ko) 2013-01-09
KR101849078B1 KR101849078B1 (ko) 2018-04-16

Family

ID=478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340A KR101849078B1 (ko) 2011-06-30 2011-06-30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12A1 (ko) * 2014-04-11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US10152066B2 (en) 2014-04-11 2018-12-11 Coway Co., Ltd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49B1 (ko) * 2006-03-21 2007-05-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토출밸브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12A1 (ko) * 2014-04-11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US10152066B2 (en) 2014-04-11 2018-12-11 Coway Co., Ltd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78B1 (ko)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3466C2 (ru) Моечная машина, такая как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ил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моечной машины
CN105502264B (zh) 自动售液机上称量式出液计量系统及其计量方法
EP309188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KR20160026643A (ko) 음료 공급 장치
EP3163305A1 (en) Automatic analytical apparatus
EP224025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exhaustion of a filter cartridge in a filter system with replaceable cartridge and device operating according to that method.
KR101825066B1 (ko) 음료 공급 장치
JP2009089732A (ja) 飲料抽出装置
KR20130003201A (ko)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RU2496053C2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с функцией промывки
US569722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n a water reservoir in a refrigerator needs refilling
KR102329401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US7396455B2 (en) Brine container with filter system
JPH07265721A (ja) 軟水器の再生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082046A (ja) 飲料供給装置
KR102385173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JP3484770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05279378A (ja) 排水分別方法及び装置
KR20070044975A (ko) 냉장고
KR102042565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026184A (ja) 衛生洗浄装置
KR100845591B1 (ko) 차 메이커 및 그 작동방법
KR102373004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JP3931795B2 (ja) 給湯装置
JP3440561B2 (ja) 電解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