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031U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031U
KR20130002031U KR2020130000687U KR20130000687U KR20130002031U KR 20130002031 U KR20130002031 U KR 20130002031U KR 2020130000687 U KR2020130000687 U KR 2020130000687U KR 20130000687 U KR20130000687 U KR 20130000687U KR 20130002031 U KR20130002031 U KR 201300020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ail
landing door
elevator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두섭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심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심두섭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2020130000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031U/ko
Publication of KR20130002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슈가 장착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도어슈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가 안내레일의 레일홈으로부터 들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PLATFORM DOOR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작은 고장이나 일부 부품 손상으로도 반복되는 승강 운전으로 인해 추락 위험이 큰 경향이 있어 각종 안전장치에 의하여 보호될 필요가 있고, 엄격한 기준에 의하여 시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안내레일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된다.
승강기가 도어 입구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이탈되면 추락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러한 안정장치는 반드시 엘리베이터 시설물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100)는 승강기 도어(110)의 하단에 복수로 설치되는 도어슈(120)와 상기 도어슈(120)가 이동되는 홈(131)이 형성되는 도어실(1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설치구조를 갖는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100)는 도어슈(120)가 도어실(130) 상측으로 안착되는 구조를 가고 있어, 외력에 의한 승강기 도어(110)의 함몰 또는 휨 변형 등으로 인하여 승강기 도어(110)에 체결볼트(140)로 고정된 도어슈(120)가 승강기 도어(110)와 함께 도어실(130)의 홈(131) 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어슈(120)의 마모로 인해 도어실(130)의 홈(131)과 유격이 발생하여 외력에 의해 연결편(121) 또는 설치 브래킷(111) 측이 쉽게 휘어져 도어슈(120)가 도어실(130)의 홈(131) 내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가 안내레일의 레일홈으로부터 들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탈방지장치는, 건물의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고, 승강장 도어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레일홈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 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을 가지고, 상기 일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인 안내레일과,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홈 내부로 돌출되는 측면삽입부재와,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면 쪽 방향으로 'ㄷ' 모양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어슈로 구성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슈의 승강장 도어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가 안내레일의 레일홈으로부터 들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는, 건물의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고, 승강장 도어(40)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레일홈(14)이 형성된 것인 안내레일(10)과, 레일홈(14) 내부로 돌출되는 측면삽입부재(20)와, 승강장 도어(40)의 하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편(31)과 상기 연결편(31)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도어슈(32)로 구성된 슬라이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10)은 일반적으로 강성이 있는 알루미늄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40)를 받쳐주는 길이 방향으로 긴 프레임의 구조로써, 상기 승강장 도어(40)의 하단부와 고정 연결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0)가 상기 레일홈(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승강장 도어(40)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홈(14)을 형성하는 일측면(12)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0)와 고정 연결되는 상기 승강장 도어(4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면삽입부재(20)가 삽입되는 삽입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삽입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볼트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삽입부재(20)는 상기 레일홈(14)을 형성하는 일측면(12)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21)에 관통되어 결합하며, 상기 레일홈(14) 내부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레일홈(14)의 내부로 돌출된 상기 측면삽입부재(20)의 일측단부(21)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도어슈(3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0)는, 상기 승강장 도어(40)의 하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편(31)과, 상기 연결편(31)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도어슈(3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승강장 도어(40)의 폐쇄시, 상기 레일홈(14) 내부로 돌출된 상기 측면삽입부재(20)가 상기 도어슈(3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40)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상기 승강장 도어(40)의 하단부가 들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슈(32)는 상기 연결편(31)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10)의 일측면(12) 방향으로 'ㄷ' 모양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레일홈(14)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슈(32)는, 상기 연결편(3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면부재(321)와, 상기 삽입공(121)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부재(321)의 측면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된 측면부재(322)와, 상기 상면부재(321)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부재(322)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부재(323)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31)은 상기 상면부재(321)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측면부재(322)는 상기 연결편(31)보다 상기 안내레일(10)의 타측면(13)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면부재(321)와 바닥부재(323)의 길이는 동일하다.
위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322)를 상기 연결편(31)보다 상기 안내레일(10)의 타측면(13)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면부재(321)와 바닥부재 (323)사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측면삽입부재(20)의 돌출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도어슈(32)가 상기 측면삽입부재(20)에 걸려 상기 레일홈(14)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322)는 상기 안내레일(10)의 타측면(13)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도어슈(32)가 이동하여 상기 측면부재(322)가 상기 안내레일(10)의 타측면(13)에 접할 때, 상기 측면삽입부재(20)의 일측단부(21)의 돌출길이는 상기 안내레일(10)의 일측면(12)과 상기 바닥부재(323)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슈(32)의 이동시에는 상기 도어슈(32)와 상기 안내레일(10) 상호 간에 마찰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상기 도어(4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슈(32)가 유동하여 상기 레일홈(14)의 안쪽에서 상기 안내레일(10)의 타측면(13)에 접할 경우에도 상기 도어슈(32)의 바닥부재(323)가 상기 측면삽입부재(20)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편(31)에 고정된 상기 승강장 도어(4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려고 할 때, 상기 측면삽입부재(20)에 상기 바닥부재(323)의 단부가 걸려 상기 승강장 도어(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편(31)은 상기 승강장 도어(40)의 하부에 형성된 통상적인 보스부(50)에 볼트결합으로 결합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안내레일, 14 : 레일홈, 20 : 측면삽입부재, 30 : 슬라이딩부재, 31 : 연결편, 32 : 도어슈, 40 : 승강장 도어, 50 : 보스부,

Claims (1)

  1. 건물의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고, 승강장 도어의 여닫힘을 안내하는 레일홈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을 가지고, 상기 일측면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안내레일; 일측단부가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홈 내부로 돌출되는 측면삽입부재;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면 방향으로 '⊂'모양으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어슈로 구성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슈는,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면부재;
    상기 삽입공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면부재의 측면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측면부재; 및
    상기 상면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부재의 하단에서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면 방향으로 일체로 수평 연장 형성된 바닥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홈 내부로 돌출된 상기 측면삽입부재의 일측단부는 상기 상면부재와 바닥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부가 들떠 상기 도어슈가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이탈되려고 할 때, 상기 측면삽입부재의 일측단부에 상기 바닥부재가 걸려 상기 승강장 도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편은 상기 상면부재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연결편보다 상기 안내레일의 타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면부재와 바닥부재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안내레일의 타측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재가 상기 안내레일의 타측면에 접할 때, 상기 측면삽입부재의 일측단부의 돌출길이는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면과 상기 바닥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20130000687U 2013-01-25 2013-01-25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300020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87U KR20130002031U (ko) 2013-01-25 2013-01-25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87U KR20130002031U (ko) 2013-01-25 2013-01-25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692A Division KR20130000888A (ko) 2011-06-24 2011-06-24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31U true KR20130002031U (ko) 2013-03-29

Family

ID=5242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87U KR20130002031U (ko) 2013-01-25 2013-01-25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03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280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KR200443973Y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67405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2031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30000888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80113860A (ko) 도어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실구조
KR10121369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05086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개폐식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80084104A (ko) 도어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도어실 구조
JP6528925B1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KR20110005391A (ko)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61720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20160001982U (ko)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KR200455992Y1 (ko) 도어 이탈 방지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20090111212A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22994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110027746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31953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