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470A - 스노우보드화 - Google Patents

스노우보드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470A
KR20130001470A KR1020110062236A KR20110062236A KR20130001470A KR 20130001470 A KR20130001470 A KR 20130001470A KR 1020110062236 A KR1020110062236 A KR 1020110062236A KR 20110062236 A KR20110062236 A KR 20110062236A KR 20130001470 A KR20130001470 A KR 2013000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oots
shape
expan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성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주)보스코프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스코프레이션 filed Critical (주)보스코프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06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470A/ko
Priority to PCT/KR2011/004774 priority patent/WO2013002440A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5Linings, paddings or insertions; Inner boots
    • A43B5/0407Linings, paddings or insertions; Inner boo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착용자의 체중이나 발의 크기 등에 따라 기체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인부츠의 형상변화에 따라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적합성을 부여함으로써 발목 손상 및 밀착성이 향상된 인부츠를 구비한 스노우보드화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브드화는, 인부츠와 아웃부츠로 이루어지는 스노보드화에 있어서, 아웃부츠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 결합되는 기체발생부와; 인부츠 내부에 형성되고, 전달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 수축에 따라 형상변화가 이루어지는 기체팽창부; 그리고 상기 기체발생부에서 생성된 기체를 기체팽창부에 전달하도록 기체발생부와 기체팽창부를 연결하는 기체전달부;로 구성되어 기체 팽창부의 팽창에 따라 각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대응하는 인부츠의 형상변화가 이루어지는 스노보드화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기체팽창부가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임의형상으로 팽창가능하므로 각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따른 팽창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 인부츠를 제공하는 효과와, 또한 발이 전체적으로 인부츠 내부에 완전밀착되므로 발목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스노우보드화{SNOWBOARD SHOES}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착용자의 체중이나 발의 크기 등에 따라 기체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인부츠의 형상변화에 따라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적합성을 부여함으로써 발목 손상 및 밀착성이 향상된 인부츠를 구비한 스노우보드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노보드 신발은 통상의 신발에 비하여 그 구조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발목부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신발에 비해높은 강성을 가지고, 몸체부와 목이 긴 발목부로 이루어져 있다. 강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고 긴 발목부를 가지도록 하는 이유는 스노브드를 타는 경우에 발이나 발목부분이 심하게 부상당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내부에 비교적 소프트한 재질의 인부츠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흡수 뿐만 아니라 최대한 편안하게 착용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노브드의 인구가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반면에 스노브드화의 개량 또한 다양하게 재질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많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무엇보다고 가장 근본적으로 스노보드화가 가져야 할 최적의 기능은 스노보드화와 발목 그리고 발 전체의 밀착도이다. 즉, 스노보드화가 발과 일체로되어 움직여야 발 및 발목부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최적의 스노보드의 기량 그리고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스노브도화는 이러한 발과 스느보드화의 일체화를 위해선 별다른 조치 없이 단순히 단단한 끈 조임 등을 통하여 일체화 시키고 있으나, 이를 경우 지나친 끈 조임의 경우 발목 위 부분인 종아리 부분의 혈류 순환을 억제하여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비록 끈조임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발 및 발목이 스노보드화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개개인의 발목 및 발의 형상에 적합한 맞춤형의 스노브드화가 되어야 하나 가격 및 생산공정상 이러한 스노브도화를 제공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노브도화에서 비교적 소프트한 재질을 지니는 인부츠의 형상을 임으로 변형시켜 각 개개인의 발의 형상에 일치시킴으로써 발 및 발목이 스노브드화에 밀착되도록 하는 최적의 스노보드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노브드화는, 인부츠와 아웃부츠로 이루어지는 스노보드화에 있어서, 아웃부츠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 결합되는 기체발생부와; 인부츠 내부에 형성되고, 전달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 수축에 따라 형상변화가 이루어지는 기체팽창부; 그리고 상기 기체발생부에서 생성된 기체를 기체팽창부에 전달하도록 기체발생부와 기체팽창부를 연결하는 기체전달부;로 구성되어 기체 팽창부의 팽창에 따라 각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대응하는 인부츠의 형상변화가 이루어지는 스노보드화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기체발생부는, 아웃부츠 외면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소형모터가 구비된 기체펌프이도록 한다. 상기 기체팽창부는, 인부츠 내부에 임의의 위치에 하나이상 설치되도록 하고 발뒤꿈치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펼쳤을 때 나비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기체팽창부가 발뒤꿈치 부위에 설치되거나, 또는 발바닥의 곡궁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더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체팽창부가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임의형상으로 팽창가능하므로 각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따른 팽창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 인부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이 전체적으로 인부츠 내부에 완전밀착되므로 발목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부와 아웃부츠를 구비한 스노브도화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브드화의 기체발생을 위한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 부위에 설치된 기체팽창부의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부츠와 아웃부츠를 구비한 스노보드화를 보인도이고, 도2는 기체발생을 위한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3은 발뒤꿈치 부위에 설치된 기체팽창부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스노보드화(100)는 외관을 이루는 아웃부츠(110)와 내면을 이루는 인부츠(12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웃부츠(110)는 비교적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에 노출되므로 방수 보온 등을 위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비하여 인부츠(120)는 사용자의 발과 직접 접하는 부위로써 비교적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져 발을 감싸도록 하고 있다. 통상 사용자가 스노브도화(100)를 착용할 경우, 인부츠(120)가 발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인부츠(120)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발의 밀착됨에 따라 전체 스노보드화(100)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인부츠(120)는 통상적으로 표준적인 발 및 발목 그리고 발바닥의 형상에 따라 제작되어 진다.
상기의 경우 각 개개인의 발바닥 및 발목 그리고 발의 형상은 약간씩 다르게 마련이며, 이러한 각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맞춤형 인부츠(120)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대량생산에 의해 제작되어지는 인부츠(120)는 이러한 맞춤형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각 개개인에 완벽한 인부츠(120) 제공에 의한 스느보드화(100)의 안정성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임의의 조작에 의해 인부츠(120)의 형상이 변하고,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하게 하여 착용자의 인부츠(120)가 스노보드화(100)와 일체감을 이루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겠으나, 일 실시예로 공기 주입에 따른 인부츠(120)의 팽창에 의하여 착용자의 발 및 발등 등에 밀착시켜 일체감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기체발생부(200), 기체전달부(300), 기체팽창부(400)의 세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기체발생부(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기체 발생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부츠(110)의 외면 측벽에 위치되도록 하고, 에어펌프(200)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에어펌프(200)는 자체내에 밧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소형펌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단순히 누름동작의 반복에 의해 에어전달이 이루어지는 수동형의 에어펌프의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체발생부(200)는 아웃부츠(110)의 외면에 별도의 장착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110a)에 안착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장착부(110a)가 필요한 이유는, 스노브드는 과격한 운동이므로 기체발생부(200)는 기계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별도의 기구이므로 외부의 충격 또는 흔들림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고, 고장 또는 밧데리 교환 등 분리가 쉽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별도의 장착부(110a)내에 설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장착부(110a)의 동작은 단순히 스위치의 온(on), 오프(off)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온(on) 스위치의 작동시 밧데리의 전원에 의해 소형모터의 작동에 의해 기체 발생이 이루어지고, 오프(off)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온(on), 오프(off)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방법은 손쉬운 방법이므로 겨울철 장갑 등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음, 기체전달부(300)를 설명하기에 앞서 기체 팽창부(40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기체 팽창부(400)는 인부츠(120)에 설치되어 인부츠(120)의 형상이 변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인부츠(120)와는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인부츠(120)는 비교적 소프트한 재질의 쿳션 재질이 내부에 채워져 있으며, 외면은 섬유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통기성을 가지므로 단순히 인부츠(120) 내부로 공기주입시에는 이러한 통기성 구조로 말미암아 형상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인부츠(120) 내부에 공기주입에 따라 형상변화를 달성하는 기체팽창부(400)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체팽창부(400)는 공기에 따라 팽창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족하므로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체팽창부(400)는 인부츠(120) 내부에 설치되되, 인부츠(120) 형상에 대응하는 전체로 설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이러한 기체팽창부(400)가 인부츠(120) 전체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팽창 수축에 따른 형상변화는 가능할진 몰라도 통기성을 가질 수 없으므로 인부츠(120) 자체가 내외부의 통기기능은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인부츠(120) 중 형상변화에 따라 각 착용자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부위에 부분적으로 이러한 기체팽창부(400)가 설치되면 족할 것이다. 스노보드는 격렬한 운동이므로 이중 발목부상이 가장심하다 따라서 가장 형상변화가 필요한 부위는 발목 특히 발뒤꿈치 부분이므로 이 부분이 인부츠(120) 내부에서 여유 공간 없이 완전 밀착되게 되면, 발목부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노보드의 운행도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목 또는 발뒤꿈치 의 형상변화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체팽창부(400)를 인부츠(120)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면 족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졌을 경우, 전체적으로 나비형상을 가지는 기체발생부(400)를 발뒤꿈치 부위에 대응하는 인부츠(120) 내부에 설치되었을 경우 공기 주입에 따라 발목의 뒷부분의 오목한 부위에 에어가 충진되어 팽창됨에 따라 발목 및 발뒤꿈치 부위가 인부츠(120)에 완전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의 발목부위의 형상 및 크기가 다르다 할지라도 주입되는 에어의 양에 따라 기체팽창부(400)의 팽창정도가 달라지므로 각 사용자에게 맞춤형의 인부츠(12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발목 및 발뒤꿈치의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 이외에도 발바닥의 오목한 부위를 이루는 곡궁 부위에도 이러한 기체팽창부(400)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각 사용자의 곡궁부위의 형상에 따라 기체팽창에 의해 발바닥면 전체가 인부츠(120)면에 접촉되므로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 이외에도 발등 부분 또는 발바닥 전체 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기체팽창부(400)를 설치하고, 또는 발의 상단부분 종아리 부분에도 둘레에 따라 기체팽창부(400)를 설치하여 발 전체가 인부츠 내부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형태는 본 발명에서는 일차적으로는 발목 및 발뒤꿈치 부분의 기체 팽창에 의한 인부츠(120) 내에서의 밀착으로 부상방지를 위함이고, 이차적으로는 발바닥 곡궁 부위 및 기타 다른 필요부위에 기체팽창부를 설치함으로써 발전체가 인부츠(1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
다음, 기체전달부(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기체전달부(300)는 기체발생부(200)에서 생성된 기체를 기체팽창부(400)에 전달하는 통로로써 일종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관은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인부츠(120)내부에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체전달부(300)는 기체발생부(200)의 단부에서 아웃부츠(110) 내부를 관통하고, 다시 인부츠(12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다 탄부가 기체팽창부(400)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 기체발생부(200)와 연결되는 부위에서는 분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에 인부츠(120) 내부의 기체팽창부(400)와 연결되는 단부는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발생부(200)는 밧데리의 교환 등 이유로 장착부(110a)에서 분리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기체발생부(200)를 분리 하기 위해서는 기체전달부(300)의 단부가 기체발생부(200)와 분리되어야 하므로 분리결합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분리결합을 위해서는 강제삽입방식 또는 원터치방식 등 여러 가지 가능할 것이다. 반면에 기체팽창부(400)는 인부츠(120) 내부에서 고정되고, 분리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고, 또한 스노브드 운동중 다양한 움직임에 기체전달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완전히 고정식으로 결합되면 족할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느보드화(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부츠(120)가 아웃부츠(110)내에 결합되어 있고, 기체발생부(200) 및 기체전달부(300) 그리고 기체팽창부(400)가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보드화(100)를 사용자가 통상의 방법으로 착용한다. 이후, 기체발생부(200)의 온(on)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서 기체전달부(300)를 통하여 기체팽창부(400)로 기체가 전달된다. 상기 기체가 전달됨에 따라 기체팽창부(400)가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목 및 발뒤꿈치 부위에 형성된 기체팽창부(400)는 점자적으로 사용자의 발목 및 발뒤꿈치부분에 밀착되게 된다. 이 경우 외측으로는 아웃부츠(110)의 강성으로 인하여 팽창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인부츠(120) 내측으로의 팽창이 일어나 발뒤꿈치 및 발목부위를 완전 밀착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기체팽창부(4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정도에 따라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위치의 작동을 멈쳐 기체팽창부(400)가 더 이상 팽창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각 사용자의 발목 및 발뒤꿈치의 형상이 다르다 할지라도 기체팽창부(400)의 팽창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 조정 가능하므로 각 사용자에게 맞춤형 인부츠(12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곡궁부분, 발바닥 부분 및 종아리 부분 등 다른 기체발생부가 형성된 경우 각 부위에도 기체팽창에 따른 맞춤형 인부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음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기체팽창부(400)를 팽창시켜 발이 인부츠(120)와 완전 밀착되도록 하고, 스노보드를 즐기면 되고, 이 경우 특히 발목 및 발뒤꿈치 부분이 인부츠(120)에 밀착되므로 발목부상이 방지됨은 물론 스노보드화(100)와 발이 일체감을 이루므로 보다 안전하고, 즐겁게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스노보드를 마치는 경우, 오프(off) 스위치를 작동시켜, 반대로 기체팽창부(400)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 족할 것이다. 몰론 밧데리 교환 등의 경우에는 장착부(110a)를 개방하고, 기체전달부(300)의 단부를 기체발생부(200)에서 분리한 후, 기체발생부(200)를 외부로 분리하고, 밧데리를 교환 한 후, 장착부(110a)에 설치하고, 기체전달부(300)의 단부를 연결한 후, 장착부(110a)를 폐쇄시키면 족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노보드화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스노보드화 110. 아웃부츠
110a. 장착부 120. 인부츠
200. 기체발생부 300. 기체전달부
400. 기체팽창부

Claims (6)

  1. 인부츠와 아웃부츠로 이루어지는 스노보드화에 있어서,
    아웃부츠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분리 결합되는 기체발생부와;
    인부츠 내부에 형성되고, 전달되는 기체에 의해 팽창 수축에 따라 형상변화가 이루어지는 기체팽창부; 그리고
    상기 기체발생부에서 생성된 기체를 기체팽창부에 전달하도록 기체발생부와 기체팽창부를 연결하는 기체전달부;로 구성되어
    기체 팽창부의 팽창에 따라 각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대응하는 인부츠의 형상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발생부는,
    아웃부츠 외면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발생부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소형모터가 구비된 기체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화.
  4. 제 1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팽창부는,
    인부츠 내부에 임의의 위치에 하나이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팽창부는,
    발뒤꿈치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펼쳤을 때 나비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기체팽창부가 발뒤꿈치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팽창부는,
    발바닥의 곡궁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화.
KR1020110062236A 2011-06-27 2011-06-27 스노우보드화 KR20130001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36A KR20130001470A (ko) 2011-06-27 2011-06-27 스노우보드화
PCT/KR2011/004774 WO2013002440A1 (ko) 2011-06-27 2011-06-30 스노우보드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36A KR20130001470A (ko) 2011-06-27 2011-06-27 스노우보드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0A true KR20130001470A (ko) 2013-01-04

Family

ID=4742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36A KR20130001470A (ko) 2011-06-27 2011-06-27 스노우보드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01470A (ko)
WO (1) WO2013002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2365A (zh) 2012-05-18 2015-01-21 贾斯廷·P·史密斯 游泳划水板以及量身定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8452B1 (fr) * 1985-10-11 1987-12-11 Porcher Pierre Chaussure de ski a serrage atmospherique
US5727338A (en) * 1996-12-23 1998-03-17 Virginia C. George Vacuum fitting ski boot with air pump
US6409487B1 (en) * 2000-09-12 2002-06-25 Dc Shoes, Inc. Shoe with inflatable bladder and secure deflation valve
JP2004236802A (ja) * 2003-02-05 2004-08-26 Ryusyo Industrial Co Ltd フィッティング部材及びブーツ
ITPN20100003U1 (it) * 2010-02-05 2011-08-06 Tecnica Spa "calzatura sportiva provvista di un dispositivo di adattamento della calz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2440A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7300B2 (en) Hockey skate
US2830585A (en) Ankle support
US6009637A (en) Helium footwear sole
CN100525731C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US6836979B2 (en) Shoe structure
US9004502B2 (en) Hockey skate
US4654986A (en) Vacuum fitting ski boot
US11083242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rticle
US20170280819A1 (en) Athletic gear or other wearable articles comprising an expandable user-engaging structure
WO2008100575A3 (en) Improved ventilated and resiliant shoe apparatus and system
US11083247B2 (en) Sports shoe with inflatable tightening system
WO2005079291A3 (en) Ski boot
ATE526842T1 (de) Schuhsohle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CA2493591A1 (en) Sport boot
KR20130001470A (ko) 스노우보드화
US20160302519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0178770A (ja) 靴底およびそれを用いた靴
CN202819807U (zh) 儿童舒适护足健步鞋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JP2012170594A (ja) 履物用ベル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履物
ITMI990501A1 (it) Struttura di calzatura sportiva
CN202425702U (zh) 新型护踝运动鞋
CN109674137B (zh) 一种具有鞋垫鞋底一体化构造的多功能舒适型跑鞋
JP5139584B1 (ja) 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