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821U -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821U
KR20130000821U KR2020110006784U KR20110006784U KR20130000821U KR 20130000821 U KR20130000821 U KR 20130000821U KR 2020110006784 U KR2020110006784 U KR 2020110006784U KR 20110006784 U KR20110006784 U KR 20110006784U KR 20130000821 U KR20130000821 U KR 201300008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coupling
coupling groove
extern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준
한중석
허수복
정형호
Original Assignee
(주)에큐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큐세라 filed Critical (주)에큐세라
Priority to KR2020110006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821U/ko
Publication of KR20130000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홀이 있고 상기 수직 홀 하단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의 외면은 평면도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아 구조 및 발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Zirconia abutment having rear-shaped connection}
본 고안은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술의 용이성과 결합 안정성이 우수한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치의학에서 임플란트 시술은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에 의한 치아수복물은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screw)와,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보철물(prosthesis)로 구성된다.
임플란트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 방식에 따라 외부 결합형(external connection type) 임플란트와 내부결합형(internal connection type) 임플란트로 구분된다.
외부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쳐의 상면에 주로 육각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어버트먼트의 하면에 픽스쳐의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육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픽스쳐의 결합돌기가 어버트먼트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반면, 내부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쳐의 상단부에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내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어버트먼트의 하단부가 내부결합홈과 삽입가능한 구조로 되어, 지대주의 하단부가 픽스쳐의 내부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내부결합형 임플란트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에 비해 픽스쳐와 핸드피스 커넥터의 접촉 면적 또는 픽스쳐와 지대주의 접촉 면적이 더 크므로 상호간 나사의 풀림 현상이 적고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픽스쳐를 치근에 깊이 식립할 수 있고 시술이 용이하여 시술 안정성도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부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쳐 내부에 어버트먼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각 부품이 체결되는데, 내부결합형 지대주가 내부결합형 픽스쳐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크류가 지대주 내부를 관통하기 위해서는 픽스쳐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 하단의 벽 두께가 매우 얇게 (약 0.3mm 이하)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 결과, 어버트먼트의 강도가 약하며 전체적인 임플란트의 구조적 강성을 떨어뜨려 임플란트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가 대안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의 내부결합형 임플란트의 장점들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육각의 제한적인 위치자유도 때문에 환자의 치아구조 및 발치상태에 따른 정확하고 용이한 임플란트시술이 어렵다.
한편, 치과용 재료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르코니아는 알루미나를 대체하는 구조용 세라믹스로 탄생한 후 정형외과용 고관절 대체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그 후 치과용 보철물 재료로 사용되어오다 최근에는 임플란트의 픽스쳐, 어버트먼트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르코니아는 임플란트에 사용하는 기존 세라믹 재료에 비해 세라믹의 강도, 생체 친화성이 개선되었고, 금속 어버트먼트에 비하여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는 보철물 표면으로 어버트먼트가 보이지 않아 미용상 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르코니아가 임플란트 재료로서 더욱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임플란트 시술을 용이하게 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르코니아 픽스쳐 또는 어버트먼트에 적합한 새로운 구조 및 형상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술의 정확성과 편이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심미성이 우수하고 가공량이 적거나 불필요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홀이 있고 상기 수직 홀 하단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의 외면은 평면도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홈은 치수(齒數)가 12, 18, 또는 24 개인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체는 외면 중간에 비선형적인 돌출 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직 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외면이 형성되거나, 상부에 만곡면 또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등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홀이 있고 이 수직 홀 하단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의 외면은 평면도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 어버트먼트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있고 외면 및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홈에 삽입 가능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를 포함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돌기는 육각 기둥 또는 팔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와 픽스쳐 간의 결합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시술자가 환자의 치아구조와 발치방향에 따라 정확하게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스템의 심미성 및 기능성이 증가되고, 임플란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를 보인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수직 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저면도.
도 1d는 도 1a의 평면도.
도 2a 및 2b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의 결합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를 보인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좌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우측면도.
도 3d는 도 3a의 수직 단면도.
도 3e는 도 3a의 저면도.
도 3f는 도 3a의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좌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우측면도.
도 4d는 도 4a의 수직 단면도.
도 4e는 도 4a의 저면도.
도 4f는 도 4a의 평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결합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5b는 픽스쳐의 결합부를 보인 평면도.
도 6a 및 6b는 결합 각도에 따른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7a 내지 7d는 본 고안에 따른 어버트먼트와 픽스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결합부 형태를 보인 평면도.
본 고안은 치골에 식립되는 픽스쳐와 픽스쳐 상단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임플란트 시스템의 시술 용이성과 식립 안정성 및 임플란트 심미성을 향상시킨다.
도 1a 내지 1d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가 도시되어 있다. 어버트먼트(100)의 외관을 보면(도 1a 참조)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홀이 있다(도 1b 참조). 어버트먼트는 상부 기둥(102)과 하부 기둥(104)이 일체화되어 있고,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이 만나는 경계 지점에는 기하학적 경계 라인(106)이 비선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곡선에 의해 어버트먼트의 기하학적 구조가 환자의 구강 구조 및 치아 상태에 보다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기둥의 상면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어버트먼트 상부에 결합되는 보철물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어버트먼트의 내부 공간(110)에는 나사 고정용 걸림턱(1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은 어버트먼트와 픽스쳐를 결합하는 나사(미도시)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여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걸림턱이 없는 어버트먼트도 가능하다.
한편, 어버트먼트 하부 기둥 하면(108)은 픽스쳐와 결하되는 면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 하단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도 1c 참조). 내부 공간의 폭은 W1이며 걸림턱에서 W2으로 줄어들게 되고 결합홈에서 W3으로 확대된다.
어버트먼트의 외면은 평면도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며, 따라서 픽스쳐와의 결합 관계에서 결합 각도에 민감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어버트먼트의 결합홈을 톱니 구조로 형성하고 이 톱니형 결합홈에 픽스쳐 상단부가 결합되었을 때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최적화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의 판단에 따라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환자의 구강 구조 및 치열 상황에 최적화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c에 도시한 어버트먼트 결합홈에는 치수(齒數)가 12인 톱니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홈에 육각 기둥의 결합부를 갖는 픽스쳐를 결합하게 되면 30°의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와 정합시킬 수 있다.
도 2a 및 2b에는 결합홈에 치수가 각각 18 및 24인 톱니 구조가 형성된 어버트먼트의 하면을 도시하였다. 치수가 18인 결합홈은 육각 기둥의 결합부를 갖는 픽스쳐를 결합하게 되면 20°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치수가 24인 결합홈은 육각 기둥의 결합부를 갖는 픽스쳐를 결합하게 되면 15°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와 픽스쳐 간의 결합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3f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200)는 기하학적인 구조물로서 상부 기둥(202)과 하부 기둥(204) 사이의 외부 표면에 비선형적인 돌출 라인(2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206a)을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평면도(도 3f 참조) 및 저면도(도 3e 참조)를 보면 기하학적으로 상당히 변화가 심한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구조체는 임플란트 시스템의 심미성 및 기능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시술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버트먼트의 내부 공간(210)에는 나사 고정용 걸림턱(214)이 형성되어 있고, 어버트먼트 하부 기둥 하면(208)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걸림턱이 없는 어버트먼트도 가능하다.
환자의 치아 크기 및 모양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어버트먼트는 항상 가공을 한 후 사용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변화가 심한 아나토믹 어버트먼트(anatomic abutment)는 가공을 덜하거나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반면, 아나토믹 어버트먼트는 대칭 구조가 아니며, 평면도 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이며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구강 내에 심어져 있는 픽스쳐와의 정밀한 결합이 더욱 중요하다. 상기 결합홈(212)은 비대칭 구조의 아나토믹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와의 결합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도 4a 내지 4f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하학적 구조가 좀더 변화된 어버트먼트(300)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기둥(302)과 하부 기둥(304) 사이의 외부 표면에 비선형적인 돌출 라인(3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306a)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 공간(310)에는 수직적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버트먼트의 내부 공간에는 나사 고정용 걸림턱(3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308)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312)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걸림턱이 없는 어버트먼트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직 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외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둥의 표면에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입체적으로 변화가 심하며, 앞선 실시예에서의 어버트먼트 보다 비대칭성이 심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나토믹 어버트먼트는 구강 구조가 특이하거나 인접한 치아 상태가 불균일한 경우 임플란트 시술을 할 때 적합한 반면, 픽스쳐와의 결합 시 정밀한 제어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 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 하면에 형성된 톱니 형태의 결합홈(312)이 임플란트 시술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키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어버트먼트의 복잡한 형상은 지르코니아를 이용하여 정밀 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어버트먼트 내부의 결합홈 형태는 임플란트용 밀링 머신을 이용하여 정교하게 가공이 가능하여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재료로서 지르코이나의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은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속 재질의 어버트먼트에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부결합형 임플란트 시스템은 전술한 어버트먼트와 기존에 널리 사용되어온 육각 결합돌기형 픽스쳐가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픽스쳐(500)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510)가 어버트먼트(100) 하단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112)에 삽입되어 상호 맞물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는 별도의 고정 나사(미도시)로 상호 결속되며, 어버트먼트 상부에는 보철물이 추가로 형성된다.
픽스쳐는 내부에 나사 결합용 수직 홈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의 외면은 치조골에 픽스쳐가 강한 결합력으로 식립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의 결합돌기 상단은 어버트먼트 내부 공간의 나사 고정용 걸림턱(114)의 하면에 맞닿아 어버트먼트 내부로의 진입이 제한될 수 있다.
픽스쳐 상단의 결합돌기는 도 5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의 중앙에는 픽스쳐 내부로 연장되는 수직 홈(512)이 형성된다. 결합돌기의 형태는 팔각 기둥일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아나토믹 어버트먼트의 경우, 평면도적으로 비대칭적인 구조로 인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할 때 그 위치나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결합 부위에 동일한 육각 기둥 형태의 결합 구조가 형성되면, 아나토믹 어버트먼트의 체결 구조가 60°각도로 제한되어 시술자인 의사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상호 결합 상태를 환자의 구강 구조에 적합하게 시술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아나토믹 어버트먼트와 픽스쳐가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것으로, 상호 육각 결합 구조로 맞물려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또는 이웃 치아와의 정합을 고려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결합 각도를 변경할 경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60°각도로 상대 회전되어 도 6b에서와 같이 큰 변환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합 상태는 인접한 치아와의 균일한 치열 구조를 이루기 어렵거나 보철물의 형성이 불가능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인접한 복수의 치아 영역에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한 다중 보철물(multi unit prosthesis)로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에 보철물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어버트먼트 하단의 결합홈이 복수의 치수를 갖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픽스쳐의 결합홈이 육각 기둥 형태이더라도 작은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보다 정밀하게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모식도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의 결합홈(112)에는 치수가 12인 톱니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어버트먼트의 결합홈에 삽입된 픽스쳐의 결합돌기(510)는 결합홈 내의 일부 홈에만 꼭지점이 결합되어 있다. 임플란트 시술 과정 중에, 필요에 따라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통해 결합 상태를 변경해야할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30°각도로 회전시켜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인 결합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112)의 결합홈 톱니 구조는 치수가 18개이며, 이 경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픽스쳐는 결합돌기(510)가 육각 기둥 구조일 경우, 한 번에 20°각도로 회전시켜 보다 정밀하게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인 결합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12)의 결합홈을 치수가 24인 톱니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홈에 삽입되는 픽스쳐는 결합돌기가 육각 기둥 구조일 경우, 한 번에 15°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매우 정밀하게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 결합홈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인 결합 상태를 변화시킬 때 회전 각도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결합 구조를 환자의 구강 구조 내지 치열 상태에 따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픽스쳐의 결합돌기의 형태는 육각 기둥이나 팔각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 결합홈의 톱니 구조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픽스쳐의 결합돌기(5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 외주면으로 두 개의 돌편(510a, 5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편이 어버트먼트 결합홈의 톱니 구조에 결합되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될 때 결합부위에서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표면이 완전 밀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은, 시술된 임플란트 시스템에 문제가 있어 일부 부품을 교체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분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어버트먼트 102:상부 기둥
104:하부 기둥 106:경계 라인
108:하면 112:결합홈
114:걸림턱 500:픽스쳐
510:결합 돌기

Claims (9)

  1.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홀이 있고 상기 수직 홀 하단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의 외면은 평면도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치수(齒數)가 12, 18, 또는 24 개인 톱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외면 중간에 비선형적인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수직 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외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부에 만곡면 또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지르코니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7.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홀이 있고 상기 수직 홀 하단에는 톱니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의 외면은 평면도적으로 볼 때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 어버트먼트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있고 외면 및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홈에 삽입 가능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를 포함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치수가 12, 18, 또는 24 개인 톱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육각 기둥 또는 팔각 기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결합형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110006784U 2011-07-26 2011-07-26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KR201300008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84U KR20130000821U (ko) 2011-07-26 2011-07-26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84U KR20130000821U (ko) 2011-07-26 2011-07-26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21U true KR20130000821U (ko) 2013-02-05

Family

ID=5242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84U KR20130000821U (ko) 2011-07-26 2011-07-26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8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CN101808591B (zh) 牙植入体系统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TW201306806A (zh) 能夠收容以多種角度製作的核冠並在附著帽後用作牙齦成形器的基台和利用該基台的種植體補綴物的製作方法及種植手術方法
KR20100022050A (ko) 세라믹 일체형 치과 임플란트
JP7393399B2 (ja) ベースを備え骨構造に適合されるように成形されるインプラント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CA2879817C (en) Porous metal dental implant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101469833B1 (ko) 치과 임플란트 맞춤형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용 링크
KR200479385Y1 (ko)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KR20120027604A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20170069028A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고정체
US20150037757A1 (en) Method for attaching a dental prosthesis having multiple abutments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5206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090111010A (ko) 임플란트 지대주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TWI700076B (zh) 貼骨人工牙體
KR20130000821U (ko) 톱니바퀴 형태의 결합층을 갖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
KR200483373Y1 (ko) 스캔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세트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CN111671534A (zh) 一次植入型复合牙科种植体
CN212382764U (zh) 一次植入型复合牙科种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