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605U -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 Google Patents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605U
KR20130000605U KR2020130000034U KR20130000034U KR20130000605U KR 20130000605 U KR20130000605 U KR 20130000605U KR 2020130000034 U KR2020130000034 U KR 2020130000034U KR 20130000034 U KR20130000034 U KR 20130000034U KR 20130000605 U KR20130000605 U KR 20130000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ing rod
roller
road surface
fri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이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진 filed Critical 이유진
Priority to KR2020130000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605U/ko
Publication of KR20130000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rrangements for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구동막대의 아래쪽 끝에 설치된 마찰 패드(10)로 노면을 눌러 그 마찰력으로 주행하는 롤러 썰매로서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앞바퀴 롤러(1)와 뒷바퀴 롤러(2) 2개 등 구름저항을 최소화한 3륜으로 구성되며, 앞바퀴와 뒷바퀴를 연결하는 연결대(4)는 체격이 서로 다른 사람이 바꿔 탈수 있도록 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막대는 바닥에 탄력 있는 마찰패드(10)를 사용하고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였으며 사람과 동물의 발 구조와 같이 바닥 가운데가 오목하게 하고 관절 기구(12)을 설치하여 구동막대의 구동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굽혀지고 복원되게 하여 구동운동을 완료할 때까지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구동막대의 끝 부위는 노면과 접촉할 때에 충격 완화와 마찰 패드(10)의 밀착을 돕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쿠션 스프링(15)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The three wheels roller sled of adjustable wheelbase and driving stick with knuckle}
본 발명은 일반 노면에서 주행이 용이하도록 마찰저항을 최소화한 축간 거리 조절이 가능한 3륜 롤러 썰매와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막대에 관한 것이다.
롤러 스케이트를 응용하는 롤러 썰매. 현재까지 롤러 여러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넘어지지 않기 위해 양쪽에 2열로 되어 있어서 구동저항이 크고 방향전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롤러 썰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막대는 끝단이 고정되어 있어서 일반 노면에서 구동 동작을 하면 미끄러져서 구동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09-0031379 A6
없음
일반 노면에서 정지상태에서 넘어지지 않아야 하고 구동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앉은 상태에서 양쪽 손은 구동을 해야 하므로 방향전환은 발의 조작에 의해서 가능해야 하고, 안장형 의자로부터 방향전환을 하는 발 사이의 거리는 체격의 크기에 맞아야 하므로 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구동막대는 구동 시작부터 구동 완료까지 노면에 밀착을 유지해서 썰매를 미는 힘이 계속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정지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일반 노면에서 주행에 필요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는 3륜 롤러 썰매이며, 앉은 상태에서 방향전환을 발의 조작에 의해서 가능한 조종장치를 설치하며, 구동막대는 구동 시작점 부터 구동 완료까지 노면에 밀착을 유지하도록 관절을 설치하여 연속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롤러 썰매에서 좌우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고 편안하게 탈수 있고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바퀴는 최소 3륜만을 사용하고 방향전환은 앞바퀴를 사용토록 한 것이다.
체격이 다른 사람들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꿔 탈수 있도록 앞뒤 축 연결대(4)의 축간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구동막대는 썰매 본체와 분리되어 있어서 흩어지거나 분실되기 쉬운데 안장형 시트의 내장된 막대 보관용 홈(9)에 보관하게 하였다.
구동막대는 사람이나 동물의 보행 원리를 응용해서 관절 외에도 노면에 대한 밀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스프링 쿠션을 설치하였다.
구동막대의 아래쪽 끝에 설치된 마찰 패드(10) 바닥 면은 밑면 가운데가 오목한 구조로 하며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뒤쪽은 길게 하고, 다음 동작을 할 때 노면에서 분리가 쉽도록 전진 방향쪽(ⓐ)을 짧게 하였다.
즉, 구동막대에서 바닥 밀착면의 전후 방향 길이는 뒷발에 해당하는 부위(ⓑ)는 길게 하여 마찰력을 높이고 앞발에 해당하는 부위(ⓐ)는 길이를 짧게 하여 구동이 완료된 후에 노면에서 쉽게 분리하게 하여 구동 동작이 자연스럽도록 개선하였다.
노면을 막대로 구동하여 구동이 완료될 때까지 노면과의 마찰력과 구동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사람의 발목관절과 같이 굽혀지도록 관절 기구(12)을 설치하였다. 관절 기구(12)를 구면형 관절구조로 설계하면 주 관절동작은 앞뒤방향으로 하면서 좌우 방향으로도 미세하게 움직임을 줌으로써 좀더 부드러운 구동 동작을 할 수 있다.
관절 기구(12)은 앞뒤 방향으로 굽혀질 뿐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안정된 구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5)을 설치하여 구동하는 양쪽 팔의 충격을 완화하고 구동막대가 노면에서 마찰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실내 장판위 또는 시멘트 바닥 등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롤러 썰매를 탈 수 있다.
2)발을 사용하여 방향을 전환하고 팔을 사용하여 구동하게 하여 썰매를 타는 재미와 함께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본 고안에 의한 구동막대를 이용하여 앉아서 타는 썰매도 가능하지만 구동막대의 길이를 길게 하면 일어서서 타는 롤러주행 스키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는 나사구조 앞뒤 축간거리 조절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캠구조 앞뒤 축간거리 조절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구동막대의 정면 단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5는 구동막대의 바닥면의 저면도이다.
구동막대로 노면을 짚고 미는 팔의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롤러 썰매로서 앞바퀴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앞바퀴 롤러(1)와 뒷바퀴 롤러(2) 2개로 구성되며, 앞바퀴와 뒷바퀴를 연결하는 축간 연결대(4)는 체격이 서로 다른 사람이 축간 거리를 조절하면서 탈수 있도록 축간 거리 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그 본체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 모양의 자리(SEAT)가 설치된다.
안장형 시트(8)에는 구동막대를 보관할 수 있는 홈(9) 2개를 내장한다.
뒷바퀴 롤러(2)에는 자전거용 브레이크를 레버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하여 고속 주행에 대응토록 할 수 있다.
앞바퀴와 뒷바퀴를 연결하는 앞뒤 축간 연결대(4)는 체격이 서로 다른 사람이 길이를 조절하여 탈수 있도록 나사 고정 구조 또는 캠 구조 원터치식 축간 거리 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구동막대의 아래쪽 끝에 설치된 마찰 패드(10)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바닥 쪽에서 보아 타원형이면서 단면이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고, 노면을 막대로 구동하여 구동이 완료될 때까지 노면과의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의 발목관절과 같이 굽혀지도록 관절 기구(12)가 설치되며, 노면에 밀착력을 높이고 구동 충격이 팔에 전해지는 것을 줄이기 위해 완충용 스프링(15)을 설치하며 등산용 스틱처럼 스프링에는 길이 조절장치(16)가 설치된다.
관절 기구(12)를 구면형 관절구조로 설계하면 주 관절동작은 앞뒤방향으로 하면서 좌우 방향으로도 미세하게 움직임을 줌으로써 좀더 부드러운 구동 동작을 할 수 있다.
구동막대는 바닥부위 마찰 패드(10)가 실내용은 탄력이 높은 고무 제품이며, 실외용은 단단한 재질의 고무 또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노면에 닿는 부위는 마모가 되기 때문에 소모품이므로 교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한다.
노면에 닿는 부위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바닥 쪽에서 보아서 타원(곡선)형, 역 하트 모양, 역 V자 모양 등 무늬를 넣게 된다.
구동막대는 길이를 길게 제작하면 일어서서 타는 스키형 롤러를 구동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얼음 위가 아닌 일반 노면에서도 아동 및 성인이 탑승해서 팔과 다리를 이용해 썰매를 즐길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즐거움을 느끼면서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1)앞바퀴 롤러(ROLLER) (2)뒷바퀴 롤러(ROLLER) (3)축간 거리 조절장치
(4)앞뒤 축간 연결대 (5)방향전환용 발판 (6)방향전환용 선회기구
(7) 썰매 본체 (8)안장형 시트(SEAT) (9)막대 보관용 홈
(10)마찰 패드(PAD) (11)하부 관절 몸체 (12)관절 기구(PIN)
(13)상부 관절 몸체 (14)막대 연결 로드(ROD) (15)압축 스프링 (16)길이조절 조임장치 (17)구동막대 (18)구동막대 손잡이
(30)썰매 하부 프레임 (31)나사 구조 조임 손잡이 (32)와셔
(33)조임 판 (34)앞뒤 축간거리 조절용 연결대
(40)썰매 하부프레임 (41)로드 (42)캠 구조 조임 손잡이
(43)조임 판 (44)앞뒤 축간거리 조절용 연결대
(45)조임용 핀

Claims (2)

  1.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앞바퀴 롤러 1개와 방향이 고정된 뒷바퀴 롤러 2개로 구성되어 주행할 때에 마찰 저항을 최소화한 3륜 썰매로서 안장형 시트에는 구동막대 보관용 홈을 내장하고 앞바퀴와 뒷바퀴를 연결하는 축간 연결대(4)에는 나사 고정 구조 또는 캠 구조로 된 축간 거리 조절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2. 구동막대의 아래쪽 끝에 설치된 마찰패드(10)는 마찰을 증대하기 위해 단면이 볼록한 돌기를 여러개 형성하였으며 바닥면 가운데는 오목하게 홈을 형성하고, 구동막대의 구동 동작을 하는 동안 구동막대의 끝단이 노면과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앞뒤 방향으로 굽혀지는 관절 기구(12)을 설치하고, 구동후에는 쉽게 노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바닥 마찰패드(10)의 구동 전진 방향쪽 길이가 뒤쪽보다 짧게 설치하며, 충격 방지및 바닥면에 잘 밀착 되도록 하기 위해 완충 스프링(15)과 길이조절 장치(1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썰매 구동용 구동막대.
KR2020130000034U 2013-01-03 2013-01-03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KR201300006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034U KR20130000605U (ko) 2013-01-03 2013-01-03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034U KR20130000605U (ko) 2013-01-03 2013-01-03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05U true KR20130000605U (ko) 2013-01-23

Family

ID=5242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034U KR20130000605U (ko) 2013-01-03 2013-01-03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6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5598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US9815518B2 (en) Prostration-type dual drive bicycle
US7900940B1 (en) Pedestrian cycle
US7980573B1 (en) Spring board
CN101745213B (zh) 滑板
US7543834B2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or sport device
US9782665B2 (en) Roller skate
US11077357B2 (en) Skateboard
CN106005213B (zh) 一种利用人体坐力不断前进的儿童滑板车
KR200421493Y1 (ko) 스케이트보드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US9403551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support frame and means for manoeuvring this frame with respect to a sports board
KR20130000605U (ko) 축간거리 조절 가능한 3륜 썰매와 굽힘관절이 구비된 구동막대
KR101833742B1 (ko)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CN105080115B (zh) 手控式滑行设备
KR101158422B1 (ko) 롤러 스케이팅 승용기구
US10449436B2 (en) Skateboard with lateral wheel position
CN112316401A (zh) 一种扭腰驱动的多种玩法扭推式滑行板
JP2011235051A (ja)
CN103961842B (zh) 运动用自行车支撑台
KR101837426B1 (ko) 투 인 원 롤러보드
KR20070025881A (ko) 스쿠터
JP2017038679A (ja) チェア付スノーボード
KR101837429B1 (ko) 트랜스포머블 스케이팅 레저스포츠 용품
CN2593838Y (zh) 弹簧蹦跳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