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684A -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684A
KR20120140684A KR1020127029974A KR20127029974A KR20120140684A KR 20120140684 A KR20120140684 A KR 20120140684A KR 1020127029974 A KR1020127029974 A KR 1020127029974A KR 20127029974 A KR20127029974 A KR 20127029974A KR 20120140684 A KR20120140684 A KR 2012014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oding
precoding granularity
value
signaling
access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 카이
앤드류 마크 언쇼
모한 퐁
윤 형 허
동쉥 유
후아 수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4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8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 H04L25/023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with extension to other symbols
    • H04L25/0232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with extension to other symbols by interpolation between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Abstract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액세스 노드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을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SIGNALING OF PRECODING GRANULARITY FOR LTE AND LTE-A}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사용자 기기" 및 "UE(user equipment)"는 일부 경우에 이동 전화, PDA, 핸드헬드 또는 랩톱 컴퓨터, 및 통신 능력을 갖는 유사 디바이스와 같은 이동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UE는 UE, 그리고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와 같은(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UE의 연관된 탈착가능한 메모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UE는 이러한 모듈 없이 디바이스 자체로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용어 "UE"는 데스크톱 컴퓨터, 셋톱 박스, 또는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와 같이 유사한 능력을 갖지만 이송 가능한 것은 아닌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UE"는 또한 사용자와의 통신 세션을 종료시킬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용어 "사용자 기기" , "UE", "사용자 에이전트", "UA(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 및 "사용자 노드"는 본 명세서에서 같은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가 도입되었다. 이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등 기기의 향상인 시스템 및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보된 또는 차세대 기기는 LTE(long-term evolution)와 같이 발달하는 무선 통신 표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은 종래의 기지국이 아니라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 B(eNB),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유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액세스 노드"는 종래의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LTE eNB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의 임의의 컴포넌트를 지칭할 것이며, 이는 UE 또는 릴레이 노드가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해주는 수신 및 전송 커버리지의 지리적 영역을 생성한다. 액세스 노드는 복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LTE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Release) 8(Rel-8 또는 R8) 및 릴리즈 9(Rel-9 또는 R9)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으며, LTE-A(LTE Advanced)는 릴리즈 10(Rel-10 또는 R10) 및 가능하면 릴리즈 10 이상의 릴리즈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액세스 노드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시그널링하고,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을 암시적으로(implicitly) 시그널링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다음의 간략한 설명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릴리즈 8, 릴리즈 9 및 그 이상에 대한 공통 기준 신호(RS) 및 전용 기준 신호의 예의 도면이다.
도 2는 공통 기준 신호 및 전용 기준 신호 전송 체인의 도면이다.
도 3은 동일한 프리코딩 또는 빔형성(EF) 벡터를 사용하는 자원 블록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프리코딩 입도에 대한 2-타이어 상위 계층 신호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프리코딩과 그의 프리코딩 입도에의 연결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개방 루프 프리코딩의 명시적 구성이 없는 프리코딩 입도 구성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리코딩 입도 대안에 대한 예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리코딩 입도 대안에 대한 예시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프리코딩 입도 대안에 대한 예시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코딩 단위의 상이한 매핑의 예시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에 기초한 프리코딩 입도의 예시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표들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서 및 관련 컴포넌트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현이 아래에 제공되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현재 공지되어 있든 기존에 있든 수많은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는 여기에 예시되고 설명된 예의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는 아래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에 어떠한 방식으로든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그의 등가물의 전 범위와 함께 수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용 기준 시그널링이 데이터 복조에 사용될 때 LTE 및 LTE-A 다운링크 전송에 대하여 프리코딩 입도(precoding granularity)를 시그널링하는 다수의 방식을 제공한다. 프리코딩 입도에 대한 정보는 UE가 정확한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그의 전체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 실시예는 동적 시그널링, 반정적(semi-static)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상위 계층 시그널링, 명시적인 시그널링, 암시적인 시그널링, 또는 이들 시그널링 유형의 조합을 포함하여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을 위한 광범위한 방식을 망라한다.
3GPP LTE(Rel-8 및 9) 및 LTE-A(Rel-10)에서는, 전송 다이버시티, 개방 루프 및 폐쇄 루프 공간 다중화, 이중 계층(dual-layer) 빔형성(BF; beamforming) 전송 등을 포함하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에 대한 다수의 전송 모드가 지정되어 있다. UE가 PDSCH를 복조하는 기준 신호는 공통 기준 신호(CRC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 기준 신호) 및/또는 전용 기준 신호(DRS 또는 UE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층 빔형성 전송을 지원하는 Rel-8에서의 전송 모드 7, 이중 계층 빔형성 전송을 지원하는 Rel-9에서의 전송 모드 8, 및 Rel-10에서 지정될 새로운 전송 모드를 포함하여 LTE 및 LTE-A에서 지정된 다수의 전송 모드는 PDSCH 복조에 대하여 DRS를 사용한다.
도 1은 LTE Rel-8 및 Rel-9에 대한 CRS 및 DRS 할당의 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수직 빗금친 서브캐리어는 C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수평 빗금친 서브캐리어는 D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CRS는 모든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B#1(110), RB#2(120), 및 RB#3(130)) 상에서 전송되며, DRS는 특정 RB(예에서는 RB#2(120), 및 RB#3(130)) 상에서만 전송되고 특정 UE에 할당된다.
데이터 복조에 대하여 CRS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CRS는 모든 RB 상에서 그리고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낮은 모빌리티(mobility) 및 비교적 플랫(flat) 채널을 갖는 UE에 대하여, UE가 채널 추정에서 내삽(interpolation)/외삽(extrapolation)을 수행함으로써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해준다. 예로서 도 1을 사용하여, CRS에 기초한 채널 추정은 다수의 RB, 예를 들어 RB#1(110), RB#2(120), 및 RB#3(130)에 걸쳐 내삽/외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S는 데이터(PDSCH)로서 프리코딩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가 경험하는 등가 채널을 UE가 추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액세스 노드가 UE에 대하여 사용하는 프리코딩 벡터 또는 프리코딩 행렬을 UE에 알린다. 이 정보를 UE에 제공하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액세스 노드에서 종래의 빔형성 기술이 사용될 때, 액세스 노드에서 사용된 빔형성 가중치의 UE에의 시그널링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UE 디코딩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용어 "프리코딩 벡터"는 이하 프리코딩 벡터 또는 빔형성 가중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리코딩 벡터"는 단일 층을 의미할 수 있고, 용어 "프리코딩 행렬"이 보다 적합할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용어 "프리코딩 벡터"는 프리코딩 벡터나 프리코딩 행렬을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S를 사용하는 것은, 기준 신호가 특정 UE에 데이터(PDSCH)로서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로 적용됨을 의미하고, 이러한 DRS는 그 UE에 할당된 RB에서만 전송된다. 이는, 이러한 정보가 DRS 전송에 의해 이미 전달될 것이므로, CRS에 비교하여 더 적은 오버헤드를 유도하고, 프리코딩 벡터 및 전력 할당과 같은 일부 제어 시그널링의 절약을 유도한다. 그러나, DRS의 사용으로 생기는 문제는 UE에서의 채널 추정 중의 채널 내삽/외삽과 관련된다. UE는 먼저, 그 RB 내에서만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로 채널 내삽/외삽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어느 RB에 적용되는지에 대해 알아야 한다. 또한, 특정 UE에 할당되지 않은 RB에서는 DRS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UE에 할당된 RB의 경계에서 또는 그에 걸쳐 채널 내삽/외삽이 수행될 수 없고, 따라서 일부 성능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도 1의 도면을 예로 들면, 복조 기준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로서 DRS를 사용하는 전송에 대하여 특정 UE에 RB#2(120) 및 RB#3(130)만 할당되는 경우,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RS가 RB#2(120) 및 RB#3(130)에서만 전송될 것이다. 이는 UE가 채널 추정 성능을 개선하도록 RB#2(120) 및 RB#3(130)에 걸쳐 채널 내삽/외삽을 행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이 제한은, RB#2(120) 및 RB#3(130)에 대하여 사용된 프리코딩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또는 RB#2(120) 및 RB#3(130)에 사용된 프리코딩 벡터가 동일함을 UE가 알지 못하고 따라서 다르다고 가정한 경우, 더 제한될 수 있다. 또한, RB#2(120) 및 RB#3(130)만 특정 UE에 할당되더라도, UE는 RB#1(110), RB#2(120) 및 RB#3(130)에서 CRS를 사용하여 CRS 기반의 채널 내삽/외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특히 RB#2(120)에 이웃한 RB#1(110)에서의 서브캐리어와 같이 자원 할당의 경계에 있는 서브캐리어에 대한 채널 추정 성능에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UE에 할당되지 않은 RB#1(110)에서 DRS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절차는 채널 추정이 DRS에 기초하는 경우 이용될 수 없다.
요약하자면, DRS를 사용하는 것은 프리코딩 및 전력 할당의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절약 및 낮은 기준 신호 오버헤드를 비롯하여 CRS를 사용하는 것 이상의 일부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DRS의 경우, 채널 추정 동안 이들 RB에 걸쳐 채널 내삽/외삽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므로, UE는 어느 RB에 동일한 프리코딩이 적용되는지 알아야 한다. 이는 도 3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3은 DRS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6개 RB(310)의 할당을 도시하며, 이들 중의 3개(310a, 310b, 310c)는 하나의 프리코딩 벡터를 사용하고 다른 3개(310d, 310e, 및 310f)는 또다른 프리코딩 벡터를 사용한다. 3개 RB(310)에 걸쳐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된다는 것을 UE가 안다면, UE는 정확한 프리코딩 벡터를 알 필요 없이 이들 3개 RB(310)에 걸쳐 채널 내삽/외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노드에 의해 어느 RB에 대해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되는지 UE가 알지 못한다면, UE는 하나의 RB 내에서 프리코딩 벡터가 변하지 않는다고만 가정할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RB 내에서만 채널 내삽/외삽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채널 추정 성능과 상충할 수 있으며, 특히 비교적 플랫 또는 주파수 덜 선택적인 채널을 갖거나, 낮거나 중간 모빌리티를 갖는 UE의 경우 그러하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DM-RS로서 DRS가 사용되는 경우, 액세스 노드가 정확한 프리코딩 벡터를 시그널링할 필요는 없지만, 프리코딩 벡터가 변하지 않는 RB 범위를 UE가 알아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적용되는 연속(contiguous) RB의 수는 프리코딩 입도 값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값은 DRS가 사용될 경우 UE가 채널 내삽/외삽을 수행할 수 있도록 UE에 제공되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송 모드 7(Rel-8) 및 전송 모드 8(Rel-9)에 대한 현행 설계에서, UE에 프리코딩 입도 값을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어디에도 없다. UE는 단순히 프리코딩 벡터가 하나의 RB 내에서 변하지 않으며 따라서 하나의 RB 내에서만 채널 내삽/외삽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채널이 비교적 플랫인 경우, 다수의 RB에 걸친 채널 내삽/외삽이 채널 추정을 개선할 것이므로, 악화된 채널 추정 성능을 초래할 수 있다. LTE-A(Rel-10)의 경우,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에 관한 다수의 해결책이 제안되어 왔다. 일부 제안에서는, 2개 RB의 고정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사용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다른 제안에서는, 하나보다 큰 프리코딩 입도 값이 상위 랭크(high-rank) 전송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RS가 DM-RS로서 사용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 값이 UE에 다양한 방식으로 시그널링된다. 4가지 해결책의 실시예가 제공되며, 이들 중의 임의의 해결책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해결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1 해결책에서, 프리코딩 입도의 값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동적으로 UE에 시그널링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선택을 나타내도록 예를 들어 1 또는 2 비트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추가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표 1 및 표 2는 이러한 시그널링의 일부 예를 보여준다 . 표 1의 예에서는, 1 비트가 프리코딩 입도 시그널링에 사용된다. 비트가 첫 번째 값을 갖는 경우,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UE에 시그널링되고, 비트가 두 번째 값을 갖는 경우, 6개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UE가 시그널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트의 값은 상이한 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를 나타낼 수 있다. 표 2에서, 2 비트가 프리코딩 입도 시그널링에 사용되고, 따라서 프리코딩 입도의 4개 상이한 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예에서, 2 비트가 첫 번째 값을 갖는 경우,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UE에 시그널링되고, 2 비트가 두 번째 값을 갖는 경우, 2개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UE에 시그널링되고, 2 비트가 세 번째 값을 갖는 경우, 6개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UE에 시그널링되고, 2 비트가 네 번째 값을 갖는 경우, 모든 스케줄링된 자원 블록이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다른 실시예에서, 2 비트의 값은 다른 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를 나타낼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 값에 더하여, 프리코딩 단위(precoding unit)의 시작점이 또한 UE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암시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시작 점은 자원 할당의 시작 RB일 수 있다(주파수의 하단으로부터 카운트함). 대안으로서, 시그널링은 명시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시작점은 그의 인덱스가 UE에 동적으로 또는 반정적으로 시그널링되는 지정된 RB일 수 있다.
이 해결책의 변형에서, 프리코딩 입도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닐 경우, 도 12에서의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리코딩 입도를 인에이블(enabl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도록 DCI에서 1 비트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가 디스에이블되면, 프리코딩 입도의 표시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UE는 프리코딩 입도 값이 하나의 RB라고 가정한다.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되면, 디폴트 프리코딩 입도 값이 UE에 의해 가정될 수 있다. 이 디폴트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UE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 precoding matrix index) 피드백 입도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를 취할 수 있다.
제2 해결책에서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 시그널링하는데 사용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의 전송, 또는 유사한 시그널링일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에 대하여 반정적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DCI에서의 동적 시그널링보다 더 적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프리코딩 입도 값을 업데이트하는데 있어서 느린 속도와 채널 변화에 대한 그의 느린 반응이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프리코딩 입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동적 시그널링 경우와 마찬가지로 1 또는 2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1 비트 시그널링의 경우, 시그널링 비트는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석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시그널링 비트는 예를 들어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코딩 입도에 대한 인에이블 비트로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액세스 노드에 의해 이러한 시그널링이 보내지지 않으면, UE는 프리코딩 입도가 없다고 가정할 수 있고 동일한 RB 내에서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적용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단일 비트가 UE에 보내지면, UE는 프리코딩 입도 기능이 인에이블된다고 가정할 수 있고, 2개 또는 6개 RB와 같이 미리 결정된 값으로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인에이블 후에, 프리코딩 입도 값이 업링크 피드백 입도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프리코딩 피드백 입도 부대역(sub-band) 크기가 4개 RB이면서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되면, UE에 의해 가정되는 다운링크 프리코딩 입도 값도 또한 4개 RB일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에 대하여 2 비트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사용되는 경우, 2 비트는 하나의 상위 계층 신호로서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비트의 의미는 예로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적 시그널링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2 비트가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는 디폴트 값으로 프리코딩 입도를 인에이블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디폴트 값의 정제(refinement)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비트가 보내지면, UE는 프리코딩 입도의 디폴트 값이 6개 RB라고 가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액세스 노드는 또한 프리코딩 입도 정제 시그널링을 보낼 수 있다. 정제 시그널링이 "0"의 값을 취하는 경우, 예를 들어 2 RB 프리코딩 입도가 표시될 수 있으며, "1"의 값을 취하는 경우, 예를 들어 4 RB 프리코딩 입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제 시그널링은 또한 첫 번째 시그널링에 의해 인에이블된 디폴트 값과 관련된 델타(delta) 값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트리거된 프리코딩 입도의 디폴트 값이 4개 RB인 경우, "0"의 정제 신호는 프리코딩 입도를 4 - 2 = 2 RB로 변경할 수 있으며, "1"의 정제 신호는 프리코딩 입도를 4 + 2 = 6 RB로 변경할 수 있다. 델타 값은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정제 신호는 델타 값의 부호(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액세스 노드(410)와 UE(420) 사이에 이러한 2 타이어(tier) 시그널링의 절차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 이벤트 430에서, 액세스 노드(410)는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벤트 440에서, 액세스 노드(410)가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 UE(420)는 프리코딩 입도가 없다고 가정하거나 또는 동등하게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가정한다. 이벤트 450에서, 액세스 노드(410)가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보내는 경우, UE(420)는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되고 디폴트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벤트 460에서, 액세스 노드(410)가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보낸 경우, 액세스 노드(410)는 프리코딩 입도 정제 신호를 또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UE(420)는 이벤트 470에서 정제 신호에서 수신된 값을 사용하여 디폴트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1 비트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UE에 3가지 다른 종류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UE가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UE는 프리코딩 입도가 없다고 가정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가정할 수 있다 . UE가 "0"의 값을 갖는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UE는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되고 프리코딩 입도가 값 #1을 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UE가 "1"의 값을 갖는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UE는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되고 프리코딩 입도가 값 #2를 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 표 4의 열 1210에 이 대안이 예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가 보내지지 않는 경우, UE가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가 "0"의 값으로 보내지는 경우, UE는 PG1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한다.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가 "1"의 값으로 보내지는 경우, UE는 PG2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한다.
이 대안의 변형에서, 프리코딩 입도를 조정할 상대 값으로서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와 함께 프리코딩 입도 정제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의 예가 표 4의 열 1220 및 열 1230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PG1 및 PG2는 예를 들어 RB의 단위로 프리코딩 입도 값 #1 및 #2이며, △는 프리코딩 입도 정제에 대한 상대 값이다. 열 1220에서,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 및 프리코딩 정제 인에이블 신호가 둘 다 "0"의 값으로 보내지는 경우, UE는 PG1 - △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한다.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가 "1"의 값으로 보내지고 프리코딩 정제 인에이블 신호가 "0"의 값으로 보내지는 경우, UE는 PG2 - △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한다. 열 1230에서,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가 "0"의 값으로 보내지고 프리코딩 정제 인에이블 신호가 "1"의 값으로 보내지는 경우, UE는 PG1 + △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한다. 프리코딩 입도 인에이블 신호 및 프리코딩 정제 인에이블 신호가 둘 다 "1"의 값으로 보내지는 경우, UE는 PG2 + △의 프리코딩 입도를 가정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Rel-8 및 Rel-9의 경우, 전송 모드 7 및 8에 대하여 어떠한 프리코딩 입도도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이들은 둘 다 DM-RS를 사용한다. 이들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프리코딩 입도가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사양의 릴리즈는 완성에 가까우므로, 이에 대한 변경이 달갑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면 이들 사양에 제한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특징을 도입함으로써 이에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제3 해결책에서는, 동적 시그널링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프리코딩 입도에 대하여 함께 사용된다 . 예를 들어, 반정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전달하는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입도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데 동적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동적 시그널링은 표 1 또는 표 2의 왼쪽 열에서의 비트 또는 비트들의 현재 값을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왼쪽 값들이 참조하는 표 1 또는 표 2의 오른쪽 열에서의 값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3가지 해결책들은 동적 시그널링이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나 아니면 둘 다를 이용해 명시적인 시그널링을 사용한다. 즉, 프리코딩 입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특별한 목적으로 시그널링 비트가 방송으로 제공된다. 제4 해결책에서는, 암시적인 시그널링이 프리코딩 입도를 시그널링하는데 사용된다. 즉, 다른 목적으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기존 파라미터에 프리코딩 입도가 연결된다. 6가지 상이한 대안들이 이 제4 해결책 하에 제공된다.
제1 대안에서는, 프리코딩 입도의 인에이블이 피드백 모드에 암시적으로 연결된다. 다양한 피드백 모드가 구성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채널에 관한 정보가 UE에서 측정되고 액세스 노드에 피드백될 수 있다. 광대역 피드백이 사용될 수 있거나, 부대역 피드백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피드백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광대역 피드백을 이용하면, 전체 대역폭이 측정되고, 하나의 피드백 값이 액세스 노드에 제공된다. 부대역 피드백을 이용하면, 시스템 대역폭의 상이한 부분들이 측정되고, 각각의 부분에 대한 값들이 액세스 노드에 피드백된다.
이 제1 대안의 실시예에서, 피드백 모드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디폴트로서 피드백 없음을 포함함) 또는 광대역 피드백이 구성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되지 않는다.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UE는 프리코딩 입도 값이 하나의 RB라고 가정할 수 있다. 부대역 피드백이 구성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인에이블되고 피드백 입도에 또는 미리 정의된 값에 연결된다. 즉, 프리코딩 입도 값이 부대역의 폭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피드백 부대역 입도와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프리코딩 입도 값이 부대역 폭에 관계없이 동일할 수 있다.
제2 대안에서는, 프리코딩 입도의 인에이블이 전송 모드에 암시적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전송 모드는 폐쇄 루프 프리코딩이며, UE는 UE가 선호하는 프리코딩 벡터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노드에 피드백한다. 폐쇄 루프 프리코딩은 UE가 고정되어 있거나 느리게 움직일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다운링크 채널에 대하여 측정되고 정보가 피드백되는데 일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피드백 정보가 느리게 변하고 있지 않는 한, 액세스 노드가 수신할 때까지 피드백 정보는 더 이상 관련되지 않는다.
다른 전송 모드는 개방 루프 프리코딩 모드이며, UE는 정보를 피드백하지 않거나 제한된 정보만 피드백한다. UE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경우, 전송 채널도 또한 빠르게 변하고 있을 것이다. UE가 선호하는 프리코딩 벡터에 관한 임의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때까지, 정보는 뒤떨어질 수 있다. PMI의 피드백은 이러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 제2 대안의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 8의 경우, DCI 포맷 2B가 사용되면,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될 수 있다. 한편,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DCI 포맷 1A와 함께 사용되면, 전송 다이버시티가 사용될 것이므로 프리코딩 입도는 가정될 필요가 없다. 중간 또는 높은 모빌리티를 갖는 UE의 경우, 폐쇄 루프 프리코딩은 UE로부터의 프리코딩 벡터 피드백이 오래 지난 것일 수 있으므로 잘 작용하지 앉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개방 루프 프리코딩 모드가 도입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벡터가 상이한 RB들에 걸쳐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모드가 도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코딩 입도가 그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 개방 루프 프리코딩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단일 RB 또는 미리 정의된 고정된 수의 RB의 프리코딩 입도 값이 UE에 의해 가정될 수 있으며, 폐쇄 루프 프리코딩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5에서, 블록 510에서, 액세스 노드는 UE의 모빌리티 또는 UE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고 있는지 추정하거나, 또는 어떤 다른 메트릭을 추정한다. 블록 520에서, 액세스 노드는 모빌리티가 임계치(threshold)를 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UE의 모빌리티가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경우, 액세스 노드는 블록 530에서 폐쇄 루프 프리코딩 모드에 대하여 UE를 구성한다. UE의 모빌리티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액세스 노드는 블록 540에서 개방 루프 프리코딩 모드에 대하여 UE를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액세스 노드가 폐쇄 루프 프리코딩 모드에 대하여 UE를 구성하는 경우, 액세스 노드는 블록 550에서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에 대하여 UE를 구성하고, 프리코딩 입도 값을 UE에 시그널링한다. 액세스 노드가 개방 루프 프리코딩 모드에 대하여 UE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액세스 노드는 블록 560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자원 블록의 고정된 프리코딩 입도 값으로 UE를 구성한다. 즉, 프리코딩 입도 값은 전송 모드에 암시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액세스 노드가 블록 560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으로 UE를 구성하는 경우, 블록 57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코딩 순환(precoding rotation)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이한 프리코딩 벡터의 미리 정의된 세트가 존재할 수 있고, 세트 내의 프리코딩 벡터의 패턴이 액세스 노드와 UE 둘 다에 알려질 수 있다. 세트 내의 각각의 프리코딩 벡터는 단일 자원 블록에 또는 고정된 수의 자원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와 UE는 각각 어느 프리코딩 벡터가 어느 자원 블록에 적용되는지를 알도록 세트를 통해 순환할 수 있다.
Rel-8에서와 같이 다수의 전송 모드를 도입하는 것은 모든 전송 시나리오를 수용하기에 바람직한 방식이 아닐 수 있다 . 실시예에서, 프리코딩 입도 시그널링이 전송 모드를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대안은 도 6에 나타나 있다. 블록 610에서, 액세스 노드는 UE의 모빌리티의 추정을 획득한다. 블록 620에서, 액세스 노드는 모빌리티가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UE의 모빌리티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도 5의 블록 550에서의 절차와 마찬가지로, 블록 630에서 폐쇄 루프 프리코딩이 사용되고, 액세스 노드는 대응하는 프리코딩 입도를 UE에 시그널링한다. UE의 모빌리티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도 5의 블록 560에서의 절차와 마찬가지로, 액세스 노드는 블록 640에서 RB들에 걸쳐 순환 프리코딩으로 그의 전송을 구성하고 UE에 단일 RB 프리코딩 입도를 시그널링한다. 이는 개방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가 사용될 것인지 아니면 폐쇄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가 사용될 것인지 명시적으로 결정해야 할 필요를 피한다.
즉, 도 5에 예시된 방법에서는, UE의 모빌리티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결정되고, 그 다음 프리코딩 입도가 전송 모드에 연결된다. 한편, 도 6에 예시된 방법에서는, 프리코딩 입도가 UE의 모빌리티에 기초하여 직접 결정되고, 전송 모드는 원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제3 대안에서는, 프리코딩 입도의 인에이블이 전송 랭크(transmission rank) 피드백에 암시적으로 연결된다. 전송 랭크는 UE가 다운링크 상에서 지원할 수 있는 공간 계층의 수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수는 UE에 의해 액세스 노드에 피드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액세스 노드에서 결정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와 UE는 둘 다, 전송 랭크가 특정 값보다 낮을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되지 않을 것이고, 전송 랭크가 특정 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부분적으로, Rel-10에서의 8x8 전송과 같이 상위 랭크 전송에서 포트당 비교적 낮은 DM-RS 밀도로 인해, 프리코딩 입도가 하위 랭크 전송의 경우보다 상위 랭크 전송의 경우 더 나은 성능 이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코딩 입도와 전송 랭크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전송 랭크가 4보다 큰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와 UE는 둘 다, 이러한 경우에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인에이블에 어떠한 명시적 시그널링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되는 프리코딩 입도 값은 UE와 액세스 노드 둘 다에 알려진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고, 또는 이 값(예를 들어 1 비트)이 UE에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제4 대안에서는, (총 자원 블록 수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현재 자원 할당 크기로부터 현재 프리코딩 입도 값이 암시적으로 획득된다. 예를 들어, NPRB가 UE의 자원 할당에서 총 자원 블록 수라고 가정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 값 NPG는 어떤 미리 정의된 최대치 Nmax 이하인 NPRB의 최대 약수(factor)일 수 있다. Nmax에 대한 가능한 값은 예를 들어 3, 5, 또는 6일 수 있다. 약수가 없는 경우, NPG는 1 또는 어떤 다른 미리 정의된 값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예로서, Nmax = 5이고 NPRB = 7인 경우, 최대치보다 작은 최대 팩터는 1이고, 그리하여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된다. Nmax = 5이고 NPRB = 8인 경우, 최대치보다 작은 최대 약수는 4이며, 그리하여 4개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된다.
제5 대안에서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의 UE의 C-RNTI 값이 2개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 중의 하나를 UE에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데 사용된다. UE는 DCI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찾음으로써 PDCCH 상의 특정 자원 할당 전송이 그 UE를 위한 것임을 식별한다. CRC가 UE의 C-RNTI로 스크램블링된 경우, UE는 자원 할당이 자신을 위한 것이었음을 알게 된다.
실시예에서, CRC는 UE에 2개의 상이한 값 중의 하나를 제공하도록 FF16(즉, 이진수에서 모두 1)으로 XOR 마스킹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2개 값의 각각은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으로 암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CI의 CRC가 UE의 C-RNTI와 스크램블링된 DCI가 PDCCH 상에서 수신되면,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이 시그널링되는 것이다. DCI의 CRC가 UE의 C-RNTI와 스크램블링되고 FF16으로 XOR 마스킹된 DCI가 PDCCH 상에서 수신되면,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이 시그널링되는 것이다.
제6 대안에서는, 액세스 노드는 자원 할당 크기의 파라미터를 통하여 UE에 2개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 중의 하나를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한다. 자원 할당 크기는 자원 할당 타입에 따라 자원 블록 또는 자원 블록 그룹의 총 수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은 자원 할당 크기의 패리티(parity)에 기초하며, 여기에서 패리티는 자원 할당 크기가 짝수인지 아니면 홀수인지 지칭한다. 예를 들어, 자원 단위의 총 수가 홀수인 경우, UE는 액세스 노드가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반대로, 자원 단위의 총 수가 짝수인 경우, UE는 액세스 노드가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설명은 UE에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제 상이한 자원 할당 타입에서의 시그널링된 프리코딩 입도 값의 적용으로 설명이 이어진다.
상이한 자원 할당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LTE에서 정의된 다수의 자원 할당 타입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원 할당 타입 0에서, 연속 RB들의 세트 또는 자원 블록 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이 단위로서 함께 할당될 수 있다 . 어느 RBG가 할당되는지 나타내도록 비트 맵이 사용되며, RBG는 연속으로 또는 비연속으로 할당될 수 있다. RBG 크기(각각의 RBG 내의 물리적 자원 블록의 수)가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바뀜에 따라, 프리코딩 입도 값과 일치(match)하지 않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RBG는 3 RB의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프리코딩 입도는 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RBG 내의 모든 RB에 동일한 프리코딩 입도 값이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에서, RBG 크기와 프리코딩 입도 값 사이에 이러한 불일치(mismatch)가 발생할 때, RBG의 RB에 프리코딩 입도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4가지 대안 중의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처음 3가지 대안은 RB 기반의 해결책이며, 네 번째 대안은 RBG 기반의 해결책이다.
제1 대안에서, 각각의 할당된 RBG 내에서 프리코딩 입도가 적용되고, UE는 상기 기술 중의 하나에 의해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시그널링된 것으로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가정한다. 프리코딩 입도 값보다 작은 수를 갖는 각각의 RBG에서의 임의의 나머지 RB는 그 자신의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한다. 할당된 RBG는 서로 연속으로 또는 비연속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2개의 비연속 RBG(710)가 할당되고, 각각의 RBG(710)는 3개 RB로 구성된다. 프리코딩 입도 값이 2개 RB로 지정되는 경우, 각각의 RBG에서, 처음 2개의 RB는 지정된 프리코딩 입도를 따르고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가지며, 나머지 하나의 RB(720)는 그 자신의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한다.
제2 대안에서는, 연속 RBG 할당이 가정되고, 할당된 RBG의 각각에서의 모든 RB를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이 연속으로 적용된다. 지정된 프리코딩 입도 값보다 작은 수를 갖는, 끝에서의 나머지 RB들만 그 자신의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한다.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3개 연속 RBG(810)가 할당되고 각각의 RBG(810)는 3개 RB로 구성된다. 프리코딩 입도 값이 2개 RB로서 지정되는 경우, UE는 각각의 쌍 내에서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갖는, 연속 RB의 4개 쌍을 가정한다. 제1 RBG(810a)에서의 마지막 RB 및 제2 RBG(810b)에서의 처음 RB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갖는 RB 쌍은 2개의 상이한 RBG에 걸쳐 이를 수 있다. 끝에 있는 나머지 하나의 RB(820)는 그 자신의 프리코딩 벡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3 대안은 제2 대안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끝에 있는 나머지 RB는 프리코딩 입도 자격이 있는 바로 전의 RB와 동일한 프리코딩을 갖는다.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3개의 연속 RBG(910)가 할당되고 각각의 RBG(910)는 3개 RB로 구성된다. 프리코딩 입도 값이 2개 RB로 지정되는 경우, UE는 연속 RB의 3개 쌍을 가정하며, 각각의 쌍 내에서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가정된다. 끝에 있는 나머지 하나의 RB(920)는 앞의 2개 RB와 함께 포함되며 그들이 갖는 것과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UE는 마지막 3개 RB가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다음은 제2 및 제3 대안에 따라 상이한 자원 할당 및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이다.
1. UE에 대한 자원 할당에서 다수의 RB 세트가 할당된다고 가정하며, 각각의 세트는 다수의 연속 RB를 포함한다. 각각의 세트에서의 연속 RB의 수는
Figure pct00001
로서 지정되며, 첨자
Figure pct00002
는 세트 인덱스를 표시한다. 프리코딩 입도(RB 수에 관함)는
Figure pct00003
로서 지정된다.
2. 각각의 세트
Figure pct00004
에 대하여,
Figure pct00005
인 경우, UE는 세트 내의 모든 RB에 대하여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3. 각각의 세트
Figure pct00006
에 대하여,
Figure pct00007
인 경우, 연속 RB는 2개 타입의 프리코딩 단위로 그룹화될 수 있다. 일부 단위는
Figure pct00008
의 크기를 가지며, 일부는
Figure pct00009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1 RB 더 작음). 이러한 프리코딩 단위를 구성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단계들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a. 세트
Figure pct00010
내의 이산 프리코딩 단위의 수가
Figure pct00011
로서 계산될 수 있다.
b. 연속 RB를 프리코딩 단위로 그룹화하며, 일부 단위는
Figure pct00012
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일부는
Figure pct00013
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RB 세트 내의 상이한 크기의 프리코딩 단위의 상대적 순서는 액세스 노드와 UE 둘 다에 알려진 임의의 미리 정의된 패턴을 따를 수 있다. 예로는, 먼저
Figure pct00014
의 크기를 갖는 단위를 배열하고 그 다음에 다른 크기를 갖는 일부 단위를 배열하는 것이다. 대안으로서,
Figure pct00015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프리코딩 단위가 세트의 시작에 배열되고 그 다음에
Figure pct00016
의 크기를 갖는 프리코딩 단위가 이어질 수 있다.
c. UE는 각각의 프리코딩 단위 내의 모든 RB에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도 10은 상이한 프리코딩 단위에 대한 상이한 미리 정의된 매핑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3개 연속 RBG(1010)가 할당된다. 상단 도표는 각각 2개 RB의 크기를 갖는 4개 프리코딩 단위가 먼저 발생되고 나머지 프리코딩 단위(1020)는 하나의 RB의 크기를 갖는 것을 보여준다. 하단 도표는 시작에서 하나의 RB(1030)를 갖는 프리코딩 단위가 발생되고 그 다음에 2개 RB의 크기를 갖는 4개 프리코딩 단위가 이어짐을 보여준다.
다음은 상기 일반적 절차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1. UE에 대한 자원 할당에서 다수의 RB 세트가 할당된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세트 내의 연속 RB의 수가
Figure pct00017
라고 가정하며, 여기에서 첨자
Figure pct00018
는 세트 인덱스를 표시하고, 프리코딩 입도는
Figure pct00019
로서 지정된다.
2. 각각의 세트
Figure pct00020
에 대하여,
Figure pct00021
인 경우, UE는 세트 내의 모든 RB에 대하여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3. 각각의 세트
Figure pct00022
에 대하여,
Figure pct00023
인 경우,
a. 세트
Figure pct00024
내의 이산 프리코딩 단위의 수는
Figure pct00025
이다.
b. 세트
Figure pct00026
내의 프리코딩 단위는
Figure pct00027
또는
Figure pct00028
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Figure pct00029
이거나
Figure pct00030
이다.
c. 처음
Figure pct00031
프리코딩 단위는 크기
Figure pct00032
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Figure pct00033
프리코딩 단위는 크기
Figure pct00034
로 이루어진다.
d. UE는 각각의 프리코딩 단위 내의 모든 RB에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가 사용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상기 절차에서, RB 세트 내의 상이한 크기의 프리코딩 단위의 상대 순서는 액세스 노드와 UE 둘 다에 알려진 임의의 미리 알려진 패턴을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상단 부분에서와 같이, 단계 3c에서 더 큰 프리코딩 단위(크기
Figure pct00035
)가 먼저 올 것임을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도 10의 하단 부분에서와 같이, 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더 작은 프리코딩 단위(크기
Figure pct00036
)가 대신 먼저 올 수 있다.
제4 대안에서는, 물리적 자원 블록 기반으로 프리코딩 입도를 정의하는 대신에, 프리코딩 입도가 RBG 기반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2의 프리코딩 입도 값은 단순히 2개 RB 대신에 2개 RBG를 의미한다. 그러나, RBG 기반인 자원 할당 타입 0에만 적합할 수 있고 RB 기반인 자원 할당 타입 1 또는 2에는 잘 작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의는 일부 제한을 갖는다.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2개 비연속 RBG(1110)가 할당되고, 각각의 RBG(1110)는 3개 RB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정된 프리코딩 입도는 RB 대신에 RBG에 기초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RBG 내의 3개 RB는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대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RBG/RB 기반의 프리코딩 입도와 자원 할당 타입 사이의 암시적 관계가 지정될 수 있다. 자원 할당 타입은 통상적으로 DCI에서 1 비트 플래그에 의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타입 0 자원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RBG 기반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RB 기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DCI에서 타입 0 자원 할당이 표시되는 경우, UE는 프리코딩 입도가 RBG 기반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코딩 입도 = 2가 시그널링되고 타입 0 자원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둘 이상의 연속 RBG가 할당되면 프리코딩 입도는 2개 RBG라고 가정한다. 비연속 RBG가 할당되는 경우, UE는 프리코딩 입도가 하나의 RBG로 한정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기재한 상황과 마찬가지로, 여러 연속 RBG가 할당될 경우, RBG의 처음 일부분은 프리코딩 입도 할당에 기초한 다수의 프리코딩 단위를 형성할 수 있고(프리코딩 입도 값은 이 경우 RBG의 단위임), 그 다음 프리코딩 입도 값보다 작은 수의 나머지 RBG는 그 자신의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한다.
이 대안의 변형에서, DCI에서 표시된 자원 할당 타입에 기초하여 적합한 프리코딩 입도를 유도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에서 타입 0 자원 할당이 표시된 경우, UE는 여기에 기재된 방법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프리코딩 입도를 결정할 것이고, 타입 1 자원 할당이 표시된 경우 프리코딩 입도를 획득하는데 다른 방법이 UE에 의해 사용될 것이며, 타입 2 자원 할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자원 할당 타입 2에 대하여, 국부적인 자원 할당이 지정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를 적용하는데 상기 언급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분배된 자원 할당의 경우, 프리코딩 입도를 적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RB의 프리코딩 입도가 가정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동일한 프리코딩 입도 세트가 상이한 타입의 자원 할당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표준화 노력을 단순화할 것이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에 대하여 여기에 기재된 시그널링은 동적 시그널링, 반정적 시그널링, 명시적 시그널링, 및 암시적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해결책을 망라한다. 이는 프리코딩 입도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UE에 제공함으로써, UE가 채널 추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경우 채널 내삽/외삽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 기재된 시그널링은 또한 하나의 RB에서 수 RB까지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지원한다. 이는 상이한 채널 조건 및 UE 모빌리티 환경에서 채널 추정의 이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전송 채널이 비교적 플랫인 경우, 더 큰 프리코딩 입도가 액세스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UE는 채널 추정 성능을 개선하도록 다수의 RB에 걸쳐 채널 내삽/외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채널이 매우 분산적이고 간섭 대역폭이 작은 경우, 액세스 노드는 더 작은 프리코딩 입도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모빌리티를 갖는 UE에 대하여, 폐쇄 루프 프리코딩은 잘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RB들에 걸친 프리코딩 순환이 실제 해결책이 될 수 있고, UE는 프리코딩 벡터가 상이한 RB들에 걸쳐 바뀐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또한 권장으로서 UE에 보내질 수 있고, UE로 하여금 특정 거동을 하게끔 강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B들에 걸친 채널 내부 내삽을 지원하지 않는 하단(low-end) UE들은 이러한 시그널링을 단순히 무시할 수 있고 RB 기반으로만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를 시그널링하는 개시된 방법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한의 오버헤드로 최상의 전체 성능을 달성하고 또는 사양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도록 명시적 및 암시적 시그널링의 조합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액세스 노드, UE 및 기타 컴포넌트는 상기 기재된 동작에 관련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싱 컴포넌트(1310)를 포함하는 시스템(1300)의 예를 예시한다. 프로세서(1310)에 더하여(중앙 처리 유닛 또는 CPU라 지칭될 수 있음), 시스템(1300)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320),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1330),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1340), 이차 저장장치(1350), 및 입력/출력(I/O; input/output) 디바이스(1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버스(137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들 컴포넌트의 일부는 존재할 수 있을 수 있고, 또는 서로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와 함께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단일 물리적 엔티티에 또는 하나보다 많은 수의 물리적 엔티티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에 의해 취해지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된 임의의 동작은 프로세서(1310) 단독에 의해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1380)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함께 프로세서(1310)에 의해 취해질 수 있다. DSP(1380)가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DSP(1380)는 프로세서(1310)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320), RAM(1330), ROM(1340), 또는 이차 저장장치(1350)(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디스크 기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음)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명령,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하나의 CPU(1310)만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프로세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명령은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시에, 직렬로, 또는 달리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하나 이상의 CPU 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320)는 모뎀, 모뎀 뱅크, 이더넷 디바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시리얼 인터페이스, 토큰 링 디바이스,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디바이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디바이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트랜시버 디바이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무선 트랜시버 디바이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 기타 잘 알려진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320)는 프로세서(1310)가 인터넷 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프로세서(1310)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이에 프로세서(1310)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320)는 또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컴포넌트(1325)를 포함할 수 있다.
RAM(1330)는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어쩌면 프로세서(13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OM(1340)는 통상적으로 이차 저장장치(1350)의 메모리 용량보다 더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ROM(1340)는 명령을 그리고 어쩌면 명령의 실행 동안 판독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AM(1330) 및 ROM(1340) 둘 다에의 액세스는 통상적으로 이차 저장장치(1350)보다 더 빠르다. 이차 저장장치(1350)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테이프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RAM(1330)이 모든 작업 데이터를 보유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 오버플로우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로서 또는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저장장치(1350)는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행에 선택될 때 RAM(1330)으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O 디바이스(13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키패드, 스위치, 다이얼, 마우스, 트랙볼, 음성 인식기, 카드 판독기, 페이퍼 테이프 리더, 프린터, 비디오 모니터, 또는 기타 잘 알려져 있는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1325)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320)의 컴포넌트인 것에 더하여 또는 이 대신에 I/O 디바이스(1360)의 컴포넌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액세스 노드가, DCI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을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노드가 제공된다. 액세스 노드는, 액세스 노드가, DCI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 시그널링하고,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을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UE가 제공된다. UE는 UE가, DCI에서의 프리코딩 입도 값의 동적 시그널링,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한 프리코딩 입도 값의 반정적 시그널링, 및 다른 목적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한 프리코딩 입도 값의 암시적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 하에, 다음 추가적인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 값이 DCI에서 동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1 값은 프리코딩 입도가 디스에이블됨을 나타낼 수 있고,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2 값은 프리코딩 입도가 디폴트 값으로 인에이블됨을 나타낼 수 있다. 디폴트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파라미터에 암시적으로 연결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리코딩 입도 값이 시그널링될 때, 액세스 노드는 프리코딩 단위의 시작점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1 값은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2 값은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1 값은 프리코딩 입도가 디스에이블됨을 나타낼 수 있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2 값은 프리코딩 입도가 디폴트 값으로 인에이블됨을 나타낼 수 있다. 디폴트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파라미터에 암시적으로 연결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2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비트의 하나는 프리코딩 입도가 디폴트 값으로 인에이블됨을 나타내고 비트의 다른 하나는 디폴트 값에서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제1 비트가 제1 값을 갖는 경우 하나의 자원 블록보다 더 큰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제1 비트가 제2 값을 갖는 경우 하나의 자원 블록보다 더 큰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의 제2 비트는 제1 프리코딩 입도 값 및 제2 프리코딩 입도 값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낼 수 있고, 동적 시그널링은 프리코딩 입도 값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암시적 시그널링이 사용되는 경우,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피드백 모드, 전송 모드, 전송 랭크, 자원 할당 크기, CRC의 스크램블링 상태, 및 자원 할당 크기의 패리티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파라미터가 피드백 모드인 경우 그리고 피드백 모드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광대역 피드백이 구성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부대역 피드백이 구성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인에이블될 수 있고 피드백 입도 및 미리 정의된 값 중의 적어도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가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는 경우, 복수의 자원 블록 각각에 이어서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벡터의 각각이 적용될 수 있다. 파라미터가 자원 할당 크기인 경우, 프리코딩 입도 값은 미리 정의된 최대치 이하인, 할당된 자원 블록의 총 수의 최대 약수일 수 있다. 파라미터가 CRC의 스크램블링 상태인 경우 그리고 CRC가 C-RNTI와 스크램블링된 경우,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고, CRC가 16진 FF로 XOR 마스킹된 C-RNTI와 스크램블링된 경우,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다. 파라미터가 자원 할당 크기의 패리티인 경우 그리고 자원 할당 크기가 홀수인 경우,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고, 자원 할당 크기가 짝수인 경우,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이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여러 실시예들이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수많은 다른 구체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예들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여기에 주어진 세부사향에 한정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요소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특정 특징이 생략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산 또는 분리된 것으로서 기재되고 설명된 기술, 시스템, 서브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서로 통신하거나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된 것으로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기타 항목들은 일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중간 컴포넌트를 통해 전기적으로든 기계적으로든 아니면 달리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에 의해 다른 예의 변경, 치환, 및 대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 개시된 진정한 의미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410: 액세스 노드
420: 사용자 기기(UE)

Claims (25)

  1. 프리코딩 입도 값(precoding granularity value)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을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이 DCI에서 동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1 값은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내고, 상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2 값은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내는 것인,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반정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 및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암시적 시그널링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피드백 모드;
    전송 모드;
    전송 랭크;
    자원 할당 크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스크램블링 상태; 및
    자원 할당 크기의 패리티(parit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모드이고, 상기 전송 모드가 폐쇄 루프 프리코딩일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며, 상기 전송 모드가 개방 루프 프리코딩일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하나의 자원 블록 또는 고정된 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는 것인,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모드이고, 상기 액세스 노드가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가 임계치보다 낮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상기 UE에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고 폐쇄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액세스 노드가 UE가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상기 UE에 하나의 자원 블록 또는 고정된 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고 개방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것인,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랭크이고, 상기 전송 랭크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인에이블(enable)되지 않으며, 상기 전송 랭크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미리 결정되거나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인 값으로 인에이블되는 것인, 프리코딩 입도 값을 표시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노드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노드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 프리코딩 입도 값을 동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프리코딩 입도 값을 반정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해 프리코딩 입도 값을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액세스 노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이 DCI에서 동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1 값은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내고, 상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2 값은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내는 것인 액세스 노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반정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 및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액세스 노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암시적 시그널링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가 다른 목적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피드백 모드;
    전송 모드;
    전송 랭크;
    자원 할당 크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스크램블링 상태; 및
    자원 할당 크기의 패리티(parit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액세스 노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모드이고, 상기 전송 모드가 폐쇄 루프 프리코딩일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며, 상기 전송 모드가 개방 루프 프리코딩일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는 것인 액세스 노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모드이고, 상기 액세스 노드가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가 임계치보다 낮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상기 UE에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고 폐쇄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액세스 노드가 UE가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노드는 상기 UE에 하나의 자원 블록 또는 고정된 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시그널링하고 개방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것인 액세스 노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랭크이고, 상기 전송 랭크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인에이블(enable)되지 않으며, 상기 전송 랭크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미리 결정되거나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인 값으로 인에이블되는 것인 액세스 노드.
  15.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UE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서의 프리코딩 입도 값의 동적 시그널링;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한 프리코딩 입도 값의 반정적 시그널링; 및
    다른 목적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의 연결을 통한 프리코딩 입도 값의 암시적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기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이 DCI에서 동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1 값은 제1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내고, 상기 DCI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제2 값은 제2 프리코딩 입도 값을 나타내는 것인 사용자 기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반정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 및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사용자 기기.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암시적 시그널링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목적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피드백 모드;
    전송 모드;
    전송 랭크;
    자원 할당 크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스크램블링 상태; 및
    자원 할당 크기의 패리티(parit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사용자 기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모드이고, 상기 전송 모드가 폐쇄 루프 프리코딩일 경우, 상기 UE는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신하며, 상기 전송 모드가 개방 루프 프리코딩일 경우, 상기 UE는 하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모드이고, 상기 UE가 임계치보다 낮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UE는 복수의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신하고 폐쇄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상기 UE가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UE는 하나의 자원 블록 또는 고정된 수의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신하고 개방 루프 프리코딩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랭크이고, 상기 전송 랭크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인에이블(enable)되지 않으며, 상기 전송 랭크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프리코딩 입도는 미리 결정되거나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인 값으로 인에이블되는 것인 사용자 기기.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UE가 프리코딩 입도 값이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 그룹의 크기와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은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가능한 많은 자원 블록에 적용되고,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임의의 나머지 자원 블록은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임의의 다른 자원 블록에 적용된 임의의 프리코딩 벡터와 상이한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23.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UE가 프리코딩 입도 값이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 그룹의 크기와 상이한 프리코딩 입도 값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리코딩 입도 값은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가능한 많은 자원 블록에 적용되고, 상기 자원 블록 그룹 내의 임의의 나머지 자원 블록은 인접한 자원 블록의 프리코딩 벡터와 동일한 프리코딩 벡터를 가정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프리코딩 입도가 자원 블록 그룹 기반으로 적용되는 것인 사용자 기기.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타입(type) 0 자원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자원 블록 그룹 기반으로 적용되고, 타입 0이 아닌 다른 자원 할당이 사용되는 경우 프리코딩 입도가 자원 블록 기반으로 적용되는 것인 사용자 기기.
KR1020127029974A 2010-04-16 2011-04-08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 KR20120140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517810P 2010-04-16 2010-04-16
US61/325,178 2010-04-16
PCT/US2011/031743 WO2011130115A1 (en) 2010-04-16 2011-04-08 Signaling of precoding granularity for lte and lt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684A true KR20120140684A (ko) 2012-12-31

Family

ID=4424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974A KR20120140684A (ko) 2010-04-16 2011-04-08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55483A1 (ko)
EP (1) EP2559311B1 (ko)
JP (1) JP2013530565A (ko)
KR (1) KR20120140684A (ko)
CN (1) CN102948243B (ko)
CA (1) CA2796647C (ko)
WO (1) WO20111301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257A (ko) * 2015-11-24 2018-08-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프리코더 모드 선택에 기초한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길이의 변경
WO2020130562A1 (ko) * 2018-12-21 2020-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ft-s-ofdm 기반 pdcch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3876A2 (en) 2009-12-17 2011-06-23 Marvell World Trade Ltd Mimo feedback schemes for cross-polarized antennas
US8958382B2 (en) * 2010-05-11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s
WO2011152663A2 (ko) * 2010-06-01 201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8804671B2 (en) * 2010-07-15 2014-08-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E mobility status
CN102404258B (zh) * 2011-11-29 2014-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信道估计方法及系统、移动终端
EP2807756B1 (en) * 2012-01-23 2021-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precoding matrices based on representations of speed of related devices
US9749771B2 (en) 2012-05-11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achine-type communications
WO2013169050A1 (ko) * 2012-05-11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새로운 타입의 반송파 상에서의 데이터 복조 방법
US8923366B2 (en) * 2012-07-25 2014-12-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precoder cycling
US9839009B2 (en) * 2012-08-03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rol and/or shared channels in long term evolution (LTE)
US9307521B2 (en) * 2012-11-01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scheme and quasi co-location assumption of antenna ports for PDSCH of transmission mode 10 for LTE advanced
CN103905141B (zh) * 2012-12-26 2018-09-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下行共享信道的信道估计方法、系统及设备
US20140301298A1 (en) * 2013-04-05 2014-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restriction and efficient signaling
CN104104472B (zh) 2013-04-10 2019-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保证预编码后信道连续性的方法、基站和ue
US9420576B2 (en) * 2013-04-23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PDSCH transmission schemes with compac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mat in new carrier type (NCT) in LTE
WO2014179922A1 (zh) * 2013-05-06 2014-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基站及用户设备
EP3020224B1 (en) * 2013-07-09 2021-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nel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5114784A1 (ja) * 2014-01-30 2015-08-0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および処理方法
CN104852778B (zh) * 2014-02-18 2020-03-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开销信息传输方法,基站、终端和系统
KR102244366B1 (ko) 2014-05-09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및 억제를 위한 무선 자원 활용 방법 및 장치
JP6356332B2 (ja) * 2014-07-24 2018-07-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移動性に基づくプリコーダー循環技法を用いた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367551B2 (en) * 2015-01-29 2019-07-30 Intel Corporation Precoding resource block group bundling enhancement for full dimension multi-in-multi-output
US9924451B2 (en) * 2015-12-02 2018-03-20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half-rate encoded voice frames
US20170265169A1 (en) * 2016-03-10 2017-09-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for ultra low latency (ull) and legacy transmissions
US10404340B2 (en) * 2016-10-11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djustment of transmission properties with continuous precoding
KR102595898B1 (ko) 2016-12-27 2023-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채널 추정 방법
MX2019008470A (es) * 2017-01-17 2019-09-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y aparato para la transmisión de señales.
WO2018173107A1 (ja) * 2017-03-21 2018-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CN108667492B (zh) * 2017-03-31 2020-07-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编码颗粒度的确定方法和装置
CN108811101B (zh) * 2017-05-04 2020-10-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预编码矩阵指示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6232554A (zh) * 2017-05-05 2023-06-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参数处理方法及装置
CN108811111A (zh) * 2017-05-05 2018-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的方法及设备
US10462801B2 (en) 2017-05-05 2019-10-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antenna transmission protocols for high doppler conditions
BR112019024251A2 (pt) * 2017-05-25 2020-06-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pré-codificação de enlace ascendente e dispositivo terminal
CN109150265B (zh) * 2017-06-15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和接收参考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0470072B2 (en) 2017-06-15 2019-1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EP4184853A1 (en) 2017-08-06 2023-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391394B (zh) * 2017-08-09 2021-07-27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Prg隐式指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US11317432B2 (en) 2017-11-16 2022-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47202A (ko) * 2018-10-26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논-코히런트 조인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206661B2 (en) * 2018-11-02 2021-12-21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wideband physical resource group (PRG) in long term evolution (LTE)
CN115023923B (zh) * 2020-02-10 2023-10-24 高通股份有限公司 控制资源集预编码指示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071A (ja) * 2002-03-20 2003-10-03 Seiko Epson Corp データ転送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EP1766806B1 (en) * 2004-06-22 2017-11-01 Apple Inc. Closed loop mimo systems and methods
EP1912347A1 (en) * 2006-10-11 2008-04-1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95642B2 (en) * 2007-02-05 2011-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coding signaling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2119038T3 (pl) * 2007-02-13 2015-09-30 Ericsson Telefon Ab L M Sposoby i systemy do łączonego prekodowania i opóźnienia cyklicznego sygnałów
AR066220A1 (es) * 2007-04-20 2009-08-05 Interdigital Tech Corp Metodo y aparato para una eficaz validacion de informacion precodificada para comunicaciones mimo
US8179775B2 (en) * 2007-08-14 2012-05-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coding matrix feedback processes, circuits and systems
CN101682387B (zh) * 2007-06-19 2013-06-12 株式会社Ntt都科摩 发送装置以及发送方法
US8630184B2 (en) * 2007-08-15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channel format
CN101388699A (zh) * 2007-09-12 2009-03-18 夏普株式会社 基于空时频域的信息反馈方法和系统、用户设备及基站
US8989285B2 (en) * 2007-09-26 201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MIMO precoding feedback scheme
KR101387532B1 (ko) * 2007-12-26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CN101911525B (zh) * 2008-01-14 2014-12-03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Mimo通信中的开环预编码器循环
KR101373951B1 (ko) * 2008-01-30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정보 전송방법
JP5433589B2 (ja) * 2008-02-28 2014-03-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された信号に適用される符号化を特定する情報を含むフィードバックデータ構造の通信
CN101557249B (zh) * 2008-04-07 2012-11-07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控制协作传输下行信号的方法和装置
EP2112845A1 (en) * 2008-04-25 2009-10-28 Panasonic Corporation Activation of semi-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326341B2 (en) * 2008-06-23 2012-12-0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ownlink MU-MIMO power settings and control
US20090323773A1 (en) * 2008-06-30 2009-12-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precoding vectors
WO2010013959A2 (en) * 2008-07-30 2010-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65417B1 (ko) * 2008-08-08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81956B1 (ko) * 2008-10-22 2016-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194661A1 (en) * 2008-12-08 2010-06-09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n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operative multi-antenna communication
US8937913B2 (en) * 2008-12-11 2015-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 channel detec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JP5576301B2 (ja) * 2009-01-29 2014-08-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2439869B (zh) * 2009-01-30 2014-12-03 诺基亚公司 多用户mimo干扰抑制通信系统和方法
US8238483B2 (en) * 2009-02-27 2012-08-07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ng of dedicated reference signal (DRS) precoding granularity
US20100254329A1 (en) * 2009-03-13 2010-10-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grant, downlink assignment and search space method and apparatus in carrier aggregation
EP2230786A1 (en) * 2009-03-16 2010-09-22 Panasonic Corporation Channel quality feedback signal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US8867495B2 (en) * 2009-03-20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mechanisms for beamforming operation
EP2417780B1 (en) * 2009-04-06 2019-05-08 Marvell World Trade Ltd. Improved feedback strategies for multi-user mimo communication systems
US8369885B2 (en) * 2009-04-14 2013-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user MIMO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797950B2 (en) * 2009-05-27 2014-08-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ual-layer beam forming in cellular networks
US9264097B2 (en) *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18102A1 (en) * 2009-08-10 2011-0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n0n-c0debook based precoding
WO2011047496A1 (en) * 2009-10-19 2011-04-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202011111016U1 (de) * 2010-01-07 2018-05-02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sierung von dedizierten Referenzsignal (DRS) - Vorcodierungsgranularität
US9253784B2 (en) * 2010-01-11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resource block bundling in LTE-A systems
WO2011098136A1 (en) * 2010-02-12 2011-08-18 Nokia Siemens Networks Oy Scheduling request and ack/nack simultaneous transmission / prioritization over pucch in lte
WO2011123008A1 (en) * 2010-04-01 2011-10-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coder codebooks for effective channels with structured frequency-selectivity
EP2630744B1 (en) * 2010-10-22 2021-03-3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nhanced inter-network access node scheduling coordination and signaling support for advanced receiver algorith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257A (ko) * 2015-11-24 2018-08-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프리코더 모드 선택에 기초한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길이의 변경
WO2020130562A1 (ko) * 2018-12-21 2020-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ft-s-ofdm 기반 pdcch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950253B2 (en) 2018-12-21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DCCH on basis of DFT-S-OFD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9311B1 (en) 2017-06-07
EP2559311A1 (en) 2013-02-20
CA2796647A1 (en) 2011-10-20
JP2013530565A (ja) 2013-07-25
CA2796647C (en) 2017-07-25
WO2011130115A1 (en) 2011-10-20
CN102948243A (zh) 2013-02-27
CN102948243B (zh) 2016-11-09
US20110255483A1 (en)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40684A (ko) Lte 및 lte-a에 대한 프리코딩 입도의 시그널링
EP3692675B1 (en) Ordering of csi in uci
CN110352578B (zh) 下行链路控制信道的传输结构和格式
US202101102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igna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63367B2 (en) Reference signal sequence configur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US11552687B2 (en) CSI reporting for multiple TRP transmission/panel
US10212724B2 (en) Enhanced link adaptatrion
US20150085750A1 (en) Method for feeding back channel state information, ue and system
US11381424B2 (en) Control of aperiodic signaling of SRS for wireless systems
CA305579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WO2021227958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multi-transmission/reception point operations
JPWO202003135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00067864A (ko) 비-프리코더 매트릭스 표시자(pmi) 채널 상태 정보(csi) 피드백을 위한 포트 인덱스 신호전송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20160197662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754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specific reference signaling allocation of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870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communication system
US112120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a DCI
KR2022013887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헤드룸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1769457B1 (ko) 동적 멀티포인트 통신 구성 지원
JP7293204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22087952A1 (en) Techniques for indica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resources
KR2022013749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헤드룸 보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