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187A -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 Google Patents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187A
KR20120140187A KR1020120034340A KR20120034340A KR20120140187A KR 20120140187 A KR20120140187 A KR 20120140187A KR 1020120034340 A KR1020120034340 A KR 1020120034340A KR 20120034340 A KR20120034340 A KR 20120034340A KR 20120140187 A KR20120140187 A KR 2012014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using
hair
collecting memb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ublication of KR2012014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40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 A45D24/44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as separat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포집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있어서, 브러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하우징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 모을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집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결합된 포집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고, 브러시로부터 포집한 머리털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머리털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브러시 청소기구{HAIR BRUSH CLEANER}
본 발명은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결합된 포집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고, 브러시로부터 포집한 머리털을 분리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헤어브러시에 엉켜있는 머리털을 제거하는 방법은 브러시에 엉켜있는 머리털을 제거하는 특별한 장치가 없어 칫솔이나, 핀셋 등의 소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제거하였다. 이에 따라 머리털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위생적으로 머리털과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점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헤어브러시 청소기구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공개번호 10-2009-0017870호는 단일의 흡입브러시를 사용하여 일반흡입브러시 및 헤어 제거용 흡입브러시를 겸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많은 비용발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결합된 포집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고, 브러시로부터 포집한 머리털을 분리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부에 브러시를 삽입하는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브러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포집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있어서, 브러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하우징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상기 광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 모을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집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포집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 모을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상기 브러시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요입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된 포집부재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결합된 포집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고, 브러시로부터 포집한 머리털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머리털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 브러시를 삽입하는 간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브러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포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고정판과 포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포집부재가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전접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100)는 하우징(110), 포집부재(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브러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10)에는 내부로 브러시가 삽입되면 브러시가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후술할 포집부재(120)가 회동되면서 하우징(110)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하는 금속재질 또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이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할 몸체(12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슬롯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몸체(121)의 걸림턱(121') 일부가 맞닿도록 몸체의 폭길이보다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포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재(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어 브러시에 엉켜있는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고, 포집된 머리털을 브러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1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관통홀(111)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재(12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브러시와 마찰로 인한 외력에도 변형이 되지 않는 금속, 세라믹,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포집부재(120)는 긴 판형상의 몸체(121)를 가질 수 있다. 몸체(121)는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121)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관통홀(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몸체(121)의 일단으로부터 몸체(1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걸림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21')은 브러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21)가 관통홀(111)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턱(121')과 몸체(121)는 브러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1)에 걸림턱(121')이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로 몸체(121)의 타단이 삽입될 때 몸체(121)가 완전히 하우징(110)을 통과하지 않고, 걸림턱(121')에 의해 몸체(121)의 일단이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걸쳐질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관통홀(111)에 몸체(121)의 타단이 삽입되면, 걸림턱(121')이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몸체(121)의 일단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걸림턱(121')은 하우징(110) 내부에 브러시가 삽입되고 삽입된 브러시를 인출할 때 포집부재(120)가 하우징(110) 외주면에 수직인 위치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 내부에서 포집부재(120)가 회동될 때, 포집부재(120)가 하우징(110)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1)의 길이는 몸체(121)가 삽입되어 포집부재(120)가 브러시 삽입방향으로 회동될 때 몸체(121)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몸체(121)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슬롯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1)이 몸체(121)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지만, 몸체(121)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21')이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걸쳐짐으로써 포집부재(120)가 관통홀(111)을 통과하지 않고 하우징(11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21)의 일단에는 몸체(121)를 관통하여 축공(124)이 형성될 수 있다. 축공(124)은 포집부재(120)가 브러시 삽입방향으로 회동될 때 회전축 역할을 하는 축핀(125)이 장착되기 위한 것이다.
축핀(125)은 포집부재(120)가 회동하여 회전체가 될 때 그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축핀(125)은 탄소강이나, 니켈, 크롬계통의 특수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면의 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21)의 일단에서 연장된 걸림턱(121')에는 탄성부재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1)의 일단에는 후술할 탄성부재(13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결합공(123)은 탄성부재(130)가 장착되기 위하여 포집부재(120)의 몸체(121)가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걸림턱(121')이 형성된 면의 타면의 일부가 트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21)의 타단은 몸체(1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모을 수 있도록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된 후크(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크(122)는 브러시가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몸체(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122)가 몸체(121)로부터 부드럽게 굴곡된 기역자(ㄱ)형으로 이루어지고 끝이 도드라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포집부재(120)가 회동될 때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이 후크(122)에 용이하게 걸리게 되어 사용자가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21)의 타단에서 하우징(110) 내부로 브러시가 삽입되면, 브러시의 외주면과 맞닿는 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다수 개로 이루어진 요철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부(122')는 후크(122)가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 모을 때, 후크(122)가 닿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브러시에 남겨진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할 수 있다.
한편 포집부재(120)는 하우징(1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포집부재(120)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포집부재(12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포집부재(120)의 일단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1)의 일단에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공(123) 사이에 하우징(110)의 둘레방향으로 탄성부재(130)가 결합되어 하우징(110)에 이웃하도록 결합된 포집부재(120)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재 결합공(123)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30)는 포집부재(12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포집부재(120)에 외력이 가해져 포집부재(120)가 회동하면, 회동하기 전의 상태로 원위치로 회복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줄이나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가까워진 몸체(121)의 타단을 이동되기 전의 위치로 다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30)는 몸체(121)의 타단에 외력이 가해진 후 외력이 제거되면 몸체(121)의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의 위치로 몸체(121)의 일단을 회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에 하나 이상의 포집부재(120)가 결합되고, 하우징(110) 둘레방향으로 나란하게 서로 이웃하는 둘 이상의 포집부재(120)의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100)는 고정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40)은 가로판(141)과 세로판(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로판(141)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도록 하우징(110)의 외주면 둘레와 접하는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판(141)은 하우징(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둘레에 맞닿도록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가로판(141)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외측 직경방향으로 세로판(142)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로판(142)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세로판(142)의 두 개의 판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은 포집부재(120)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포집부재(120)의 두께를 고려하여 포집부재(12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로판(142)의 두 개의 판의 중심에는 축핀(125)이 안착될 수 있는 축핀결합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축핀결합부(143)는 축핀(125)의 직경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축핀(125)이 하우징(110) 방향으로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세로판(142)의 높이방향 양단 중 하우징(110)에서 먼 방향 일단으로부터 하우징(110)방향으로 세로판(142)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단부는 축핀(125)의 단면에 대응하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축핀(125)은 축핀결합부(143)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접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고정판과 포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재(120)가 고정판(140)의 세로부재(142)가 안착되면, 몸체(121)에 형성된 축공(124)에 축핀(125)을 장착하여 고정판(140)과 포집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핀(125)이 축핀결합부(143)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판(140)에서 포집부재(120)가 이탈되지 않고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케이스본체(150)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하우징(110)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50)는 제1케이스(151)와 제2케이스(152), 거치부재(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151)에는 내부에 하우징(11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브러시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52)는 제1케이스(151)의 타측에 결합되고, 제2케이스(152)에는 제1케이스(151)로 삽입된 브러시가 하우징(110)을 통과함으로써 브러시로부터 분리되는 머리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 내부에서 브러시가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 브러시에 엉켜있는 머리털이 후크(122)나 요철부(122')에 걸려서 분리되는데, 이때 분리된 머리털은 제2케이스(15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51)와 제2케이스(152)는 억지끼움되고 착탈가능하며, 서로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153)는 제1케이스(151)와 제2케이스(152)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153)는 제2케이스(152)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맞닿아 결합되도록 제2케이스(152)의 내부 형성과 동일한 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153)는 하우징(110)이 제2케이스(152)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재(153)는 제2케이스(152)에 억지끼움될 수 있고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153)에는 포집부재(120)에 의해 브러시에서 분리된 머리털이 제2케이스(152)로 유입되도록 브러시관통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의 포집부재가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110) 내부로 브러시를 삽입하여 브러시를 하우징(110)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브러시와 포집부재(120)가 맞닿아 마찰되면서 포집부재(120)의 몸체(121)의 타단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즉 몸체(121)의 타단은 브러시에 마찰되어 브러시의 삽입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몸체(121)의 타단이 회동된 거리와 각도에 비례하여 축핀(125)을 중심으로 의해 몸체(121)의 일단도 회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브러시를 하우징(110)에 삽입한 반대방향으로 빼내면 브러시에 엉켜있는 머리카락에 후크(122)가 걸어져, 후크(122)가 브러시와 함께 이동하면서 몸체(110)의 타단은 브러시에 마찰되어 브러시의 인출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몸체(121)의 타단이 회동되기 전 위치로 돌아오면 몸체(121)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의해 포집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걸립턱(121')이 안착되면 포집부재(120)는 더 이상 인출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를 계속 이동시키면 후크(122)에 걸린 머리털이 브러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제2케이스(152)에 머리털은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머리털은 브러시로부터 분리되어 포집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포집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있어서,
    브러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하우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 모을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집부재를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재는,
    금속, 세라믹,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포집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포집부재가 브러시 삽입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포집부재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슬롯형상으로 형성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몸체가 완전히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포집부재가 상기 후크의 연장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부재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서로 이웃하는 둘 이상의 포집부재에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공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둘레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포집부재가 외력에 의해 회동하면 상기 포집부재에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에 위치로 포집부재를 회복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축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축핀의 둘레보다 큰 내경을 갖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상기 축공에 결합되며, 상기 포집부재가 회동할 때 그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 역할을 하는 축핀을 더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브러시가 삽입될 때 상기 후크와 브러시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요입되어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둘레와 접하는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로판;
    상기 가로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이에 상기 포집부재가 삽입되도록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로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브러시 청소기구는,
    상기 하우징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본체를 더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브러시가 삽입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로 삽입된 브러시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함으로써 분리된 머리털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케이스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브러시에서 분리된 머리털이 상기 제2케이스로 유입되도록 브러시관통홀이 형성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10.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포집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 모을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상기 브러시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요입되어 상기 브러시에 엉킨 머리털을 긁어서 포집하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된 포집부재를 포함하는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KR1020120034340A 2011-06-19 2012-04-03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KR20120140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59366 2011-06-19
KR1020110059366 2011-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187A true KR20120140187A (ko) 2012-12-28

Family

ID=4790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340A KR20120140187A (ko) 2011-06-19 2012-04-03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1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04U (ko) * 2015-04-09 2016-10-19 최용진 헤어 브러쉬 이물질 제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04U (ko) * 2015-04-09 2016-10-19 최용진 헤어 브러쉬 이물질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36354C (en) Agitator with hair removal
EP3188634B1 (en) Cleaner head
KR102097195B1 (ko) 물체용 홀더
JP5668629B2 (ja) 電気掃除機の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TWI608819B (zh) 地板面吸入工具以及具有該地板面吸入工具之電動吸塵器
JP2012245318A (ja) 掃除機
US20190313782A1 (en) Hair collecto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JP2015146958A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120140187A (ko) 헤어브러시 청소기구
KR200451606Y1 (ko) 세척이 용이한 머리빗
JP4212866B2 (ja) クリーナ
JP3951295B2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JP6835606B2 (ja) 角質削り器
KR20200038824A (ko) 고무줄을 이용한 롤러식 클리너
JP6524168B2 (ja) 掃除具
JP6837169B1 (ja) ブラシクリーナー
JP2003319898A (ja) 清掃具
KR200377954Y1 (ko)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CN217365661U (zh) 一种防缠绕表面清洁机
JP2024006817A (ja) 清掃具
CN217262298U (zh) 一种垃圾桶
JP7490527B2 (ja) 清掃具収納ケース
RU95479U1 (ru) Щетка, имеющая упруго и шарнирно присоединенную ручку
JP6317559B2 (ja) 清掃用ブラシ
JP2003111704A (ja)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