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127A -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127A
KR20120140127A KR1020110059818A KR20110059818A KR20120140127A KR 20120140127 A KR20120140127 A KR 20120140127A KR 1020110059818 A KR1020110059818 A KR 1020110059818A KR 20110059818 A KR20110059818 A KR 20110059818A KR 20120140127 A KR20120140127 A KR 20120140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module
conditional access
case
fastening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태동
Original Assignee
배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태동 filed Critical 배태동
Priority to KR102011005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40127A/ko
Publication of KR2012014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17Anti-theft devices, e.g. tags or monitors, fixed to articles, e.g. clothes, and to be removed at the check-out of shops
    • E05B73/0023Containers, boxes, cases or the like, e.g. for compact discs or video-cassett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는 유료 디지털 방송용 IDTV(Integrated Digital TV) 또는 셋탑 박스의 CI(Common Interface) 슬롯에 탈착하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에 결합되는 상/하판을 갖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한 조건부 엑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dule, CAM)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하여 장착되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CI 슬롯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가 인출되도록 당길 수 있는 키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CASE OF CONDITIONAL ACCESS MODULE HAVING ANTI-THEFT STRUCTURE}
본 발명은 조건부 액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dule : CAM)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료 디지털 방송용 IDTV(Integrated Digital TV)의 CI(Common Interface) 슬롯 또는 셋탑 박스의 CI 슬롯에 꽂아 사용하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할 경우, 아날로그 채널에 비해 훨씬 다양한 채널을 방송할 수 있다는 상업적 장점과 높은 화질과 음질, 양방향 서비스,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활성화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주로 유료방송 사업자가 주도하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기 시장은 유료방송 사업의 직접 구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료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IDTV 또는 셋탑 박스에 형성된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방식의 CI(Common Interface) 슬롯에 조건부 액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ulde)을 꽂아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후방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므로 유료디지털 방송용 IDTV 또는 셋탑 박스의 CI(Common interface) 슬롯에 꽂힌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의 연장부가 상기 CI 슬롯에 돌출하여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누구나 연장부를 잡고 인출할 수 있어 타인에 의해 쉽게 도난당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16인치 이상의 IDTV에서 CI방식을 의무화한 유럽의 다수 국가에서는 호텔 등과 같은 각종 숙박 시설 및 장기요양병원 등 다수가 이용하는 객실 또는 병실에 구비된 유로 디지털 방송용 IDTV의 CI(Common Interface) 슬롯에 꽂힌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투숙객이 몰래 훔쳐가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는 것이 현실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유료 디지털 방송용 IDTV 또는 셋탑 박스의 CI 슬롯에 인입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CI 슬롯에 인입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를 손으로 파지해서는 인출할 수 없고, 키 부재에 의해서만 CI 슬롯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는 유료 디지털 방송용 IDTV 또는 셋탑 박스의 CI(Common Interface) 슬롯에 탈착하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에 결합되는 상/하판을 갖는 본체를 구비한 조건부 엑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dule, CAM)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하여 장착되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CI 슬롯으로부터 상기 본체가 인출되도록 당길 수 있는 키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부재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소정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후, 소정각도 회전하여 자세를 변경하면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의 격벽부에 걸려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의 입구는 중앙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공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폭이 w2, 상기 연장공 각각의 끝단 사이의 거리가 h3, 상기 원형공의 직경이 D1 일때, D1 < w2 < h3 이며, 상기 체결돌기의 두께가 t1, 상기 연장공의 두께가 t2 일때, t1 < t2 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키 부재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키 부재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키 본체; 상기 키 본체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전단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키 본체의 측면과 이격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키 본체의 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암 부 끝단에 형성된 후크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결홈의 입구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 상에는 심카드(SIM Card) 또는 스마트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카드 슬롯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의 길이는 상기 CI 슬롯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키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CI 슬롯에 인입된 케이스 본체를 인출할 수 없으므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의 프레임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키 부재를 구비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케이스 본체를 CI 슬롯에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카드(SIM Card) 또는 스마트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카드 슬롯이 프레임의 후단 중앙에 형성된 절개홈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후단이 프레임의 후단부 이상의 위치까지 돌출되지 않아 심카드(SIM Card) 또는 스마트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가 IDTV의 CI 슬롯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가 셋탑 박스의 CI 슬롯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케이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키 부재와 체결홈 입구의 치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에서 키 부재가 케이스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III-III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a 또는 도 1b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키 부재가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다만,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0)와 키 부재(20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0)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의 상/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과 하판(103a, 103b)을 구성된다.
프레임(101)은 플라스틱이고, 상판과 하판(103a, 103b)은 금속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100)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IDTV(2)에 형성된 CI(Common Interface) 슬롯(4) 또는 셋탑 박스(1)에 형성된 CI(Common Interface) 슬롯(3)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케이스 본체(100)가 CI 슬롯(4,3)에 인입된 경우, 케이스 본체(100)의 후단이 CI 슬롯(4,3)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100)의 길이(h1)는 CI 슬롯(4,3)의 길이(h2)보다 같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00)가 CI 슬롯(4,3)에 인입되면, 손으로는 케이스 본체(100)를 빼낼 수 없게 된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프레임(101)의 후단부(101a) 중앙에는 체결홈(110)이 형성된다.
체결홈(110)의 입구(113)는 중앙에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공(113a)과, 원형공(113a)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일 측이 직사각형상인 한 쌍의 연장공(113b)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프레임(101)은 원형공(113a)과 연장공(113b)을 이루는 격벽(114)을 갖는다.
키 부재(200)는 체결홈(1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체결홈(110)에 장착되어 체결되면, CI 슬롯(4,3, 도 1a 및 도 1b 참조)에서 케이스 본체(100)를 당길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키 부재(2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210)와, 손잡이부(210)로부터 일체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로드(220)와, 로드(220)의 끝단에 형성된 체결돌기(23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210)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손잡이부(210)에 끼워 손잡이부(2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로드(220)는 소정 길이를 갖고 그 폭이 w1을 갖는 사각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축의 직각방향에 따른 단면의 대각선 길이는 원형공(113a)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키 부재(200)를 입구(113)를 통해 체결홈(110)에 삽입한 후, 로드(220)가 원형공(113a)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체결돌기(230)는 로드(220)의 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폭(w2)은 한 쌍의 연장공(113b) 끝단(113c) 사이의 거리(h3)보다는 작고, 원형공(113a)의 직경(D1)보다는 크다. 또한, 체결돌기(230)의 두께(t1)는 연장공(113b)의 두께(t2)보다 작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D1 < w2 < h3, t1 < t2
체결돌기(230)는 원형공(113a) 및 연장공(113b)을 통과해 체결홈(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자세를 변경하면 체결돌기(230)가 체결홈(110)에 체결된다. 즉, 체결돌기(230)가 격벽부(114)에 걸려 입구(113)를 통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케이스 본체(100)를 잡고 키 부재(200)의 손잡이부(210)를 잡아당겨도 키부재(200)가 케이스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100)와 키 부재(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키부재(200)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하여 체결돌기(230)가 격벽부(114)에 걸리지 않고 입구(113)를 빠져나오도록 해야 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가 IDTV(2) 또는 셋탑 박스(1)의 CI 슬롯(4,3)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케이스 본체(100)가 IDTV(2) 또는 셋탑 박스(1)의 CI 슬롯(4,3)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케이스 본체(100)의 길이(h1)가 CI 슬롯(4,3)의 길이(h2)보다 같거나 작기 때문에 CI 슬롯(4,3)에 케이스 본체(100)가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을 이용해서는 케이스 본체(100)를 CI 슬롯(4,3)으로부터 빼낼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부재(200)의 손잡이부(210)를 잡고 체결돌기(230)를 입구(113)에 맞춰 입구(113)를 통해 체결홈(110)으로 삽입한 후, 손잡이부(210)를 90도 회전시키면, 체결돌기(230)도 이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자세가 변경되어 체결돌기(230)가 체결홈(11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는 체결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손잡이부(210)를 잡아당기면 체결돌기(230)는 입구(113)를 이루는 프레임(101)의 격벽부(114)에 걸리게 되어, 케이스 본체(100)가 CI 슬롯(4,3)으로부터 끌려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키 부재(200)를 사용해서만 케이스 본체(100)를 CI 슬롯(4,3)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므로, 키 부재(200)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케이스 본체(100)를 인출할 수 없다. 즉, 타인에 의해 CI 슬롯(4,3)에 꽂혀 있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본체(100)가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300)와 키 부재(40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300)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301)과, 프레임(301)의 상/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과 하판(303a, 303b)을 구성된다. 프레임(301)은 플라스틱이고, 상판과 하판(303a, 303b)은 금속으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300)는 IDTV(2, 도 1a 참조, 이하, IDTV는 도 1a를 참조) 및 셋탑 박스(1, 도 1b 참조, 이하, 셋탑 박스는 도 1b를 참조)에 형성된 CI(Common Interface) 슬롯(4,3, 도 1 참조, 이하, CI 슬롯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케이스 본체(300)가 CI 슬롯(4,3)에 인입된 경우, 케이스 본체(300)의 후단이 CI 슬롯(4,3)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300)의 길이는 CI 슬롯(3)의 길이(h2)보다 같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300)가 CI 슬롯(4,3)에 인입되면, 손으로는 케이스 본체(300)를 빼낼 수 없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프레임(301)의 후단부에 체결홈(310, 도 7 참조)이 형성된다.
체결홈(310)은 프레임(301) 후단부의 길
방향의 중앙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체결홈(310) 각각의 입구(313)는 직사각형상인 사각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프레임(301)은 입구(313)를 이루는 격벽부(314)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301)의 후단부 중앙, 즉, 한 쌍의 입구(313) 사이 중앙에는 일부분이 직각형상으로 절개된 절개홈(317)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17) 상에는 심카드(SIM Card, 5) 또는 스마트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카드 슬롯(319)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카드 슬롯(319)에 심카드(SIM Card, 5) 또는 스마트 카드를 꽂으면 후단이 절개홈(317)으로부터 소정 길이만 돌출되되, 프레임(310)의 후단부 이상의 위치까지는 돌출되지 않고 프레임(310) 후단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절개홈(317)으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된 심카드(SIM Card, 5) 또는 스마트 카드의 후단을 잡아 카드 슬롯(319)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처럼, 심카드(SIM Card, 5) 또는 스마트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카드 슬롯(319)이 프레임(310)의 후단 중앙에 형성된 절개홈(317)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심카드(SIM Card, 5) 또는 스마트 카드의 후단이 프레임(310)의 후단부 이상의 위치까지 돌출되지 않아 카드 슬롯(319)에 꽂힌 심카드(SIM Card, 5) 또는 스마트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부재(40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310) 사이에 절개홈(317)을 형성하고, 그 절개홈에 카드 슬롯(319)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키 부재(400)는 한 쌍의 체결홈(3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홈(310)에 장착되어 체결되면, CI 슬롯(4,3)에서 케이스 본체(300)를 당겨 케이스 본체(300)를 CI 슬롯(4,3)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부재(400) 키 본체(410), 손잡이부(420), 아암부(430) 및, 후크부재(440)를 포함한다.
키 본체(4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에 단차부(413)가 형성된다.
손잡이부(420)는 키 본체(410)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중앙에 구멍(422)이 형성된다.
아암부(430)는 손잡이부(42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되, 일부가 키 본체(410)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손잡이부(420)의 양측으로부터 키 본체(410)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사부(431)와, 상기 경사부(431)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직선부(433)로 구성된다. 직선부(433)는 키 본체(410)의 측면과의 간격이 일정하다. 사용자가 아암부(430)를 잡고 조이면 아암부(430)와 키 본체(310)의 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고 아암부(430)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후크부재(440)는 한 쌍의 직선부(423)의 끝단에 각각 형성된다. 후크부재(440)는 사용자가 한 쌍의 아암부(430)를 잡아 조여 후크부재(4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경우에 입구(3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한 쌍의 아암부(430)를 조여 후크부재(4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에서, 후크부재(440)를 입구(313)를 통해 체결홈(310)에 넣고 외력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아암부(430)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후크부재(440)의 사이 간격은 넓어지게 되어, 후크부재(440)가 체결홈(310)에 체결된다. 즉, 후크부재(440)의 간격이 원위치가 되어 케이스 본체(300)를 잡고 키 부재(400)의 손잡이부(420)를 잡아당겨도, 후크부재(440)가 격벽부(314)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300)와 키 부재(4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아암부(430)를 조여 후크부재(440)의 사이 간격을 줄인 상태에서 후크부재(440)를 입구(313)를 통해 체결홈(310)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가 IDTV(2) 또는 셋탑 박스(1)의 CI 슬롯(4,3)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케이스 본체(300)가 IDTV(2) 또는 셋탑 박스(1)의 CI 슬롯(4,3)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케이스 본체(300)의 길이가 CI 슬롯(4,3)의 길이(h2)보다 같거나 작기 때문에 CI 슬롯(3)에 케이스 본체(300)가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손을 이용해서는 케이스 본체(300)를 CI 슬롯(4,3)으로부터 빼낼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쌍의 아암부(430)를 조여 후크부재(440)를 입구(313)를 통해 체결홈(310)에 넣은 후 외력을 제거하여, 후크부재(440)를 체결홈(310)에 체결시킨다. 이 경우, 후크부재(440)의 외력 제거에 의해 아암부(430)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후크부재(440)의 사이 간격은 넓어지게 되어 후크부재(440)가 체결홈(310)에 체결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420)를 잡아당기면 후크부재(440)가 프레임(301)의 격벽부(314)에 걸리게 되어, 케이스 본체(300)가 CI 슬롯(4,3)으로부터 끌려 나와 인출된다.
한편, 제 1 실시 예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의 프레임(101)에는 제 2 실시 예에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의 프레임(301)의 절개홈(317)과 같은 구성이 개시되지 않으나, 제 1 실시 예의 프레임(101)에도 제 2 실시 예의 프레임(301)에 형성된 절개홈(317)과 같은 절개홈이 형성되고, 그 절개홈을 이루는 측면에 입구(113)를 갖는 체결홈(110)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셋박 박스
2...IDTV
4,3...CI 슬롯
100... 케이스 본체
101...프레임
101a...프레임의 후단부
103a, 103b...상판, 하판
110...체결홈
113...입구
113a...원형공
113b...연장공
114...격벽
200...키 부재
210...손잡이부
220...로드
230...체결돌기

Claims (8)

  1. 유료 디지털 방송용 IDTV(Integrated Digital TV) 또는 셋탑 박스의 CI(Common Interface) 슬롯에 탈착하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에 결합되는 상/하판을 갖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한 조건부 엑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dule, CAM)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하여 장착되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CI 슬롯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가 인출되도록 당길 수 있는 키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부재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소정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후, 소정각도 회전하여 자세를 변경하면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의 격벽부에 걸려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입구는 중앙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공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폭이 w2, 상기 연장공 각각의 끝단 사이의 거리가 h3, 상기 원형공의 직경이 D1 일때, D1 < w2 < h3 이며,
    상기 체결돌기의 두께가 t1, 상기 연장공의 두께가 t2 일때, t1 < t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부재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키 부재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키 본체;
    상기 키 본체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전단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키 본체의 측면과 이격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키 본체의 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면 원 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암 부 끝단에 형성된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홈의 입구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 상에는 심카드(SIM Card) 또는 스마트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카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길이는 상기 CI 슬롯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 케이스.
KR1020110059818A 2011-06-20 2011-06-20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KR20120140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818A KR20120140127A (ko) 2011-06-20 2011-06-20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818A KR20120140127A (ko) 2011-06-20 2011-06-20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127A true KR20120140127A (ko) 2012-12-28

Family

ID=4790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818A KR20120140127A (ko) 2011-06-20 2011-06-20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1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5728A1 (en) * 2013-03-07 2014-09-10 SmarDTV S.A. A usb conditional access module comprising a chip card reader and a reception frame
EP2830320A1 (en) * 2013-07-25 2015-01-28 SmarDTV S.A. A USB conditional access module comprising a chip card reader and an adaptor
CN105554535A (zh) * 2014-10-28 2016-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分立型卡部的机顶盒和显示装置及其卡部安装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5728A1 (en) * 2013-03-07 2014-09-10 SmarDTV S.A. A usb conditional access module comprising a chip card reader and a reception frame
EP2830320A1 (en) * 2013-07-25 2015-01-28 SmarDTV S.A. A USB conditional access module comprising a chip card reader and an adaptor
CN105554535A (zh) * 2014-10-28 2016-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分立型卡部的机顶盒和显示装置及其卡部安装方法
EP3016398A3 (en) * 2014-10-28 201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t-top box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discrete-type card portion, and card portion-mounting method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1727A1 (en) Strap unlocking mechanism and connector
KR20120140127A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US8407863B2 (en) Cable tie structure
US20090126419A1 (en) Laundry device
KR200467445Y1 (ko) 휴대폰 케이스
US8360269B1 (en) Communication box
EP2474248B1 (en) Tube holder
JP3414789B2 (ja) 安全ヘルメットの顎紐用固定ループ
KR100764641B1 (ko) 클립 체결 구조
CN215732585U (zh) 双向随意拉装置及双向随意拉数据线
KR101285836B1 (ko) 표찰케이스
US8225630B1 (en) Dual-function padlock
TWM460917U (zh) 防盜裝置
US881428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handle
US6808349B1 (en) Fastener mechanism
CN216995333U (zh) 用于存放包装瓶的抽拉包装盒
KR200283176Y1 (ko) 동전 인출장치
KR102295890B1 (ko) 소형 전자제품 포터블 케이스
CN212614092U (zh) 一种围栏的连接结构
GB2491621A (en) Dual-function padlock which can be unlocked by numerals or a key
CN216255861U (zh) 眼镜盒
KR200396438Y1 (ko) 캐비넷
TWM621249U (zh) 手持式電子裝置的斜掛型保護套
US20210242645A1 (en) Retracting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Adapters
TWI376462B (en)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