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176Y1 - 동전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176Y1
KR200283176Y1 KR2020020013007U KR20020013007U KR200283176Y1 KR 200283176 Y1 KR200283176 Y1 KR 200283176Y1 KR 2020020013007 U KR2020020013007 U KR 2020020013007U KR 20020013007 U KR20020013007 U KR 20020013007U KR 200283176 Y1 KR200283176 Y1 KR 200283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groove
discharg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김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기 filed Critical 김인기
Priority to KR2020020013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176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전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교환기에서 배출되는 동전들을 일일이 구비하지 않고 한번에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구비할 수 있는 동전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전들이 이동관을 통해 이동, 배출되어 쌓여지는 인출홈이 일측으로 형성된 동전교환기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홈과 대응되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관과 상응되는 배출공이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케이스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동전들이 쌓여지는 회동판이 상기 이탈방지케이스의 일측면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회동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일측면에 손잡이홈이 형성되게 지지판이 형성된 회동부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회동부에 손을 넣어서 하방향으로 회동하면 쌓인 동전들이 손바닥으로 배출되게 됨으로써, 많은 양의 동전들을 간편하면서도 한번에 구비할 수 있으며, 버스에서도 한손에 짐을 들고 있거나 버스가 흔들려도 손쉽게 동전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전 인출장치{apparatus of with drawing a coin}
본 고안은 동전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교환기에서 배출되는 동전들을 일일이 구비하지 않고 한번에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구비할 수 있는 동전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교환기는 지폐를 동전으로 바꾸려고 할 때 이용되고, 마을버스에서는 정해진 버스요금보다 큰 액수로 지불될 때에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지불할 때에도 사용된다.
상기 동전교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교환기(200)는 본체케이스(210)의 외측면 상단에는 지폐를 집어넣을 수 있는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호형상인 인출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홈(212)의 상단에는 동전이 이동되는 이동관(213)과 연통, 개방되게 형성되다.
그러므로, 지폐를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하고, 내부 장치에 의하여 투입된 지폐의 금액만큼 동전을 상기 이동관(213)을 통해 배출시키며, 배출된 동전들은 상기 인출홈(121)에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동전을 인출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밑면이 호형상인 상기 인출홈(212)에 동전들이 놓이게 되어 손을 집어넣어서 상기 인출홈(212)에서 동전을 한번에 인출하기가 불편하고, 종종 동전이 손에서 미끄러져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동전을 바닥에서 주워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꾸려는 금액이 커지면 동전의 양이 많아짐으로써, 지폐를 투입하고 동전을 인출하는 과정을 여러 번을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상기의 과정이 불편하여 지폐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면 배출되는 동전이 쌓여있는 동전과 충돌하여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버스내에서 거스름돈을 구비할 때에도 인출홈의 바닥에 놓여진 동전을 한번에 집기가 불편하고, 한 손에 물건을 구비하거나 버스가 이동할 때에는 거스름돈을 구비하기는 더욱더 불편하게 되며, 이런 경우에는 동전을 바닥에 흘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전교환기에서 배출되는 많은 양의 동전을 간편하게 한 손 또는 두손으로 한번에 구비할 수 있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전들이 이동관을 통해 이동, 배출되어 쌓여지는 인출홈이 일측으로 형성된 동전교환기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홈과 대응되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관과 상응되는 배출공이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케이스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동전들이 쌓여지는 회동판이 상기 이탈방지케이스의 일측면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회동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일측면에 손잡이홈이 형성되게 지지판이 형성된 회동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 동전교환기의 동전인출기를 보인 사시도.
1 : 이탈방지케이스
11 : 수용공간 12 : 배출공
13 : 회전공 14 : 걸림편
15 : 지지대
2 : 회동부
21 : 회동판
22 : 회전돌기 22a : 연결공
23 : 지지판 24 : 손잡이홈
3 : 회전축 4 : 탄성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동전교환기에서 동전 인출장치(100)는 이탈방지케이스(1)의 일측으로 형성된 회동부(2)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는 내부에는 동전이 쌓일 수 있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배출공(1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회전축(3)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회전공(13)이 각각 형성되고, 밑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그 양측단에 지지대(15)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2)는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밑면과 대응되는 회동판(2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21)의 후방 양측단에는 회전돌기(2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22)에는 상기 회전축(3)이 삽입,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21)의 밑면에는 절곡되게 형성된 지지판(23)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판(21)의 상기 회전돌기(22)사이에는 다수의 탄성스프링(4)이 구비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4)은 통상의 비틀림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공(22a)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3)상에 구비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21)의 밑면에는 손잡이홈(24)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판(23)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3)의 앞부분 일부가 상기 회동판(2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밑면에 상기 회동판(21)이 구비되고, 상기회전축(3)은 상기 회전공(13)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공(미도시)과 상기 탄성스프링(4)을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의 일측은 상기 회동판(21)의 밑면을 지지하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편(14)에 삽입, 고정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동판(21)이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내부에서 탄성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앞부분 일부는 상기 동전교환기(200)의 인출홈(212)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12)은 상기 동전교환기(100)의 이동관(213)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5)는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를 상기 인출홈(212)에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를 상기 인출홈(212)에 삽입하면, 상기 이동관(213)을 통해 이동되는 동전들은 상기 배출공(12)을 통해 상기 회동판(21)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쌓이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홈(24)에 손을 집어넣고, 하방향으로 상기 회동판(21)을 회동시키면 상기 회동판(21)에 쌓여있던 동전들이 자연스럽게 손바닥에 구비되며, 손을 빼면 상기 회동판(21)은 상기 탄성스프링(4)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전들의 양이 많아지면 두손으로 한꺼번에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동전교환기의 배출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이탈방지케이스에 회동부가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회동되게 형성되어 동전교환기에 배출되는 동전들이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쌓이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회동부에 손을 넣어서 하방향으로 회동하면 쌓인 동전들이 손바닥으로 배출되게 됨으로써, 많은 양의 동전들을 간편하면서도 한번에 구비할 수 있으며, 버스에서도 한손에 짐을 들고 있거나 버스가 흔들려도 손쉽게 동전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동전들이 이동관(213)을 통해 이동, 배출되어 쌓여지는 인출홈(212)이 일측으로 형성된 동전교환기(200)에 있어서,
    상기 인출홈(212)과 대응되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관()과 상응되는 배출공(12)이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케이스(1)와;
    상기 배출공(12)을 통해 배출되는 동전들이 쌓여지는 회동판(21)이 상기 이탈방지케이스(1)의 일측면에 탄성스프링(4)으로 탄성 회동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21)의 일측면에 손잡이홈(24)이 형성되게 지지판(23)이 형성된 회동부(2)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장치.
KR2020020013007U 2002-04-29 2002-04-29 동전 인출장치 KR200283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007U KR200283176Y1 (ko) 2002-04-29 2002-04-29 동전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007U KR200283176Y1 (ko) 2002-04-29 2002-04-29 동전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176Y1 true KR200283176Y1 (ko) 2002-07-26

Family

ID=731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007U KR200283176Y1 (ko) 2002-04-29 2002-04-29 동전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1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577A (ko) * 2014-11-22 2016-06-01 송서영 버스요금 수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577A (ko) * 2014-11-22 2016-06-01 송서영 버스요금 수급기
KR101893984B1 (ko) 2014-11-22 2018-09-04 송서영 버스요금 수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618B2 (en) Compression card holder
US5499710A (en) Portable coin holder and dispenser
JPH06154020A (ja) 財 布
KR200283176Y1 (ko) 동전 인출장치
CN217065590U (zh) 一种托杆机构及多功能行李箱
US20080142540A1 (en) Card-holding case with a dispensing hole
US20040245122A1 (en) Coin holder
US20020079324A1 (en) Business card dispenser
CN210881413U (zh) 卡片盒
WO2004098999A2 (en) Bag hanging and storage device
US7083512B2 (en) Coin and token organizing, hold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N217806195U (zh) 卡片收纳盒
JP3174481U (ja) カード収納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カバー
KR20120140127A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케이스
TWM406282U (en) Card connector
CN210941046U (zh) 一种名片盒
CN219727683U (zh) 卡片盒
KR200216765Y1 (ko) 금전등록기의지폐유동방지장치
KR102186160B1 (ko) 클립이 구비된 지갑
CN210839709U (zh) 移动终端保护壳
CN211422187U (zh) 古典钥匙锁
CN215945313U (zh) 一种多功能学前卫生学教学工具箱
CN210114141U (zh) 一种用于放置充电宝的行李箱拉杆
CN211984180U (zh) 一种便携式收纳器
CN211984155U (zh) 一种可实现多层摆放的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