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354A - 해충 박멸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박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354A
KR20120139354A KR1020110059126A KR20110059126A KR20120139354A KR 20120139354 A KR20120139354 A KR 20120139354A KR 1020110059126 A KR1020110059126 A KR 1020110059126A KR 20110059126 A KR20110059126 A KR 20110059126A KR 20120139354 A KR20120139354 A KR 2012013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llecting cover
pest
collec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861B1 (ko
Inventor
홍정화
Original Assignee
홍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화 filed Critical 홍정화
Priority to KR102011005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8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충 박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해충 박멸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과, 유인등의 발광시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도록 유인등에 도포되는 광촉매코팅층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도록 포집공간이 형성되는 포집커버 및 포집커버에 구비되어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점착되어 포획되게 하는 점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박멸장치{ERADICATION DEVICE FOR HARMFUL INSECT}
본 발명은 해충 박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기, 날파리 등의 유해 해충을 유인하여 박멸함은 물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해충 박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의 각종 해충(모기, 날파리, 곤충 등)들은 병균을 옮기거나 사람 또는 가축 및 식물에 까지 피해를 입히는 등 여름철 질병의 전염 경로상에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아파트, 건축물 등의 지하실, 분뇨탱크에서는 겨울철에도 소정온도가 유지됨에 따라 모기 등 해충들이 겨울철에도 생존 서식하면서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은 숙주동물의 체취, 열기 및 호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냄새 등에 유인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라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해충박멸기로서 발명된 구성들은 통상적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방법인 향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서식처를 제공하고 이 서식처에 서식하는 미꾸라지 등의 먹이사슬로서 방제하는 생물학적 방제법과, 이산화탄소 또는 빛 등을 발산하여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제법들은 넓은 야외에서는 상기한 물리적 방제법을 이용한 해충 퇴치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화학적 방법은 독성에 따른 환경오염 및 인체에 끼치는 악영향이 더 많은 단점이 있고, 생물학적인 방법은 제한적인 방법으로 사용범위가 극히 한정되는 단점 및 고전압을 이용하여 해충을 태우는 경우에는 박멸 과정에서 소음과 고전압에 타면서 발생되는 악취 발생에 따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인등에 의해 해충이 유인되어 점착부재에 의해 박멸되므로 해충을 소음없이 위생적으로 박멸할 수 있고, 유인등의 빛이 조사되는 부위에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되어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해충 박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도록 포집공간이 형성되는 포집커버와, 유인등의 발광시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도록 본체와 포집커버의 내면에 도포되는 광촉매코팅층 및 포집커버에 구비되어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점착되어 포획되게 하는 점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전면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소켓이 구비되고, 유인등은 소켓에 연결되는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지며, 본체에는 유인등의 점멸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촉매코팅층은 이산화티탄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집커버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접하고, 해충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형성되어 본체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리브 및 전면패널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의 내면에 접하며,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점착부재는 포집커버의 포집공간에 안착되고, 끈끈이액이 도포되는 점착패드로 이루어지고, 점착부재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각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면패널에는 포집공간으로부터 점착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집커버는 본체로부터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고, 착탈부는 포집커버와 본체에 각각 마련되어 포집커버가 본체에 부착되게 하는 부착부재 및 본체와 포집커버의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포집커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착부재는 포집커버와 본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본체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 및 지지홈부에 삽입되도록 포집커버에 형성되는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집커버에는 유인등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창이 형성되고, 조사창에는 착탈가능한 인테리어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는 유인등에 의해 해충이 유인되어 점착부재에 의해 박멸되므로 해충을 소음없이 위생적으로 박멸할 수 있고, 유인등의 빛이 조사되는 본체와 포집커버의 내면에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커버의 착탈이 용이하여 점착부재의 교체가 간편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유인등에서 발생되는 빛이 조사창에 구비되는 인터리어패널을 통해 조사됨으로 주변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점착부재의 장착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점착부재의 장착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100)는 본체(110), 유인등(120), 광촉매코팅층(130), 포집커버(140) 및 점착부재(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플러그를 갖는 전선(113)이 연결되고, 벽체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후면에 고정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전면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소켓(112)이 구비된다.
유인등(120)은 본체(110)의 소켓(112)이 결합되어 구비되고, 외부전원 인가시 발광되어 해충을 유인한다. 유인등(120)은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지고, 본체에는 유인등(120)의 점멸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115)가 구비된다.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진 유인등(120)은 해충이 좋아하는 파장을 발생시켜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유인등(120)의 빛이 조사되는 부위에는 광촉매코팅층(130)이 도포된다. 즉, 유인등(120)의 빛이 조사되는 본체(110)의 전면과, 포집커버(140)의 내면에 광촉매코팅층(130)이 형성되어 광촉매반응을 일으킨다.
광촉매코팅층(130)은 이산화티탄늄으로 이루어지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유인등(120)으로부터 빛이 광촉매코팅층(130)에 조사되게 되면, 광촉매코팅층(130)으로부터 수산화라디칼(OH-)이 생성되는 광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주위의 먼지, 기름, 및 유기화합물은 산화되어 H2O와 CO2로 분해되게 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병원균 역시 살균되게 되고, 수산화 라디칼이 유기화합물을 산화시킬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해충들을 유인하는 매개체로도 작용하게 된다. 광촉매코팅층(130)은 광화학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변화되지 않고, 빛이 조사되는 한 광화학반응은 지속되게 된다. 그리고, 빛에 의한 광촉매의 광화학반응으로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포집커버(140)는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유인등(12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도록 포집공간이 형성된다.
포집커버(140)는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접하고, 해충이 유입되는 개구부(142a)가 형성되는 전면패널(142)과, 전면패널(142)의 가장자리에 절곡 형성되어 본체(110)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리브(143) 및 전면패널(142)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110)의 내면에 접하며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44)을 포함한다.
포집커버(14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형을 따라 전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패널(142)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후면패널(144)에 의해 하단부에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충이 유입되는 개구부(142a)는 전면패널(14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유인등(120)에 의해 해충이 유인되어 개구부(142a)를 통해 포집공간으로 유도된다.
포집커버(140)의 포집공간에는 점착부재(160)가 구비되어 유도된 해충을 포획한다.
점착부재(160)는 유인등(12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점착되게 하는 것으로서, 포집커버(140)의 포집공간에 안착되고, 전면에 끈끈이액이 도포되는 점착패드로 이루어진다.
점착부재(160)는 전면패널(142)와 후면패널(144)의 각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14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즉, 전면패널(142)과 후면패널(144) 각각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145)가 점착부재(160)의 가장자리를 지지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점착부재(160)는 연질의 패드로서 전면패널(142)과 후면패널(144)이 이루는 곡률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 안착된다.
그리고, 후면패널(144)에는 포집공간으로부터 점착부재(160)를 이탈시키기 위한 관통홀(147)이 형성된다.
포집커버(140)는 본체(110)로부터 착탈부(150)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착탈부(150)는 포집커버(140)와 본체(110)에 각각 마련되어 포집커버(140)가 본체(110)에 부착되게 하는 부착부재(152) 및 본체(110)와 포집커버(140)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포집커버(14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155)를 포함한다.
부착부재(152)는 포집커버(140)와 본체(1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재(152)를 자석으로 하였지만, 일측은 자석 타측은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벨크로파스너, 후크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지지부(155)는 본체(110)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156) 및 지지홈부(156)에 삽입되도록 포집커버(140)에 형성되는 지지돌기부(157)를 포함한다.
따라서, 포집커버(140)는 부착부재(152)에 의해 본체(110)의 전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지지부(155)에 의해 하중이 지탱되어 본체(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포집커버(140)에는 유인등(12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창(170)이 형성되고, 조사창(170)에는 착탈 가능한 인테리어패널(175)이 구비된다.
인테리어패널(175)은 포집커버(140)의 가로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포집커버(140)의 내측에는 인테리어패널(175)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72)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박멸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집커버(140)의 포집공간에 점착부재(160)를 안착시켜 고정리브(145)에 의해 고정한 후 포집커버(140)를 본체(110)에 부착한다.
포집커버(140)와 본체(110)는 각각에 마련되는 부착부재(152)에 의해 부착되고, 지지홈부(156)에 지지돌기부(157)가 삽입되어 포집커버(140)의 하중을 지탱함으로써, 포집커버(140)는 고정된다.
이후, 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전선(113)을 외부전원과 연결하고, 전원스위치(115)를 눌러 작동시키면, 유인등(120)이 점등된다.
유인등(120)은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져 해충이 좋아하는 파장이 발생하므로 해충을 유인한다. 그리고, 유인등(120)이 빛이 조사되는 본체(110)의 전면과 포집커버(140)의 내면에는 이산화티탄늄으로 이루어진 광촉매코팅층(130)이 형성되어 광화학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어 해충을 유인하게 되며, 공기를 정화한다.
이처럼 유인등(12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은 포집커버(140)의 개구부(142a)를 통해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내부에 수용된 해충은 포집공간을 맴돌다가 끈끈이액이 도포된 점착부재(160)에 부착되어 포획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유인등(120)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여 퇴치할 수 있다.
오랜 시간이 지나 점착부재(160)에 많은 해충이 포획되면, 점착부재(160)를 교체하면 된다.
점착부재(16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우선, 사용자는 포집커버(140)를 파지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된 포집커버(14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후면패널(144)에 형성된 관통홀(147)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으면, 점착부재(160)가 고정리브(145)로부터 이탈되고, 이탈된 점착부재(160)를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이러한 교체작업은 관통홀(147)을 통해 점착부재(160)를 배면을 파지함으로써, 손에 점착부재(160)의 끈끈이액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포집커버(140)에는 유인등(12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창(170)이 구비되고, 조사창(170)에는 착탈 가능한 인테리어패널(175)이 구비되어 인테리어 조명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패널(175)은 교체 가능하므로 다양한 인테리어 변경 또한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인등에 의해 해충이 유인되어 점착부재에 의해 박멸할 수 있어 소음없이 위생적으로 해충을 박멸할 수 있으며, 유인등의 빛이 조사되는 부위에 광촉매코팅층에 형성되어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므로 공기정화도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점착부재의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편의를 제공하며, 인테리어 조명등으로도 활용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해충 박멸장치 110 : 본체
111 : 고정홀 112 : 소켓
113 : 전선 115 : 전원스위치
120 : 유인등 130 : 광촉매코팅층
140 : 포집커버 142 : 전면패널
142a : 개구부 143 : 절곡리브
144 : 후면패널 145 : 고정리브
147 : 관통홀 150 : 착탈부
152 : 부착부재 155 : 지지부
156 : 지지홈부 157 : 지지돌기부
160 : 점착부재 170 : 조사창
172 : 가이드레일 175 : 인테리어패널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집하도록 포집공간이 형성되는 포집커버;
    상기 유인등의 발광시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도록 상기 본체와 포집커버의 내면에 도포되는 광촉매코팅층; 및
    상기 포집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점착되어 포획되게 하는 점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유인등은 상기 소켓에 연결되는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인등의 점멸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코팅층은 이산화티탄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커버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접하고, 해충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리브; 및
    상기 전면패널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면에 접하며,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포집커버의 포집공간에 안착되고, 끈끈이액이 도포되는 점착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각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에는 포집공간으로부터 상기 점착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커버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포집커버와 상기 본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포집커버가 상기 본체에 부착되게 하는 부착부재; 및
    상기 본체와 상기 포집커버의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집커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포집커버와 상기 본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 및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포집커버에 형성되는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박멸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커버에는 상기 유인등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창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창에는 착탈가능한 인테리어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출 박멸장치.
KR1020110059126A 2011-06-17 2011-06-17 해충 박멸장치 KR10126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26A KR101266861B1 (ko) 2011-06-17 2011-06-17 해충 박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26A KR101266861B1 (ko) 2011-06-17 2011-06-17 해충 박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354A true KR20120139354A (ko) 2012-12-27
KR101266861B1 KR101266861B1 (ko) 2013-05-23

Family

ID=4790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126A KR101266861B1 (ko) 2011-06-17 2011-06-17 해충 박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8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290A (ko) * 2017-01-10 2018-07-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WO2018131851A1 (ko) * 2017-01-10 2018-07-1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KR200490264Y1 (ko) * 2019-03-14 2019-10-23 주식회사 이음 모기 퇴치기
WO2020079414A1 (en) * 2018-10-18 2020-04-23 Pelsis Limited Pest tra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7371A (ja) 2004-09-24 2006-04-06 Asahi Sangyo Kk 吸血蚊の捕獲方法及び該捕獲方法に用いる捕虫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290A (ko) * 2017-01-10 2018-07-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KR20180082291A (ko) * 2017-01-10 2018-07-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WO2018131851A1 (ko) * 2017-01-10 2018-07-1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점착형 포충기
US20200146273A1 (en) * 2017-01-10 2020-05-14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CN114304107A (zh) * 2017-01-10 2022-04-12 首尔伟傲世有限公司 黏着型捕虫器
US11406095B2 (en) 2017-01-10 2022-08-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light source seat and a light source mount
CN114304107B (zh) * 2017-01-10 2023-02-28 首尔伟傲世有限公司 黏着型捕虫器
US11751554B2 (en) 2017-01-10 2023-09-12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main body for guiding and stopping movement of an adhesive sheet
US11864547B2 (en) 2017-01-10 2024-01-09 Seoul Viosys Co., Ltd. Adhesive-type insect trap having a cover with a light refracting portion formed thereon
WO2020079414A1 (en) * 2018-10-18 2020-04-23 Pelsis Limited Pest trap
KR200490264Y1 (ko) * 2019-03-14 2019-10-23 주식회사 이음 모기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861B1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123B1 (ko)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KR101717518B1 (ko) 공기조화기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CA2452770A1 (en) Mosquito trap with air cleaning capability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101266861B1 (ko) 해충 박멸장치
KR200394218Y1 (ko) 해충 박멸기
KR20090085394A (ko) 해충 포집기
KR20130053672A (ko) 해충퇴치기
KR20020021466A (ko)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KR101105832B1 (ko) 점착시트가 구비된 빛 유인식 포충기
JP2007020509A (ja) 虫類捕獲装置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WO2016034933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200347665Y1 (ko) 모기 유인 퇴치기
EP3621435A1 (en) Mosquito attract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JP2019058124A (ja) 昆虫誘引装置
KR200484173Y1 (ko) 모기 퇴치기
KR20150073547A (ko) 해충 퇴치용 랜턴
KR20030095513A (ko) 모기 퇴치기
KR100707929B1 (ko) 해충유인박멸기
JP2002369647A (ja) マルチタイプ殺虫器
WO2007135692A2 (en) A device to trap and destroy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