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035A -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035A
KR20120139035A KR1020110058557A KR20110058557A KR20120139035A KR 20120139035 A KR20120139035 A KR 20120139035A KR 1020110058557 A KR1020110058557 A KR 1020110058557A KR 20110058557 A KR20110058557 A KR 20110058557A KR 20120139035 A KR20120139035 A KR 2012013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metal
graphite powder
metal particles
hydrogen
gra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492B1 (ko
Inventor
박수진
이슬이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492B1/ko
Priority to PCT/KR2012/004104 priority patent/WO2012173345A2/ko
Priority to US14/126,150 priority patent/US9663359B2/en
Priority to EP12799743.5A priority patent/EP2722309A4/en
Publication of KR2012013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3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5Addition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e.g.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 e.g. for forming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1Washing or le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21Carbon, e.g. active carbon, carbon nanotubes, fullerenes;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78Composite solid storage mediums, i.e. coherent or loose mixtures of different solid constituents, chemically or structurally heterogeneous solid masses, coated solids or solids having a chemically modified surface reg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에 니켈(Ni), 팔라듐(Pd), 백금(Pt), 이트륨(Y) 등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킴으로써, 수소저장량이 크게 향상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RANSITION METAL NANOPARTICLES LOADED GRAPHITE COMPOSITES FOR THE HYDROGEN STORAGE}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에 니켈(Ni), 팔라듐(Pd), 백금(Pt), 이트륨(Y) 등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킴으로써, 수소저장량이 크게 향상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고갈되어 가는 화석 연료의 대체 및 지구의 환경보존과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미래의 에너지 매체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에너지 관련 기술 중 고효율의 환경친화적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이에 따라 수소에너지의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소의 제조와 저장, 수송 분야를 포함한 수소에너지 이용기술의 확보는 미래 21세기 에너지 안보 및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수소는 에너지원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무한정인 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물로 재순환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소 시 극소량의 NOx 발생을 제외하고는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수소는 가스나 액체로서 쉽게 수송할 수 있으며 고압가스, 액체수소, 금속수소화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저장이 용이하다. 또한, 직접 연소에 의한 연료 또는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서의 사용이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소는 산업용의 기초소재로부터 일반 연료자동차, 수소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분야에 이용될 수 있어, 미래의 에너지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와같은 수소에너지 시스템(제조, 저장, 수송 및 이용)에서 수소저장기술은 수소의 제조 및 이용기술을 연결하는 핵심 기술로서 효율적인 에너지 체계를 구축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수소저장기술은 아직 미국 에너지성(US DOE)에서 제시한 목표량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9년 US DOE에서는 차량용 수소저장량에 대한 기술적 목표를 대대적으로 수정하였는데 수소저장기술에 대한 목표값은 5.5 wt.%(상온, 100 bar)이였다.
이에, 수소저장 매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탄소재료에 관하여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탄소재료는 가볍고 화학적으로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금속, 세라믹 등의 재료들에 비해 극한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도 잘 견디며, 특히, 수소저장매체로 이용할 경우 100% 가역적 수소방출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새로운 수소 저장체 개발에 대한 모색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탄소재료를 이용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연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물질로서 각 층이 약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힘으로 결합되어 있는 층상구조의 흑연이 고효율 수소저장매체로서 연구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이방성의 층상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흑연 결정은 흑연 층 면 내의 탄소원자는 공유결합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으나, 층 면에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만 작용함에 따라, 층 면내의 탄소와의 반응은 일어나기 어려우나, 강한 전자친화성이 있는 산화제는 흑연 층 내에 노출된 π-전자를 공격하면서 쉽게 흑연 층간에 들어가 2차원 망상 격자를 파괴시키지 않고 층 간격을 넓히면서 다양한 원자, 분자 및 이온이 층간에 삽입될 수 있어 흑연 특유의 층상화합물을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흑연분말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 수소저장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고효율 수소저장용 최적의 기능화 조건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여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 금속입자를 도입함으로써, 무게가 매우 가볍고 수소친화점이 다량 발현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더불어, 제조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수소저장능력이 월등히 향상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용량의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최적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함으로써, 수소저장량이 크게 향상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고, 제조된 산화흑연분말에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상용화된 흑연분말에 비해, 최적의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함으로써, 수소친화점을 다량으로 제공하여 수소저장능력이 크게 향상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수소저장매체의 수소저장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Ni)가 담지된 흑연분말 복합체의 SEM/EDS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에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킴으로써, 수소저장량이 대폭 향상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제조된 산화흑연분말에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황산(H2SO4), 질산(HNO3), 인산(H3PO4), 및 염산(H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산 용액에 과산화수소수(H2O2?nH2O), 과망간산칼륨 수용액(KMnO4?nH2O), 싸이오황산칼륨수용액(K2S2O8?nH2O), 이산화염소수(Cl2O?nH2O), 및 하이포염소산 나트륨 수용액(NaClO (aq))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산화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화학적 표면처리함으로써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학적 첨착과정은 10 분 내지 48시간 첨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첨착처리가 끝난 후 제조된 산화흑연분말은 증류수로 수차례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하여 여과한 뒤, 80℃ 이상에서 6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단계의 화학적 첨착과정은 흑연분말의 표면개질을 통해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층간간격을 조절하는 전처리 과정이다. 그러나, 과다한 표면처리는 흑연분말의 구조를 붕괴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산화흑연분말에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키는 단계는 상온, 비활성 분위기에서 화학적 비촉매 환원법을 통해 티타늄(Ti), 바나듐(V),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이트륨(Y), 지르코늄(Zr), 나이오븀(Nb), 몰리브덴(Mo), 루테늄(Ru), 팔라듐(Pd), 은(Ag), 백금(Pt), 금(Au)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나이트레이트수화물을 포함하는 전이금속전구체로부터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 단계에서 전이금속의 도입량은 흑연분말 중량비에 대하여 0.01 내지 50 wt.%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 단계에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 후 환원성 용매 또는 흑연분말 분산용 비극성 용매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성 용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수소화리튬알루미늄(LiAlH4)의 금속 수소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것으로 환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H는 7.0 내지 13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흑연분말 분산용 비극성 용매로는 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다이올 및 도데칸다이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적당한 점도와 OH기를 2개 가지고 있는 에틸렌글리콜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적은 양의 전이금속 도입량은 전이금속입자로서 복합체 내에서 수소친화점으로 작용하기 어렵고, 너무 많은 양의 전이금속 도입량은 흑연분말복합체 내에서 클러스터입자로 뭉쳐서 수소분자의 유도 및 스필오버효과를 저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pH 7 이하 및 pH 14 이상의 분위기에서는 전이금속이 흑연분말의 표면에 완전히 환원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소저장량이 크게 향상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수소저장량이 대폭 향상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는 처리 조건에 따라, 전이금속의 도입량이 흑연분말의 중량비에 대하여 0.05 내지 20.0 wt.% 및 전이금속입자의 직경이 1.0 내지 20 nm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소저장량이 대폭 향상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을 함유하는 표면개질된 흑연분말복합체는 2.0 내지 12.0 wt.%의 수소저장 흡착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측정예 1.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모폴로지 형상 및 도입된 전이금속 담지량 측정
제조된 전이금속을 함유하는 표면개질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전이금속 도입량을 확인하기 위해 원자흡광분광광도계(AAS) 및 주사전자현미경의 에너지분산스펙트럼(SEM-EDS)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중량비는 wt.% 단위로 기재하였다.
측정예 2.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전이금속입자의 직경 측정
도입된 전이금속 입자직경을 관찰하기 위해 wide-angle X-선 회절분석을 하였으며, source로 CuK를 장착한 Rigaku Model D/Max-III B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스캔범위 5 내지 80o 및 스캔속도 4 o/min로 측정하였다. 또한, 획득한 X-선 회절분석을 통해 전이금속의 입자가 발현되는 피크에서 Scherrer's equation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측정예 3.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수소저장량 측정
제조된 흑연분말의 수소저장량 측정을 위해, 각 시료를 373 K에서 잔류 압력을 10-3 torr 이하로 유지하면서 6시간 동안 탈기시킨 후, BEL-HP(BEL Japan)을 이용하여 298 K, 100 기압 조건에서 수소저장량을 측정하였다. 수소저장측정방식은 step-by-step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1 회 평균 시료량은 0.1 g 으로 하였다.
실시예 1.
흑연분말 1g을 상온에서 황산(H2SO4, 98%)에 첨착시킨 후, 과산화수소(H2O2, 35%를 첨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24 시간동안 첨착시킨다. 상기 첨착처리된 흑연분말은 증류수에서 1~3회 세척하여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산화흑연분말 1 g을 5 wt.% Ni (산화흑연분말 중량대비)가 용해된 에틸렌글리콜용액에 넣고 1 시간 교반한다. 그 다음, NaBH4수용액을 투입하여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고 4 시간 교반한 후, 120℃에서 2 시간 교반시키고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는 증류수에 1~2회 세척하여 12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상기 전이금속을 도입하는 화학적 환원과정은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흑연분말 1 g을 상온에서 황산(H2SO4, 98%)에 첨착시킨 후, 과산화수소(H2O2, 35%를 첨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24 시간동안 첨착시킨다. 상기 첨착처리된 흑연분말은 증류수에서 1~3회 세척하여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산화흑연분말 1 g을 5 wt.% Pd (산화흑연분말 중량대비)가 용해된 1,2-프로판다이올 용액에 넣고 1 시간 교반한다. 그 다음, LiALH4수용액을 투입하여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고 4 시간 교반한 후, 120℃에서 2 시간 교반시키고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는 증류수에 1~2회 세척하여 12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상기 전이금속을 도입하는 화학적 환원과정은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흑연분말 1 g을 상온에서 황산(H2SO4, 98%)에 첨착시킨 후, 과산화수소(H2O2, 35%를 첨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24 시간동안 첨착시킨다. 상기 첨착처리된 흑연분말은 증류수에서 1~3회 세척하여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산화흑연분말 1 g을 5 wt.% Pt (산화흑연분말 중량대비)가 용해된 에틸렌글리콜용액에 넣고 1 시간 교반한다. 그 다음, NaOH 수용액을 투입하여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고 4 시간 교반한 후, 120℃에서 2 시간 교반시키고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는 증류수에 1~2회 세척하여 12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상기 전이금속을 도입하는 화학적 환원과정은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흑연분말 1 g을 상온에서 황산(H2SO4, 98%)에 첨착시킨 후, 과산화수소(H2O2, 35%를 첨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24 시간동안 첨착시킨다. 상기 첨착처리된 흑연분말은 증류수에서 1~3회 세척하여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산화흑연분말 1 g을 5 wt.% Y (산화흑연분말 중량대비)가 용해된 다이에틸렌클리콜용액에 넣고 1 시간 교반한다. 그 다음, NaOH 수용액을 투입하여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고 4 시간 교반한 후, 120℃에서 2 시간 교반시키고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는 증류수에 1~2회 세척하여 12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상기 전이금속을 도입하는 화학적 환원과정은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되, 산화흑연분말 대비 전이금속의 중량비를 2 wt.%로 도입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되, 산화흑연분말 대비 전이금속의 중량비를 10 wt.%로 도입하였다.
비교예 1.
흑연분말 1 g을 상온에서 황산(H2SO4, 98%)에 첨착시킨 후, 과산화수소(H2O2, 35%를 첨가하여 황산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에 24 시간동안 첨착시킨다. 상기 첨착처리된 흑연분말은 증류수에서 1~3회 세척하여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1과 표 2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이금속을 함유하는 표면개질된 흑연분말복합체의 도입된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 및 수소흡착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따라 제조된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수소저장값이 비교예 1에 비하여 77 내지 539% 향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소분자가 흑연분말의 표면에 도입된 전이금속 표면에서 해리되어 수소원자가 생성되고, 이 수소원자가 탄소표면을 이동한다는 스필오버 메커니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중에서도 흑연분말 중량 대비 5 wt.%의 전이금속 도입한 실시예 1 ~ 4 중에서 백금입자가 담지된 실시예 3의 수소저장값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더불어 실시예 5와 실시예 6을 비교해보았을 때 너무 적은 양의 전이금속 도입량은 흑연분말의 표면에서 수소친화점으로 작용하기 어렵고(실시예 5), 너무 많은 양의 전이금속 도입량은 흑연분말복합체 내에서 클러스터입자로 뭉쳐서 수소분자의 유도 및 스필오버효과를 저해하여 수소저장값이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다(실시예 6).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1)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된 산화흑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산화흑연분말에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황산(H2SO4), 질산(HNO3), 인산(H3PO4), 및 염산(H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산 용액에 과산화수소수(H2O2?nH2O), 과망간산칼륨 수용액(KMnO4?nH2O), 싸이오황산칼륨수용액(K2S2O8?nH2O), 이산화염소수(Cl2O?nH2O), 및 하이포염소산 나트륨 수용액(NaClO (aq))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산화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10분 내지 48시간 첨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산화흑연분말에 전이금속의 담지량과 입자직경이 제어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시키는 단계는 상온, 비활성 분위기에서 화학적 비촉매 환원법을 통해 티타늄(Ti), 바나듐(V),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이트륨(Y), 지르코늄(Zr), 나이오븀(Nb), 몰리브덴(Mo), 루테늄(Ru), 팔라듐(Pd), 은(Ag), 백금(Pt), 금(Au)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나이트레이트수화물을 포함하는 전이금속전구체로부터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전이금속의 도입량은 흑연분말 중량비에 대하여 0.01 내지 50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전이금속입자를 도입 후 환원성 용매 또는 흑연분말 분산용 비극성 용매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성 용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수소화리튬알루미늄(LiAlH4)의 금속 수소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분말 분산용 비극성 용매는 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다이올 및 도데칸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분말복합체는 전이금속의 도입량이 흑연분말의 중량비에 대하여 0.05내지 20.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분말복합체는 전이금속입자의 직경이 1.0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
KR1020110058557A 2011-06-16 2011-06-16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27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57A KR101273492B1 (ko) 2011-06-16 2011-06-16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PCT/KR2012/004104 WO2012173345A2 (ko) 2011-06-16 2012-05-24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US14/126,150 US9663359B2 (en) 2011-06-16 2012-05-24 Method for preparing graphite powder composite supported by transition metal particles for storing hydrogen
EP12799743.5A EP2722309A4 (en) 2011-06-16 2012-05-24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GRAPHITE POWDER COMPOSITE ON TRANSITION METAL PARTICLES FOR STORING HYDROG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57A KR101273492B1 (ko) 2011-06-16 2011-06-16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35A true KR20120139035A (ko) 2012-12-27
KR101273492B1 KR101273492B1 (ko) 2013-06-17

Family

ID=4735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557A KR101273492B1 (ko) 2011-06-16 2011-06-16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3359B2 (ko)
EP (1) EP2722309A4 (ko)
KR (1) KR101273492B1 (ko)
WO (1) WO201217334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93A1 (ko) * 2015-06-22 2016-12-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개질을 통한 마그네시아-카본 내화물에 함유된 흑연의 항산화성 증진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시아-카본 내화물
KR20200002760A (ko) * 2019-12-27 2020-01-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을 담지 한 수소 저장용 전극 재료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92B1 (ko) * 2011-06-16 2013-06-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920926B1 (ko) * 2014-11-21 2018-11-2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수소 저장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888853B (zh) * 2015-04-17 2017-03-08 郑州大学 一种石墨烯负载PVP稳定纳米Ru催化剂、制备方法及其用途
KR102072914B1 (ko) * 2018-07-03 2020-02-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산화 반응을 이용한 친환경적으로 산화 흑연 및 산화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
CN115337923B (zh) * 2022-07-15 2023-11-10 湖南清河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墨烯基复合催化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7351B2 (ja) * 1992-12-18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角型あるいはシート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EP1708297A3 (en) * 1996-12-27 2007-03-07 Canon Kabushiki Kaisha Powdery material, electrode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econdary cell
US6277519B1 (en) * 1997-01-27 2001-08-21 Shin-Etsu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king hydrogen storage alloy powder and electrode comprising the alloy powder
US6596055B2 (en) * 2000-11-22 2003-07-2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Hydrogen storage using carbon-metal hybrid compositions
JP3882072B2 (ja) 2001-12-25 2007-02-1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多孔質グラファイト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21216A (ja) * 2002-04-26 2003-11-11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黒鉛系水素吸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6872330B2 (en) * 2002-05-30 2005-03-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emical manufacture of nanostructured materials
CN100473601C (zh) * 2003-01-23 2009-04-01 佳能株式会社 制造纳米碳材料的方法
JP2006015291A (ja) * 2004-07-05 2006-01-19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黒鉛系水素吸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RU2426709C2 (ru) * 2009-10-30 2011-08-20 Институт новых углеро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технологий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УМиТ (ЗА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истого углер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терморасширенного оксида графита и материал
KR101273492B1 (ko) * 2011-06-16 2013-06-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93A1 (ko) * 2015-06-22 2016-12-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 개질을 통한 마그네시아-카본 내화물에 함유된 흑연의 항산화성 증진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시아-카본 내화물
KR20200002760A (ko) * 2019-12-27 2020-01-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을 담지 한 수소 저장용 전극 재료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345A2 (ko) 2012-12-20
EP2722309A2 (en) 2014-04-23
US20140117279A1 (en) 2014-05-01
KR101273492B1 (ko) 2013-06-17
WO2012173345A3 (ko) 2013-04-04
EP2722309A4 (en) 2014-11-12
US9663359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492B1 (ko) 수소저장용 전이금속입자가 담지된 흑연분말복합체의 제조방법
US9637388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nanoporous graphene and graphene quantum dots
Kuang et al. Interface engineering in transition metal carbides for electrocatalytic hydrogen generation and nitrogen fixation
Wang et al. Size-controlled large-diameter and few-walled carbon nanotube 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Liu et al. Recent advances and prospects of MXene-based materials for electrocatalysis and energy storage
US9797052B2 (en) Electrolytic water splitting using a carbon-supported MnOx-composite
Peng et al. An improved preparation of graphene supported ultrafine ruthenium (0) NPs: Very active and durable catalysts for H2 generation from methanolysis of ammonia borane
JP2019505361A (ja) 触媒活性を向上させる方法
Fujigaya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nitrogen-containing calcined polymer/carbon nanotube hybrids that act as a platinum-free oxygen reduction fuel cell catalyst
Mujtaba et al. Co9S8 nanoparticles for hydrogen evolution
Jeoung et al. Direct conversion of coordination compounds into Ni 2 P nanoparticles entrapped in 3D mesoporous graphene for an efficient hydrogen evolution reaction
Kottakkat et al. One‐Pot Synthesis of Cobalt‐Incorporated Nitrogen‐Doped Reduced Graphene Oxide as an Oxygen Reduction Reaction Catalyst in Alkaline Medium
Gujral et al. Metal nitride-based nanostructures for electrochemical and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Wu et al. Porous nitrogen/halogen dual-doped nanocarbons derived from imidazolium functionalized cationic metal-organic frameworks for highly efficient oxygen reduction reaction
Gujral et al. Mesoporous titanium carbonitride derived from mesoporous C3N5 for highly efficient hydrogen evolution reaction
Wang et al. Insights into MXenes-based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Zhuang et al. Nitrogen-doped graphene-based catalyst with metal-reduced organic framework: Chemical analysis and structure control
Chen et al. Dual-anion etching induced in situ interfacial engineering for high-efficiency oxygen evolution
Zhong et al. PdCo alloys@ N-doped porous carbon supported on reduced graphene oxide as a highly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Shim et al. One dimensional Ag/Au/AgCl nanocomposites stemmed from Ag nanowires for electrocatalysis of oxygen reduction
Manivasakan et al. Reactive-template fabrication of porous NiO nanowires for electrocatalytic O 2 evolution reaction
Li et al. TiO2 homojunction with Au nanoparticles decorating as an efficient and stable electrocatalyst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Ling et al. A self-supported S-doped Fe-based organic framework platform enhances electrocatalysis toward highly efficient oxygen evolution in alkaline media
Park et al. Top-down preparation of Ni–Pd–P@ graphitic carbon core-shell nanostructure as a non-Pt catalyst for enhanced electrocatalytic reactions
Bai et al. In situ surface dealumination of intermetallic NiFe aluminides electrocatalysts for enhancing the oxygen ev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