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463A -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463A
KR20120138463A KR1020110057946A KR20110057946A KR20120138463A KR 20120138463 A KR20120138463 A KR 20120138463A KR 1020110057946 A KR1020110057946 A KR 1020110057946A KR 20110057946 A KR20110057946 A KR 20110057946A KR 20120138463 A KR20120138463 A KR 2012013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uide
main body
filter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435B1 (ko
Inventor
박대석
Original Assignee
박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석 filed Critical 박대석
Priority to KR102011005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43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가 다수 개의 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상호 이격되는 가이드부의 다수 개의 링부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 하우징은 물에 포함된 각종 입자상의 이물질이나 세균, 냄새 등을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물에 포함된 녹이나 흙, 먼지 등의 입자상 오염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필터나, 경수를 연수로 바꾸어 주는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필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필터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필터 하우징은 내부에 필터(300)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유체가 입수되는 입수구(110)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와,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30)와, 입수구(110)에서 커버부(1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115)과, 필터(300)를 가이드하도록 커버부(130)에서 본체(100)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버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 상측을 커버하며, 커버부(130)에서 필터(300) 및 연장관(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제 1 관통홀(132) 및 제 2 관통홀(134)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300)는 오염된 물 등을 깨끗하게 필터링 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측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입수구(110) 및 연장관(115)을 통하여 본체(100)의 커버부(130) 상부로 입수된 유체는 그 수압에 의해서 필터(300)의 내측홈(310)으로 모인 후, 필터(300) 외측으로 필터링되어 본체(100)의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필터(300)를 수용하는 가이드부(140)에는 필터(300)에서 필터링된 유체가 본체(100)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그 외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142)이 천공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가이드부(140)에 형성된 관통공(142)은 그 작은 크기로 인하여, 필터(300)에서 필터링된 유체를 본체(100) 하방으로 이동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청소시, 작은 이물질 등이 관통공(142)에 끼거나, 세척액 등이 작은 가이드부(140)의 관통공(142)에서 느리게 배출되어,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내측홈이 형성되는 필터; 상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공간부의 개방된 상방을 커버하되 상기 필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본체; 일측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부의 상방으로 관통 위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의 형태에 따라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는 다수 개의 링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측부는 상기 다수 개의 링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링부 중 최하단에 위치된 링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의 상기 내측홈의 개방된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다수 개의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본체 외측 하방으로 드레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개폐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을 위한 클램프(Clam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은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필터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필터가 제거된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유체가 필터링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필터가 제거된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은 필터(50), 본체(10) 및 덮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50)는 오염된 물이나 세정액 등을 깨끗하게 필터링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내측홈(5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50)의 길이방향 상측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커버부(30)의 결합 안내부(35)에 고정되도록 필터 결합부(5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 결합부(53)의 외측 상방으로 손잡이부(5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54)를 잡고 필터(50)를 본체(10)의 가이드부(20)로 용이하게 삽입 또는 탈거시키도록 구성된다.
본체(10)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필터(5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유입구(12), 배출구(14), 가이드부(20), 커버부(30), 연결관(37), 다리부(40) 및 드레인관(45)을 구비한다.
유입구(12)는 본체(10)의 측방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유체를 공간부(11)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배출구(14)는 본체(10)의 하방에 관통 형성되어, 공간부(11)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가이드부(20)는 본체(10)의 공간부(11)에 구비되어, 필터(50)가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필터(50) 카트리지의 필터(5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필터(50)의 개수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0)는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유체 또는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액 또는 청소시 발생되는 이물질 등이 가이드부(20)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하기 도 6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부(30)는 공간부(11)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30)에서 필터(5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공(32)이 형성되어, 필터(50)가 삽입공(32)을 통하여 가이드부(20)에 수용된다. 이때, 커버부(30)의 삽입공(32)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부(20)에 수용된 필터(50)가 고정되도록 결합 안내부(35)가 형성되며, 필터(50)의 상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 안내부(35)에 끼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0)는 결합 안내부(35)에 용접 결합된다.
연결관(37)은 본체(10)의 공간부(11)에 위치되어, 일측은 유입구(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커버부(30)의 상방으로 관통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30)에서 연결관(37)의 타측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유입공(34)이 천공된다.
다리부(40)는 본체(10)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 하측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면서 본체(10)를 상방으로 이격시킨다.
드레인관(45)은 일측은 배출구(14)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리부(40)에 의하여 지면에서 이격된 본체(10) 외측 하방에 위치되어,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리부(40)에 의하여 본체(10)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므로, 드레인관(45)이 본체(10) 외측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본체(10)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14)로 용이하게 모이게 되며, 이렇게 배출구(14)로 모인 유체는 드레인관(45)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드레인관(45)에는 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밸브(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덮개(60)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부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10)와 덮개(60)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결합수단, 예를 들면 덮개(60)가 본체(10)와 긴밀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의 개방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클램프(Clamp)(65) 등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덮개(60)에서 클램프(65)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걸림부(62)가 형성되어, 클램프(65)가 상기 걸림부(62)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0)는 필터(5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부(20)는 필터(5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는 다수 개의 링부(22)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측부는 다수 개의 링부(22)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커버부(30)의 결합 안내부(35)에 용접결합 등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24)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링부(22) 중 최하단에 위치된 링부(22)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26)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 개의 링부(22), 연결부(24) 및 받침부(26)에 의하여 가이드부(2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필터(50)가 수용된다. 그리고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유체 또는 청소시 발생되는 이물질 또는 청소에 사용되는 세척액 등은 링부(22)와 링부(22) 사이의 넓은 공간으로 용이하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이드부(20)의 링부(22)와 링부(22)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이 그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유체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며, 청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가이드부(20) 외측으로 용이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유체가 필터링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은 유입구(12) 및 연결관(37)을 통하여 본체(10)의 커버부(30) 상부로 유체가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그 수압에 의하여 필터(50)의 내측홈(52)으로 모인 후, 필터(50) 외측으로 필터링되며, 이렇게 필터링 된 유체는 가이드부(20)의 링부(22)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된 후, 배출구(14) 및 드레인관(45)을 통하여 본체(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20)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20)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본체 11: 공간부
12: 유입구 14: 배출구
20: 가이드부 22: 링부
24: 연결부 26: 받침부
30: 커버부 32: 삽입공
34: 유입공 35: 결합 안내부
37: 연결관 40: 다리부
45: 드레인관 47: 드레인밸브
50: 필터 52: 내측홈
53: 필터 결합부 54: 손잡이부
60: 덮개 62: 걸림부
65: 클램프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내측홈이 형성되는 필터;
    상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공간부의 개방된 상방을 커버하되 상기 필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본체;
    일측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부의 상방으로 관통 위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의 형태에 따라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는 다수 개의 링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측부는 상기 다수 개의 링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링부 중 최하단에 위치된 링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상기 내측홈의 개방된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다수 개의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본체 외측 하방으로 드레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개폐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을 위한 클램프(Clam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KR1020110057946A 2011-06-15 2011-06-15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KR10127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946A KR101276435B1 (ko) 2011-06-15 2011-06-15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946A KR101276435B1 (ko) 2011-06-15 2011-06-15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463A true KR20120138463A (ko) 2012-12-26
KR101276435B1 KR101276435B1 (ko) 2013-06-19

Family

ID=4790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946A KR101276435B1 (ko) 2011-06-15 2011-06-15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4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45Y1 (ko) * 2006-07-27 2006-12-26 미래환경기술(주) 주머니 필터
KR101194184B1 (ko) * 2009-09-08 2012-10-24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잉곳 제조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435B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915B1 (ko) 수질 정화 장치
KR20120138464A (ko) 수밀형 오링,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하우징
KR101276435B1 (ko)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KR102075304B1 (ko) 피측정수 채취용 휴대용 필터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JP4890341B2 (ja) 流下雨水の濾過装置
KR200409958Y1 (ko) 수질 정화 장치
KR200436035Y1 (ko)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CN206345688U (zh) 陶艺污水处理装置
CN109851073A (zh) 一种灵活可抽出的多层组合式污水过滤装置
US11465080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utlet filter cleaner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KR20100078036A (ko) 교체 가능한 필터를 갖는 수족관 정수장치
KR20120112914A (ko) 커버 내에 일체형 유로를 갖는 필터 하우징
CN209292171U (zh) 可再生利用篮式过滤器
KR100899071B1 (ko) 탁도 제거기
KR100661814B1 (ko) 콘테이너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연속 여과 시스템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CN206886820U (zh) 一种生物实验室污水处理装置
KR102632302B1 (ko) 간이 여과기
KR102458595B1 (ko) 용기 세척 장치
KR101339990B1 (ko)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